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63B1 -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63B1
KR900005763B1 KR1019870002155A KR870002155A KR900005763B1 KR 900005763 B1 KR900005763 B1 KR 900005763B1 KR 1019870002155 A KR1019870002155 A KR 1019870002155A KR 870002155 A KR870002155 A KR 870002155A KR 900005763 B1 KR900005763 B1 KR 900005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ignal
value
memory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9538A (en
Inventor
마꼬도 고또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529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423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6105290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1534B2/en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5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supply voltage with constant frequency and variable amplitude

Abstract

a detector (12) producing a detected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led variable of a controlled system. An error circuit (3A) produces an erro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ignal of the detector periodically; a memorising circuit (3C) renewing a number of memorised values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at intervals of a renewing cycle period of time; and an output circuit (3B) produc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mixed value which is obtained by mixing the error signal of the error circuit and one or more memorised values of the memory.

Description

제어장치Controller

제1도는 모우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의 기본블록도.1 is a basic block diagram of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제2도는 제1도의 제어계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도검출기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a speed detector usable in the control system of FIG.

제3도는 제1도, 제2도와 제3도를 조합하여, 본 발명 제어계의 대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순서도.3 is a flowchart of a microprocessor showing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FIG. 1, FIG. 2 and FIG.

제4도는 제1도, 제2도와 제3도의 조합에 의해 나타난 본 발명 실시예의 제어블록도.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제5도는 N=3의 관계인 제3도에 사용된 합성수단의 전달기능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combining means used in FIG. 3 in which N = 3.

제6도는 본 발명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두 개의 진폭주파수 특징을 나타낸 그래프.6 is a graph showing two amplitude frequency characteristics to illustrate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1도, 제2도와 제7도를 조합하여, 본 발명 제어계의 또다른 대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순서도.FIG. 7 is a flowchart of a microprocessor show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FIG. 1, FIG. 2 and FIG.

제8도는 제1도, 제2도와 제8도를 조합하여, 본 발명 제어계의 또다른 실시예를 대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순서도.8 is a flowchart of a microprocessor represen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FIG. 1, FIG. 2 and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제어계 12A : 센서11: control system 12A: sensor

11A : 모우터 12B : 속도검출기11A: Motor 12B: Speed Detector

11B : 구동기 13 : 제어블록11B: Driver 13: Control Block

11C : 부하 13A : 마이크로프로세서11C: Load 13A: Microprocessor

12 : 검출블록 13B : 메모리12: detection block 13B: memory

13C : D/A변환기13C: D / A Converter

본 발명은 제어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우터를 위한 제어계로서 양호한 내외란성을 가지도록 요구되는 제어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system required to have good disturbance resistance as a control system for a motor.

종래 제어계에 있어서, PI제어기(비례정수제어기)는 내외란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또는 외란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최근에, PI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사용되는 디지털제어를 제공한다. 예를들면, 직류모우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사용하는 다지탈 PI제어기는 Holt-Saunders International Editions.에서 출판되고, Benjamin C.Kou 저서의 "디지탈제어장치"14장 4절, P689~P694에 나타나 있다.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을 고려하지 않은 PI 제어기는 더 낮은 주파수에서 내외란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내외란성을 향상하기 위한 최근의 요구는 몇몇 적용에 있어서 더욱 더 격심해진다.In the conventional control system, the PI controller (proportional constant controller) has been widely used to improve the disturbance resistance or to suppress the influence of disturbance. Recently, PI controllers provide digital control for use in microprocessors. For example, a digital PI controller for a microprocessor to control the speed of a DC motor is published in Holt-Saunders International Editions., And published by Benjamin C.Kou in Chapter 14, Section 4, P689. It is shown in P694. PI controllers that do not account for analog or digital can improve disturbance at lower frequencies. However, recent demands for improving disturbance resistance have become even more severe in some applications.

예를들면,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캡스턴모우터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는 토오크외란에 대해 크게 향상된 내외란성을 요구한다.For example,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capstan motor speed of a video tape recorder requires a greatly improved disturbance to torque disturbance.

왜냐하면 캡스턴모우터의 크기와 관성이 최근 몇 년동안 대단히 최소화 되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ize and inertia of capstan motors have been greatly minimized in recent years.

향상된 내외란성을 위한 새로운 제어계는 본 출원에 앞서서 1986년 10월 10일에 제출된 미국특허 출원번호 917,498로 제출되었다. 이 제어계는 우수한 내외란성을 가지지만, 램영역에 큰 용량을 요구하여 계가 비싸진다.A new control system for improved disturbance was fil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917,498, filed on October 10, 1986, prior to this application. This control system has excellent disturbance resistance, but requires a large capacity in the RAM area, which makes the system expensive.

최근 집적회로기술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단일칩위에 소용량의 램영역을 만든다. 그래서, 소형의 램이 사용된다면, 값싸고 간편한 제어계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Recent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creates a small amount of RAM on a single chip of a microprocessor. So, if a small RAM is used, it is possible to make a cheap and easy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램영역(메모리)를 사용하여 향상된 내외란성을 가지는 제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system having improved disturbance resistance by using a small ram area (memo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의 램영역(메모리)를 사용하여 향상된 토오크 내외란성을 가지는 모우터를 위한 제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제어계 구성으로 달성된다: 제어계에 제어변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 검출시간과 같은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검출수단으로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오차수단;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갱신주기 L의 간격으로 갱신된 메모리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1혼합치에 대응하는 값에 의해 검출주기의 Q배에 상당하는 갱신주기간격을 두고 복수의 메모리치를 순차적,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메모리수단, Q와 L은 2이상의 정수;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메모리수단의 메모리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2혼합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신호를 제어계에 공급하여 제어계의 제어변수를 제어하는 출력수단.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system for a motor having improved torque disturbance by using a small ram area (memor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with the following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detection means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variable in the control system; Error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o the detection means periodically at intervals equal to the detection time; A plurality of memory values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an update main period corresponding to Q times the detection period by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one or more of the memory values updated at intervals between the error signal of the error means and the update period L. Memory means for updating periodically, Q and L are integers of 2 or mor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of an error signal of the error means and a memory value of the memory means, and supplying this signal to the control system to control the control variable of the control system.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분리구조를 보여주며, 제어계(11)은 제어되는 직류모우터(11A)가 있으며, 직류모우터(11A)에 전류Im(동력)을 공급하는 구동기(11B)(구동수단)가 있다. 직류모우터(11A)는 부하(11C)(토오크외란의 근원)가 예정된 속도로회전하여 제어된다. 검출블록(12)(검출수단)은 센서(12A)(센서수단)와 속도 검출기(12B)(속도검출수단)을 가지고 있다. 센서(12A)는 직류모우터(11A)의 회전주파수 fm[HZ]의 Pa배에 상당하는 주파수로 센서신호 Aa를 발생하고, Pa는 2이상의 정수이다.1 shows a separation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trol system 11 has a controlled DC motor 11A and a driver 11B for supplying a current I m (power) to the DC motor 11A ( Drive means). The DC motor 11A is controlled by the load 11C (the source of torque disturbanc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detection block 12 (detection means) has a sensor 12A (sensor means) and a speed detector 12B (speed detection means). The sensor 12A generates the sensor signal A a at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P a times the rotation frequency f m [HZ] of the DC motor 11A, and P a is an integer of 2 or more.

예를 들어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캡스탄모우터의 경우, Pa는2000이다. 속도 검출기(12B)는 센서신호 Aa의 1 또는 1/2주기(검출주기)마다 검출신호 Bb와 표시문자신호 Fg를 얻는다. 검출신호 Bb는 센서신호 Aa의 1 또는 1/2주기에 대응하는 디지털부에 디지털 또는 코우드화된 신호가 있고, 그것은 직류모우터(11A)의 속도이다.For example, for a capstan motor of a video tape recorder, P a is 2000. The speed detector 12B obtains the detection signal B b and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for every one or one-half cycle (detection cycle) of the sensor signal A a . The detection signal B b has a digital or coded signal in a digital part corresponding to one or one-half period of the sensor signal A a , which is the speed of the DC motor 11A.

표시문자신호 Fg는 속도검출기(12B)가 새로 검출된 코우드 또는 검출치를 얻을 때 마다 "H"(고전압)로 설정한다. 속도검출기(12B)의 상세한 구조와 작동은 후에 설명할 것이다. 제어블록(13)(제어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13A), 램과 롬을 포함하는 메모리(13B), D/A변환기(13C)가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메모리(13B)의 롬안에 저장된 명령에 대해 연산을 실행하여서, 제어블록(13)은 검출신호 Bb를 입력하고, 검출신호 Bb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Cs를 제어계(11)의 구동기(11B)에 공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상세한 작동은 후에 설명한 것이다. 구동기(11B)는 제어신호 Cs에 대응하는 전류 Im을 직류모우터(11A)에 공급하여서 제어신호 Cs에 비례하는 발생토오크를 발생한다.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is set to " H " (high voltage) each time the speed detector 12B obtains a newly detected code or detected value.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peed detector 12B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block 13 (control means) includes a microprocessor 13A, a memory 13B including RAM and ROM, and a D / A converter 13C. A microprocessor (13A) is accomplished by issuing the operation on the instruction stored in the ROM of the memory (13B), the control block 13 is a control signal C s, which corresponds to the input of the detection signal B b, and the detection signal B b a control system ( It supplies to the driver 11B of 11). Detailed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river 11B supplies a current I m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C s to the DC motor 11A to generate a generation torque proportional to the control signal C s .

그레서, 제어루우프(직류모우터(11A)의 속도제어루우프)는 제어계(11)(직류모우터(11A)와 구동기(12B)), 검출블록(12)(센서(12A)와 속도검출기(12B)와 제어블록(13)(마이크로프로세서(13A), 메모리(13B)와 D/A 변환기(13C)로 형성되어서, 제어계(11)의 제어변수(직류모우터(11A)의 속도)는 예정치(예정속도)로 제어된다.Therefore, the control loop (speed control loop of the 11A motor) includes the control system 11 (DC motor 11A and the driver 12B), the detection block 12 (the sensor 12A and the speed detector 12B). ) And the control block 13 (microprocessor 13A, memory 13B and D / A converter 13C), the control variable (speed of the DC motor 11A) of the control system 11 is a predetermined value. Controlled by (Scheduled Speed).

속도검출기(12B)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는 속도검출기(12B)의 구조를 보여주고, 정형기(31)은 센서신호 Aa를 예정된 전압과 비교하고, 각진 파형으로 정형신호 Gg를 발생한다. 정형신호 Gg는 AND회로(33)의 입력단자와 D형 플립플롭(35)의 트리거 입력단자 CK에 사용된다. 발진기(32)의 시각펄스신호 Cp와 카운터(34)의 오우버플로우신호 Ww는 각각 AND 회로(33)의 다른 입력단자와 사용된다. 발진기(32)는 광석발진기와 주파수분석기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들면, 정형신호 Gg의 주파수보다 더 큰 약 1M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시각펄스신호 Cp를 발생한다. 카운터(34)는 12비트의 길이이며, AND회로(33)의 출력펄스 Hh를 전부 합산한다. 카운터(34)의 오우버플로우신호 Ww는 카운터(34)의 용량이 예정치 이하로 남아있을 때 "H"이고, 오우버플로우신호 Ww는 카운터(34)의 용량이 예정치 이상이 될 때 "L"로 변하며, 여기서 "H"와 "L"은 고전압(5V)와 저전압(0V)을 각각 의미한다. D형 플립플롭(35)의 데이터 입력단자가 "H"로 접속되기 때문에, D형 플립플롭(35)의 출력신호인 표시문자신호 Fg는 정형신호 Gg의 포울링엣지의 타이밍마다 "H"로 된다. 제어블록(13)의 리셋신호 Rr은 카운터(34)와 D형 플립플롭(35)의 용량을 Bb="LLLLLLLL LLLL"과 Fg="L"로 리셋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speed detector 12B in detail,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speed detector 12B, and the shaper 31 compares the sensor signal A a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and converts the shaped signal G g into an angular waveform. Occurs. The shaping signal G g is used for the input terminal of the AND circuit 33 and the trigger input terminal CK of the D flip-flop 35. The time pulse signal C p of the oscillator 32 and the overflow signal W w of the counter 34 are used as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AND circuit 33, respectively. The oscillator 32 has an ore oscillator and a frequency analyzer and generates, for example, a visual pulse signal C p having a frequency of about 1 MHz that is greater than the frequency of the shaped signal G g . The counter 34 is 12 bits long and sums all the output pulses H h of the AND circuit 33. The overflow signal Ww of the counter 34 is " H " when the capacity of the counter 34 remain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overflow signal Ww is such that the capacity of the counter 34 becom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changed to "L", where "H" and "L" mean a high voltage (5V) and a low voltage (0V), respectively. Since the data input terminal of the D-type flip-flop 35 is connected with "H",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which is an output signal of the D-type flip-flop 35 is "H" for every timing of the falling edge of the shaping signal G g . ". The reset signal R r of the control block 13 can reset the capacitances of the counter 34 and the D flip-flop 35 to B b ″ LLLLLLLL LLLL ”and F g ″ L”.

제2도의 속도검출기(12B)는 연산을 설명하면, 카운터(34)와 D형 플립플롭(35)의 용량이 리셋 또는 초기 상태라면, 정형신호 Gg는 "L"이다. 정형신호 Gg가 "L"에서 "H"로 변한 후, 카운터(34)는 발진기(32)의 시각펄스 Cp가 있는 AND 회로(33)의 출력펄스 Hh를 합산한다. 정형신호 Gg는 "H"에서 "L"로 변할 때, AND 회로(33)의 출력신호 Hh는 "L"이 되고, 카운터(34)는 정형신호 Gg의 다음변화까지 용량을 유지한다. 이 결과, 카운터(34)의 유지용량은 직류모우터(11A)의 속도에 반비례하고 센서(12A)의 센서신호 Aa의 1/2주기에 비례하는 디지털 또는 코우드화 수이다.The speed detector 12B in FIG. 2 explains the operation. If the capacitance of the counter 34 and the D flip-flop 35 is in the reset or initial state, the shaping signal G g is " L ". After the shaping signal G g changes from "L" to "H", the counter 34 sums the output pulses H h of the AND circuit 33 with the time pulse C p of the oscillator 32. When the shaping signal G g changes from "H" to "L", the output signal H h of the AND circuit 33 becomes "L", and the counter 34 maintains the capacity until the next change of the shaping signal G g . . As a result, the holding capacity of the counter 34 is a digital or coded number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DC motor 11A and proportional to the 1/2 cycle of the sensor signal A a of the sensor 12A.

표시문자신호 Fg는 정형신호 Gg의 포울링엣지마다 "L"에서 "H"로 변한다. 제어블록(13)은 검출신호 Bb, 즉 카운터(34)의 유지용량을 표시문자신호 Fg가 "H"로 검사된 후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블록(13)은 카운터(34)와 D형 플립플롭(35)의 용량을 짧은 시간에 리셋신호 Rr를 "H"로 만듬에 의해 리셋한다. 이것은 카운터(34)와 D형 플립플롭(35)의 초기상태를 다음 검출에 대비하도록 만든 것이다. 왜냐하면, 직류모우터(11A)의 속도가 가속시간동안 매우 낮아질대 카운터(34)의 유지용량은 큰 값이되기 때문이다.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changes from "L" to "H" for each falling edge of the shaping signal G g . The control block 13 inputs the detection signal B b , that is, the holding capacity of the counter 34 after the display text signal F g is checked as "H". Then, the control block 13 resets the capacitance of the counter 34 and the D flip-flop 35 by making the reset signal R r "H" in a short time. This makes the initial state of the counter 34 and the D flip-flop 35 ready for the next detection. This is because the holding capacity of the counter 34 becomes large when the speed of the DC motor 11A becomes very low during the acceleration time.

제어블록(13)의 연산을 제3도에 나타난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A)에 저장된 레지스터의 이름과 용량이 이하와 같은 표시에 의해 지적됨을 알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은 메모리(13B)의 롬안에 저장된 명령에 의해 다음의 임무를 실행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block 13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flowchart of the microprocessor 13A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name and capacity of the register stored in the microprocessor 13A are indicated by the following indication. have. The microprocessor 13A executes the next task b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ROM of the memory 13B.

[오차블록(3A)(오차수단)][Error Block 3A (Error Meaning)]

(3A-1)표시문자신호 Fg는 표시문자신호 Fg가 "H"로 될 때까지 검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3A)가 작동을 시작하여서, 속도검출기(12B)가 직류모우터(11A)의 전류속도에 대응하는 새로운 검출코우드를 얻을 때마다 다음의 절차를 실행한다.(3A-1)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is examined until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becomes "H". The microprocessor 13A starts to operate so that each time the speed detector 12B obtains a new detec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peed of the DC motor 11A, the following procedure is executed.

(3A-2) 검출신호 Bb, 즉 카운터(34)의 유지용량은 디지털 또는 코우드화된 값 S로 입력되고 변한다. 그러면 카운터(34)와 D형 플립플롭(35)의 용량은 매우 짧은 시간에 리셋신호 Rr를 "H"로 만듬에 의해 리셋된다.(3A-2) The detection signal B b , i.e., the holding capacitance of the counter 34, is input and changed to a digital or coded value S. Then, the capacity of the counter 34 and the D flip-flop 35 is reset by making the reset signal R r "H" in a very short time.

(3A-3) 차이치 Eo는 검출기 S와 예정된 속도에 대응하는 예정치 Sref사이에 산정된다. 그것이 Eo=Sref-S이다. 그러면, 오차신호 E는 정해진 양의 값 R에 차이지 Eo를 곱하여 얻어진다. E=REo이다. 오차신호 E의 새로운 값은 센서신호 Aa의 주기에 상당하는 검출주기간격으로 검출된다.(3A-3) The difference value E o is calculated between the detector S and the predetermined value Sref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peed. That is E o = Sref-S. The error signal E is then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fference value E o by a predetermined amount of values R. E = RE o The new value of the error signal E is detected at a detection mai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eriod of the sensor signal A a .

[출력블록(3B)(출력수단)][Output block 3B (output means)]

(3B-1) 출력신호 Y는 오차신호 E와 메모리블록(3C)안에서 합성블록(3Cb)의 합성치 V의 혼합에 의해 얻어지며, 후에 설명하지만, 비율이 1:D이며, D는 0.25이상 1.5이하의 양의 실수부이다.(3B-1) The output signal Y is obtained by mixing the error signal E and the synthesis value V of the synthesis block 3Cb in the memory block 3C. As described later, the ratio is 1: D, and D is 0.25 or more. It is a positive real part less than 1.5.

(3B-2) 출력신호 Y는 제어블록(13)의 제어신호 C로서 D/A 변환기(13C)로 출력한다.(3B-2) The output signal Y is output to the D / A converter 13C as the control signal C of the control block 13.

[메모리블록(3C)(메모리수단)][Memory block 3C (memory means)]

메모리블록(3C)는 선택과업블록(3Ca), 합성블록(3Cb), 필터링오차블럭(3Cc)과 갱신블록(3Cd)으로 구성한다.The memory block 3C includes a selection task block 3C a , a synthesis block 3C b , a filtering error block 3C c and an update block 3C d .

[선택과업블록(3C)][Selective Task Block (3C)]

(3Ca-1)이 타이밍마다 신호오차 E는 레지스터 F(Q-Ia)안에 저장되며, Q는 2이상의 정수이고, Ia는 제1카운트변수이다. F [Q-Ia]=E이다.At each timing (3C a -1), the signal error E is stored in register F (QI a ), Q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I a is the first count variable. F [QI a ] = E.

(3Ca-2) 제1카운트변수 Ia는 모듈로 수 Q에 증식된다. 'Ia=Ia+1(MOD Q)은 'Ia=Q이면 Ia=Ia+1과 Ia=0'의 의미이다. 왜냐하면 모듈로 B에 있어 A는 A/B의 나머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1카운트변수 Ia는 0에서 Q-1로 변하고, 속도검출기(12B)의 검출시마다 순환의 형태로 수를 증식한다.(3C a -2) The first count variable I a is multiplied by the modulo number Q. 'I I a = a +1 (MOD Q) is' the meaning of the I = Q is a I a I a = +1 and I a = 0'. Because in modulo B, A is the rest of A / B. Thus, the first count variable I a changes from 0 to Q-1, and multiplies the number in the form of a cycle each time the speed detector 12B is detected.

(3Ca-3) Ia=0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 (13A)는 합성블록(3Cb), 필터링오차블록(3Cc)와 갱신블록(3Cd)의 임무를 실행한다. Ia=0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합성블록(3Cb), 필터링오차블록(3Cc)와 갱신블록(3Cd)의 임무를 실행한다. Ia가 0이 아니면, Ia는 1에서 Q-1까지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 (13A)의 연산은 오차블록(3A)의 임무로 돌아간다.(3C a -3) If I a = 0, the microprocessor 13A executes the tasks of the synthesis block 3C b , the filtering error block 3C c and the update block 3C d . If I a = 0, the microprocessor 13A executes the tasks of the synthesis block 3C b , the filtering error block 3C c and the update block 3C d . If I a is not 0, I a is from 1 to Q-1, and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the error block 3A.

[합성블록(3Cb)(합성수단)][Synthesis block 3C b (synthetic means)]

(3Cb-1) 제2카운트변수 Ib는 모듈로 수 NL에 증식되고, L은 2이상의 정수이고, Pa/Q의 적분배와 같으며, N은 1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이다. 'Ib=Ib+1(MOD NL)'은 'Ib=NL이면 Ib=Ib+1과 Ib+0'의 의미이다. 그래서 제2카운트변수 Ib는 0에서 NL-1로 변하고, 속도검출기(12B)의 검출시기 Q마다 순환의 형태로 수를 증식한다.(3C b -1)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is multiplied by the modulo number NL, L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is equal to the integral of P a / Q, and N is a positive integer containing 1. 'I b = I b +1 ( MOD NL)' is a meaning of 'I b = NL is I b = I b +1 and I b +0'. Thus,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changes from 0 to NL-1, and multiplies the number in the form of circulation for each detection time Q of the speed detector 12B.

(3Cb) 또다른 정수 J는 Jb에 대신된다. J=Ib이다. (3Cb-3) 합성블록(3Cb)의 합성치 V는 양의 계수 Wn(n=1,....,N)(n=1에서 N까지)과 같이 N세트의 메모치 M[J-nL(MOD NL)](n=1,....,N)이 선형으로 조합함에 의해 연산된다. n 기억치 M[J-nL(MOD NL)](n=1,....,N)은 갱신사이클 L의 간격으로 갱신되어 왔다. 그것은(3C b ) Another integer J is substituted for J b . J = I b . The synthesized value V of the (3C b -3) synthesis block (3C b ) is N set of memo values M, such as the positive coefficient W n (n = 1, ..., N) (n = 1 to N). [J-nL (MOD NL)] (n = 1, ..., N) is calculated by combining linearly. The n memory value M [J-nL (MOD NL)] (n = 1, ..., N) has been updated at intervals of the update cycle L. that is

Figure kpo00001
이다.
Figure kpo00001
to be.

WnW n is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이고,
Figure kpo00003
ego,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Figure kpo00004
이어서,
Figure kpo00004
next,

합성치 V의 계산을 쉽게 만든다. 합성치 V를 계산하기 위한 N세트의 기억치는 오직 하나의 합성치 V로 대신하는 기억치가 됨을 알 수 있다.Easily calculate the composite value V. It can be seen that the N sets of memory values for calculating the composite value V are replaced with only one composite value V.

[필터링오차블록(3Cc)(필터링오차수단)][Filtering error block 3C c (filtering error means)]

(3Cc-1) 여과오차신호 Ec는 얻어진 타이밍따라 순차적인 오차신호 E의 값인, 다수치 F jm k(m=1,2,....,Fd)이 선형으로 조합함에 의해 연산되고, Fd는 2이상 2Q이하의 양의 정수이다. 그것은The (3C c -1) filtration error signal E c is calculated by linear combination of the multiple values F jm k (m = 1,2, ...., F d ), which are the values of the sequential error signal E according to the obtained timing. F d is a positive integer of 2 or more and 2Q or less. that is

Figure kpo00005
이고,
Figure kpo00005
ego,

식중의 계수 Bm은 양이고 다음의 관계를 나타낸다.The coefficient B m in the formula is positive and represents the following relationship.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7

여과된 오차신호 Ec의 산정수치인 F [m](m=1,2,....,Q)은 레지스터 F [Q+m)(m=1,2,....,Q)에 각각 전송된다. 여과된 신호 Ec의 산정시기마다 F [m ](m=1,2,....,Q)은 얻어진 타이밍에 대해서 오차신호 E의 산정수치들이 순차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식(5)~식(7)의 관계인 필터링오차블록(3Cc)은 저주파수 영역에서 1과 거의 같은 이득을 가지고, 고주파수 영역에서 1보다 상당히 작은 감소이득이 있는 저통과디지탈필터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The calculated value of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 F [m] (m = 1,2, ...., Q) is the register F [Q + m) (m = 1,2, ...., Q) Are sent to each. F [m] (m = 1, 2, ..., Q) for each calculation time of the filtered signal E c indicates that the calculation values of the error signal E are sequential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timing. In addition, the filtering error block (3C c ), which is a relation between equations (5) and (7), has a gain almost equal to 1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nd has a low pass digital filter characteristic with a reduction gain considerably smaller than 1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Able to know.

[갱신블록(3Cd)(갱신수단)][Update block 3C d (update means)]

(Cd-1) 메모리(13B)의 램안에서 제2카운트변수 Ib에 대응하는 번지에 저장된 메모리치 M[b]는 여과된 오차신호 Ec의 혼합치와 합성블록(3Cb)의 합성치 V에 의해 비율 1:1로 갱신된다. M[Ib]=Ec+v이다. 갱신메모리치 M[jIb]는 M[Ib]의 다음 갱신시기까지 유지된다. 그것은 NL갱신사이클보다 늦다. 이 결과, NL 메모리치가 M[O]에서 M[NL-1]로 얻어지고, NL 메모리는 검출주기의 Q배에 상당하는 갱신사이클주기의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주기적으로 갱신된다. 갱신블록의 임무실행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3A)의 임무로 돌아간다.(C d -1) The memory value M [b] stored at the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in the RAM of the memory 13B is a combination of the mixed value of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and the synthesis block 3C b . The ratio V is updated to the ratio 1: 1. M [Ib] = E c + v. The update memory value M [jIb]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update time of M [Ib]. It is later than the NL renewal cycle. As a result, an NL memory value is obtained from M [O] to M [NL-1], and the NL memory is sequentially updated periodically at intervals of an update cycle period corresponding to Q times the detection period. After the task execution of the update block,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the error block 3A.

제1도, 제2도와 제3도의 조합에 의해 나타난 본 발명 실시예의 제어계는 현저하게 향상된 내외란성을 가짐을 이하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블록도이다. 제어계(11)은 구동기(11B)의 이득 Ba를 가지는 구동기블록(51), 직류모우터(11A)의 토오크상수(Kt)를 가지는 토오크상수블록(52), 직류모우터(11A)의 발생토오크 Tm에서 부하(11C)(토오크외란)의 부하토오크 Td를 뺀 혼합포인트블록(53), K1/(JmS)의 전달함수를 가지는 관성블록(54)로 구성되며, Jm은 직류모우터(11A)와 부하(11C)의 합성관성이고 K1는 상수이고 1/S 라플라스 적분 연산자이다. 제어계내에서 직류모우터(11A)의속도 fm은 이득 Kv를 가지는 검출블록(12)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블록(13)은 오차블록(3A), 출력블록(3B)와 합성블록(3Cb)를 가지는 메모리블록(3C), 필터링오차블록(3Cc)와 갱신블록(3Cd)으로 구성한다. 오차블록(3A)는 검출치 S와 예정치 Sref사이의 차이를 Eo를 얻기위한 혼합포인트 블록(61)과 이득 R을 가지는 비례이득블록(62)를 가진다. 출력블록(3B)는 이득 D를 가지는 이득블록(71)과 오차신호 E와 메모리블록(3C)의 합성치 V가 더해지는 혼합포인트블록(72)를 가진다.The control syste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significantly improved disturbance.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is embodiment. The control system 11 includes the driver block 51 having the gain B a of the driver 11B, the torque constant block 52 having the torque constant K t of the direct current motor 11A, and the direct current motor 11A. Composed of a mixed point block 53, K 1 / (J m S) transfer function, minus the load torque T d of the load 11C (torque disturbance) from the generated torque Tm, J m Is the combined inertia of the DC motor 11A and the load 11C, K 1 is a constant, 1 / S Laplace integral operator. The speed f m of the DC motor 11A in the control system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block 12 having the gain K v . The control block 13 is composed of a memory block 3C having an error block 3A, an output block 3B and a synthesis block 3C b , a filtering error block 3C c and an update block 3C d . The error block 3A has a blending point block 61 for obtaining E o a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ed value S and the predetermined value Sref and a proportional gain block 62 having a gain R. The output block 3B has a gain block 71 having a gain D and a mixed point block 72 to which the combined value V of the error signal E and the memory block 3C is added.

출력블록(3B)는 제어신호 Cs로서 출력신호 Y를 제어계(11)의 구동기블록(51)에 공급한다. 필터링오차블록(3Cc)는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인 오차신호 E의 값 Ed를 선형으로 조합함에 의해 여과된 오차신호 Ec를 발생한다. 메모리블록(3C)내에서 갱신블록(3Cd)는 여과된 오차신호 Ec의 혼합치와 합성블록(3Cd)의 합성치 V를 하나의 메모리치 M[Ib]로 갱신한다. 합성블록(3Cb)는 양의 계수 Wn(n=1,....,N)와 같이 갱신사이클 L의 간격으로 갱신되어지는 N세트의 기억치가 선형조합하는 합성치 V를 연산한다. 제4도에서, Zd -1과 Zr -1은 일검출주기 Td의 일갱신 사이클주기 Tr의 시간지연을 각각 의미한다. 그것은The output block 3B supplies the output signal Y as the control signal C s to the driver block 51 of the control system 11. The filtering error block 3C c generates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by linearly combining the values E d of the sequential error signals E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In the memory block 3C, the update block 3C d updates the mixed value of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and the synthesized value V of the synthesis block 3C d to one memory value M [I b ]. The synthesis block 3C b calculates a composite value V in which the N sets of memory values updated at intervals of the update cycle L, such as positive coefficients Wn (n = 1, ..., N), are linearly combined. In FIG. 4, Z d −1 and Z r −1 denote time delays of one update cycle period T r of one detection period T d , respectively. that is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이다.
Figure kpo00009
to be.

갱신사이클주기는 검출주기의 Q배와 같다. 그래서The update cycle period is equal to Q times the detection period. so

Figure kpo00010
이다.
Figure kpo00010
to be.

예를들어, 제5도는 N=3관계인 합성블록(3Cb)의 상세블록도이다. 합성블록(3Cb)의 전달함수는 세가지 지연요소(101)(102)(103)을 가지고, 세가지 지연요소(101)(102)(103)의 출력신호가 계수회로(104)(105)(106)에 의한 계수 W1,W2,W3가 각각 선형으로 조합함에 의해 출력신호(합성치)를 발생한다. 각 지연요소(101)(102)(103)는 갱신사이클 L의 시간을 위하여 지연한다. 그래서 제어블록(13)내에서 메모리블록(3C)는 오차신호 E를 제어신호 Cs로 우회하는 양의 피이드백 루우프를 가지며, 양의 루우프는 일련의 지연요소 N을 가지는 전달함수를 일련되게 포함하며 양의 계수 Wn(n=1,....,N)와 같이 지연요소 N의 출력신호를 선형으로 조합함에 의해 출력신호(합성치)를 발생하고, 각 지연요소 N은 갱신사이클 L의 시간을 위해 지연한다. 제어블록(13)은 제어계(11)의 구동기블록(51)에 제어신호 Cs를 공급하고, 직류모우터(11A)는 제어신호 Cs에 비례하는 발생토오크 Tm을 발생한다.For example, FIG.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ynthesis block 3C b in which N = 3 relationship.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synthesis block 3C b has three delay elements 101, 102, 103, and the output signals of the three delay elements 101, 102, 103 are counted by the counting circuits 104, 105 ( The coefficients W 1 , W 2 , and W 3 by 106 are linearly combined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synthesis value). Each delay element 101, 102, 103 delays for the time of the update cycle L. Thus, in the control block 13, the memory block 3C has a positive feedback loop that bypasses the error signal E to the control signal C s , and the positive loop includes a transfer function having a series of delay elements N in series. The output signal (synthesis value) is generated by linearly combin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delay elements N, such as the positive coefficient W n (n = 1, ..., N), and each delay element N is the update cycle L. Delay for time. The control block 13 supplies a control signal C s to the driver block 51 of the control system 11, and the DC motor 11A generates a generation torque T m proportional to the control signal C s .

본 예의 제어계내에서의 내외란성은 토오크외란 Tb을 직류모우터(11A)의 속도 fm으로 전달하는 함수에 의해 나타난다. 그것은The disturbance in the control system of this example is represented by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torque disturbance T b at the speed f m of the DC motor 11A. that is

Figure kpo00011
이다.
Figure kpo00011
to be.

식중의 H(s)와 F(Zd)는H (s) and F (Z d ) in the formula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이다.
Figure kpo00013
to be.

S=jω인 식(11)의 주파수전달함수 Gx(jω)는 제어주파수영역의 저부내에서 다음의 식이 된다.The frequency transfer function G x (jω) of Eq. (11) where S = jω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at the bottom of the control frequency domain.

Figure kpo00014
이고
Figure kpo00014
ego

G0(jω)는G0 (jω) is

Figure kpo00015
이다.
Figure kpo00015
to be.

주파수전달함수 Go(jω)는 메모리블록(C)이 없는 종래 제어계의 종래 내외란성을 나타낸다. 식(1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본 내외란성 Gx(jω)이 주파수전달함수 H(jω)와 저주파수영역안에 있는 종래의 내외란성을 곱한 것이다.The frequency transfer function G o (jω) represents the conventional disturbance resistance of the conventional control system without the memory block (C). Equation (14)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resent disturbance G x (jω)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requency transfer function H (jω) and the conventional disturbance resistance in the low frequency region.

제6도는 저주파수영역에서의 진폭주파수특성의 두예를 나타내고, 다음의 관계이다.6 shows two examples of amplitud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nd the following relationship is obtained.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6

제6도의 진폭주파수특성(6A)와 (6B)는 각각(n=2, W1=0,5, W2=0.5, D=1)과 (N=3, W1=0.33333, W2=0.33333, D=1)의 경우이고, 각 진폭주파수 특성(6A)와 (6B)는 갱신사이클주기 Tr의 L배에 상당하는 주기를 가지는 주파수 fr의 함수이다. 여기서 frThe amplitude frequency characteristics 6A and 6B of FIG. 6 are (n = 2, W 1 = 0, 5 , W 2 = 0.5, D = 1) and (N = 3, W 1 = 0.33333, W 2 =). 0.33333, D = 1), and each of the amplitude frequency characteristics 6A and 6B i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f r having a period corresponding to L times the update cycle period T r . Where f r is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7

이고,ego,

H(jω)의 진폭은 주파수 kfr(k=0,1,2...)에서 0임을 알 수 있다. 이 결과, Gx(jω)의 진폭은 이 주파수에서 역시 0이다. 다른 주파수에서 진폭 H(jω)는 같거나 1이며, Gx(jω)의 진폭이 Go(jω)의 진폭과 같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본 발명 실시예의 제어계는 특수 주파수 kfr(k=0,1,2...)에서 현저하게 향상된 토오크내외란성을 가진다.It can be seen that the amplitude of H (jω) is 0 at the frequency kf r (k = 0,1,2 ...). As a result, the amplitude of G x (jω) is also zero at this frequency. At different frequencies the amplitude H (jω) is equal or equal to 1, meaning that the amplitude of G x (jω) is equal to the amplitude of G o (jω). Thus, the control syste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gnificantly improved torque disturbance at a special frequency kf r (k = 0,1,2 ...).

상기 설명한 모우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의 경우에 있어서, 갱신사이클 L의 시간이 모우터의 일회전주기의 정수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In the case of th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of the update cycle L is equal to an integer multiple of one rotation period of the motor. that is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8

또는or

Figure kpo00019
이다.
Figure kpo00019
to be.

K는 양의 정수이다. 이 이유는 모우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는 모우터속도 Fm에 동시 발생하는 토오크외란의 많은 조화 합성물을 가지지만, 그러한 토오크외란의 조화합성믈은 식(18) 또는 식(19)의 관계인 본 발명 실시예의 모우터속도 fm에 영향이 없는 것이다.K is a positive integer. This is because th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has many harmonic complexes of torque disturbances simultaneously occurring at the motor speed F m , but the harmonic compound of such torque disturbances is represented by the equation (18) or (19).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motor speed f 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 제2도, 제3도의 조합에 의해 나타난 본 발명 실시예의 제어계는 후에 설명하는 비교적 소형의 램을 사용한다. 메모리블록(3C)내에서의 선택임무블록(3Ca)은 제1카운트변수 Ia에 대응하는 합성블록(3Cb), 필터링오차블록(3Cc)와 갱신블록(3Cd)의 임무를 수행 또는 수행하지 않도록 선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검출주기 Q(QTd=Tr)에 오차블록(3A)과 출력블록(3B)의 임무의 Q배마다 그러한 블록(3Cd)(3Cc)와 (3Cd)의 일련의 임무를 오직 한번 실행한다. 갱신블록(3Cd)의 기억치 M jIbk(Ib=0,1,....,NL-1)의 수는 램의 단어크기에 대응하는 NL이고, L은 식(19)로부터 KPa/Q와 같다. Pa는 직류모우터(11A)의 일회전당 오차블록(3A)의 검출수이고, Pa는 항상 큰 수이다. 이 경우 Pa는 2000이다. K는 주파수 fr을 나타내기 위한 양의 정수이고 K는 1 또는 2일 것이다. N은 kfr에서 (K+1) kfr(K=0,1,....)과 N이 1,2 또는 3인 사이의 주파수영역에서 대부분의 내외란성이 나타나기 위한 양의 수이다.The control syste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3 uses a relatively small RAM described later. The selection task block 3C a in the memory block 3C performs the tasks of the synthesis block 3C b , the filtering error block 3C c and the update block 3C 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nt variable I a . Or choose not to perform. A microprocessor (13A) is detected cycle Q (QT d = T r) error block (3A) and Q such block (3C d) (3C c) for each times the duty of the output block (3B) and (3C d) the Perform a series of missions only once. The number of memory values M jI b k (I b = 0,1, ..., NL-1) of the update block 3C d is NL corresponding to the word size of RAM, and L is obtained from equation (19). Same as KP a / Q. P a is the number of detection of the error block 3A per one rotation of the DC motor 11A, and P a is always a large number. In this case P a is 2000. K is a positive integer to represent the frequency f r and K will be 1 or 2. N is a positive number for most disturbances in the frequency domain between kf r (K + 1) kf r (K = 0,1, ...) and N is 1,2 or 3.

그래서 램크기 NL은 정수 Q에 대단한 영향을 받으며, 더 큰 Q는 더 작은 램크기를 만들 수 있다. Pa=2000, K=1, N=2, Q=10인 경우, 선택임무블록(3Ca)이 있는 본 발명 램크기 NL은 선택임무블록(3Ca)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4000 단어보다 훨씬 작은 단 400 단어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 제어계의 램크기는 현저하게 감소되어진다. 본 발명 램크기의 감소는 제어계의 내외란성에 영향이 없음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알수 있다.So the ram size NL is greatly affected by the integer Q, and a larger Q can make a smaller ram size. Than 4000 words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P a = 2000, K = 1 , N = 2, if Q = 10, selected assignment block (3C a) the present invention RAM size NL is selected assignment block (3C a) with It's only 400 words much smaller. Thus, the ram size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It can be seen that the reduction of the ram siz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ffect the disturbance resistance of the control system for the following reason.

(1) 제어계의 제어주파수영역은 센서신호 Aa주파수의 1/10보다 훨씬 작다.(1) The control frequency range of the control system is much smaller than 1/10 of the sensor signal A a frequency.

(2) 제어계내에서의 토오크외란 대부분은 항상 제어주파수영역의 저부에서 직류모우터(11A)의 회전속도 fm에 대응하는 성분이다. 그래서 소형의 랩을 사용하여 본 발명 제어계는 필요한 저주파수영역을 대치할 수 있다.(2) Torque disturbance in the control system is mostly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speed f m of the DC motor 11A at the bottom of the control frequency region at all times. Thus, using a small wrap,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required low frequency region.

기억치를 갱신하기 위한 혼합치는 오차신호 E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여과된 오차신호 Ec의 사용으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토오크외란 또는전기적 소음으로 야기된 (Pa/Q)fm보다 큰 성분을 가진다면, 메모리블록(3C)의 표본연산은 제어계내에서 악영향을 끼치는 기억치 M[Ib]를 낮은 주파수성분으로 전환한다. 그래서 필터링오차블록(3Cc)는 상기 악영향의 감소에 큰 이점을 준다.The mixed value for updating the memory value is preferably calculated by use of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without using the error signal E directl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f the component is larger than (P a / Q) fm caused by torque disturbance or electrical noise, the sampling operation of the memory block (3C) will cause the memory value M [I b ] to be adversely affected in the control system. Switch to ingredients. The filtering error block 3C c thus gives a great advantage in reducing the adverse effects.

제7도는 제어블록(13)에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A) 연산의 또다른 순서도이고, 제1도, 제2도와 제7도의 조합에 의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7도의 순서도 설명은 다음과 같다.7 is another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in the control block 13, and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The flowchart of FIG. 7 is as follows.

[오차블록(7A)(오차수단)][Error Block 7A (Error Meaning)]

(7A-1) 표시문자신호 Fg는 표시문자신호 Fg가 "H"로 될 때가지 검사한다. 그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속도검출기(12B)가 직류모우터(11A)의 전류속도에 대응하는 새로운 검출코오드를 얻을 때 마다 다음의 절차를실행함으로서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7A-1)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is checked until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g becomes "H". It starts the microprocessor 13A by executing the following procedure each time the speed detector 12B obtains a new detec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peed of the DC motor 11A.

(7A-2) 검출신호 Bb, 즉 카운터(34)의 유지용량은 디지털 또는 코오드치 S로 입력되거나 변화된다. 그러면 카운터(34)의 용량과 D형 플립플롭(35)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리셋신호 Rr를 "H"로 만듬에 의해 리셋된다.(7A-2) The detection signal B b , i.e., the holding capacitance of the counter 34, is input or changed into the digital or coded value S. The capacitance of the counter 34 and the D flip-flop 35 are then reset by making the reset signal R r "H" for a very short time.

(7A-3) 차이치 Eo는 검출치 S와 예정속도에 대응하는 예정치 Sref 사이에서 계산된다. 그것이 Eo=Sref-S이다.(7A-3) The difference value E o is calculated between the detected value S and the predetermined value Sref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peed. That is E o = Sref-S.

(7A-4) 비례치 Ep는 양의 예정치 R에 차이치 Eo를 곱함에 의해서 얻어진다. 그것이 Ep=REo이다. 적분치 Eg는 과거치 Eg와 비례치 Ep를 더함에 의해 얻어진다. 그것은 Eg=Eg+Ep이다. 오차신호 E는 비례치 Ep와 적분치 Eg를 비율로 1:Kg인 혼합에 의해 연산된다. 여기서 Kg는 양의 상수이다. 그것은 E=Ep+KgEg이다. 그래서, 오차블록(7A)는 비례적분필터수단을 포함하여서, 오차신호 E는 비례부 뿐 아니라 차이지 Eo의 적분부도 가지고 있다. 오차신호 E의 신규치는 센서신호 Aa의 주기에 상당하는 검출주기의 간격마다 얻어진다.(7A-4) The proportional value E p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ositive predetermined value R by the difference value E o . That is E p = RE o . The integral value E g is obtained by adding the past value E g and the proportional value E p . It is E g = E g + E p . The error signal E is computed by mixing 1: K g with the proportional value E p and the integral value E g . Where K g is a positive constant. It is E = E p + K g E g . Thus, the error block 7A includes a proportional integral filter means, so that the error signal E has not only a proportional part but also an integral part of the difference region E o . The new value of the error signal E is obtained at intervals of the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eriod of the sensor signal A a .

[출력블록(7B)(출력수단)][Output block 7B (output means)]

(7B-1) 출력신호 Y는 후술하지만, 비율 1:D로 메모리블록(7C)내에서 합성블록(7Cb)의 합성치 Vo와 오차신호 E의 혼합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서 D는 0.25이상 1.5이하의 양의 실수이다.(7B-1) The output signal Y is described later, but is obtained by mixing the combined value V o and the error signal E of the synthesis block 7C b in the memory block 7C at a ratio 1: D. Where D is a positive real number of 0.25 or more and 1.5 or less.

(7B-2) 출력신호 Y는 제어블록(13)의 제어신호 Cs로서 D/A전환기(13C)에 출력된다.(7B-2) The output signal Y is output to the D / A converter 13C as the control signal C s of the control block 13.

[메모리블록(7C)(메모리수단)][Memory Block 7C (Memory Means)]

메모리블록(7C)는 선택과업블록(7Ca), 합성블록(7Cb), 필터링오차블록(7Cc)와 갱신블록(7Cd)로 구성한다.The memory block 7C is composed of a selection task block 7C a , a synthesis block 7C b , a filtering error block 7C c and an update block 7C d .

[선택과업블록(7Ca)][Selective Task Block (7C a )]

(7Ca-1) 이 타이밍마다 오차신호 E는 레지스터 F[Q-Ia]안에 저장되고, 역서 Q는 3이상의 정수이고, Ia는 제1카운트 변수이다. 그것은 F[Q-Ia]=E이다.(7C a -1) At this timing, error signal E is stored in register F [QI a ], reverse Q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3, and Ia is the first count variable. It is F [QI a ] = E.

(7Ca-2) 제1카운트변수 Ia는 모듈로 수 Q로 증식된다. 'Ia=Ia+1(MOD Q)'은 Ia=Q이면 Ia=Ia+1과 Ia=0의 의미이다. 그래서, 제1카운트변수 Ia는 0에서 Q-1로 변하고, 속도검출기(12B)의 검출시기마다 순환의 형태로 수를 증식한다.(7C a -2) The first count variable I a is multiplied by the modulo number Q. 'I a = I a +1 ( MOD Q)' is a meaning of a = Q is I I I a = a +1 and I a = 0. Thus, the first count variable I a changes from 0 to Q-1, and multiplies the number in the form of a circulation at each detection time of the speed detector 12B.

(7Ca-3) Io=Qa이면, 다음 검출시기후에 출력블록(7B)에서 사용된 합성치 Vo는 가장 새로운 다른 합성치 V[P]에 의해 대신된다. 여기서 Qa는 0에서 Q-1 사이의 정수이다. Ia가 Qa와 같지 않다면, 대신됨은 실행되지 않는다.If (7C a -3) I o = Q a , after the next detection period, the synthesized value V o used in the output block 7B is replaced by the newest synthesized value V [P]. Where Q a is an integer between 0 and Q-1. If I a is not equal to Q a , no substitution is performed.

(7Ca-4) Ia=Q-1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합성블록(7Cb)의 과업을 실행한다. Ia=0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필터링오차블록(7Cc)의 과업을 실행한다. Ia가 Q-1, 0, 1과 같지 않으면, 그것은 Ia는 2에서 Q-2까지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7A)의 과업으로 돌아간다.(7C a -4) If I a = Q-1, the microprocessor 13A executes the task of the synthesis block 7C b . If I a = 0, the microprocessor 13A executes the task of the filtering error block 7C c . If I a is not equal to Q-1, 0, 1, it is I a from 2 to Q-2, and the operation of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error block 7A.

[합성블록(7Cb)(합성수단)]Synthesis Block 7Cb (Synthesis Means)

(7Cb-1) 제2카운트변수 Ib는 모듈로 수 NL로 증식된다. 여기서 L은 2이상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Pa/Q의 정수배이고, N은 1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이다. 'Ib=Ib+1(MOD NL)'은 Ib=NL이면 Ib=Ib+1과 Ib=0의 의미이다. 그래서 제2의 카운트변수 Ib는 0에서 NL-1까지 변하고, 속도검출기(12B)의 검출시기 Q마다 순환의 형태로 수를 증식한다.(7C b -1)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is multiplied by the modulus NL. Where L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preferably an integer times of a P / Q, N is a positive integer, including one. 'I b = I b +1 ( MOD NL)' is a meaning of the reverse surface I b = NL I b = I b +1 and I b = 0. Thus,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varies from 0 to NL-1, and multiplies the number in the form of a circulation for each detection time Q of the speed detector 12B.

(7Cb-2) 'J=Ib+P(MOK NL)'의 연산은 제2카운트 변수 Ib에 P를 계속행하여된 정수 J를 얻기 위하여 행한다. 여기서 P는 1이상 5이하의 정수이다. P의 바람직한 수는 Q, Qa와 Fd에 의해 변화한다.The operation of (7C b -2) 'J = I b + P (MOK NL)' is performed to obtain an integer J which continues P to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 Where P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5 or less. The preferred number of P changes with Q, Q a and F d .

(7Cb-3) 레지스터 V jm k(m=0,...,P)의 다른 세트는 합성치를 저장하기위해 사용된다. 레지스터 V jm+1 k의 용량은 m=0에서 m=P-1로 레지스터 V[m]에 전송된다.Another set of (7C b -3) registers V jm k (m = 0, ..., P) is used to store the composite. The capacity of register V jm + 1 k is transferred to register V [m] from m = 0 to m = P-1.

(7Cb-4) 가장 새로운 합성치 V[P]는 n=1에서 n=N까지의 양의 계수 Wn(n=1,...,N)와 같이 N세트의 메모리치 M[J-nL(MOD NL)](n=1,...,N)가 선형으로 조합함에 의해 연산된다. 여기서 N 메모리치 M[J-nL(MOD NL)](n=1,...,N)은 갱신사이클 L의 간격마다 갱신되어 왔다. 그것은(7C b -4) The newest synthesized value V [P] is the N set of memory values M [J, such as a positive coefficient W n (n = 1, ..., N) from n = 1 to n = N. -nL (MOD NL)] (n = 1, ..., N) is computed by combining linearly. Here, N memory values M [J-nL (MOD NL)] (n = 1, ..., N) have been updated at intervals of the update cycle L. that is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0

이다. 계수 Wn(n=1,...,N)은 식(2)~식(4)와 같은 관계이다. 이 결과 타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복수의 합성치 V[m](m=0,...,P)을 얻는다. 다음 검출시기 후의 출력블록(7B)에 사용된 합성치 Vo는 하나 새로워진 합성치 V[P-1]에 의해 대신된다.to be. The coefficient W n (n = 1, ..., N) has the same relationship as in the formulas (2) to (4). As a result, a plurality of sequential synthesized values V [m] (m = 0, ..., P) are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timing. The synthesized value V o used in the output block 7B after the next detection time is replaced by one new synthesized value V [P-1].

V[O]는 갱신시기마다 갱신블록(7Cd)에서 사용하기 위해 가장 오래된 합성치이며, V[P]는 앞으로의 시기마다 출력블록(7B)에서 사용하기위해 가장 새로운 합성치이고, V[P]와 V[O]는 갱신사이클주기 P의 간격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그그래서, 합성블록(7Cb)는 앞으로의 사용을 위해 합성치 V jm k(m=0,...,P)를 계산한다. 합성블록(7Cb)의 임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 블록(7A)의 임무로 돌아간다.V [O] is the oldest composite for use in update block 7C d at each update time, V [P] is the newest synthesized value for use in output block 7B at every subsequent time, and V [P ] And V [O] have an interval of update cycle period P. Thus, the composite block 7C b calculates the composite value V jm k (m = 0, ..., P) for future use. After the task of the synthesis block 7C b ,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the error block 7A.

[필터링오차블록(7Cc)(필터링오차수단)][Filtering error block 7C c (filtering error means)]

(7Cc-1) 여과된 오차신호 Ec는 얻어진 타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오차신호 E의 복수치 F[m](m=1,2...,Ed)를 선형으로 조합함에 의해 연산된다. 여기서 Fd는 2이상의 정수이고 2Q이하이다. 그것은(7C c -1)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is calculated by linearly combining the multiple values F [m] (m = 1,2 ..., E d ) of the sequential error signal E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timing. . Where F d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less than or equal to 2Q. that is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1

이다. 계수 Bm은 양이고 식(6)과 식(7)의 관계이다. 여과오차신호 Ec의 산정후, 산정치 F[m](m=1,2...,Q)는 각각 레지스터 F[Q+m](m=1,2,...,Q)로 전송된다. 여괴신호 Ec의 산정시기마다 산정치 F[Q+m](m=1,2,...,2Q)는 얻어진 타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오차신호 E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식(21), 식(6) 및 식(7)이 관계하는 필터링오차블록(7Cc)는 저주파수영역에서 약 1의 이득과 고주파수영역에서 1미만의 감소이득을 가지는 저대역디지탈필터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필터링오차블록(7Cc)의 임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7A)의 임무로 돌아간다.to be. The coefficient B m is positive and is a relationship between equations (6) and (7). After calculating the filtration error signal E c, the calculated value F [m] (m = 1,2 ..., Q) is set to register F [Q + m] (m = 1,2, ..., Q), respectively. Is s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stimated value F [Q + m] (m = 1, 2, ..., 2Q) has a sequential error signal E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timing for each calculation period of the filter signal E c . In addition, the filtering error block 7C c related to Equations (21), (6) and (7) has a low band digital filter characteristic having a gain of about 1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nd a reduction gain of less than 1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It can be seen that it has. After the task of the filtering error block 7C c ,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the error block 7A.

[갱신블록(7Cd)(갱신수단)][Update block 7C d (update means)]

(7Cd-1) 정수 K는 모듈로 수 NL이 있는 제2카운트변수 Io에서 정수 Kd를 빼서 계산된다. 여기서 Kd는 양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Kd=2이다.(7C d -1) The integer K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integer K d from the second count variable I o with the modulo number NL. Where K d is a positive integer and preferably K d = 2.

(7Cd-2) 레지스터세트 X jm k(m=0,1,...,2Kd)은 갱신치로 연산되도록 사용된다. 레지스터 [m+1]의 용량은 m=0에서 m=2Kd-1까지 순차적으로 레지스터 X[m]으로 전송된다. 레지스터 X[2Kd]의 용량은 필터링오차블록(7Cc)의 여과된 오차신호 Ec와 합성블록(7Cd)의 합성치 V jO k의 비율 1:1의 혼합치에 의해 변한다. 그것은 X [2Kd]=Ec+V[O]이다. 이 결과, 혼합치 Ec+V[O]의 2Kd+1, 즉 얻은 타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그러한 레지스터 X[m](m=0,1,....,2Kd)에 저장된 혼합치의 선형조합에 의해 갱신된다. 그것은(7C d -2) sets of registers X jm k (m = 0,1, ..., 2K d) is used to update calculated value. The capacity of register [m + 1] is transferred sequentially to register X [m] from m = 0 to m = 2K d −1. The capacity of the register X [2K d ] is changed by a mixture of the ratio 1: 1 of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of the filtering error block 7C c and the synthesized value V jO k of the synthesis block 7C d . It is X [2K d ] = E c + V [O]. As a result, 2K d +1 of the mixed value E c + V [O], i.e., the mixed value stored in such register X [m] (m = 0,1, ...., 2K d ) which is sequential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timing. Updated by linear combination. that is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2

이다. 식중의 계수 Cm은 다음의 관계이다.to be. The coefficient C m in the equation is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4

갱신기억치 M[K]는 NL 갱신사이클후인 M[K]의 다음 갱신시간까지 유지된다. 이 결과, NL 기억치 M[O]에서 M[NL-1]까지 얻어지고, NL 기억치는 검출주기의 Q배에 상당하는 갱신사이클주기의 간격으로 순차적이고 주기적으로 갱신된다. 갱신블록(7Cd)의 임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7A)의 임무로 돌아간다.The update memory M [K]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update time of M [K] after the NL update cycle. As a result, NL memory values M [O] to M [NL-1] are obtained, and the NL memory values are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updated at intervals of an update cycle period corresponding to Q times the detection period. After the task of the update block 7C d ,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the error block 7A.

나아가 제1도, 제2도 및 제7도의 조합에 의한 본 발명 실시예는 다음의 잇점이 있다.Furtherm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7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본 실시예의 내외란성은 제1도, 제2도 및 제3도의 조합으로 나타난 실시예보다 더 향상되었다. 왜냐하면 오차블록(7A)는 비례적분필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이다.(1) The disturbance and disturbance of this embodiment was further improved than the embodiment show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This is because the error block 7A includes proportional integral means.

(2) 검출주기내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임무는 매우 감소된다. 왜냐하면 메모리블록(7Cb)의 임무가 수의 제곱을 사용하여 많은 산정수치를 가지는 합성블록(7Cb), 필터링오차블록(7Cc) 및 갱신 블록(7Cd)의 세가지 부임무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3A)의 산정지연을 작게 만들고, 하드웨어 제곱기가 없는 보통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A)로서 사용될 수 있다.(2) The task of the microprocessor in the detection cycle is greatly reduced. This is because the task of the memory block 7C b is divided into three sub-tasks: a synthesis block 7C b , a filtering error block 7C c , and an update block 7C d , which have many estimates using the square of the number. to be. This makes the calculation delay of the microprocessor 13A small, and an ordinary microprocessor without hardware squarer can be used as the microprocessor 13A in this embodiment.

(3) 합성블록(7Cb)와 갱신블록(7Cd)의 향상이 본 실시예와 안정된 제어계를 만든다. 특히, 출력블록(7B)에서 새로운 또는 가장 새로운 합성치의 사용이 필터링오차블록(7Cc)의 시간지연을 보상한다.(3) Improvements in the synthesis block 7C b and the update block 7C d make the control system stable with this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new or newest composite in the output block 7B compensates for the time delay of the filtering error block 7C c .

제8도는 제어블록(13)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A)연산의 또다른 순서도이고, 제1도, 제2도 및 제8도의 조합에 의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8도의 순서도는 다음과 같다.8 is another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of the control block 13, and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The flowchart of FIG. 8 is as follows.

[오차블록(8A)(오차수단)][Error Block 8A (Error Meaning)]

(8A-1) 표시문자신호 Fq는 표시문자신호 Fq가 "H"로 될 때까지 검사된다. 그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속도검출기(12B)의 직류모우터(13A)의 전류속도에 대응하는 새로운 검출코오드를 얻을 때 마다 다음의 절차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작동이 시작된다.(8A-1)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q is examined until the display character signal F q becomes "H". It starts operation by executing the following procedure each time the microprocessor 13A obtains a new detec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peed of the DC motor 13A of the speed detector 12B.

(8A-2) 검출신호 Bb, 즉 카운터(34)의 유지용량은 디지털 또는 코오드화치 S로 입력되고 변화된다. 그러면, 카운터(34)와 D형 플립플롭(35)의 용량은 매우 짧은시간에 리셋신호 Rr을 "H"로 만듬에 의해 리셋된다.(8A-2) The detection capacity B b , i.e., the holding capacitance of the counter 34, is inputted into the digital or coded value S and changed. Then, the capacity of the counter 34 and the D flip-flop 35 is reset by making the reset signal R r "H" in a very short time.

(8A-3) 차이치 Eo는 검출치 S와 예정속도에 대응하는 예정치 Sref사이에 계산된다. 그것은 Eo=Sref-S이다. 그러면, 오차신호 E는 양의 예정치 R에 차이치 Eo의 곱함으로 얻어진다. 그것이 E=REo이다. 오차신호 E의 신규치는 감응신호 Aa의 주기에 상당하는 검출주기의 간격마다 얻어진다.(8A-3) The difference value E o is calculated between the detected value S and the predetermined value S ref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peed. It is E o = S ref -S. The error signal E is then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ositive predetermined value R by the difference value E o . That is E = RE o . The new value of the error signal E is obtained for each interval of the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eriod of the sensitive signal A a .

[출력블록(8B)(출력수단)][Output block 8B (output means)]

(8B-1) 비례치 Yp는 후술하는 비율 1:D의 메모리블록(8C)에서의 합성블록(8Cb)의 합성치 Vo와 오차신호 E의 혼합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서 D는 0.25이상 1.5이하의 양의 실수이다. 적분치 Yg와 고유치 Yg와 비례치 Yp의 더함으로 계산된다. 그것이 Yg=Yg+Yp이다. 출력신호 Y는 비례치 Yp와 적분치 Yg가 비율 1:Kg의 혼합에 의해 연산된다. 여기서 Kg는 양의 상수이다. 그것은 Y=Yp+KgYg이다.(8B-1) The proportional value Y p is obtained by mixing the combined value V o of the combined block 8C b and the error signal E in the memory block 8C having a ratio 1: D described later. Where D is a positive real number of 0.25 or more and 1.5 or less. Calculated by the addition of the integral Y g , the eigenvalue Y g, and the proportional value Y p . That is Y g = Y g + Y p . The output signal Y i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integral value Y p Y g ratio 1: is calculated by a mixture of K g. Where K g is a positive constant. It is Y = Y p + K g Y g .

(8B-2) 출력신호 Y는 제어블록(13)의 제어신호 Cs로서 D/A 전환기(13C)에 출력된다. 그래서, 출력블록(8B)는 비례적부필터수단을 포함하여서 출력신호 Y는 비례부뿐 아니라 혼합치(E+DVo)의 적분치도 가진다.(8B-2) The output signal Y is output to the D / A converter 13C as the control signal C s of the control block 13. Thus, the output block 8B includes a proportional part filter means so that the output signal Y has an integral value of the mixed value E + DV o as well as the proportional part.

[메모리블록(8C)(메모리수단)][Memory Block 8C (Memory Means)]

메모리블록(8C)은 선택과업블록(8Ca), 합성블록(8Cb), 필터링오차블록(8Cc)와 갱신블록(8Cd)로 구성된다.The memory block 8C is composed of a selection task block 8C a , a synthesis block 8C b , a filtering error block 8C c and an update block 8C d .

[선택임무블록(8Ca)][Optional mission block (8C a )]

(8Ca-1) 이 타이밍마다 오차신호 E는 레지스터 F[Q-Ia]에 저장되고, 여기서 Q는 3이상의 정수이고 Ia는 제1카운트변수이다. 그것은 F[Q-Ia]=E이다.(8C a -1) At this timing, error signal E is stored in register F [QI a ], where Q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3 and Ia is the first count variable. It is F [QI a ] = E.

(8Ca-2) 제1카운트변수 Ia는 모듈로 수 Q에 증식된다. 'Ia=Ia+1(MOD Q)'은 'Ia=Q이면 Ia=Ia+1과 Ia=0'의 의미이다. 그래서, 제1카운트변수 Ia는 0에서 Q-1로 변하고, 속도검출기(12B)의 검출시기마다 순환형태로 수를 증식한다.(8C a -2) The first count variable I a is multiplied by the modulo number Q. 'I a = I a +1 ( MOD Q)' is a meaning of 'I a = Q is I a = I a +1 and I a = 0'. Thus, the first count variable I a changes from 0 to Q-1, and multiplies the number in a cyclic fashion at each detection time of the speed detector 12B.

(8Ca-3) Ia=Qa이면 다음 검출시기후의 출력블록(8B)에 사용된 합성치 Vo는 가장 새로운 다른 합성치 V[P]에 의해 대시된다. 여기서 Qa는 0과 Q-1사이의 정수이다. Ia가 Qa와 같지않으면, 대신함은 실행되지 않는다.If (8C a -3) I a = Q a , the synthesized value V o used in the output block 8B after the next detection time is dashed by the newest synthesized value V [P]. Where Q a is an integer between 0 and Q-1. If I a is not equal to Q a , no substitution is performed.

(8Ca-4) Ia=Q-1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합성블록(8Cb)의 임무를 실행한다. Ia=0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A)는 필터링오차블록(8Cc)의 임무를 실행한다. Ia가 Q-1, 0 또는 1이 아니면, Ia는 2에서 Q-2까지이며,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8A)의 임무로 돌아간다.(8C a -4) If I a = Q-1, the microprocessor 13A executes the task of the synthesis block 8C b . If I a = 0, the microprocessor 13A performs the task of the filtering error block 8C c . If I a is not Q-1, 0 or 1, then I a is from 2 to Q-2, and the operation of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error block 8A.

[합성블록(8Cb)(합성수단)]Synthesis Block 8Cb (Synthesis Means)

(8Cb-1) 제2카운트변수 Ib는 모듈로 수 NL에 증식된다. 여기서 L은 Pa/Q의 적분곱이고 1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이다. 그것은, 'Ib=Ib+1(MOD NL)은 Ib=NL이면 Ib=Ib+1과 Ib=0'의 의미이다. 그래서, 제2카운트변수 Ib는 0에서 NL-1까지 변하고, 속도검출기(12B)의 검출시기 Q마다 순환형태의 수로 증식한다.(8C b -1)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is multiplied by the modulus NL. Where L is the integral product of P a / Q and is a positive integer containing one. It is, 'I b = I b +1 (MOD NL) is if I b = NL I b = I b +1 and I b = 0' is a meaning of. Thus, the second count variable I b varies from 0 to NL-1, and multiplies by a cyclic number for each detection time Q of the speed detector 12B.

(8Cb-2) 'J=Ib+P+Kd(MOD NL)'의 연산은 제2카운트변수에 P+Kd를 계속행하여된 정수 J를 얻기위하여 행한다. 여기서 P는 1이상 5이하의 정수이고, Kd는 2이상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기는 Kd=2이다. P의 바람직한 수는 Q, Qa및 Fd에 대하여 변화한다.The operation of (8C b -2) 'J = I b + P + K d (MOD NL)' is performed to obtain an integer J which continues P + K d to the second count variable. P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5 or less, K d is an integer of 2 or more, preferably K d = 2. The preferred number of P changes for Q, Q a and F d .

(8Cb-3) 세트의 레지스터 X jm k(m=0,1,...,2Kd)는 합성치를 연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레지스터 X jm+1 k의 용량은 m=0에서 m=2Kd-1까지 순차적으로 레지스터 X jm k로 전송된다.The register X jm k (m = 0,1, ..., 2K d ) of the (8C b -3) set is used to compute the composite. The capacity of register X jm + 1 k is transferred to register X jm k sequentially from m = 0 to m = 2K d −1.

(8Cb-4) 레지스터 X[2Kd]의 용량은 n=1에서 n=N까지의 양의 계수Wn(n=1,...,N)와 같이 N 세트의 메모리치 M[J-nL(MOD NL)](n=1,...,N)의 선형조합에 의해 변화된다. N 메모리치 M[J-nL(MOD NL)](n=1,...,N)은 갱신사이클 L의 간격에 갱신되어 왔다. 그것은,The capacity of (8C b -4) register X [2K d ] is the N set of memory values M [J, such as a positive coefficient W n (n = 1, ..., N) from n = 1 to n = N. -nL (MOD NL)] (n = 1, ..., N). N memory values M [J-nL (MOD NL)] (n = 1, ..., N) have been updated at intervals of the update cycle L. that is,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5

이다. 식중의 계수 Wn(n=1,...,N)은 식(2)~식(4)와 같은 관계이다. 이 결과, 타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선형조합 X jm k(m=0,...,2Kd)이 얻어진다.to be. The coefficient W n (n = 1, ..., N) in the formula is the same relationship as in the formulas (2) to (4). As a result, a linear combination X jm k (m = 0, ..., 2K d ) which is sequential with respect to timing is obtained.

(8Cb-5) 다른 세트의 레지스터 V[m](m=0,....,P)는 합성치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레지스터 V[m+1]의 용량은 m=0에서 m=P-1까지 레지스터 V[m]로 전송된다.(8C b -5) Another set of registers V [m] (m = 0, ...., P) is used to store the composite value. The capacity of register V [m + 1] is transferred to register V [m] from m = 0 to m = P-1.

(8Cb-6) 합성블록(8Cb)의 새로운 합성치 V[P]는 양의 계수 Cm(m=0,1,...,2Kd)와 같이 선형조합 X jm k(m=0,1,...,2Kd)을 선형조합에 연산된다. 그것은The new composite value V [P] of the (8C b -6) synthesis block (8C b ) is a linear combination X jm k (m =) as the positive coefficient C m (m = 0,1, ..., 2K d ). 0,1, ..., 2K d ) are computed for a linear combination. that is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6

이다. 식중의 계수 Cm은 식(23)과 식(24)의 관계이다. 이 결과, 티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복수의 합성치 V[m](m=0,1,...,P)가 얻어진다. V[O]는 다음 갱신기에 갱신블록(8Cd)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장 오래된 합성치이고, V[P]는 앞으로의 시기에 출력 블록(8B)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장 새로운 합성치이며, V[P]와 V[O]는 갱신사이클주기 P의 간격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합성블록(8Ca) 로의 사용을 위해 합성치 V[m](m=0,1,...P)를 연산한다. 합성블록(8Cb)의 임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8A)의 임무로 되돌아간다.to be. The coefficient C m in the equation is a relation between equation (23) and equation (24). As a result, a plurality of sequential synthesized values V [m] (m = 0, 1, ..., P) are obtained for the timing. V [O] is the oldest composite for use in update block 8C d at the next updater, V [P] is the newest synthesized for use in output block 8B at a future time, and V [P ] And V [O] have an interval of update cycle period P. Thus, the composite value V [m] (m = 0, 1, ... P) is calculated for use as the composite block 8C a . After the task of the synthesis block 8C b ,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the error block 8A.

[필터링오차블록(8Cc)(필터링오차수단)][Filtering error block 8C c (filtering error means)]

(8Cc-1) 여과된 오차신호 Ec는 얻은 타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오차신호 E의 복수치 F[m](m-0,1,...,Fd)을 선형조합하여 연산한다. 여기서 Fd는 2이상 2Q이하의 정수이다. 그것은(8C c -1)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is calculated by linearly combining the multiple values F [m] (m-0, 1, ..., F d ) of the sequential error signal E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timing. Where F d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2Q or less. that is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7

이다. 식중의 계수 Bm은 양이고 식(6)과 식(7)의 관계이다. 여과된 오차 신호 Ec의 산정후, 산정치 [m](m=0,1,...,Q)는 각각의 레지스터 F[Q+m](m=1,2,...,Q)에 전송된다. 여과신호 Ec의 산정시기의 산정치 F[m](m=1,2,...,2Q)는 얻은 타이밍에 대하여 순차적인 오차신호 E의 산정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식(27), 식(6) 및 식(7)이 관계하는 필터링오차블록(7Cc)는 저주파수영역에서 약 1의 이득과 고주파수영역에서 1미만의 감소이득을 가지는 저대역 디지털필터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필터링오차블록(8Cc)의 임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8A)의 임무로 돌아간다.to be. The coefficient B m in the equation is positive and is a relationship between equation (6) and equation (7). After calculating the filtered error signal E c, the estimate [m] (m = 0,1, ..., Q) is assigned to each register F [Q + m] (m = 1,2, ..., Q). Is sent). It can be seen that the estimated value F [m] (m = 1, 2, ..., 2Q)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filtration signal E c is an estimate of the error signal E that is sequential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timing. In addition, the filtering error block 7C c related to Equations (27), (6) and (7) has a low band digital filter characteristic having a gain of about 1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nd a reduction gain of less than 1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It can be seen that it has. After the task of the filtering error block 8C c ,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returns to the task of the error block 8A.

[갱신블록(8Cd)(갱신수단)][Update block 8C d (update means)]

(8Cd-1) 메모리(13B)의 램안에서 제2카운트변수에 대응하는 주소로 저장된 기억치 M[Ib]는 여과오차 신호 Ec의 혼합치와 합성블록(8Cb)의 합성치 V[O]에 의해 비율 1:1로 갱신된다. 그것은 M[Ib]=Ec+V[O]이다. 갱신기억장치 M[Ib]는 NL 갱신사이클후인 M[Ib]의 다음 갱신치까지 유지된다. 이 결과, M[O]에서 M[NL-1]까지의 NL 기억치가 얻어지고, NL 기억치는 순차적이고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갱신블록(8Cd)의 임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연산은 오차블록(8A)의 임무로 돌아간다.(8C d -1) The stored value M [I b ] stored as the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nt variable in the RAM of the memory 13B is the mixed value V of the filter error signal E c and the synthesized value V of the synthesis block 8C b . The ratio is updated to 1: 1 by [O]. It is M [I b ] = E c + V [O]. The update storage device M [Ib]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update value of M [I b ] which is after the NL update cycle. As a result, the NL memory values from M [O] to M [NL-1] are obtained, and after the task of the update block 8C d to update the NL memory values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the operation of the microprocessor 13A is in error. Return to the mission of block 8A.

제1도, 제2도 및 제8도의 조합에 의한 본 발명 실시예 또한 다음의 이득이 있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8 also have the following benefits;

(1) 본 실시예의 내외란성은 제1도, 제2도 및 제3도의 조합에 의한 실시예보다 더 향상된다. 왜냐하면 출력블록(8B)는 비례적분 필터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이다.(1) The disturbance and disturbance of this embodiment is further improved than the embodiment by the combination of FIG. 1, FIG. 2 and FIG. This is because the output block 8B includes proportional integral filter means.

(2) 검출주기에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과업은 감소되고, 왜냐하면 메모리블록(8C)의 과업은 수의제곱의 사용으로 많은 산정수치를 가지는 합성블록(8Cb), 필터링오차블록(8Cc) 및 갱신블록(8Cd)의 세가지 부임부로 나누어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13A)의 산정지연을 작게만들며 하드웨어 제곱기가 없는 보통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본 실시예에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A)로서 사용될 수 있다.(2) The task of the microprocessor 13A in the detection period is reduced, because the task of the memory block 8C is a composite block 8C b , a filtering error block 8C c , which has a large estimated value by use of a voluntary square. ) And the update block 8C d . This makes the estimation delay of the microprocessor 13A small and a normal microprocessor without a hardware squarer can be used as the microprocessor 13A in this embodiment.

(3) 합성블록(8Cb)의 향상은 본 실시예의 제어계를 안정되게 만든다. 특히, 출력블록(8B)에서의 새로운 또는 가장 새로운 합성치의 사용은 필터링오차블록(8Cc)의 시간지연을 보상한다.(3) Improvement of the composite block 8C b makes the control system of this embodiment stable.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new or newest composite in the output block 8B compensates for the time delay of the filtering error block 8C c .

본 발명에 관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내외란성의 향상은 마이크로프로세서(13A)가 오차블록과 출력블록의 임무가 끝난후 대기할 때 메모리블록의 임무를 실행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왜냐하면 검출신호의 신규치와 같이 제어신호의 신규치를 얻기위한 산정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산정시간지연은 전체제어 이득을 나타내는 필수인자이고, 더 작은 산정시간지연은 더 큰 전체제어이득을 만든다. 특히 산정시간지연의 최소화는 메모리블록에서 합성블록이 앞으로의 사용을 위해 하나이상의 합성치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메모리블록의 임무를 위한 산정시간의 최소화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3A)가 오차블록과 출력블록의 임무를 위한 산정시간지연의 Q배 이외에는 검출주기 Q의 휴식기에 메모리블록의 임무를 한번 실행한다. 메모리블록은 두 개의 임무이상으로 나누어지고, 마이크로프로세서(13A)가 오차블록과 출력블록의 임무후, 대기할 때 검출주기마다 하나이하의 부임무를 실행한다.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advantageous to improve the disturbance resistance to perform the task of the memory block when the microprocessor 13A waits after completing the task of the error block and the output block. This is because the calculation time delay for obtaining the new value of the control signal, such as the new value of the detection signal, is minimized. Estimation time delay is a necessary factor that represents the overall control gain, and smaller estimate time delay results in a greater overall control gain. In particular, minimizing the estimation time delay is very important for the composite block to prepare more than one composite value for future use. Also, it can be seen that minimizing the estimation time for the task of the memory block is not so important. Because the microprocessor 13A executes the task of the memory block once at the rest of the detection period Q except for the Q times the estimated time delay for the task of the error block and the output block. The memory block is divided into two or more tasks, and when the microprocessor 13A waits after the task of the error block and the output block, it performs one or more sub-missions per detection cycle.

본 발명의 특정실시예는 수록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로 명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에 어긋나지 않는 변화와 수정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예를들어, 오차신호는 모우터용 제어계가 속도검출기와 같은 위상 검출기를 가질 때, 모우터의 속도뿐 아니라 위상도 제어함으로서 모우터의 속도오차와 위상오차의 합성된 신호가 될 수 있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understood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r spirit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he error signal may be a combined signal of the speed error and the phase error of the motor by controlling the phase as well as the speed of the motor when the control system for the motor has a phase detector such as a speed detector.

Claims (36)

제어계의 제어변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시간과 같은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오차수단과, 상기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갱신주기 L의 간격으로 갱신된 메모리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1혼합치에 대응하는 값에 의해 검출주기의 Q배에 상당하는 갱신시간간격을 두고 복수의 메모리치를 순차적,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메모리수 단(여기서 Q 및 L은 2이상의 정수)과, 상기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상기 메모리수단의 메모리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2혼합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상기 제어계에 공급하여 상기 제어계의 제어변수를 제어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제어장치.Detection means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variable of the control system, error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means periodically at an interval equal to the detection time, an error signal of the error means, Memory that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updates a plurality of memory values at an update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Q times the detection period by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one or more of the memory values updated at intervals of the update period L.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age (where Q and L are integers of 2 or more), and the second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of the error signal of the error means and the memory value of the memory means,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the control system. And an output means for supplying to and controlling the control variables of th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동일한 신호를 가지는 계수에 의해 갱신사이클 L의 간격으로 갱신된 일련의 메모리치 N(N은 2이상의 정수)의 선형조합 1이상을 주기적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 The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means periodically calculates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a series of memory values N (N is an integer of two or more) updated at intervals of an update cycle L by coefficients having the same signal.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기위한 저대역필터 특성을 가지는 필터링오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memory means comprises filtering error means having a low band filter characteristic for generating a filtered error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오차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수차적으로 상기 오차수단의 복수의 오차신호치를 선형조합하여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4.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ltering error means generates a filtered error signal by linearly combining a plurality of error signal values of the error means according to the obtained tim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수단은 상기 오차신호가 검출신호의 비례부 뿐만 아니라 적분부도 가지도록 비례적분필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rror means includes a proportional integral filter means such that the error signal has an integral part as well as a proportional part of the detec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제어신호가 제2혼합치의 비례부 뿐만 아니라 적분부도 가지도록 비례적필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means includes a proportional filter means so that the control signal has not only a proportional part but also an integral part of the second mix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기위한 저대역필터 특성을 가지는 필터링오차수단과, 제1혼합치에 대응하는 값에 따라 메모리치를 주기적으로 순차 갱신하는 갱신수단과, 갱신주기 L의 간격으로 갱신된 상기 갱신수단의 갱신치 적어도 1이상의 선형 조합에 대응하는 1이상의 합성치를 발생하는 합성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갱신수단의 제1혼합치는 상기 필터링오차수단의 여과된 오차신호와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를 혼합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means comprises: filtering error means having a low band filter characteristic for generating a filtered error signal, updating means for periodically updating the memory value sequentially according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xed value; And synthesizing means for generating at least one composite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inear combination of update values of the update means updated at intervals of update period L, wherein the first mixed value of the update means is filtered out of the filtering error means. And a combination of an error signal and a combined value of said combining mea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은 동일한 신호를 가지는 계수에 의해 갱신주기 L의 간격으로 일련의 메모리치 N의 선형조합 1이상을 주기적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8.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said synthesizing means periodically calculates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a series of memory values N at intervals of an update period L by coefficients having the same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오차수단, 상기 출력수단,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임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검출주기 Q내에서 상기 오차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의 임무의 Q배마다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임무를 한번씩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8.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said control device comprises a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the tasks of said error means, said output means, said synthesis error means, said update means, and said synthesis means, said microprocessor being within a detection period Q. And performing the tasks of the synthesizing error means, the updating means and the synthesizing means once every Q times of the tasks of the error means and the output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일련의 임무는 2이상의 부임무로 나누어지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오차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의 임무종료후 대기시간동안 부임무중 하나를 검출주기마다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series of tasks of the synthesizing error means, the updating means, and the synthesizing means are divided into two or more sub-missions, and the microprocessor is assigned during the waiting time after completion of the error means and the output means. A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executing one of the none at every detection cy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련의 제1혼합치를 선형조합하므로서 메모리치중 하나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8.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said updating means periodically updates one of the memory values by linearly combining a series of first mixed values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의 제2혼합치는 상기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8.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econd mixed value of the output means is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of an error signal of the error means and a synthesized value of the combining mea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모리치중 1이상의 선형조합을 선형으로 조합하므로서 각각의 합성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8.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said synthesizing means calculates each synthesis value by linearly combining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memory values according to the obtained tim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오차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오차수단의 복수의 오차신호치를 선형으로 조합하므로서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8.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ltering error means generates a filtered error signal by linearly combining a plurality of error signal values of the error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제어계의 제어변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주기의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오차수단과,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오차수단의 복수의 오차신호치를 선형으로 조합하므로서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필터링오차수단과, 상기 필터링오차수단의 여과된 오차신호와 합성수단의 합성치를 혼합해서 얻은 제1혼합치 대응치를 이용하여 검출주기의 Q(Q는 2이상의 정수)배에 상당하는 갱신주기로 복수의 메모리치를 순차적으로 갱신하는 갱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수단은 1이상의 합성치를 발생하고, 상기 각각의 합성치는 상기 갱신수단의 메모리치중 1이상의 선형조합에 대응하고, 상기 1이상의 메모리치는 갱신사이클 L(L은 2이상의 정수)의 주기로 갱신된 것이고, 상기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2혼합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당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계를 공급하므로서 상기 제어계의 제어변수를 제어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Detection means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variable of the control system, error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means periodically at intervals of the detection period, and the error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obtained timing Detection using a filtering error means for generating a filtered error signal by linearly combining a plurality of error signal values of the means, and a first mixed value corresponding value obtained by mixing the filtered error signal of the filtering error means and a composite value of the combining means. And updating means for sequentially updating a plurality of memory values in an update period corresponding to Q (Q is an integer of 2 or more) of the period, wherein said updating means generates one or more composite values, and each synthesized value of the updating mean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memory values, wherein the one or more memory values are in cycles of update cycle L (L is an integer of 2 or mor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system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of the error signal of the error means and the combined value of the combining means and supply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means to. 제어하고자 하는 모우터와, 이 모우터에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모우터의 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로 센서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수단과, 센서신호의 주기에 비례하는 검출주기로 상기 모우터의 속도에 대응하는 디지털숫자를 가진 검출신호를 얻는 속도검출수단과, 상기 속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오차신호가 비례부 뿐만 아니라 적분부도 가지도록비례적분필터수단을 구비한 오차수단과, 저대역필터특성을 가지는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필터링 오차수단을 구비하여서, 여과된 오차신호와 적어도 갱신주기 L만큼 오래된 메모리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1혼합치에 대응하는 값에 의해, 검출주기의 Q배에 상당하는 갱신 주기로 복수의 메모리치를 갱신하는 메모리수단(Q 및 L은 2이상의 정수)과, 상기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상기 메모리수단의 메모리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2혼합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구동수단에 공급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A motor to be controlled, drive means for supplying power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sensor means for generating a sensor signal at a frequency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motor, and a proportional to the period of the sensor signal Velocity detection means for obtaining a detection signal having a digit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the motor in a detection period and generating an erro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peed detection means, wherein the error signal has not only a proportional part but also an integral part. An error means having a proportional integral filter means, and a filtering error means for generating a filtered error signal having a low band filter characteristic,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iltered error signal and at least one memory value as old as the update period L is mixed. Memo for updating a plurality of memory values in an update period corresponding to Q times the detection period by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xed value An outpu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ns (Q and L are integers of 2 or more) and a second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of the error signal of the error means and the memory value of the memory means and supplying it to the driving means. A control device comprising a mean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의 갱신주기 L은 상기 모우터의 1회전주기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update period L of the memory means is an integer multiple of one rotation period of the mo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오차 수단의 복수의 오차신호치를 선형으로 조합하여 여과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17.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filtering means generates a filtered signal by linearly combining a plurality of error signal values of the error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오차수단의 복수의 오차신호치를 선형으로 조합하므로서 여과된 오차 신호를 발생하는 필터링오차수단과, 제1혼합치에 대응하는 값으로 메모리치를 주기적으로 순차 갱신하는 갱신수단과, 갱신사이클 L의 주기로 갱신된 상기 갱신수단의 메모리치중 1이상의 선형조합에 대응하는 1이상의 합성치를 발생하는 합성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갱신수단의 제1혼합치는 상기 필터링오차수단의 여과된 오차신호와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를 혼합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1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memory means comprises a filtering error means for generating a filtered error signal by linearly combining a plurality of error signal values of the error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and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xed value. Update means for periodically updating the memory values sequentially, and synthesizing means for generating one or more composite value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the memory values of the update means updated in the cycle of update cycle L, the first means of the updating means And a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the filtered error signal of the filtering error means and the synthesized value of the combining mean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은 동일한 신호를 가진 계수에 의해 갱신사이클 L의 주기로 갱신된 메모리치 N의 1이상의 선형조합을 주기적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the synthesizing means periodically calculates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the memory values N updated in the period of the update cycle L by coefficients having the same signa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오차수단, 상기 출력수단,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임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검출주기 Q내에서 상기 오차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의 임무의 Q배마다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합성수단의 임무를 한번씩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0. The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control device comprises a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the tasks of the error means, the output means, the synthesis error means, the update means and the synthesis means, the microprocessor being within a detection period Q. And performing the tasks of the synthesizing error means, the updating means and the synthesizing means once every Q times of the tasks of the error means and the output mean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임무는 2이상의 부임무로 나누어지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오차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의 임무를 종료한 후 대기시간동안 검출주기마다 부임무중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task of the synthesizing error means, the updating means and the synthesizing means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ub-tasks, and the microprocessor detects the waiting time after completing the tasks of the error means and the output mean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one of the sub-missions per cycl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수단은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혼합치의 선형조합에 의해 메모리치중 하나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said updating means periodically updates one of the memory values by linear combination of the first mixed values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tim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의 제2혼합치는 상기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중 1이상을 혼합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the second mixed value of said output means is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of an error signal of said error means and a combined value of said combining mean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모리치중 1이상의 선형조합을 선형으로 조합하므로서 각각의 합성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said synthesizing means calculates each synthesis value by linearly combining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memory values according to the obtained timing. 제어하고자 하는 모우터와, 이 모우터에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모우터의 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센서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수단과, 센서신호의 주기에 비례하는 검출주기로 상기 모우터의 속도에 대응하는 디지털숫자의 검출신호를 얻는 속도검출수단과, 상기 속도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오차수단과,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기위한 저대역필터특성을 가지는 필터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여과된 오차신호와 적어도 갱신사이클 L의 주기만큼 오래된 메모리치 1이상을 혼합해서 얻은 제1혼합치에 대응하는 값에 의해 검출주기의 Q배에 상당하는 갱신사이클주기로 복수의 메모리치를 순차적,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메모리수단(Q 및 L은 각각 2이상의 정수)과, 상기 오차수단의 오차신호와 상기 메모리수단의 1이상의 메모리치를 혼합해서 얻은 제2혼합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제어신호가 비례부 뿐만 아니라 제2혼합치의 적분부도 가지도록 비례적부 필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진 제어장치.A motor to be controlled, drive means for supplying power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sensor means for generating a sensor signal having a frequency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motor, and proportional to a period of the sensor signal Speed detection means for obtaining a detection signal of a digit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ed of the motor at a detection period, error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peed detection means, and for generating a filtered error signal. And a filter means having a low band filter characteristic. The filter means having a low band filter characteristic, wherein the filtered error signal is at least Q times the detection period by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xture value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memory value that is at least as old as the update cycle L. Memory means (Q and L are integers of 2 or more, respectively) for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updating a plurality of memory values at a corresponding update cycle perio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ixed value obtained by mixing the signal and at least one memory value of the memory means, and the proportional part filter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control signal has not only a proportional part but also an integral part of the second mixed value, A control device comprising an output means for su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e means.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내의 갱신사이클주기 L은 상기 모우터의 1회전 주기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7.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update cycle period L in said memory means is an integer multiple of one rotation period of said moto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오차수단의 복수의 오차신호치를 선형으로 조합하여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7.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filter means generates a filtered error signal by linearly combining a plurality of error signal values of the error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오차수단의 복수의 오차신호치를 선형으로 조합해서 여과된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필터링오차수단과, 제1혼합치에 대응하는 값에 의해 메모리치를 순차적,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갱신수단과, 갱신사이클 L의 주기로 갱신된 상기 갱시수단의 1이상의 갱신치의 선형 조합에 대응하는 1이상의 합성치를 발생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갱신수단의 제1혼합치는 상기 필터링오차수단의 여과된 오차신호와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를 혼합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2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memory means comprises: filtering error means for linearly combining a plurality of error signal values of the error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to generate a filtered error signal, and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xed value; Update means for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updating the memory value by means of; and synthesizing means for generating at least one synthesized value corresponding to a linear combination of one or more update values of the update means updated in a cycle of update cycle L; And the first mixed value is obtained by mixing the filtered error signal of the filtering error means and the synthesized value of the combining means.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은 동일한 신호를 가진 계수에 의해 갱신사이클 L의 주기로 갱신된 메모리 N의 선형조합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3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said synthesizing means periodically calculates at least one of linear combinations of the memory N updated in the period of the update cycle L by coefficients having the same signal.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오차수단, 상기 출력수단,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임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임무를 검출주기 Q내에서 상기 오차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의 임무의 Q배마다 한번씩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30. The apparatus of claim 29, wherein the control device comprises a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the tasks of the error means, the output means, the synthesis error means, the update means and the synthesis means, wherein the microprocessor comprises the synthesis error means, And the task of said updating means and said synthesizing means is executed once every Q times the task of said error means and said output means within a detection period Q.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오차수단, 상기 갱신수단 및 상기 합성수단의 임무는 2이상의 부임무로 나누어지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오차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의 임무종료후 대기시간동안 검출주기마다 부임무중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The task of claim 31, wherein the task of the synthesizing error means, the updating means, and the synthesizing means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ub-tasks, and the microprocessor is configured to detect the error period and the output means every detection period during the waiting time after the task ends. A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rrying out one of the submissions.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혼합치의 선형조합에 의해 메모리치중 하나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3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said updating means periodically updates one of the memory values by linear combination of the first mixed values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obtained timing.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의 제2혼합치는 상기 오차수단 오차신호와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3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second mixed value of the output means is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of the error means error signal and the combined value of the combining means.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에서 사용되는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는 상기 갱신수단에서 사용되는 상기 합성수단의 합성치보다 새로운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35.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combined value of said combining means used in said output means is newer than the combined value of said combining means used in said updating means.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은 얻어진 타이밍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모리치의 1이상의 선형조합을 선형으로 조합해서 각각의 합성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30.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said synthesizing means calculates each synthesis value by linearly combining one or more linear combinations of memory values according to the obtained timing.
KR1019870002155A 1986-03-11 1987-03-11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KR9000057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52903A JP2574235B2 (en) 1986-03-11 1986-03-11 Motor speed control device
JP52903 1986-03-11
JP61052908A JPH0681534B2 (en) 1986-03-11 1986-03-11 Motor speed controller
JP52908 1986-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38A KR870009538A (en) 1987-10-27
KR900005763B1 true KR900005763B1 (en) 1990-08-09

Family

ID=2639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155A KR900005763B1 (en) 1986-03-11 1987-03-11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5763B1 (en)
DE (1) DE3783055T2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38A (en) 1987-10-27
DE3783055D1 (en) 1993-01-28
DE3783055T2 (en) 199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571B1 (en) Digital pwm waveform generator
JPS5931897B2 (en) frequency synthesizer
US5426354A (en) Vector control for brushless DC motor
KR860001999B1 (en) System for detecting position or speed
US4933834A (en)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KR900005685B1 (en)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US4266176A (en) Induction motor slip frequency controller
KR900005763B1 (en)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EP0237317A2 (en)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robustness to disturbances
JPH05167450A (en) A/d converter circuit
JPH0748955B2 (en) PWM invert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H07229910A (en) Pulse counter circuit
US4737700A (en) Method and circuit for driving a stepping motor
US4819179A (en) Digital slip frequency generator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sired slip frequency
JP2523983B2 (en) Speed control device
Bellini et al. A PLL-based filter for speed noise reduction in drives using a resolver transducer
KR920000125B1 (en) Motor control system
RU2094945C1 (en) Fast multifunction angle-to-code converter
JPS6227036Y2 (en)
JPS6117441Y2 (en)
SU734607A1 (en) Digital follow-up drive
SU1757041A1 (en) Ac electric drive
SU917171A1 (en) Digital meter of time-to-time interval ratio
JPH0130395B2 (en)
SU1453569A1 (en) Electric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