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738A -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738A
KR20230028738A KR1020230020786A KR20230020786A KR20230028738A KR 20230028738 A KR20230028738 A KR 20230028738A KR 1020230020786 A KR1020230020786 A KR 1020230020786A KR 20230020786 A KR20230020786 A KR 20230020786A KR 20230028738 A KR20230028738 A KR 2023002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akage current
power line
ground
distribu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태
김나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이
(주)무감전
김나운
최종철
김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이, (주)무감전, 김나운, 최종철, 김인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이
Priority to KR102023002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8738A/en
Publication of KR2023002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7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load or no-load
    • H02H3/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load or no-load for multiphase applications, e.g. phase interrup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8Limitation or suppression of earth fault currents, e.g. Petersen c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or more power line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C power supply device to transmit electricity supplied or generated from the DC power supply device to a power system through a load or inverter and insulated from the ground with a resistance valu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ground resistance value; and one or more fault detector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t one of the two or more power lines and neutral points having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he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he ground. The fault detector is designed to detect leakage current flowing from the two or more power lines or neutral points to the ground or when flood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power line transmitting direct current or alternating current constituting the DC distribution system and the ground and limits the leakage current to below the dangerous current or blocks the leakage current, thereby preventing electrical accidents (insulation deterioration, short circuit, ground fault, short circuit, electric shock, fire, power outage, etc.) caused by the leakage current.

Description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류 또는 교류 배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원을 전송하는 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를 위험전류 이하로 제한하여 검출하고 누설전류를 통보(경보) 또는 차단함으로써, 누설전류로 인한 전기사고(절연열화, 단락, 지락, 누전, 감전, 화재, 정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kage current limiting a leakage current between a power line transmitting power constituting a DC or AC distribution system and the ground to a dangerous current or less, detecting the leakage current, and detecting the leakage current.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occurrence of electrical accidents (insulation deterioration, short circuit, ground fault, electric leakage, electric shock, fire, blackout, etc.) due to leakage current by notifying (alarming) or blocking curren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배전시스템은, 교류 배전계통과 직류배전 계통을 포함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일반적인 교류 배전계통은 설명을 생략하고 요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기존 직류 배전계통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In general, a distribution system includes an AC distribution system and a DC distribution system, but here, a description of the general AC distribution system is omitted and the existing DC distribution system, which is increasingly used these days, will be described.

기존 직류 배전계통은 태양광발전설비, 전기자동차, ESS 등의 직류전원이 근래 들어 이슈화되고 있으며, 상용화가 이미 되었거나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직류 배전시스템은 지하철, 스마트 그리드, 정류기, ESS, 전기차충전설비, 신재생 에너지 등이 있고 그 중 신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는 다양한 발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직류와 교류계통이 연계되는 태양광은 햇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최근들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In the existing DC distribution system, DC power such a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electric vehicles, and ESS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and the DC distribution system that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or is in the process of being commercialized is a subway, smart grid, rectifier, ESS,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facilities. Among them, renewable energy is used by converting existing fossil fuels, or various power generation systems are developed that convert renewable energy, including sunlight, water, precipitation, and biological organisms, into electrical energy. Among them, a solar cell module that converts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photovoltaic module that converts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in conjunction with direct current and alternating current systems have recently been in the limelight.

그러나, 이러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실외에 배치되어 운용되는 관계로 외부의 기후나 환경에 직접 노출되며, 이로 인하여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태양전지 모듈이나 선로에 대한 손상이나 노후화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로 구성된 태양전지판으로부터 부하 또는 인버터로 연결되는 직류전력선 또는 인버터로부터 부하 또는 전력계통으로 발전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전력선에는 선로 손상 또는 노후화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s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s are disposed and operated outdoors, they are directly exposed to the external climate or environment, and thus damage or deterioration of solar cell modules or lines constituting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likely to occur. In particular, various problems such as line damage or deterioration occur in a DC power line connected from a solar panel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to a load or an inverter or an AC power line providing generated power from an inverter to a load or power system.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 노출에 따른 노후화나 직류 또는 교류전력선의 선로 이상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대지에 대한 절연이 저하되면서 지락이나 누전에 의한 누설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누설전류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일어나거나 심한 경우 화재를 유발시키게 되고 직류 배전시스템 또한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the insulation to the ground is deteriorat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deterioration due to external exposure of the solar cell module or line abnormality of DC or AC power lines, and leakage current due to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occurs, and such leakage Due to the curr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may occur or, in severe cases, a fire may occur, and the DC distribution system also has the same problem.

그러나, 직류 배전시스템의 침수, 지락, 누전, 감전에 의한 누설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기존의 차단기는 침수, 지락, 누전, 감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누설전류가 소정 값 이상이 되어야 누설전류가 검출되거나 차단기가 동작하므로 누설전류에 의한 절연열화, 단락, 감전, 화재, 정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다.However, existing breakers for blocking leakage current due to flooding, ground fault, electric leakage, and electric shock in the DC distribution system require leakage current to b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even in the event of flooding, ground fault, electric leakage, or electric shock to detect leakage current or break the circuit breaker. Since it operates, there is a limit to preventing insulation deterioration, short circuit, electric shock, fire, and power failure caused by leakage current.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류 배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누설전류를 제한함으로써, 누설전류로 인한 전기사고(절연열화, 단락, 지락, 누전, 감전, 화재, 정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detecting and limiting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power line constituting the DC distribution system and the ground, and by limiting the leakage current, electrical accidents (insulation deterioration, short circui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eakage current-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ground faults, short circuits, electric shocks, fires, blackouts, etc.).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이 배열된 직류전원장치; 상기 직류전원장치에서 공급된 전기를 부하 또는 전력계통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직류전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지로부터 소정의 접지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으로 절연된 둘 이상의 전력선; 및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중성점과 상기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검출기는, 상기 전력선에서 상기 대지로 흐르는 누설전류가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전류 경로로부터 상기 누설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C power supply in which one or more DC power modules are arranged; two or more power lin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to transmit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to a load or a power system and insulated from the ground with a resistan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grounding resistance; and one or more fault detector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ny one of the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he ground, 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neutral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voltages of the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he ground, wherein the fault detector is configured to form a current path through which the leakage current flowing from the power line to the ground flows, and to detect the leakage current from the current path.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은, 상기 직류전원장치에서 공급되거나, 발전된 전기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중성점은,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제1 중성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or more power lines includ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supplied or generated by the DC power supply, and the neutral point is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It may include a first neutral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he second DC power line.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직류전기를 공급받아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은,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부하 또는 전력계통으로 전송하는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성점은,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제2 중성점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verter receiving the DC electricity from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and converting the DC electricity into AC electricity, and the two or more power lines connect the AC electricity from the inverter. Further comprising two or more AC power line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o the load or power system, the neutral point may include a second neutral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고장검출기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장검출기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압강하부; 및 상기 제2 고장검출기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압강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ult dete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and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fault dete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the ground. a first voltage drop unit; and a second voltage drop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the ground by being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failure detector.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중성점과 대지 사이에 병렬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제1 중성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압강하부; 및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제1 중성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압강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2 고장검출기를 경유하고,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1 고장검출기를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ult dete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neutral point and ground, and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the first neutral point. a first voltage drop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second voltage drop par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the first neutral poin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measure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the ground at the second Passing through the fault detector, leakage current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the ground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ault detector.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중성점과 대지 사이에 병렬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성점은,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 사이에 직렬연결되는 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 사이에서 인출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2 고장검출기를 경유하고,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1 고장검출기를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ult dete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neutral point and ground, and the first neutral point comprises th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2. Th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are drawn between two or more DC power module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DC power lines, and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the grou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ault detector, Leakage current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the ground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ault detector.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전압강하부는, 제너다이오드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전압 강하부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과 상기 제2 전압강하부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의 합은 상기 제1 및 제2 직렬전력선 사이의 전압보다 클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rop units each include a zener diode, and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first voltage drop unit and the zener voltage of the second voltage drop unit A sum of zener voltages of the diodes may be greater than a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ries power lines.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고장검출기 각각은, 상기 누설전류를 소정의 위험전류 이하로 제한하고, 상기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ault detectors may include a current detector that limits the leakage current to a predetermined dangerous current or less, detects the leakage current,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고장검출기 각각은, 상기 누설전류가 상기 전류 검출부를 단방향으로 흐르도록 누설전류의 경로를 제한하는 단방향 전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ault detectors may further include a unidirectional current unit that limits a path of the leakage current so that the leakage current flows in a unidirectional direction through the current dete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직류전원장치에는 직류전원 모듈이 하나 이상 배열되고, 상기 직류전원 모듈은 충전지, 컨버터, 태양전지 모듈 중에 어느 하나이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직류전원 장치에 배열될 때는 발전된 전류를 집속하는 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DC power modules are arranged in the DC power supply, the DC power module is any one of a rechargeable battery, a converter, and a solar cell module, and the solar cell module is a DC power source. When arranged in the devic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ocusing unit for focusing the generated current.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집속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직류차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C circuit breaker disposed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concentrating unit and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제1 직류전력선에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직류전력선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제1 직류스위치; 및 상기 제2 직류전력선에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선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제2 직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C switch installed in series with the first DC power line and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C power line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and a second DC switch installed in series with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DC power line in associa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직류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 각각을 소정 구간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획된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의 소정 구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전력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직류스위치는,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대웅하는 제1 직류전력선 또는 제2 직류전력선의 상기 소정 구간을 차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전력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DC switches are arranged to part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in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It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auxiliary power lines arrang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e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C switches are interlocked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to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first DC power line or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auxiliary power lines.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교류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1차측과, 상기 1차측과 절연되고 상기 전력계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차측을 구비한 절연변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 power line and a secondary side insulated from the primary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장검출기는,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 및 상기 제2 중성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 각각에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교류전력선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둘 이상의 교류차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fault det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and the second neutral point and the ground,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Two or more AC circuit breakers installed in series and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AC power line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둘 이상의 교류차단기 각각은,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 각각을 소정 구간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교류전력선의 상기 소정 구간을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two or more AC circuit breakers is arranged to divide each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into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AC power line is interlocked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It can be controlled to block the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상기 교류전력선의 부하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력선의 접속불량 또는 단선 또는 결상 시에 해당 상의 전원을 복구하거나, 경보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복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overy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side of the AC power line and recovering, alarming, or cutting off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phase when the AC power line is disconnected or disconnected or a phase is lost. can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의 공사방법은, 전원측에 하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로 구성되는 직류전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직류전원장치의 출력단자 또는 중성단자에 제1 고장검출기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고장검출기의 타단을 대지 또는 접지단자에 접속연결하는 단계; 둘 이상의 전력선을 설치하고, 그 일단을 상기 출력단자 또는 상기 중성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선의 타단을 부하 또는 인버터에 접속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struction method of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DC power supply consisting of one or more DC power modules on the power side; electrically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fault detector to an output terminal or a neutral terminal of the DC power supp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fault detector to the ground or a ground terminal; Installing two or more power lin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one end to the output terminal or the neutral terminal;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ower line to a load or an inverter and supplying power.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의 공사방법은,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장검출기, 복구기, 교류 전력선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고장검출기의 일단, 상기 복구기의 일단과 교류 전력선의 일단을 각각 접속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장검출기의 타단을 대지 또는 접지단자에 접속연결하는 단계; 전력계통 연결용 변압기를 설치하여 상기 교류 전력선의 타단에 접속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nstruction method of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stalling a second fault detector, a recovery device, and an AC power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connecting one end of the second failure detector, one end of the recovery device, and one end of an AC power line, respectively;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ault detector to the ground or a ground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stalling a transformer for power system connection and connecting to the other end of the AC power line.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은, 직류 배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직류를 전송하거나, 변환장치를 통해 교류를 전송하는 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누설전류를 제한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irect current constituting the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or detects leakage current between a power line transmitting alternating current through a converter and the ground, limits the leakage current, or , By blocking,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 shock accident due to leakage curr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은, 침수 또는 지락 또는 누전에 의한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제한하여 이를 차단함으로써, 지락 또는 누전에 의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d limits leakage current due to flooding or ground fault or leakag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ire due to ground fault or leakage.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은, 지락 또는 누전에 의한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이를 차단하더라도 이로 인한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a blackout accident caused by the leakage current caused by a ground fault or leakage even if it is detected and blocked.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은, 침수에 의한 누설전류를 단자대에서 포집하여 검출하고 누설전류를 제한함으로써, 이로 인한 감전, 화재,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detects leakage current caused by flooding in a terminal block and limits the leakage current, thereby preventing electric shock, fire, and blackout accidents caused by thi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검출기의 내부 블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직류회로에서 고장검출기가 전력선에 결선되는 예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직류회로에서 고장검출기가 중성점에 결선되는 예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직류회로에서 고장검출기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직류전력선에 직류스위치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직류전력선에 직류스위치 및 보조전력선이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단상 전원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복구기의 구성 및 벡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삼상 전원에 적용가능한 복구기의 예시적인 구성 및 벡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삼상 전원에 적용가능한 복구기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 및 벡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교류회로에 복구기가 적용된 예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2는 교류회로에 절연변압기와 복구기가 동시에 적용된 예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은 직류 및 교류를 포함한 배전시스템에서 단자대가 침수 시 적용된 예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ternal blocks of a failu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ault detector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in a DC circuit.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ault detector is connected to a neutral point in a DC circuit.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a fault detector detects leakage current in a DC circuit.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C switch is installed in a DC power line.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C switch and an auxiliary power line are installed in a DC power line.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vector diagram of a restore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ble to single-phase power.
9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and vector diagram of a restorer applicable to a three-phase power supply.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emplary configuration and vector diagram of a restorer applicable to a three-phase power supply.
1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recovery device is applied to an AC circuit.
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solation transformer and a recovery device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an AC circuit.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erminal block is applied when flooded in a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DC and A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merely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지락 또는 누전 등에 의한 누설전류로부터 감전,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전기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려면, 직류전원장치(100)로부터 공급되거나, 발전된 직류전기를 취급하는 직류회로일 수 있고, 직류전원장치(100)로부터 직류전기를 입력받아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700)에 공급하거나 전력계통(900)에 연계시키는 교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계통(900)이란, 수배전선로 뿐 아니라 옥외의 임시선로 등 상용 교류전기가 통전되는 선로를 모두 포함한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ndles DC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unit 100 or generated in order to be configured to prevent electrical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fire, or blackout from leakage current caused by a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It may be a DC circuit that receives DC electricity from the DC power supply device 100, converts it into AC, and supplies it to the load 700 or may include an AC circuit that connects it to the power system 900. Here, the power system 900 includes all lines through which commercial AC electricity is energized, such as a temporary outdoor line as well as a receiving/distributing line.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지락, 누전 또는 침수, 인체 감전 시에 누설전류를 위험전류 이하로 제한하여 검출함으로써,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lectric shock and fire due to leakage current by limiting and detecting the leakage current to a dangerous current or less in case of ground fault, electric leakage, flooding, or human electric sh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110)(충전지, 컨버터, 태양전지 등)이 배열된 직류전원장치(100)와, 직류전원장치(100)에서 공급되거나, 발전된 전기를 부하(700) 또는 전력계통(900)으로 전송하도록 직류전원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지로부터 소정의 접지 저항값 이상의 저항값으로 절연된 둘 이상의 전력선과, 전력선 및 중성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장검출기(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장검출기(210)는, 둘 이상의 전력선 또는 중성점에서 대지로 흐르는 누설전류에 대하여 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전류 경로로부터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C power supply 100 in which one or more DC power modules 110 (rechargeable batteries, converters, solar cells, etc.) are arranged, and a DC power supply ( Two or more power lin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100 to transmit electricity supplied or generated from 100) to the load 700 or the power system 900 and insulated from the ground with a resistance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ground resistance valu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fault detectors 210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power line and the neutral point and the ground. At this time, the fault detector 210 is configured to form a current path for leakage current flowing from two or more power lines or a neutral point to the ground, detect the leakage current from the current path,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전력선과 고장검출기(210) 사이에 누설전류가 흐를 때, 소정의 전압강하가 일어나는 전압강하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강하부(220)는 전력선과 대지 사이에 고장검출기(210)와 직렬로 연결되거나, 전력선 사이에서 중성점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ropping unit 220 in which a predetermined voltage drops when leakage current flows between the power line and the fault detector 210 . The voltage drop unit 220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ault detector 210 between the power line and the ground, or may be arranged to form a neutral point between the power lines.

여기에서, 중성점이란 둘 이상의 전력선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지점을 일컫는 것으로서, 전력선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소자를 통해 형성되거나 전력선에 직렬연결된 복수의 직류전원 모듈(110)(충전지, 컨버터, 태양전지 등) 사이의 접속점, 또는 변압기의 중간탭 등에서 인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중성점을 기준으로 전력선의 전압의 합이 0이면 족하며, 중성점을 기준으로 한 전력선의 전압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력선의 전압이 서로 위상을 달리할 뿐 크기는 동일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Here, the neutral point refers to a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wo or more power lines, and is formed through predetermined electrical elements from each of the power lines or a plurality of DC power modules 110 (rechargeable batteries, converters, solar cells) connected in series to the power lines. etc.), or a center tap of a transformer. It is sufficient if the sum of the voltages of the power lines based on the neutral point is 0, and it is not limited to that the voltages of the power lines based on the neutral point are the same.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sizes are the same.

전력선은, 직류전원장치(100)로부터 부하측 또는 주변의 전력 설비 또는 전력계통(9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선으로서, 차단기나 스위치로 구획된 별개의 도선 뿐 아니라 차단기, 스위치 또는 개폐기 등으로 연결되거나 주선로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선로를 포함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동일 극성의 전력이 전송되는 모든 도선을 통칭한다. 이때, 전력선은 대지로부터 소정의 접지저항 이상의 저항값을 갖도록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절연이란 완전한 절연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지공사를 통하여 전력선 또는 중성점이 대지와 갖는 통상적인 접지저항 보다는 큰 저항값을 갖는 정도의 경우를 포함한다.The power line is a wire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DC power supply 100 to the load-side or nearby power facility or power system 900, and is connected to a circuit breaker, switch, switch, or the like as well as a separate wire partitioned by a circuit breaker or switch. It collectively refers to all conductor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ransmit power of the same polarity, including branch lines branching off from the main line. At this time, the power line is preferably insulated from the ground to have a resistance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ground resistance. Insulation here is not limited to complete insulation, but includes a case where the power line or neutral point has a higher resistance than the normal grounding resistance through grounding work.

전력선에 연결되는 회로는 직류 또는 교류회로일 수 있다. 직류 회로일 경우에 전력선은, 직류전원장치(100) 및 충전지, ESS(Energy Storage System), 정류기, 태양광 등에 연결되는 직류전력선(410)을 포함할 수 있고, 교류회로일 경우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0) 및 변압기 출력에서 부하(700) 또는 전력계통(900)으로 연결되는 교류전력선(5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connected to the power line may be a DC or AC circuit. In the case of a DC circuit, the power line may include a DC power supply 100 and a DC power line 410 connected to a rechargeable battery,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a rectifier, sunlight, etc., and in the case of an AC circuit, DC It may include a converter that converts DC to AC, an inverter 500 that converts DC to AC, and an AC power line 510 connected to the load 700 or the power system 900 from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직류전원장치(100)에는 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110)이 배열될 때, 직류전원 모듈(110) 각각에서 공급되거나, 발전된 전류를 집속하는 집속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속부(430)에서 집속된 직류전류는 직류전력선(410)을 통하여 직류부하 또는 인버터(500)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1, 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DC power modules 110 are arranged in a DC power supply 100, the current supplied or generated by each of the DC power modules 110 It may include a focusing unit 430 for focusing. The DC current focused by the focusing unit 430 may be transmitted to the DC load or the inverter 500 through the DC power line 41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직류전원 모듈(110)과 집속부(43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고장검출기(210)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직류차단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circuit breaker 420 is disposed between the DC power module 110 and the focusing unit 430 and is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210. ) may be included.

직류차단기(420)는 직류전원 모듈(110)에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일 수 있다. 복수의 차단기일 경우에는, 고장검출기(210)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복수의 직류차단기(420) 전체를 동시에 차단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차단하면서 검출신호를 확인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한 직류전원 모듈(110)만 차단할 수도 있다. 순차적인 차단의 경우에는 누설전류가 발생한 직류 전원 모듈(110)만을 차단하므로 나머지 직류전원 모듈(110)에 의하여 정전없이 계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다.The DC circuit breaker 420 may be one or more circuit breaker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DC power module 110 .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the DC power module 110 in which leakage current occurs by checking the detection signal while simultaneously blocking or sequentially blocking all of the plurality of DC circuit breakers 420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210 can only be blocked. In the case of sequential blocking, since only the DC power module 110 in which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is blocked, continuous power generation is possible without power failure by the remaining DC power module 11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직류 전력선(410)에 설치되고, 고장검출기(210)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개폐되거나 다른 접점으로 절환되는 직류스위치(440)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스위치(440)는 둘 이상의 직류전력선(410) 각각에 설치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만을 선별적으로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C switch 440 installed on the DC power line 410 and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210 or switched to another contact point. there is. The DC switch 44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two or more DC power lines 410 and can be controlled to selectively block only the power lines in which leakage current occurs.

상술한 집속부(430), 직류차단기(420) 및 직류스위치(440)는 접속반(400)에 설치될 수 있다. 접속반(400)은 그 외에 전압강하부(220), 고장검출기(210) 및 제어기(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aforementioned focusing unit 430, the DC circuit breaker 420, and the DC switch 440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board 400. The connecting board 40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ropper 220, a failure detector 210, and a controller 3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직류 전력선(4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장치(100)에서 공급되거나, 발전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500)의 교류출력은 단상 또는 삼상이거나 그 밖에 각 상의 전압이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다상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상 교류 방식을 기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삼상 또는 그 외의 다상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50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C power line 410 and converting DC su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100 or generated into AC. there is. At this time, the AC output of the inverter 500 may include single-phase, three-phase, or a multi-phase method in which the voltage of each phase has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ingle-phase alternating current method is described,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hree-phase or other multi-phase methods.

인버터(500)의 교류출력에는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510)이 연결되어 교류전기를 부하(700) 또는 전력계통(9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전력계통(900)과 연계시에는 교류전력선(510) 및 직류전력선(410)을 대지 또는 계통과 절연시키기 위하여 절연변압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Two or more AC power lines 510 are connected to the AC output of the inverter 500 to transmit AC electricity to the load 700 or the power system 900 . However, when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900, an isolation transformer 600 may be included to insulate the AC power line 510 and the DC power line 410 from the ground or system.

본 발명에 따른 고장검출기(210)는, 직류전력선(410) 외에 교류전력선(5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고장검출기(210)는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거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누설전류가 흐르는 교류전력선(51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fault detecto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AC power line 510 in addition to the DC power line 410 . At this time, the fault detector 210 may detect the leakage current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or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the AC power line 510 through which the leakage current flows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to be blocked.

교류회로를 구성하는 교류전력선(510)에는 부하(700)가 연결되거나 절연변압기(600)가 연결되어 인버터(500)의 교류전력이 전력계통(900)에 연계되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류전력선(510)에는 교류전력선(510)의 단선 또는 교류전원의 결상 시에 해당 상의 전원을 복구하는 복구기(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구기(800)의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A load 700 or an isolation transformer 600 may be connected to the AC power line 510 constituting the AC circuit so that the AC power of the inverter 500 is transmitted in connection with the power system 900 . In addition, the AC power line 510 may further include a restorer 800 for restoring power of a corresponding phase when the AC power line 510 is disconnected or the AC power is phase free.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restorer 8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고장검출기(210)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누설전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는 누설전류로부터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신호, 전기고장이 발생하였음을 경보발령하기 위한 경보신호, 고장구간 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치신호, 및 고장을 복구하기 위한 복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300 tha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fault detector 210 to determine whether leakage current occur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can be configured.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is at least one of a cut-off signal for cutting off power from leakage current, an alarm signal for issuing an alarm that an electrical failure has occurred, a position signal for displaying a section or location of a failure, and a recovery signal for restoring a failure. may contain one or more.

따라서, 전력선에 설치되는 차단기 및 스위치 등은 누설전류 발생시에 고장검출기(210)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직접 차단되거나, 검출신호를 수신한 제어기(3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refore,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installed in the power line are directly blocked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210 when leakage current occurs, or controll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ca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검출기(210)의 내부 블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ternal blocks of the failure detecto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장검출기(210) 각각은, 누설전류를 소정의 위험전류 이하로 제한하고,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장검출기(210) 각각은, 누설전류가 전류 검출부(211)를 단방향으로 흐르도록 누설전류의 경로를 소정의 방향으로 제한하는 단방향 전류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each of the fault detectors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detector 211 that limits the leakage current to a predetermined dangerous current or less and detects the leakage current to output a detection signal. to be In addition, each of the fault detectors 210 may further include a one-way current unit 212 that restricts a leakage current path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leakage current flows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current detection unit 211 .

전류 검출부(211)는, 전력선 또는 중성점에서 대지로 흐르는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구성요소로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검출신호는 누설전류의 크기와 방향 정보를 포함한 신호일 수 있고, 누설전류가 기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출력하는 신호일수 있다. 검출신호는 전력선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차단기에 직접 제공되거나, 별도로 설치된 제어기(300)가 스위치 또는 차단기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경보, 고장위치 표시 또는 고장복구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기(300)에 제공될 수도 있다.The current detector 211 is a component that detects leakage current flowing from a power line or a neutral point to the ground, and can detect leakage current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detection signal may be a signal including magnitude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leakage current, and may be a signal outputting whether or not the leakage current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detection signal is provided directly to a switch or circuit breaker installed on the power line, or provided to the controller 300 so that the separately installed controller 30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or circuit breaker or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alarming, fault location display, or fault recovery. It could be.

또한, 전류 검출부(211)는 누설전류가 소정의 위험전류 이하가 되도록 누설전류가 흐르는 전류 경로 상에 직렬로 배치되는 전류제한 수단(도면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류제한 수단은 누설전류 발생 시에 고장검출기(210)에 걸리는 전압에 대하여 전류값을 위험전류 이하로 제한하도록 저항 소자를 비롯한 전압강하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험전류는 인체에 감전을 일으키거나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류로서 전기설비의 사용목적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인체로 흐르는 누설전류 값이 15mA 이상이면 경련(고통)을 일으키고 50mA 이상이면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감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위험전류는 15mA 이하, 예컨대 8mA 또는 5mA 또는 그 이하로 설정하여 누설전류가 그 이하로 제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detection unit 211 may further include current limiting means (not shown) arranged in series on the current path through which the leakage current flows so that the leakage curren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angerous current. In this case, the current limiting unit may include a resistance element and a voltage drop element so as to limit the current valu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fault detector 210 to less than or equal to the dangerous current when leakage current occurs. Here, the dangerous current is a current that can cause an electric shock to a human body or cause a fire,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electrical installation. For reference, it is known that if the leakage current value flowing into the human body is more than 15mA, it causes convulsions (pain), and if it is more than 50mA, it is known to lead to death. It can be designed so that the leakage current is limited to less than that.

또한, 전류 검출부(211)는 누설전류가 흐르는 전류 경로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제한 수단에 걸리는 전압을 이용하거나, 전류 경로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된 전류센서를 이용하여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전류센서는 션트(Shunt), 홀센서 또는 CT(current transformer), MR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detection unit 21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leakage current at an arbitrary point on a current path through which leakage current flow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leakage current by using a voltage applied to the current limiting means or by using a current sensor installed at an arbitrary point in the current path. Here, the current sensor may include a shunt, a hall sensor, a current transformer (CT), or an MR sensor.

본 발명에 따른 고장검출기(210)는,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스위치는, 직류전력선(410) 또는 교류전력선(510)에 직렬로 설치되어 전력선의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전류 검출부(211)와 함께 고장검출기(2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일체형의 스위치와 전류 검출부(211)는 무접점 릴레이(SSR, solid-state relay)로 구현될 수 있다.The failure detecto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whose opening and closing is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a detection signal. At this time, the switch may be installed in series on the DC power line 410 or the AC power line 510 to perform a cut-off operation of the power line, and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 the fault detector 210 together with the current detector 211. In this case, the integrated switch and current detector 211 may be implemented as a solid-state relay (SSR).

단방향 전류부(212)는, 누설전류가 전류 검출부(211)를 단방향으로 흐르도록 누설전류의 경로를 소정의 방향으로 제한하는 구성요소로서, 기설정된 방향의 전류에 대해서만 도통되도록 제어되는 스위치 소자, 또는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단방향 전류부(212)가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회로 형태일 수 있고(도 2(a)),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도 2(b))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one-way current unit 212 is a component that limits the path of the leakage curr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leakage current flows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current detection unit 211, and is controlled to conduct only the curr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witch element; 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ode. In particular, when the one-way current unit 212 is composed of a diode, it may be in the form of a rectifier circuit composed of one or more diodes (Fig. 2 (a)), or may be composed of a bridge diode circuit (Fig. 2 (b)).

단방향 전류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장검출기(210)는, 직류전력선(410) 또는 교류전력선(510)에 설치되거나 중성점에 설치되어 누설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을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고장검출기(210)의 설치위치에 따라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The fault detector 210 configured to include the one-way current unit 212 is installed on the DC power line 410 or the AC power line 510 or installed at a neutral point to operate to identify a power line through which leakage current flows. Hereinafter, an operation of detecting and detecting leakage curren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ailure detector 210 will be described using drawings.

도 3은 직류회로에서 고장검출기(210)가 전력선에 결선되는 예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ault detector 210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in a DC circui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에서, 둘 이상의 전력선은, 직류전원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전원장치(100)에서 공급되거나, 발전된 직류전기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을 포함하고, 고장검출기(210)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210-1, 2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장검출기(210-1)와 직렬연결되어 제1 직류전력선(411)과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압강하부(220-1)와, 제2 고장검출기(210-2)와 직렬연결되어 제2 직류전력선(412)과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압강하부(2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power lin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100 to transmit DC electricity supplied from or generated by the DC power supply 100.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may be included, and the fault detector 21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210-1 and 210-2. In addition,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and the ground, and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oltage drop unit 220-2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and the ground.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은, 직류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으로서 제1 직류전력선(411)은 제1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직류전력선(412)에는 제2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극성은 직류전압의 양극이고 제2 극성은 직류전압의 음극일 수 있으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are power lines through which DC current flows. A voltage of a first polarity is applied to the first DC power line 411 and a voltage of a second polarity is applied to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may be authorized. Specifically, the first polarity may be the anode of the DC voltage and the second polarity may be the cathode of the DC voltage, but may be the opposite.

제1 및 제2 전압강하부(220-1, 220-2)는, 도통될 때 소정의 전압강하가 일어나는 구성으로서 저항 또는 제너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 3과 같은 구성에서 제1 및 제2 전압강하부(220-1, 220-2)는 제너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전압강하부(220-1)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과 제2 전압강하부(220-2)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의 합은 제1 및 제2 직렬전력선의 양단 전압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압강하부(220-1)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과 제2 전압강하부(220-2)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 각각은 제1 및 제2 직렬전력선의 양단 전압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rop units 220-1 and 220-2 are components in which a predetermined voltage drop occurs when they are conducted, and may be resistors or zener di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However,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rop units 220-1 and 220-2 are preferably Zener diodes. At this time, the sum of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and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second voltage drop unit 220-2 is greater than the voltage across the first and second series power lines. it is desirable In addition,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and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second voltage drop unit 220-2 are smaller than the voltages of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power lines. desirable.

제너다이오드 전압이 위와 같은 설정되면,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상태에서는 제너다이오드가 도통되지 아니하여 고장검출기(210-1, 210-2)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제너다이오드가 도통하여 고장검출기(210-1, 210-2)에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If the zener diode voltage is set as above, the zener diode does not conduct in the normal state where no leakage current occurs, so no current flows to the fault detectors 210-1 and 210-2, and in the situation where leakage current occurs, the zener diode does not conduct. The diode conducts and leakage current flows in the fault detectors 210-1 and 210-2.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직류전력선(411)에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 전압강하부(220-2)가 도통되어 제2 고장검출기(210-2)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제2 직류전력선(412)에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1 전압강하부(220-1)가 도통되어 제1 고장검출기(210-1)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전력선을 식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a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occurs i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the second voltage drop unit 220-2 conducts and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detects the leakage current, and 2 When a ground fault or leakage occurs in the DC power line 412,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conducts and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detects leakage current, thereby detecting the power line where the ground fault or leakage occurred. can be identified.

살펴본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통되는 전압 강하부에 따라 누설전류가 흐르는 고장검출기가 특정되기 때문에 도 3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장검출기(210-1, 210-2)는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한하는 단방향 전류부(212)를 생략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fault detectors 210-1 and 210-2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 It is possible to configure by omitting the one-way current unit 212 that limits the direction of the flowing current.

도 4는 직류회로에서 고장검출기가 중성점에 결선되는 예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ault detector is connected to a neutral point in a DC circuit.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 시스템은, 제1 직류전력선(411)과 제1 중성점(N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압강하부(220-1)와, 제2 직류전력선(412)과 제1 중성점(N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압강하부(2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의 구성에서는 제1 중성점(N1)이 제1 및 제2 전압강하부(220-1, 220-2)의 접속점으로 설정되며, 제1 중성점(N1)과 대지 사이에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210-1, 210-2)가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중성점(N1)은,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4(a), 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and the first neutral point N1. ) and a second voltage drop part 220-2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and the first neutral point N1. In the configuration of FIG. 4(a), the first neutral point N1 is set a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rop parts 220-1 and 220-2, and between the first neutral point N1 and the ground, a first and the second failure detectors 210-1 and 210-2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this time, the first neutral point N1 has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

여기에서,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210-1, 210-2)는, 제1 직류전력선(411)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제2 고장검출기(210-2)를 경유하고, 제2 직류전력선(412)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제1 고장검출기(210-1)를 경유하도록 고장검출기에 포함되는 단방향 전류부(212)의 전류의 도통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210-1 and 210-2 pass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and the ground via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and The conduction direction of the current of the one-way current unit 212 included in the fault detector may be set so that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DC power line 412 and the ground passes through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도 4(a)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압강하부(220-1, 220-2)는, 도통될 때 소정의 전압강하가 일어나는 구성으로서 저항 또는 제너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제1 및 제2 전압강하부(220-1, 220-2)가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전압강하부(220-1)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과 제2 전압강하부(220-2)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의 합은 제1 및 제2 직렬전력선의 양단 전압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압강하부(220-1)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과 제2 전압강하부(220-2)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 각각은 제 1 및 제2 직렬전력선의 양단 전압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mbodiment of FIG. 4(a),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rop units 220-1 and 220-2 may be resistors or zener di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no. If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rop units 220-1 and 220-2 are configured to include a zener diode,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and the second voltage drop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zener voltages of the zener diodes of the lower part 220-2 is greater than the voltages of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power lines. In addition,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and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second voltage drop unit 220-2 are smaller than the voltages of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ries power lines. desirable.

도 4(a)의 구성에서 제1 직류전력선(411)에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누설전류가 제2 전압강하부(220-2)를 거쳐 제2 고장검출기(210-2)에서 검출되고, 제2 직류전력선(412)에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누설전류가 제1 전압강하부(220-1)를 거쳐 제1 고장검출기(210-1)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검출신호가 어느 고장검출기에서 발생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전력선을 식별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4(a), when a ground fault or leakage occurs i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the leakage current is detected by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via the second voltage drop unit 220-2, and , When a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occurs i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since the leakage current is detected by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via the first voltage drop unit 220-1, the detection signal is sent to which fault detector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power line in which a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has occurred by confirming whether it has occurred in .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중성점(N1)은,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 사이에 직렬연결되는 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110) 사이의 접속점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고장검출기(210)는, 제1 중성점(N1)과 대지 사이에 병렬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210-1, 2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 직류전력선(411)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제2 고장검출기(210-2)를 경유하고, 제2 직류전력선(412)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1 고장검출기(210-1)를 경유하도록 고장검출기에 포함되는 단방향 전류부(212)의 전류의 도통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b), the first neutral point N1 is drawn from a connection point between two or more DC power modules 110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can At this time, the fault detector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210-1 and 210-2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neutral point N1 and the ground, and the first DC power line 411 ) and the ground through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and leakage current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and the ground through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The conduction direction of the current of the one-way current unit 212 included in may be set.

도 4(b)의 구성에서 제1 직류전력선(411)에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누설전류가 제2 고장검출기(210-2)에서 검출되고, 제2 직류전력선(412)에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누설전류가 제1 고장검출기(210-1)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검출신호가 어느 고장검출기에서 발생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지락 또는 누전이 발생한 전력선을 식별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4(b), when a ground fault or leakage occurs i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the leakage current is detected by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and the ground fault or leakage occurs i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When this occurs, since the leakage current is detected by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ower line where the ground fault or leakage occurred by checking which fault detector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도 5는 직류회로에서 고장검출기(210)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the fault detector 210 detects leakage current in a DC circuit.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이 도 4(a)의 구성을 가진 경우에 대하여 직류회로에서 고장검출기(210)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으나, 도 3 또는 도 4(b)의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In FIG. 5, the principle of detecting leakage current by the fault detector 210 in the DC circuit in the case where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of FIG. 4 (a) is explained, but FIG. 3 or 4 The same can be understood for the configuration of (b).

도 5에 따르면, 직류전력선(411, 412) 중에서 제1 직류전력선(411)에 누설전류1이 발생하면, 누설전류1은 도면에 도시된 실선을 따라 제2 고장검출기(210-2)로 흐르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직류전력선(411, 412) 중에서 제2 직류전력선(412)에 누설전류2가 발생하면, 누설전류2는 파선을 따라 제1 고장검출기(210-1)로 흐르는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누설전류1이 발생한 전력선에 대해서는 제2 고장검출기(210-2)가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누설전류1가 발생한 전력선에 대해서는 제1 고장검출기(210-1)가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을 식별하여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5, when leakage current 1 is generated i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among the DC power lines 411 and 412, the leakage current 1 flows to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along the solid line shown in the drawing. When a current path is formed and leakage current 2 is generated i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among the DC power lines 411 and 412, the leakage current 2 forms a current path flowing to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along the broken line. form Therefore,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outputs a detection signal for the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1 and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outputs a detection signal for the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1,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and detect a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이와 같이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을 식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만을 선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을 식별함으로써 빠른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하거나,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만을 차단한 후 이를 다른 전력선으로 대체하여 정전없이 보수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By identifying the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as described above,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cut off only the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it is possible to quickly solve the problem, or it is possible to perform repair work without power failure by replacing only the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after blocking only the power line with leakage current.

이를 위하여 직류전력선(411, 412)에는 누설전류가 발생한 선로에 대하여 차단 또는 스위칭 절환을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칭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a switching means capable of performing cut-off or switching conversion with respect to the line where the leakage current occurs may be installed in the DC power lines 411 and 412.

도 6은 직류전력선(411, 412)에 직류스위치(440)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은 직류전력선(411, 412)에 직류스위치(440) 및 보조전력선이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DC switches 440 are installed in DC power lines 411 and 412, and FIG. 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DC switches 440 and auxiliary power lines are installed in DC power lines 411 and 412. it is a drawin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제1 직류전력선(411)에 직렬로 설치되고 제2 고장검출기(210-2)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제1 직류전력선(411)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제1 직류스위치(441)와, 제2 직류전력선(412)에 직렬로 설치되고 제1 고장검출기(210-1)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제2 직류전력선(412)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제2 직류스위치(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고장검출기(210-1)는 제2 직류전력선(412)에 발생한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제2 고장검출기(210-2)는 제1 직류전력선(411)에 발생한 누설전류를 검출하도록 동작한다.Referring to FIG. 6,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series with the first DC power line 411 and interlocked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to the first DC power line ( 411) is installed in series with the first DC switch 441, which is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and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and is interlocked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to detect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DC switch 442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Here,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detects the leakage current generated i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and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detects the leakage current generated i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work to detect

도 6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직류스위치(441, 442)는,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 각각을 소정 구간 구획하도록 페어(pair)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설치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에 하나씩 설치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의 구성은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또는 화재의 방지를 위하여 누설전류의 차단이 주목적이다.According to FIG. 6, the first and second DC switches 441 and 442 are installed in pairs to part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into a predetermined sectio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one by one to block the power line in which leakage current occurs. The main purpose of the configuration of FIG. 6 is to block leakage current in order to prevent electric shock or fire caused by leakage current.

이에 더하여, 도 7에는 정전없이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된다.In addition to this, FIG. 7 presents a configuration capable of blocking leakage current without power failure.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에서는, 제1 및 제2 직류스위치(441, 442)가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 각각을 소정 구간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더 나아가 구획된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의 소정 구간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보조전력선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직류스위치(441, 442)는, 고장검출기(210-1, 210-2)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제1 직류전력선(411) 또는 제2 직류전력선(412)의 소정 구간을 차단하고, 하나 이상의 보조전력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the first and second DC switches 441 and 442 are arranged to divide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into predetermined sections, respectively. Furthermore, one or more auxiliary power lines may be further included to correspond to predetermined sections of the partitioned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 The first and second DC switches 441 and 442 interlock with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failure detectors 210-1 and 210-2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first DC power line 411 or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C power line 411 or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Block the section, and can be connected to any one of one or more auxiliary power lines.

만약, 제1 직류전력선(411)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제2 고장검출기(210-2)가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제2 고장검출기(210-2)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제1 직류스위치(441)는 제1 직류전력선(411)으로부터 제1 보조전력선으로 스위칭이 절환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누설전류가 제2 직류전력선(412)에서 발생하면, 제1 고장검출기(210-1)가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제1 고장검출기(210-1)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제2 직류스위치(442)는 제2 직류전력선(412)으로부터 제2 보조전력선으로 스위칭이 절환되도록 제어된다.If leakage current occurs in the first DC power line 411,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detects the leakage current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nd interlocks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fault detector 210-2. Thus, the first DC switch 441 is controlled to switch from the first DC power line 411 to the first auxiliary power line. In addition, when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detects the leakage current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nd interlocks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Thus, the second DC switch 442 is controlled to switch from the second DC power line 412 to the second auxiliary power line.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누설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 부하 측으로 통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를 교체하는 등 지락 또는 누전 문제를 안전하게 해결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even if a leakage current occurs, it is possible to safely solve a ground fault or leakage problem by replacing a power line in which leakage current occurs while maintaining an energized state to the load side without cutting off electricity.

도 7에서는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411, 412)에 대응하여 보조전력선이 2조로 구비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으나, 보조전력선을 1조만 설치하고 누설전류 발생 시에 제1 직류스위치(441) 또는 제2 직류스위치(442)가 보조전력선을 공통으로 이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FIG. 7,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sets of auxiliary power lines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411 and 412 is exemplified, but only one set of auxiliary power lines is installed and when a leakage current occurs, the first DC switch 441 Alternativel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DC switch 442 commonly uses the auxiliary power line is also possib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고장검출기(210)가 직류전원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직류전력선(410, 411, 412) 또는 제1 중성점(N1)과 대지 사이에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인버터(500), 및 인버터(500)의 후단에 구성되는 교류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장검출기(210)는 교류전기를 전송하는 교류전력선(510) 또는 교류전력선(510)의 중성점과 대지 사이에 설치되어 누설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in which the fault detecto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DC power lines 410, 411, and 41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100 or the first neutral point N1 and the ground has been described. ,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verter 500 and an AC circuit configured at a rear end of the inverter 500. At this time, the fault detector 21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AC power line 510 for transmitting AC electricity or the neutral point of the AC power line 510 and the ground to detect leakage curr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직류전력선(410, 411, 412)으로부터 직류전기를 공급받아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인버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500)의 후단에는 인버터(500)로부터 변환된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부하(700) 또는 전력계통(900)으로 전송하는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510)을 포함하는 교류회로가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그 반대의 경우인 교류회로에서 전력을 공급받은 정류기의 회로에서 적용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500 that receives DC electricity from DC power lines 410, 411, and 412 and converts it into AC electricity. In addition, an AC circuit including two or more AC power lines 510 receiving the AC electricity converted from the inverter 5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load 700 or the power system 900 may be configured at the rear end of the inverter 500. and vice versa, it is also applicable in circuits of rectifiers supplied with power from AC circuits.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나,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510), 및 제2 중성점(N2) 중 적어도 하나와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장검출기(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중성점(N2)은,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510)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중성점으로 정의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fault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510 and the second neutral point N2 and the grou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or 210. Here, the second neutral point N2 is defined as a neutral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wo or more AC power lines 510 .

특히, 고장검출기(210)가 교류전력선(510)과 대지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고장검출기(210)는, 누설전류를 소정의 위험전류 이하로 제한하고,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211) 외에 누설전류가 전류 검출부(211)를 단방향으로 흐르도록 누설전류의 경로를 소정의 방향으로 제한하는 단방향 전류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ault detector 210 is installed between the AC power line 510 and the ground, the fault detector 210 limits the leakage current to a predetermined dangerous current or less, detects the leakage current,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In addition to the current detection unit 211, a one-way current unit 212 may be further included to limit the path of the leakage curr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leakage current flows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current detection unit 211.

이와 같이 단방향 전류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장검출기(210)는, 교류전력선(510)에 설치되어 누설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을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누설전류가 발생한 교류전력선(510)에 대하여 고장검출기(210)가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누설전류가 발생한 교류전력선(510)을 식별하는 동작원리는 앞에서 직류전력선(410, 411, 412)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ault detector 210 configured to include the one-way current unit 212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on the AC power line 510 and operate to identify a power line through which leakage current flows.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fault detector 210 detecting the leakage current and identifying the AC power line 510 with the leakage current with respect to the AC power line 510 in which the leakage current occurred is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DC power lines 410, 411, and 412. Since it is similar to ,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교류전력선(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1차측과, 1차측과 절연되고 전력계통(9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차측을 구비한 절연변압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류전원장치(100)에서 발전된 직류전기가 인버터(500)에서 변환된 교류전기는 절연변압기(600) 를 통하여 전력계통(900)에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C power line 510 and a secondary side insulated from the primary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900. An isolation transformer 600 may be further included. A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DC power supply 100 and converted in the inverter 500 may be transmitted to the power system 900 through the isolation transformer 600 .

또한,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류전력선(510)의 단선 또는 교류전원의 결상 시에 해당 상의 전원을 복구하는 복구기(800)가 교류전력선(510)의 부하(700) 측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very device 800 for restoring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phase when the AC power line 510 is disconnected or the AC power phase is missing is the power of the AC power line 510. It may be included and configured on the load 700 side.

이때,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누설전류가 발생한 교류전력선(510)만을 선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차단되지 않은 교류전력선(510) 및 제2 중성점(N2)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구기(800)가 차단된 전력을 복구하여 부하(700) 또는 전력계통(90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blocks only the AC power line 510 in which the leakage current occurs, using the unblocked AC power line 510 and the second neutral point (N2)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recovery unit 800 to restore cut off power and supply it to the load 700 or the power system 900 .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제2 중성점(N2)에 연결되는 제3 중성점(N3)과,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510)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중성점(N3)에 공통연결되는 둘 이상의 권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권선 각각은, 다른 권선 중 어느 하나와 자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되, 둘 이상의 권선 중 적어도 하나의 권선은, 제3 중성점(N3)을 기준으로 나머지 권선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해서 역상의 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복구기(800)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In general, the restor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rd neutral point N3 connected to the second neutral point N2, one end connected to each of two or more AC power lines 5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or more windings that are commonly connected to. At this time, each of the two or more windings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winding portion that is magnetically coupled to any one of the other windings, but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windings has a third neutral point N3 as a referen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winding portion in which a voltage of the opposite phase is induced with respect to the voltage applied to each winding. 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restorer 800 will be described.

도 8은 인버터(500)의 출력인 단상 전원일 때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복구기(800)의 구성 및 벡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vector diagram of the restor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ble to single-phase power output of the inverter 500.

도 8(a)를 참조하면, 단상 전압(R1, R2)에 적용되는 복구기(800)는, 단상 전압(R1, R2)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3중성점(N3)에 공통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R1-N2, R2-N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권선(R1-N2, R2-N2)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중성점(N3)을 기준으로 서로 역상의 전압이 유기되도록 서로 자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따라서 단상 전압(R1, R2) 중 R1 또는 R2 측에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해당 선로(예컨대, R2)를 강제 차단하였을 때 나머지 정상 선로(예컨대, R1)와 제3 중성점(N3)을 이용하여 차단된 부분을 복구하여 정상 전압을 부하(700)에 공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restorer 800 applied to the single-phase voltages R1 and R2 has one end connected to each of the single-phase voltages R1 and R2 and the other end common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irst and second windings R1-N2 and R2-N2 connected thereto.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windings R1-N2 and R2-N2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voltages of opposite phase are induced with respect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as shown in FIG. 8(b). do. Therefore, when the leakage current occurs on the R1 or R2 side of the single-phase voltages (R1, R2) and the corresponding line (eg, R2) is forcibly cut off, the remaining normal line (eg, R1) and the third neutral point (N3) are cut off. A normal voltage may be supplied to the load 700 by restoring the damaged part.

본 발명의 단상용의 복구기(800)는, 일종의 단권변압기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제1 권선(R1-N2):제2 권선(R2-N2)의 권선비는 1:1인 경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다만, 제2 중성점(N2)을 기준으로 인버터(500)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비로 복구기(800)의 권선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ngle-phase recovery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ind of autotransformer structure, but the winding ratio of the first winding R1-N2 to the second winding R2-N2 is limited to the case of 1:1. It can be set up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your need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winding ratio of the recovery device 800 to the ratio of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inverter 500 based on the second neutral point N2.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삼상 전원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stor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three-phase power supply.

도 9는 인버터(500)의 출력인 삼상 전원일 때 적용가능한 복구기(80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벡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and a vector diagram of a restorer 800 applicable when the output of the inverter 500 is three-phase power.

도 9(a)를 참조하면, 삼상 전원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R, S 및 T상을 갖는 삼상의 전력에 대하여, R, S 및 T상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중성점(N3)에 공통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을 포함하되,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 각각은, 나머지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 각각에 대해서 제3 중성점(N3)을 기준으로 역상의 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the restor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ble to three-phase power, has one end connected to each of R, S, and T phases for three-phase power having R, S, and T phases, and It includes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whose other ends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and each of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is applied to the remaining winding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winding portion in which voltages of the opposite phase are induced,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for each voltage.

도 9(a)의 구성에 따르면, R상에 연결된 제1 권선(810)에는 3개의 커플링 권선부분이 구비되고, 각각의 커플링 권선부분에는 Rr, Rs 및 Rt 벡터를 갖는 전압이 유기된다. 또한, S상에 연결된 제2 권선(820)에는 3개의 커플링 권선부분이 구비되고, 각각의 커플링 권선부분에는 Ss, St 및 Sr 벡터를 갖는 전압이 유기된다. 또한, T상에 연결된 제3 권선(830)에는 3개의 커플링 권선부분이 구비되고, 각각의 커플링 권선부분에는 Tt, Tr 및 Ts 벡터를 갖는 전압이 유기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9 (a), the first winding 810 connected to the R phase is provided with three coupling winding parts, and voltages having Rr, Rs, and Rt vectors are induced in each coupling winding part . In addition, the second winding 820 connected to the S phase is provided with three coupling winding parts, and voltages having Ss, St, and Sr vectors are induced in each coupling winding part. In addition, three coupling winding parts are provided in the third winding 830 connected to phase T, and voltages having Tt, Tr, and Ts vectors are induced in each coupling winding part.

삼상 전원에서 R, S, T 각 벡터의 합은 0이므로 R, S, T상 전압 사이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In the three-phase power supply, since the sum of each vector of R, S, and T is 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 S, and T phase voltages is expressed as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삼상 전압이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 각각 인가 될 때, 제3 중성점(N3)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서 유기되는 전압은 각 권선에 구비된 커플링 권선부분에서 유기되는 전압의 합과 같으므로 이를 벡터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와 같다.When the three-phas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respectively, the voltages induced in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based on the third neutral point N3 are Since it is equal to the sum of the voltages induced in the coupling winding part provided in the winding, if it is expressed as a vector formula, it is as shown in Equations 2 to 4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4][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위의 수학식 1 내지 4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9(b)에는 유기되는 전압들의 벡터도가 도시되어 있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Equations 1 to 4 above, a vector diagram of induced voltages is shown in FIG. 9(b).

도 9(b)를 참조하면, 각 권선은, 제3 중성점(N3)을 기준으로 나머지 권선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해서 역상의 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권선(810)의 경우에는 Rs, Rt 벡터의 전압을 유기하는 커플링 권선부분은, 각각 S상 및 T상의 위상과 역상인 전압을 유기한다. 제2 권선(820)의 경우에는 Sr, St 벡터의 전압이 각각 R상 및 T상 전압의 위상과 역상이다. 또한, 제3 권선(830)의 경우에는 Tr, Ts 벡터의 전압이 각각 R상 및 S상 전압의 위상과 역상이다.Referring to FIG. 9(b) , each wind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winding portion in which a voltage of the opposite phase is induced with respect to a voltage applied to each of the remaining windings with respect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first winding 810, the coupling winding portion inducing the voltages of the Rs and Rt vectors induces voltages opposite to the phases of the S phase and the T phas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second winding 820, the voltages of the Sr and St vectors are opposite to the phases of the R-phase and T-phase voltages,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hird winding 830, the voltages of the Tr and Ts vectors are in opposite phases to the phases of the R-phase and S-phase voltages, respectively.

더 나아가, 제1 권선(810)의 커플링 권선부분 중 Rr 벡터의 전압을 유기하는 커플링 권선부분은, Tr의 커플링 권선부분 및 Sr의 커플링 권선부분과 역상의 전압을 유기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권선(820)에서 Ss 벡터는 Rs 및 Ts와 역상이고, 제3 권선(830)에서 Tt 벡터는 St 및 Rt 벡터와 역상이다. 커플링 권선부분에서 유기하는 전압들의 관계를 벡터식으로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 5 내지 7과 같다.Furthermore, among the coupling winding parts of the first winding 810, the coupling winding part inducing the voltage of the Rr vector induces a voltage in the opposite phase with the Tr coupling winding part and the Sr coupling winding part. Similarly, in the second winding 820, the Ss vector is in antiphase with Rs and Ts, and in the third winding 830, the Tt vector is in antiphase with the St and Rt ve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s induced in the coupling winding portion is summarized in a vector formula as shown in Equations 5 to 7 below.

[수학식 5][Equation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학식 6][Equation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수학식 7][Equation 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 인가되는 R, S, T 중에 어느 하나의 상이 접속불량 또는 단선 또는 기타 전기고장에 의하여 결상되더라도, 나머지 상에 의하여 결상된 상전압을 복구하여 부하(700)에 공급할 수 있고 복구된 전류를 검출하여 경보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In the restoration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ny one of R, S, and T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has a connection failure or disconnection or Even if a phase is lost due to other electrical failures, the phase voltage lost by the remaining phases can be restored and supplied to the load 700, and the restored current can be detected to alarm or cut off.

삼상 전압 R, S, T의 전력선이 복구기(800)의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상(예컨대, R상)이 전기고장에 의하여 단선/결상되었다고 가정하여 보자. 이때, 단선되지 않은 제2 권선(820) 및 제3 권선(830)에는 S 및 T상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있으므로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7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다만, 제1 권선(810)에는 R상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수학식 2는 유효하지 않고, 제1 권선(810)에는 수학식 8에서 정의되는 미지의 전압 X가 유기된다고 볼 수 있다.While the power lines of the three-phase voltages R, S, and T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of the restorer 800 and operate, any one phase (eg, R phase) is in electrical failure. Let's assume that it is disconnected/phased by At this time, since the S and T phases are normally applied to the second winding 820 and the third winding 830 that are not disconnected, the relational expressions of Equations 3 to 7 are satisfied. However, since the R phas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winding 810, Equation 2 is not vali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nknown voltage X defined in Equation 8 is induced in the first winding 810.

[수학식 8][Equation 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이하에서는, 결상된 제1 권선(810)에서 유기되는 미지의 전압 X가 결상된 R상을 복구하는지 여부를 수학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whether or not the unknown voltage X induced in the first winding 810 with phase loss restores the phase loss R is mathematically examined.

수학식 3과 4에 표현된 S, T를 수학식 5 내지 7을 이용하여 Rr, Rs, Rt에 관하여 정리하면 아래 수학식 9를 얻을 수 있다.By arranging S and T expressed in Equations 3 and 4 with respect to Rr, Rs, and Rt using Equations 5 to 7, Equation 9 below can be obtained.

[수학식 9][Equation 9]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또한, 복구기(800)의 모든 커플링 권선부분이 동일한 권선비를 갖도록 하면, 각 커플링 권선부분에서 유기되는 전압의 크기는 다음 수학식 10과 같이 서로 동일하다.In addition, if all coupling winding parts of the recovery device 800 have the same winding rati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duced in each coupling winding part is equal to each other as shown in Equation 10 below.

[수학식 10][Equation 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위의 수학식 10과 수학식 3 내지 7을 이용하여 Rs+Rt를 구하면 수학식 11을 얻을 수 있다.Equation 11 can be obtained by obtaining Rs + Rt using Equation 10 and Equations 3 to 7 above.

[수학식 11][Equation 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수학식 8에 수학식 9 및 11을 대입하고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R상이 결상되었던 제1 권선(810)에 유기되는 미지의 전압 X는 수학식 12와 같이 구해진다.Substituting Equations 9 and 11 into Equation 8 and arranging using Equation 1, the unknown voltage X induced in the first winding 810 where the R phase was lost is obtained as in Equation 12.

[수학식 12][Equation 1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수학식 12로부터,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제1 권선(810)에 인가되어야 할 R상이 결상되더라도, 제2 및 제3 권선(820, 830)에 인가되는 S 및 T상을 이용하여 제1 권선(810)에는 R상의 전압이 복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Equation 12, the restor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 and T phases applied to the second and third windings 820 and 830 even if the R phase to be applied to the first winding 810 is lost.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of the R phase is restored in the first winding 810.

이상에서는 복구기(800)의 제1 권선(810)에 R이 결상되었을 때를 예로 들었으나, 제2 및 제3 권선(820, 830)에 인가되는 S상 또는 T상에 결상이 발생할 때도 마찬가지의 원리로 전원이 복구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case where R is phase-lost in the first winding 810 of the recovery device 800 has been taken as an example, but the same applies when phase loss occurs in the S-phase or T-phase applied to the second and third windings 820 and 830. Power can be restored by the principle of

도 9에서는 복구기(800)의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이 각각 3개의 커플링 권선부분으로 구성된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 각각에 대해서 역상의 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9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of the restoration device 800 each consist of three coupling winding parts, but the restoration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is. No,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has a structure including a coupling winding portion in which a voltage of the opposite phase is induc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voltages applied to the remaining windings,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forms. can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도 9의 구성에서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 구비된 Rr, Ss 및 Tt에 대응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생략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학식 1 내지 12와 유사한 증명과정을 이용하면 이 구조에서도 결상된 권선에 전압이 정상적으로 복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estoration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upling windings corresponding to Rr, Ss, and Tt provided in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It may be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parts are omitted. Using a proof process similar to Equations 1 to 1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oltage is normally restored to the phase-phased winding in this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삼상 전원에 대하여 더욱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stor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impler structure for a three-phase power supply.

도 10은 인버터(500)의 출력인 삼상 전원일 때 적용가능한 복구기(800)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 및 벡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emplary configuration and a vector diagram of a restorer 800 applicable when three-phase power is output from the inverter 500.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R, S 및 T상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중성점(N3)에 공통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을 포함하되,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 중 하나의 권선은, 나머지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 각각에 대해서 제3 중성점(N3)을 기준으로 역상의 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a)의 복구기(800)에는 R상이 인가되는 제1 권선(810)에 Rs, Rt 벡터의 전압을 유기하는 커플링 권선이 구비되고, Rs 및 Rt는 제2 및 제3 권선(820, 830)의 S 및 T상에 대해서 각각 역상의 전압을 갖는다. 도 10(b)에는 이러한 관계를 도시한 벡터도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restoration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rst to third windings 8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each of the R, S, and T phase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in common. 820 and 830), but one winding of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has a negative-phase voltage with respect to the third neutral point N3 for each voltage applied to the remaining windings,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duced coupling winding part. In the recovery device 800 of FIG. 10 (a), a coupling winding inducing voltages of Rs and Rt vectors is provided in the first winding 810 to which the R phase is applied, and Rs and Rt are the second and third windings ( 820 and 830) have negative phase voltages for the S and T phases, respectively. 10(b) shows a vector diagram showing this relationship.

앞에서 도 9(a)의 구조를 갖는 복구기(800)가 결상된 상을 복구하는 원리를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듯이, 도 10(a)의 구조에 대해서도 비슷한 과정을 통하여 결상된 상의 복구 원리를 살펴볼 수 있다.As the principle of restoring the formed image of the restorer 800 having the structure of FIG. 9 (a) has been mathematically proven, the principle of restoring the formed image can be examined for the structure of FIG. 10 (a) through a similar process. there is.

삼상 전원에서 R, S, T 각 벡터의 합은 0이므로 R, S, T상 전압 사이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동일한 수학식 13을 얻을 수 있다.In the three-phase power supply, since the sum of each vector of R, S, and T is 0,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 S, and T phase voltages is expressed as an equation, Equation 13 identical to Equation 1 can be obtained.

[수학식 13][Equation 13]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제3 중성점(N3)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 걸리거나 유기되는 전압을 벡터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14 내지 수학식 16과 같다.The voltage applied to or induced in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based on the third neutral point N3 is expressed as a vector formula as shown in Equations 14 to 16 below.

[수학식 14][Equation 14]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수학식 15][Equation 15]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수학식 16][Equation 16]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위의 수학식 14 내지 16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0(b)에는 유기되는 전압들의 벡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권선(810)에서 Rs, Rt 벡터의 전압을 유기하는 커플링 권선부분은, 각각 S상 및 T상의 위상과 역상인 전압을 유기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Equations 14 to 16 above, a vector diagram of induced voltages is shown in FIG. 10(b). Referring to FIG. 10(b) ,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winding portion inducing the voltages of the Rs and Rt vectors in the first winding 810 induces voltages that are opposite to the phases of the S-phase and T-phase, respectively.

더 나아가, 제1 권선(810)의 커플링 권선부분 중 Rs 벡터의 전압을 유기하는 커플링 권선부분은 Ss의 커플링 권선부분과 역상의 전압을 유기시키고, Rt 벡터의 전압을 유기하는 커플링 권선부분은 Tt의 커플링 권선부분과 역상의 전압을 유기시킨다. 이와 같이 커플링 권선부분에서 유기하는 전압들의 관계를 벡터식으로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 17 및 수학식 18과 같다.Furthermore, among the coupling winding parts of the first winding 810, the coupling winding part inducing the voltage of the Rs vector induces the voltage of the opposite phase with the coupling winding part of Ss, and the coupling inducing the voltage of the Rt vector The winding part induces a voltage of the opposite phase with the coupling winding part of Tt. In this way,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s induced in the coupling winding part is arranged in a vector formula, the following Equations 17 and 18 are obtained.

[수학식 17][Equation 17]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수학식 18][Equation 18]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 인가되는 R, S, T 중에 어느 하나의 상이 단선 또는 기타 전기고장에 의하여 결상되더라도, 나머지 상에 의하여 결상된 상전압을 복구하여 부하(700)에 공급할 수 있다.In the restoration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ny one of R, S, and T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is disconnected or other electrical failure occurs. Even if a phase is lost by ,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phase voltage lost by the remaining phases and supply it to the load 700 .

삼상 전압 R, S, T의 전력선이 복구기(800)의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상(예컨대, R상)이 전기고장에 의하여 단선/결상되었다고 가정하여 보자. 이때, 단선되지 않은 제2 권선(820) 및 제3 권선(830)에는 S 및 T상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고 있으므로 수학식 15 내지 수학식 18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다만, 제1 권선(810)에는 R상이 결상되었으므로 수학식 14는 유효하지 않고, 제1 권선(810)에는 수학식 19에서 정의되는 미지의 전압 Xr이 유기된다고 볼 수 있다.While the power lines of the three-phase voltages R, S, and T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of the restorer 800 and operate, one phase (eg, R phase) is in electrical failure. Let's assume that it is disconnected/phased by At this time, since the S and T phases are normally applied to the second winding 820 and the third winding 830 that are not disconnected, the relational expressions of Equations 15 to 18 are established. However, since the R phase is lost in the first winding 810, Equation 14 is not vali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nknown voltage Xr defined in Equation 19 is induced in the first winding 810.

[수학식 19][Equation 19]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수학식 19에 수학식 17 및 18을 대입하고 수학식 13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R상이 결상되었던 제1 권선(810)에 유기되는 미지의 전압 Xr은 수학식 20과 같이 구해진다.Substituting Equations 17 and 18 into Equation 19 and rearranging using Equation 13, the unknown voltage Xr induced in the first winding 810 where the R phase was lost is obtained as in Equation 20.

[수학식 20][Equation 20]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이와 유사하게, 제2 권선(820) 또는 제3 권선(830)에 제S상 또는 T상이 결상된 경우도 다음 수학식 21 및 22와 같이 구해진다.Similarly, when the S phase or the T phase is lost in the second winding 820 or the third winding 830, it is obtained as in Equations 21 and 22 below.

[수학식 21][Equation 21]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수학식 22][Equation 22]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수학식 20 내지 22로부터, 도 10(a)에 도시된 구조의 복구기(800)는,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 중 어느 하나의 권선에 결상 또는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도 10(b)의 벡터도와 같이 나머지 권선들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결상된 전압을 복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복구기(800)는, 자기 커플링을 위한 자기코어가 3개가 아닌 2개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권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시에 공정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From Equations 20 to 22, the restorer 800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10 (a) is capable of handling even if phase loss or disconnection occurs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As shown in the vector diagram of 10(b), it can be seen that the phase loss voltage is restored us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maining windings. In particular, the restorer 800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10 can be composed of only two magnetic cores for magnetic coupling instead of three, and has a simple winding structure to reduc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costs. There are advantages.

본 발명의 복구기(800)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내지 제3 권선(810, 820, 830)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 각각에 대해서 역상의 전압이 각각 유기되는 커플링 권선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recovery device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windings 810, 820, and 830 has a negative phase voltage with respect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maining windings.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structure includes each organic coupling winding part.

도 11은 본 발명의 인버터(500) 후단에 구성된 교류회로에 고장검출기(210)와 복구기(800)가 동시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결선도이다.11 is a wiring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ault detector 210 and the recovery device 800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AC circuit configured at the rear end of the invert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511, 512), 및 제2 중성점(N2) 중 적어도 하나와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장검출기(210)와,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511, 512) 각각에 직렬로 설치되어 고장검출기(210)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교류전력선(511, 512)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둘 이상의 교류차단기(521, 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fault detector 210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t least one of two or more AC power lines 511 and 512 and a second neutral point N2 and the ground, and two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wo or more AC breakers 521 and 522 installed in series on each of the above AC power lines 511 and 512 and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AC power lines 511 and 512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210 It can be.

교류차단기(521, 522)는, 교류전력선(511, 512)에 하나씩 설치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한 전력선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나, 교류전력선(511, 512) 각각을 소정 구간 구획하도록 교류전력선(511, 512) 각각에 페어(pair)로 설치되어 고장검출기(210)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한 구간을 선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AC circuit breakers 521 and 522 are installed on the AC power lines 511 and 512 one by one to block the supply of power to the power line where the leakage current occurs, but the AC power lines 511 and 512 are divided into predetermined sections, respectively. (511, 512) are installed in pairs, respectively, and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210, the section where the leakage current occurs can be separated from the line.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인버터(500)로부터 단상 전압(R1, R2)이 인가된 제1 및 제2 교류전력선(511, 512) 및 제2 중성점(N2)의 부하(700)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구기(800)와, 단상 전압(R1, R2)의 R2상 및 R1상과 대지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210-1, 210-2)와, 단상 전압(R1, R2)의 전원 측과 부하(700) 측에 구비되어 교류전력선(511, 512)을 소정 구간으로 구획하는 제1 및 제2 교류차단기(521, 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누설전류 등의 전기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동작 상태에서는 단상 전압(R1, R2)에 의한 전압 Vac가 부하(700) 및 복구기(800)에 인가되어 부하(700)가 정상동작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AC power lines 511 and 512 to which single-phase voltages R1 and R2 are applied from the inverter 500 and a second neutral point ( The recovery device 8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700 side of N2, and th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210-1 connected between the R2 and R1 phases of the single-phase voltages R1 and R2 and the ground, respectively. , 210-2) and the first and second AC breakers 521 and 522 provided on the power side and the load 700 side of the single-phase voltages R1 and R2 to divide the AC power lines 511 and 512 into predetermined sections. ). Therefore, in a normal operating state where electrical failure such as leakage current does not occur, the voltage Vac by the single-phase voltages R1 and R2 is applied to the load 700 and the restorer 800 so that the load 700 can operate normally. can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교류차단기(522)에 의하여 구획된 R2상의 선로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R1상에 접속된 제1 고장검출기(210-1)에 의하여 누설전류가 검출되고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출력된 제 1 고장검출기(210-1)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제2 교류차단기(522)는 누설전류가 발생한 R2상 선로의 소정 구간을 차단하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11, when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in the line of phase R2 partitioned by the second AC breaker 522, the leakage current is detected by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connected to phase R1. It is detected and a detection signal is output. In addition, the second AC circuit breaker 522 blocks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2 phase line where the leakage current occurs in association with the outpu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누설전류 때문에 R2상이 차단되더라도 차단되지 않은 R1상 및 제2 중성점(N2)에 의하여 복구기(800)의 R1 단자 및 제3 중성점(N3)에는 1/2Vac가 인가되고, 앞에서 설명한 복구기(800)의 복구 원리에 의하여 복구기(800)의 R2 단자 및 제3 중성점(N3) 사이에는 1/2Vac가 유기되어 복구된다. 따라서, 누설전류에 의하여 R2상이 차단되더라도 복구기(800)에 의하여 부하(700)는 Vac를 계속 공급받아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Even if the R2 phase is blocked due to leakage current, 1/2Vac is applied to the R1 terminal and the third neutral point (N3) of the restorer 800 by the unblocked R1 phase and the second neutral point (N2), and the previously described restorer (800 ), 1/2Vac is induced and restored between the R2 terminal of the restorer 800 and the third neutral point N3. Therefore, even if phase R2 is cut off due to leakage current, the load 700 can continue to receive Vac by the recovery device 800 and operate normally.

도 11에서는 R2상의 선로에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R1상에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유사한 검출, 차단 및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1 shows the case where leakage current occurs in the line of phase R2, but even if leakage current occurs in phase R1,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imilar detection, blocking, and recovery operations.

도 11에서는 인버터(500) 후단의 교류회로에 복구기(800)만 적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력계통(900)에 연계하기 위하여 교류회로에 절연변압기(60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11, an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recovery device 800 is applied to the AC circuit at the rear of the inverter 500 is shown, but in addition or alternatively, an isolation transformer 600 is applied to the AC circuit in order to connect to the power system 900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도 12는 교류회로에 절연변압기(600)와 복구기(800)가 동시에 적용된 예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solation transformer 600 and the recovery device 800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an AC circuit.

교류회로에는 복구기(800)와 절연변압기(600)가 별도로 구비 될 수 있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기(800)가 절연변압기(6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C circuit may include the recovery device 800 and the isolation transformer 600 separately, but as shown in FIG. 12, the recovery device 800 may also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solation transformer 600.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교류차단기(522)에 의하여 구획된 R2상의 선로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R1상에 접속된 제1 고장검출기(210-1)에 의하여 누설전류가 검출되고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출력된 제1 고장검출기(210-1)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제2 교류차단기(522)는 누설전류가 발생한 R2상 선로의 소정 구간을 차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2, when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in the line of phase R2 partitioned by the second AC breaker 522, the leakage current is detected by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connected to phase R1 and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s output.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utput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fault detector 210-1, the second AC circuit breaker 522 cuts off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2 phase line where the leakage current occurs.

누설전류 때문에 R2상이 차단되더라도 차단되지 않은 R1상 및 제2 중성점(N2)에 의하여 복구기(800)의 R1 단자 및 제3 중성점(N3)에는 1/2Vac가 인가되고, 앞에서 설명한 복구기(800)의 복구 원리에 의하여 복구기(800)의 R2 단자 및 제3 중성점(N3) 사이에는 1/2Vac가 유기되어 복구된다. 따라서, 누설전류에 의하여 R2상이 차단되더라도 복구기(800)에 의하여 부하(700)는 Vac를 계속 공급받아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복구기(800)의 2차 측에도 Vac 전압이 유기되므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발전된 교류전력을 정상적으로 전력계통(900)에 연계시켜 전송할 수 있다.Even if the R2 phase is blocked due to leakage current, 1/2Vac is applied to the R1 terminal and the third neutral point (N3) of the restorer 800 by the unblocked R1 phase and the second neutral point (N2), and the previously described restorer (800 ), 1/2Vac is induced and restored between the R2 terminal of the restorer 800 and the third neutral point N3. Therefore, even if phase R2 is cut off due to leakage current, the load 700 can continue to receive Vac by the recovery device 800 and operate normally. In addition, since the Vac voltage is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restorer 800, the AC power generated i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ormally linked to the power system 900 and transmitted.

도 12에서는 R2상의 선로에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R1상에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유사한 검출, 차단, 복구 및 계통연계를 수행할 수 있다.12 shows the case where leakage current occurs in the line of phase R2, but even in the case where leakage current occurs in phase R1,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imilar detection, blocking, recovery, and grid connection. .

이상에서는 인버터(500)의 교류출력이 단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삼상을 포함한 다상 교류출력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고장검출기(210), 복구기(800) 및 절연변압기(600)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누설 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AC output of the inverter 500 is single-phas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fault detector 210, the recovery unit 800, and the isolation transformer 600 are combined in the same manner for multi-phase AC output including three phases.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에서 연결된 부하선로의 단자대가 침수되었을 때의 도면이다.13 is a view when the terminal block of the load line connected i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bmerged.

도 13에 도시된 단자대는 전원인 전력선(R1, R2)과 제1 중성점(N1)과 대지와 연결된 접지(E)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자대가 물속에 침수되면 선로인 전력선 R1의 전류 경로는 전력선 R1에서 단자대가 침수된 물을 통해 제1 중성점(N1)으로 흐르는 전류 경로와 전력선 R1에서 전력선 R2로 흐르는 전류 경로 이 두 가지의 경우가 있으며,The terminal block shown in FIG. 13 is connected to power lines R1 and R2, which are power sources, and a first neutral point N1 and a ground E connected to the ground. When the terminal block is submerged in water, the current path of the power line R1, which is a line, is a current path flowing from the power line R1 to the first neutral point (N1) through the submerged water of the terminal block, and a current path flowing from the power line R1 to the power line R2. There is

또한 전력선 R2의 전류 경로는 전력선 R2에서 단자대가 침수된 물을 통해 제1 중성점(N1)으로 흐르는 첫 번째의 전류 경로와 전력선 R2에서 전력선 R1으로 흐르는 두 번째의 전류 경로 이 두 가지의 경우가 있다. 여기서 첫 번째 경우의 전류 경로보다 전원과의 전류 경로가 없는 단자대 외부의 물(액체)과 대지에는 전류가 직접 흐르지 못하고 대지에 접지되어 제1 중성점에 연결되거나 전력선에 연결된 고장검출기를 통해서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단자대 외부의 물에 인체가 닿거나 인체가 대지에 닿더라도 인체로 흐르는 전류는 고장검출기가 작동할 때 흐르는 전류 이하만 흐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urrent path of the power line R2 has two cases: the first current path flowing from the power line R2 to the first neutral point (N1) through the water submerged in the terminal block, and the second current path flowing from the power line R2 to the power line R1. . Here, the current does not directly flow to the water (liquid) and ground outside the terminal block that have no current path with the power source than the current path in the first case, and the current path is grounded to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first neutral point or through the fault detector connected to the power line. Since it is bound to be formed, even if the human body touches the water outside the terminal block or the human body touches the grou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uman body can flow only less than the current flowing when the fault detector operates.

또한 두 번째 전류 경로인 전력선 R1에서 물을 통해 전력선 R2로 흐르는 경우의 전류 값은 단자대가 침수된 액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바닷물의 저항 값은 약 1KΩ이고 물의 저항 값은 약 5KΩ이라고 가정하고 공급전원이 220V일 때의 침수된 단자대의 전력선 R1에서 전력선 R2로 흐르는 전류 값은 바닷물 일 때 I=V/R, I=1,000R/220V= 220mA의 전류가 전력선 R1에서 전력선 R2로 흐르게 되고 침수된 단자대가 물일 때 흐르는 전류 값은 I=5,000R/220V= 44mA의 전류가 전력선 R1에서 전력선 R2로 흐르게 된다. 아울러 전력선 R2의 전류 경로는 전력선 R1의 전류 경로와 유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urrent value when flowing from the power line R1, which is the second current path, to the power line R2 through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liquid into which the terminal block is immers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seawater is about 1KΩ and the resistance value of water is about 5KΩ, the current value flowing from power line R1 to power line R2 of the submerged terminal block when the supply power is 220V is I=V/R, A current of I=1,000R/220V= 220mA flows from power line R1 to power line R2, and the value of current flowing when the submerged terminal block is water is that a current of I=5,000R/220V= 44mA flows from power line R1 to power line R2.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path of the power line R2 is similar to that of the power line R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전원과 대지와의 전류 경로상에 있는 고장검출기를 무접점릴레이(SSR)로 구성 하였다고 가정하면 전원에서 고장검출기를 통해 대지로 흐르는 전류 값은 8mA이하로 제한이 가능하다. 이때 침수된 전력선 R1과 전력선 R2 사이에 인체가 닿거나 전력선 R1과 전력선 R2에 인체가 직접 닿으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R1과 전력선 R2 사이의 도체 단자의 간격을 최대한 가깝게 하고 도체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체로 케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력선 R2의 전류 경로의 경우는 전력선 R1의 전류 경로의 경우와 유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충: 전력선을 교류로 표시하였으나, 직류계통 일 때는 전력선 R1은 (+전력선) 제1 중성점(N1)은 (0V전력선) 전력선 R2는 (-전력선)으로 생각하면 된다.)Here, assuming that the fault detector on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ground is composed of a solid-state relay (SSR), the current value flowing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ground through the fault detector can be limited to 8mA or less. At this time, if the human body touches between the submerged power line R1 and power line R2 or if the human body directly touches power line R1 and power line R2,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It is preferable to encase with an insulator so that it does not become.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path of the power line R2 is similar to that of the current path of the power line R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upplement: The power line is indicated as AC, but when it is a DC system, power line R1 is (+ power line) and the first neutral point (N1) is (0V power line). Power line R2 is (-power line).)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은, 정류기, 태양광 등 다양한 배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직류 또는 교류를 전송하는 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를 제한시켜 검출하고 누설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누설전류로 인한 전기사고(지락, 누전, 감전, 화재, 정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limits and detects leakage current between the ground and a power line that transmits DC or AC constituting various distribution systems such as rectifiers and solar power, and blocks leakage current.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accidents (ground fault, short circuit, electric shock, fire, blackout, etc.) due to leakage curr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초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직류전원장치 110: 직류전원 모듈
210, 210-1, 210-2: 고장검출기
211: 전류 검출부 212: 단방향 전류부
220, 220-1, 220-2: 전압강하부
300: 제어기 400: 접속반
410, 411, 412: 직류전력선 420: 직류차단기
430: 집속부 440, 441, 442: 직류스위치
500: 인버터 510, 511, 512: 교류전력선
521, 522: 교류차단기 600: 절연변압기
700: 부하 800: 복구기
810~830: 제1 내지 제3 권선 900: 전력계통
N1~N3: 제1 내지 제3 중성점 R1, R2: 단상 전압
100: DC power supply 110: DC power module
210, 210-1, 210-2: fault detector
211: current detection unit 212: one-way current unit
220, 220-1, 220-2: voltage drop unit
300: controller 400: connection panel
410, 411, 412: DC power line 420: DC circuit breaker
430: focusing unit 440, 441, 442: DC switch
500: Inverter 510, 511, 512: AC power line
521, 522: AC circuit breaker 600: isolation transformer
700: load 800: restorer
810 to 830: first to third windings 900: power system
N1 to N3: first to third neutral points R1, R2: single-phase voltage

Claims (19)

하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이 배열된 직류전원장치;
상기 직류전원장치에서 공급된 전기를 부하 또는 전력계통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직류전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지로부터 소정의 접지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으로 절연된 둘 이상의 전력선; 및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중성점과 상기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검출기는, 상기 전력선에서 상기 대지로 흐르는 누설전류가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전류 경로로부터 상기 누설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 DC power supply in which one or more DC power modules are arranged;
two or more power lin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to transmit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to a load or a power system and insulated from the ground with a resistan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grounding resistance; and
One or more fault detector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ny one of the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he ground, o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neutral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voltages of the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he ground,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ault detector is configured to form a current path through which the leakage current flowing from the power line to the ground flows, and to detect the leakage current from the current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은,
상기 직류전원장치에서 공급되거나, 발전된 전기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중성점은,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제1 중성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wo or more power lin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supplied or generated by the DC power supply,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neutral point includes a first neutral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직류전기를 공급받아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전력선은,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부하 또는 전력계통으로 전송하는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성점은,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의 전압 사이의 전위를 갖는 제2 중성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verter receiving the DC electricity from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and converting it to AC electricity,
The two or more power lines further include two or more AC power lines for receiving the AC electricity from the invert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load or power system,
The neutral point includes a second neutral point having a potential between the voltages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기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장검출기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압강하부; 및
상기 제2 고장검출기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압강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failure dete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failure detectors,
a first voltage drop uni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fault dete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ground; and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voltage drop portion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fault dete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the gr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중성점과 대지 사이에 병렬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제1 중성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압강하부; 및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제1 중성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압강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2 고장검출기를 경유하고,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1 고장검출기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fault dete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neutral point and ground,
a first voltage drop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a first neutral poin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voltage drop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the first neutral point,
In th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leakage current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grou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ault detector, and leakage current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ground passes through the first fault detector.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중성점과 대지 사이에 병렬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성점은,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 사이에 직렬연결되는 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 사이에서 인출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장검출기는, 상기 제1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2 고장검출기를 경유하고, 상기 제2 직류전력선과 대지 사이의 누설전류는 상기 제1 고장검출기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fault dete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neutral point and ground,
The first neutral point is drawn between two or more DC power module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In the first and second fault detectors, leakage current between the first DC power line and grou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ault detector, and leakage current between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ground passes through the first fault detector.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강하부는, 제너다이오드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전압강하부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과 상기 제2 전압강하부의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의 합은 상기 제1 및 제2 직렬전력선 사이의 전압보다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rop units each include a zener diode,
A leakage current limiting direct current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first voltage drop part and the zener voltage of the zener diode of the second voltage drop part is greater than the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ries power l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기 각각은,
상기 누설전류를 소정의 위험전류 이하로 제한하고, 상기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ault detectors,
and a current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limit the leakage current to a predetermined dangerous current or less, detect the leakage current, and output the detec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기 각각은,
상기 누설전류가 상기 전류 검출부를 단방향으로 흐르도록 누설전류의 경로를 제한하는 단방향 전류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ault detectors,
and a one-way current unit limiting a path of the leakage current so that the leakage current flows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current detec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장치에는 직류전원 모듈이 하나 이상 배열되고,
상기 직류전원 모듈은 충전지, 컨버터, 태양전지 모듈 중에 어느 하나이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직류전원장치에 배열될 때는 발전된 전류를 집속하는 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One or more DC power modules are arranged in the DC power supply,
The DC power module is any one of a rechargeable battery, a converter, and a solar cell module,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cusing unit for focusing the generated current when the solar cell module is arranged in the DC power supp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집속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직류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C circuit breaker disposed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concentrating unit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in conjunction with a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류전력선에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제1 직류전력선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제1 직류스위치; 및
상기 제2 직류전력선에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직류전력선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제2 직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DC switch installed in series with the first DC power line and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C power line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and
and a second DC switch installed in series with the second DC power line and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DC power line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직류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 각각을 소정 구간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획된 제1 및 제2 직류전력선의 소정 구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전력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직류스위치는,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제1 직류전력선 또는 제2 직류전력선의 상기 소정 구간을 차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전력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and second DC switches are arranged to divid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into a predetermined section,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auxiliary power lines arrang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artitioned first and second DC power lines,
The first and second DC switches block the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first DC power line or the second DC power line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and ar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auxiliary power lines. Characterized by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1차측과, 상기 1차측과 절연되고 상기 전력계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차측을 구비한 절연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 power line and a secondary sid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primary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장검출기는,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 및 상기 제2 중성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대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 각각에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교류전력선을 개폐하도록 제어되는 둘 이상의 교류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one or more fault dete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and the second neutral point and the ground,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wo or more AC circuit breakers installed in series on each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and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e AC power lines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교류차단기 각각은, 상기 둘 이상의 교류전력선 각각을 소정구간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장검출기의 검출신호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교류 전력선의 상기 소정 구간을 차단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Each of the two or more AC circuit breakers is arranged to divide each of the two or more AC power lines into a predetermined section, and is controlled to block the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AC power line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ault detector. Limited DC distribution syste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력선의 부하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력선의 접속 불량 또는 단선 또는 결상 시에 해당 상의 전원을 복구하거나, 경보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복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covery devic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side of the AC power line and restores, alarms or blocks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phase in case of connection failure or disconnection or phase loss of the AC power line. .
전원측에 하나 이상의 직류전원 모듈로 구성되는 직류전원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직류전원장치의 출력단자 또는 중성단자에 제1 고장검출기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고장검출기의 타단을 대지 또는 접지단자에 접속연결하는 단계;
둘 이상의 전력선을 설치하고, 그 일단을 상기 출력단자 또는 상기 중성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선의 타단을 부하 또는 인버터에 접속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의 공사방법.
Installing a DC power supply consisting of one or more DC power modules on the power side;
electrically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fault detector to an output terminal or a neutral terminal of the DC power supp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fault detector to the ground or a ground terminal;
Installing two or more power lin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one end to the output terminal or the neutral termina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leakage current limiting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power line to a load or an inverter and supplying pow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장검출기, 복구기, 교류 전력선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고장검출기의 일단, 상기 복구기의 일단과 교류 전력선의 일단을 각각 접속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고장검출기의 타단을 대지 또는 접지단자에 접속연결하는 단계; 및
전력계통 연결용 변압기를 설치하여 상기 교류 전력선의 타단에 접속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제한 직류 배전시스템의 공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18,
Installing a second fault detector, a recovery device, and an AC power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connecting one end of the second failure detector, one end of the recovery device, and one end of an AC power line, respective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ault detector to the ground or a ground termina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leakage current limiting DC distribu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power system connection transformer and connecting to the other end of the AC power line.
KR1020230020786A 2020-06-29 2023-02-16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KR202300287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786A KR20230028738A (en) 2020-06-29 2023-02-16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519A KR20220001310A (en) 2020-06-29 2020-06-29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0230020786A KR20230028738A (en) 2020-06-29 2023-02-16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519A Division KR20220001310A (en) 2020-06-29 2020-06-29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738A true KR20230028738A (en) 2023-03-02

Family

ID=793490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519A KR20220001310A (en) 2020-06-29 2020-06-29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0230020786A KR20230028738A (en) 2020-06-29 2023-02-16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519A KR20220001310A (en) 2020-06-29 2020-06-29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0131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929B1 (en) 2022-11-24 2023-08-31 김영화 Electrical safety connector with leakage current redu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10A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7160B2 (en) Bipolar DC to AC power converter with DC ground fault interrupt
Tumilty et al. Approaches to network protection for inverter dominated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RU2397591C2 (en) Transmission system
RU2396664C2 (en) Converting substation
Prasai et al. Protection of meshed microgrids with communication overlay
EP2912752B1 (en) Ups systems and methods using mode-dependent grounding
KR20100039382A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photovoltaic arrays
KR1021692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e to electric failure
KR20220056052A (en) Basic protection, fault protection and/or additional protection devices to against electric shock
JP5971716B2 (en) Distribution board and distributed power supply system
KR20230028738A (en) Leakage current limit DC distribu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JP2013009482A (en) Electricity distribution system
CN105075048B (en) System protection device, circuit switching device and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WO2014153729A1 (en) Bipolar high/low voltage converter station for series mtdc system
CN208190233U (en) Landing stage three-phase four-wire system power distribution system secure protective device
KR102219474B1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out electric shock
EP3989394A1 (en) Split-bus electrical panel with homeowner selectable partial or full back-up from pv/battery systems
EP3989393A1 (en) Patch panel for programming a split bus electrical panel for partial or full backup with pv and battery systems
Bui et al. A generalised fault protection structure for unigrounded low-voltage AC microgrids
KR20220056064A (en) Power supply system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to prevent electric breakdown accidents (electric leakage, flooding, surge, electric shock, fire, power outage, etc.)
KR20220056319A (en) Temporary distribution board to prevent electric shock and fire
KR20220056060A (en) Automatic control panel for preventing electric leakage, fire, and power failure caused by short circuit, ground fault, and surge
US20230170686A1 (en) Device,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in case of short circuit and ground fault
GB2586343A (en) Power electronic converter with a ground fault detection unit that shares a common ground with both DC ports and AC ports
JP2008104262A (en) Islanding pevention for apparatus distributed pow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