KR100564774B1 -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774B1
KR100564774B1 KR1020030018056A KR20030018056A KR100564774B1 KR 100564774 B1 KR100564774 B1 KR 100564774B1 KR 1020030018056 A KR1020030018056 A KR 1020030018056A KR 20030018056 A KR20030018056 A KR 20030018056A KR 100564774 B1 KR100564774 B1 KR 10056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omposite
fiber
carbon nanotubes
nanoparticles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573A (ko
Inventor
김찬
안계혁
이영희
양갑승
Original Assignee
김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 filed Critical 김찬
Priority to KR102003001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7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6Nanostructures, e.g. nanofibres, nanotubes or fuller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electrospinning or electrostatic spinnin) 방법에 의해 나노복합체(nano-composite)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용액에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또는 나노입자(nano-particle)을 분산시킨 후 고전압의 전기장을 가하여 방사제조한 직경 1㎛ 미만의 나노복합체 섬유 및 상기 나노복합체 섬유로 되는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각종 고성능 필터재, 전기이중층을 이용한 슈퍼캐퍼시터(supercapacitor)용 전극재료, 2차 전지용 전극재료, 전자파 차폐재 및 고전도성 재료 등으로 매우 유용하다.
전기방사, 나노복합체, 카본나노튜브, 나노입자, 슈퍼캐퍼시터, 전자파 차폐재료, 고전도성 섬유

Description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Nano-composite fiber, its preparation and use}
도 1은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본 발명 나노복합체 부직포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처리된 나노복합체 부직포의 77K 질소 등온 흡착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방전전류 밀도 100mA/㎠에서 카본나노튜브 함량에 따른 활성화처리된 나노복합체 부직포 전극의 KOH 30wt% 전해질에서의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카본나노튜브나 나노입자가 분산된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 용액에 나노 크기의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나 나노입자(nano-particle) 등과 같은 나노물질을 분산시킨 후 정전방사하여 제조하는 직경 1㎛ 미만의 나노복합체 섬유와 이러한 나노복합체 섬유를 전기이중층 슈퍼캐퍼시터용 전극 제조 등에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이중층 슈퍼캐퍼시터용 전극으로는 활성탄 및 카본/금속 복합체(carbon/metal composite), 발포 카본(foamed or aerogel carbon) 등이 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전도성 고분자와 탄소 중간체적인 폴리아세닉 반도체(polyacenic semiconductor: PAS) 등의 새로운 형태의 탄소전극도 출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전기이중층 슈퍼캐퍼시터용 전극 활물질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활성탄은 형태에 따라 입상, 분말상, 섬유상으로 구분되며, 비표면적이 최고 3000㎡/g을 초과하는 것도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활성탄을 전극재료로 응용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 ethylene)와 같은 바인더에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등을 첨가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후 집전체에 도포하거나 압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만들어진 전극은 전기적인 절연체인 바인더 등의 영향으로 세공이 막히거나 전극 자체의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어 슈퍼캐퍼시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전극 제조시 2차 가공이 있어 전극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바인더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활성탄소섬유 직물(펠트상, felt)을 직접 슈퍼캐퍼시터용 전극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방법도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있어 전극자체의 저항이 큰 단점과 활성탄소섬유를 직물로 가공해야 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 2002-0008227의 경우, 전기방사(정전방사)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를 활성화하여 전극재료로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화 카본나노섬유의 경우도 활성탄소섬유를 직물상으로 제조한 것과 같이 전극 자체 저항이 커서 고전류 방전을 요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방법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나노복합체 섬유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나노복합체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섬유로 되는 3차원 나노복합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3차원 나노복합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3차원 나노복합체 구조물의 슈퍼캐퍼시터용 전극재료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정기방사방법에 의해서 나노입자가 분산된 나노복합체 섬유를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섬유는 나노 입자가 섬유표면에 노출되거나 섬유 내부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전체 섬유의 전기전도성을 급격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대용량화 및 고성능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섬유성형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방사용액에 카본나노튜브와 같은 나노재료나, 카본블랙입자, 흑연입자 또는 금속입자와 같은 나노입자를 분산하는 공정, 카본나노튜브 또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방사용액을 정전방사장치의 방사구에 넣고 방사노즐과 집전체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섬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나노복합체 섬유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나노복합체 섬유로 되는 나노복합체 부직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부직포가 산화성 가스 분위기하에 150~450℃의 반응온도에서 안정화처리, 불활성 분위기하에 700~1500℃의 반응온도에서 탄소화처리, 수증기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성 가스 분위기하에 600~1200℃의 반응온도에서 활성화처리 및 불활성 분위기나 진공상태하에 2000~3000℃의 반응온도에서 흑연화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부직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나노복합체 부직포를 이용한 슈퍼캐퍼시터용 전극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나노복합체 섬유는 카본나노튜브 또는 나노입자가 섬유성형성 고분자내에 분산되고 섬유의 직경이 나노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노복합체 섬유내에는 분산되는 나노입자의 예로는 카본블랙입자, 흑연입자 또는 금속입자 등이 있다.
카본나노튜브는 벽수(wall-number)에 따라 단층카본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나 다층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로 구분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섬유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카본나노튜브는 직경 0.4nm에서 200nm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전도성을 나타내는 카본블랙입자, 흑연입자, 금속입자와 같은 나노입자는 100nm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나노복합체 섬유중의 카본나노튜브 또는 나노입자의 함량은 0.1∼50 wt%가 적당하다.
섬유 성형성 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achol),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벤질이미다졸(PBI, polybenzimidazol), 페놀 수지(pheno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에칠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loride), 폴리스타이렌(PS, polystyrene), 폴리아닐린(PA, polyanaline), 폴리메칠메타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 polyvinylidence chlorid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povinylidene fluoride) 및 각종 피치(pitch)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나노복합체 섬유는 섬유성형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방사용액에 카본나노튜브 또는 나노입자를 분산하는 공정, 카본나노튜브 또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방사용액을 정전방사장치의 방사구에 넣고 방사노즐과 집전체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방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방사용액의 제조에는 섬유성형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해당 고분자를 용해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를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방사 용액에는 분산제, 열 및 자외선 안정제, 가교제나 반응 개시제 등을 적당히 첨가할 수 있다.
방사용액에 카본나노튜브나 나노입자를 분산시킬 때에는 초음파나 교반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정전방사장치에서 카본나노튜브나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방사용액을 방사구에 넣고 방사노즐과 집전체(collector)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사하면 카본나노튜브나 나노입자가 분사된 섬유가 집전체에 포집된다.
방사구와 집전체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電界)는 전압조절장치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방사구와 집전체에 부여하는 전극들은 서로 극이 다르게 설정하며, 전압은 50kV 이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구와 집전체에는 동일한 전압을 부여할 수 도 있으며, 서로 다른 전압을 부여할 수 도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는 나노복합체 섬유는 워터펀칭이나 니들펀칭, 열고정 등의 방법등으로 부직포화하여 나노복합체 부직포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나노복합체 부직포는 고성능 필터재료나 전자파 차폐재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나노복합체 섬유로 되는 부직포는 후가공하여 여러가지 유용한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후가공의 예로는 산화안정화처리, 탄소화처리, 활성화처리, 흑연화처리 등이 있으며, 이러한 처리는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의 처리를 병행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산화안정화처리는 산화성 가스분위기 하에 150℃∼450℃의 반응온도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 섬유로 되는 부직포가 상기한 바와 같은 산화안정화처리를 받게 되면 내염성이 부여되, 각종 방화재나 전자파 차폐재로 응용이 가능하다.
탄소화처리는 상기 산화안정화처리후 불활성 분위기하에 700℃∼1500℃의 반응온도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섬유로 되는 부직포가 상기한 바와 같은 탄소화처리를 받게 되면 각종 구조물의 보강재나 전도성이 요구되는 영역에 응용이 가능하며, 전자파 차폐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활성화처리는 상기 산화안정화처리후 수증기(steam)나 이산화탄소(CO2) 등의 산화성 분위기 가스 분위가하에 600℃∼1200℃ 반응온도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섬유로 되는 부직포가 상기한 바와 같은 활성화처리를 받게 되면 아주 높은 비표면적(500㎡/g∼3000㎡/g)을 갖는 동시에 동일한 세공구조가 섬유표면에 거의 노출되고, 카본나노튜브나 카본블랙 및 흑연이나 금속 등의 나노입자가 섬유내 네트워크를 형성하거나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 높은 전도성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고전도성을 요구하는 분야에는 탄소화처리한 후 활성화처리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탄소화처리후에 활성화처리한 나노복합체 부직포는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고성능 액상필터나 기상필터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전기이중층을 이용하는 슈퍼캐퍼시터용 전극에 응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전극에 사용되고 있는 활성탄에 비해 높은 전기전도성과 이온의 흡착에 유리한 세공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 제조시 바인더 물질이나 전도성 물질인 카본블랙 등을 첨가하는 2차 가공이 없이 제조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페놀계나 PAN계 펠트(Felt)상 활성탄소섬유에 비해 고전도성 물질인 카본나노튜브나 카본블랙, 흑연이나 금속 등의 나노입자가 섬유 내부 및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 고전도성을 나타내며, 박막형태로 제조가 가능하여 슈퍼캐퍼시터용 전극에 응용시 제조단가 절감과 성능향상, 가공성 개선을 동시에 이룰수 있는 장점이 있다.
흑연화처리는 불활성 분위기나 진공상태에서 2000℃∼3000℃의 반응온도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섬유로 되는 부직포가 상기한 바와 같은 흑연화처리를 받게 되면 기존의 피치나 PAN계 흑연섬유에 비해 고강도, 고탄성율 및 고전도성을 나타내며, 2차 전지의 부극재료나 고강도 고탄성율을 요구하는 복합체의 필러로도 적용이 가능하며, 특수 용도용 전자파 차폐재료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화학적 기상 증착법(CVD, Chemicla vapor decomposition)법에 의해 제조된 직경 20nm, 길이 10∼50㎛인 다층카본나노튜를 섬유성형성 고분자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수지 용액(용매: DMF, 농도: 10wt.%)에 초음파를 이용한 분산방법으로 분산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방사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은 섬유중량기준으로 0.5~5wt%에서 조절하였다.
만들어진 방사용액은 정전방사장치의 방사구에 넣고 방사노즐과 집전체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5kV∼30kV로 조절하면서 정전방사하여 집전체에서 카본나노튜브가 함유된 나노복합체 PAN 섬유를 회수하고 이를 통상의 방법으로 부직포로 제조하였다.
얻어진 섬유의 직경은 대부분 70nm에서 1㎛ 미만이었으며,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경향과 구슬형태가 많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도 1은 방사용액의 농도 10wt%에서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PAN 섬유의 중량비 0.5wt%에서 5.0wt% 까지의 함량별로 정전방사된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방사조건으로는 인가전압 15kV, 방사노즐과 방사구와의 거리는 15㎝ 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카본나노튜브가 함유된 나노복합체 부직포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150~450℃에서 산화안정화처리한 후, 수증기와 질소가스의 함량이 0.3vol.%의 비율로 700℃~900℃의 온도범위에서 각각 1시간씩 활성화처리 하였다. 이때 얻어지는 나노복합체 부직포의 비표면적은 800℃에서 1시간 활성화시켰을 경우, 카본나노튜브 함량에 따라 1000㎡/g에서 2200㎡/g의 범위를 나타냈다. 도 2에는 활성화처리된 나노복합체 부직포의 77K 질소 등온 흡착곡선이 제시된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활성화처리된 나노복합체 부직포를 세로 가각 1.5㎝씩 절단하여 전기이중층 캐퍼시터를 측정하였다. 집전체로는 니켈호일(nickle foil)을 사용하였으며, 전해질로는 30 wt% KOH 수용액을 사용했다. 충방전 전압은 0.0∼0.9V 범위였으며, 충방전 전류밀도는 100mA/㎠ 였다. 방전용량 C(F)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계산했다.
C = I(ΔV)/(Δt)
여기에서 I는 방전전류 밀도, ΔV는 방전시간에 따른 전압차, Δt는 방전시간이다.
카본나노튜브 함량에 따라 충방전 용량은 80에서 220F/g의 값을 나타냈다. 도 3은 방전전류 밀도 100mA/㎠에서 카본나노튜브 함량에 따른 활성화된 나노복합체 부직포 전극의 KOH 30wt% 전해질에서의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카본나노튜브 및 나노입자 등이 정전방사 방법을 통해 나노미터 크기의 섬유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나노복합체 섬유로 되는 나노복합체 구조물은 산화안정화, 탄소화, 활성화, 흑연화 등의 후가공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카본나노튜브 및 나노입자가 탄소섬유내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3차원 탄소 나노복합체(carbon nanocomposite)로 제조되며, 이러한 나노복합체는 전극재료에 응용시 2차 가공이나 바인더 및 도전재료를 첨가하지 않고 원래 상태대로 사용할 수 있어 가공비의 절감과 고성능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삭제

Claims (8)

  1. 섬유성형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방사용액에 카본나노튜브나, 카본블랙입자, 흑연입자 또는 금속입자와 같은 나노입자를 분산하는 공정, 카본나노튜브 또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상기 방사용액을 정전방사장치의 방사구에 넣고 방사노즐과 집전체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정전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섬유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나노튜브는 직경 0.4nm~200nm의 단층 또는 다층 카본나노튜브이고, 상기 나노입자는 크기가 100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섬유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나노복합체 섬유.
  6.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나노복합체 섬유가 워터펀칭, 니들펀칭, 또는 열고정에 의해 부직포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부직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직포가 산화성 가스 분위기하에 150~450℃의 반응온도에서 산화안정화처리, 불활성 분위기하에 700~1500℃의 반응온도에서 탄소화처리, 수증기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성 가스 분위기하에 600~1200℃의 반응온도에서 활성화처리 및 불활성 분위기나 진공상태하에 2000~3000℃의 반응온도에서 흑연화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부직포.
  8. 삭제
KR1020030018056A 2003-03-24 2003-03-24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56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056A KR100564774B1 (ko) 2003-03-24 2003-03-24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056A KR100564774B1 (ko) 2003-03-24 2003-03-24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573A KR20040083573A (ko) 2004-10-06
KR100564774B1 true KR100564774B1 (ko) 2006-03-28

Family

ID=3736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056A KR100564774B1 (ko) 2003-03-24 2003-03-24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7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947B1 (ko) * 2008-07-03 2012-03-23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마스크
US20120113565A1 (en) * 2007-04-16 2012-05-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lectrode for super capacitor having metal oxide deposited on ultrafine carbon fiber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156674B1 (ko) * 2009-12-16 2012-06-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탄소재 함유 다공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9456A (ko) * 2012-09-24 2014-04-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본블랙을 함유한 전도성 나노섬유를 집전시킨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8294B1 (ko) 2012-07-11 2014-05-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방사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468975B1 (ko) * 2008-07-03 2014-12-04 주식회사 그라프 저차원 소재 고전도성 전도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2277B2 (en) 2005-05-17 2009-09-22 Research Triangle Institute Nanofiber mat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KR100631844B1 (ko) 2004-09-24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탄소섬유웹구조를 갖는 전계방출형 에미터전극 및 그제조방법
KR100715155B1 (ko) * 2005-05-03 2007-05-10 주식회사 아모메디 나노 복합체 탄소섬유 지지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극촉매의 제조방법
KR100772442B1 (ko) * 2005-12-28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분극전극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841939B1 (ko) * 2006-02-07 2008-06-27 (주) 아모센스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KR100819900B1 (ko) * 2006-06-12 2008-04-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흑연계물질 함유 나노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KR100783490B1 (ko) * 2006-07-27 2007-12-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 방법에 의한 씨타입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DE102007055283A1 (de) 2006-11-21 2008-05-29 The Yokohama Rubber Co., Ltd. Elektrode für einen Kondensator und elektrischer Doppelschichtkondensator unter Verwendung derselben
KR20090093323A (ko) 2008-02-29 200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이온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90728B1 (ko) 2008-03-07 201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KR101118186B1 (ko) * 2008-08-13 2012-03-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초고용량 커패시터용 전극물질, 이 전극물질을 이용한 초고용량 커패시터 전극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28116A1 (en) * 2009-02-17 2012-02-02 Won-Gil Choi Composition for producing positive electrode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positive electrode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made with said composition,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KR101348202B1 (ko) * 2011-11-30 2014-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탄소입자-탄소나노섬유복합체, 상기 복합체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탄소섬유응용제품
KR101518995B1 (ko) * 2012-08-06 2015-05-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4025154A1 (ko) * 2012-08-06 2014-02-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48200B1 (ko) * 2012-09-26 2014-01-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실리콘 또는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탄소나노섬유복합체, 상기 복합체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N110359130B (zh) * 2019-07-31 2021-07-30 河北科技大学 一种废塑料基杂化碳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99607B (zh) * 2020-06-04 2022-05-06 广东海之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空心碳纳米纤维-CoS2的超级电容器电极材料及其制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3565A1 (en) * 2007-04-16 2012-05-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lectrode for super capacitor having metal oxide deposited on ultrafine carbon fiber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127947B1 (ko) * 2008-07-03 2012-03-23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마스크
KR101468975B1 (ko) * 2008-07-03 2014-12-04 주식회사 그라프 저차원 소재 고전도성 전도막
KR101156674B1 (ko) * 2009-12-16 2012-06-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탄소재 함유 다공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8294B1 (ko) 2012-07-11 2014-05-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방사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140039456A (ko) * 2012-09-24 2014-04-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본블랙을 함유한 전도성 나노섬유를 집전시킨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573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774B1 (ko)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hen et al. Fabr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olyacrylonitrile and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plasma-modified carbon nanotubes by electrospinning
Di et al. Ultrastrong, foldable, and highly conductive carbon nanotube film
US7938996B2 (en) Polymer-free carbon nanotube assemblies (fibers, ropes, ribbons, films)
Inagaki et al. Carbon nanofibers prepared via electrospinning
US7623340B1 (en) Nano-scaled graphene plate nanocomposites for supercapacitor electrodes
Huang et al. Fabrication of vanadium oxide, with different valences of vanadium,-embedded carbon fibers and thei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supercapacitor
Liu et al. Preparation of carbon nanofibres through electrospinning and thermal treatment
KR101337483B1 (ko) 활성 탄소 섬유, 이의 제조 방법 및 활성 탄소 섬유를포함하는 장치
US7875219B2 (en) Process for producing nano-scaled graphene platelet nanocomposite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Yu et al. Microstructure design of carbonaceous fibers: a promising strategy toward high‐performance weaveable/wearable supercapacitors
Hsu et al. Preparation of interconnected carbon nanofibers as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JP4465137B2 (ja) 多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酸化方法
Kaerkitcha et al.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fibers obtained from coaxial electrospinning of PMMA and PAN with adjustable inner/outer nozzle-ends
Tang et al. Amorphous-crystalline TiO2/carbon nanofibers composite electrode by one-step electrospinning for symmetric supercapacitor
KR101668391B1 (ko) 단일 배향성 고밀도 탄소나노섬유펠트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펠트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펠트 응용제품
Zhao et al. Solution blown silicon carbide porous nanofiber membrane as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s
WO2015146984A1 (ja) 導電性多孔体、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及び導電性多孔体の製造方法
Le et al. Strategies for fabricating versatile carbon nanomaterials from polymer precursors
Guan et al. Hydrophilicity improvement of graphene fibers for high-performance flexible supercapacitor
Song et al. Carbon nanofibers: synthesis and applications
Zhu et al.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nanofibers
Sharafkhani et al. Enhanced sensing performance of polyvinylidene fluoride nanofibers containing preferred oriented carbon nanotubes
Lee et al. Electrospun carbon nanofibers as a functional composite platform: A review of highly tunable microstructures and morphologies for versatile applications
KR101438065B1 (ko) 하이브리드나노복합체, 상기 복합체 제조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슈퍼캐패시터용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