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980A - Soft switching converter - Google Patents

Soft switching co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980A
KR20210063980A KR1020190152743A KR20190152743A KR20210063980A KR 20210063980 A KR20210063980 A KR 20210063980A KR 1020190152743 A KR1020190152743 A KR 1020190152743A KR 20190152743 A KR20190152743 A KR 20190152743A KR 20210063980 A KR20210063980 A KR 2021006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ransformer
soft switching
converte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9733B1 (en
Inventor
최세완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733B1/en
Publication of KR2021006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9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t least two simultaneously operating switches on the input side, e.g. "double forward" or "double (switched) flyback"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 soft switching converter is disclose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by applying a soft switching method of a soft switching converter equipped with a serial input stage and a parallel output stage, the voltage rating of a transformer primary switching element can be determined to be half that of input power, current rating can be reduced by interleaving DC blocking capacitors, and the number of capacitors can be reduced and by designing a ZVS current of a switch by using the resonance of a leakage inductor and a DC blocking capacitor, a ZVS turn-on operation of the switch is possible regardless of input voltage and load changes so as to reduce the switching loss of the switch.

Description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SOFT SWITCHING CONVERTER}Soft Switching Converter {SOFT SWITCHING CONVERTER}

본 발명은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렬 입력단과 병렬 출력단으로 구비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에 있어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스위치의 전압 정격을 입력 전원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변압기 2차측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인터리빙함에 따라, 캐패시터의 전류 정격을 줄일 수 있으며, 공진을 이용하여 스위칭 손실을 감소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ft switching converter, and more particularly, in a soft switching converter having a series input terminal and a parallel output terminal, the voltage rating of the switch of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can be reduced to half that of the input pow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a current rating of a capacitor by interleaving the capacitor and reducing switching loss by using resonance.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s, EVs),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Hybrid Eelctric Vehicles, HEVs)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 사용되는 저전압 배터리 충전기(Low-voltage DC-DC Converter, LDC)는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 전장시스템에 전력을 공 급하는 저전압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중요 부품이다.Low-voltage DC-DC Converters (LDCs) used in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provide power from high-voltage batteries to in-vehicle electronic systems. It is an important part that charges the low-voltage auxiliary battery that supplies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간 단축과 일 회 충전에 따른 주행거리 연장을 위해 배터리의 용량 증대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In order to shorten the charging time of an electric vehicle and extend the mileage according to a single charge, the need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increasing.

최근에는 800V 배터리 팩을 갖는 전기자동차가 출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800V/14V LDC 토폴로지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Recently, electric vehicles with 800V battery packs have been released,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800V/14V LDC topology research is emerging.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현재 400V 배터리 팩이 탑재된 전기자동차용 400V/14V LDC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토폴로지는 추가회로 없이 ZVS(Zero Voltage Switch) 턴 온을 성취할 수 있는 위상 천이 풀브리지 컨버터(Phase Shift Full Bridge, PSFB)이다. In response to this need, the most commonly used topology for 400V/14V LDCs for electric vehicles equipped with 400V battery packs is a Phase Shift Full-bridge converter that can achieve ZVS (Zero Voltage Switch) turn-on without additional circuitry. Bridge, PSFB).

하지만 800V 배터리 팩이 탑재된 전기 자동차용 LDC에 PSFB를 적용할 경우에 스위치의 전압정격이 입력전압인 800V가 되므로 1000V 이상의 전압정격을 갖는 스위치를 사용해야 하고, 이에 적절한 MOSFET 선정에 어려움이 있다. However, when PSFB is applied to the LDC for electric vehicles equipped with an 800V battery pack, the voltage rating of the switch becomes 800V, which is the input voltage, so a switch with a voltage rating of 1000V or higher must be used,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appropriate MOSFET.

일반적인 PSFB는 경 부하시 소프트 스위칭이 실패되거나 입력전압이 증가할수록 높은 부하에서도 소프트 스위칭을 실패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의 자화전류의 오프셋을 0으로 보장하기 위한 큰 용량의 DC 블로킹 커패시터가 변압기의 일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계에 도달하였다.In general PSFB, soft switching may fail at light load or soft switching may fail even at high load as the input voltage increases. In addition, a large-capacity DC blocking capacitor to ensure the offset of the magnetizing current of the transformer is 0 has reached the limit of being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transformer.

이에 본 출원인은 낮은 스위치 전압정격과 넓은 입력전압 범위를 갖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제안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a soft switching converter having a low switch voltage rating and a wide input voltage range.

본 발명은 직렬 입력단과 병렬 출력단으로 구비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에 있어 1차측 스위치 레그를 직렬 연결함에 따라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다수의 스위치의 전압 정격을 입력 전원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변압기 2차측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인터리빙함에 따라 캐패시터의 전류 정격을 줄일 수 있으며, 공진을 이용하여 다수의 스위치의 스위칭 손실을 감소할 수 있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oft switching converter having a series input terminal and a parallel output terminal, the voltage rating of a plurality of switches of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can be reduced to half of the input power by connecting the primary side switch legs in series, and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ft switching converter capable of reducing the current rating of the capacitor by interleaving the capacitor and reducing the switching loss of a plurality of switches by using resonance.

일 실시 예에 따른 양태에 의하면,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는, According to an asp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력 전원의 입력단과 출력단 양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소프트 스위칭 방식으로 직류 형태의 입력 전원을 교류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로 구비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출력 전류를 직류 형태로 정류시켜 부하 측으로 전달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 converter connected in series to bot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output power to convert the DC input power into the AC type using a soft switching method; a transform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transformer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output current of the transformer in the form of direct current to the load side.

바람직하게 상기 컨버터는, 하프 브리지의 다수의 스위치 S1~S4 로 구비되고, 스위치 S1, S2와 스위치 S3, S4에 대해 180도 위상 천이하고 비대칭 상보적으로 스위칭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vert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S1 to S4 of the half-bridge,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180 degree phase shift with respect to the switches S1 and S2 and the switches S3 and S4 and perform asymmetric and complementary switching ope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변압부는Preferably, the transformer

입력 전원의 입력단에 연결된 컨버터의 스위치 S1의 출력단에 연결된 누설 인덕터 Lk1와 누설 인덕터 Lk1 의 출력단과 스위치 S1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 S2의 출력단 사이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된 변압기 T1; 및 스위치 S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 S3의 출력단에 연결된 누설 인덕터 Lk2 상기 스위치 S3의 출력단과 입력 전원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 S4의 출력단 사이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된 변압기 T2로 구비될 수 있다. a transformer T1 in which a primary coil is woun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and the leakage inductor L k1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1 of the converter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put pow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2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witch S1; and a leakage inductor L k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3 connected in series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2 and A transformer T2 in which a primary coil is woun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4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3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put power may be provided as a transformer T2.

바람직하게 상기 정류부는 변압기 T1과 변압기 T2의 출력단에 인터리빙되는 캐패시터 Cr; 및 각 캐패시터 Cr의 출력단과 변압기 T1의 입력단 사이와 변압기 T2 입력단 각각에 연결된 다이오드 D1, D2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ctifier includes a capacitor Cr interleaved at the output terminals of the transformer T1 and the transformer T2; and diodes D1 and D2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each capacitor C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T1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T2.

바람직하게 상기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는 정류부의 출력 전압에 대해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for removing a noise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dc 블로킹 캐패시터를 인터리빙하고 직렬 입력단과 병렬 출력단으로 구비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전압 정격을 입력 전원의 절반으로 결정할 수 있고,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전류 정격을 줄일 수 있으며, 캐패시터 Cr을 인터리빙함에 따라 캐패시터의 전류 정격을 감소할 수 있고, 캐패시터의 수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interleaving the dc blocking capacitor and applying the soft switching method of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having a series input terminal and a parallel output terminal, the voltage rating of the switching element can be determined as half of the input power, and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urrent rating of the capacitor, and by interleaving the capacitor Cr, the current rating of the capacitor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capacitors can be reduced.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설인덕터 및 DC 블록킹 캐패시터의 공진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다이오드 소자의 ZCS 턴오프 설계가 가능하고, 입력 전압 및 부하 변동에 따라 스위치의 ZVS 턴온 동작이 가능하므로 스위치의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ZCS turn-off design of the diode element of the switch is possible using the resonance of the leakage inductor and the DC blocking capacitor, and the ZVS turn-on operation of the switch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and load variation, so the switching loss of the switch can reduc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동작 과정을 보인 도들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의 부하 변동에 따른 각 스위치의 전류를 보인 파형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ft switching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oft switching conver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of each switch according to a load chan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일 실시 예는 dc 블로킹 캐패시터를 인터리빙하고 컨버터의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컨버터의 스위치의 전류 정격을 감소할 수 있고, 넓은 입력전압과 부하영역에 관계없이 컨버터의 스위치가 ZVS(Zero Voltage Switch) 턴온되어 스위칭 손실을 감소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DC 블록킹을 수행함에 따라 자화전류의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rrent rating of the switch of the converter can be reduced by interleaving the dc blocking capacitor and applying the soft switching method of the converter, and the switch of the converter is ZVS (Zero Voltage Switch) regardless of a wide input voltage and load range By being turned 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by reducing the switching loss, an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ffset of the magnetizing current by performing DC block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각 모드 별 동작 과정으로 보인 도면들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ft switching converter to which an embodiment is applied, and FIGS. 2 to 7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for each mode of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는, 하프브리지 컨버터(100), 변압부(200), 정류부(300), 및 필터부(400)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1 to 7 ,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to which an embodiment is appli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half-bridge converter 100 , the transformer 200 , the rectifier 300 , and the filter unit 400 . .

여기서 하프브리지 컨버터(100)는 입력 전원 Vin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캐패시터(C1, C2)와, 캐패시터 C1의 양단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S1, S2)와 캐패시터 C2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S3, S4)로 구비된다. 여기서, 각 스위치 S1~S4 각각은 스위칭 소자 및 다이오드 소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성 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Here, the half-bridge converter 100 is connected in series to both ends of the capacitors C1 and C2 respectively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put power Vin, the switches S1 and S2 connected in series to both ends of the capacitor C1, and the capacitor C2. and switches S3 and S4. Here, each of the switches S1 to S4 may be provided as a switching element and a diode element, and only related components are shown.

여기서, 하프브리지 컨버터(100)의 스위치 S1, S2와 스위치 S3, S4는 각각의 180도 위상차를 가지며 비대칭 상보적으로 스위칭 동작한다. Here, the switches S1 and S2 and the switches S3 and S4 of the half-bridge converter 100 each have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and perform asymmetric and complementary switching operation.

이에 입력 전압 및 부하 변동에 상관없이 스위치 S1~ S4 는 ZVS(Zero Voltage Switching) 턴온 상태로 동작되며, 이에 스위치 S1~S4 걸리는 양단 전위차가 입력 전압 Vin의 반으로 결정되므로, 캐패시터 C1, C2의 각 양단 간의 전위차는 입력 전원 Vin/2를 만족한다. Therefore, regardless of input voltage and load change, switches S1 to S4 operate in ZVS (Zero Voltage Switching) turned-on state,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across switches S1 to S4 is determined to be half of the input voltage Vin, so each of capacitors C1 and C2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satisfies the input power supply Vin/2.

따라서, 스위치의 턴오프 스위칭 손실이 절감되므로 800V 이상의 높은 입력전압에도 스위치 S1~ S4는 600V의 Si MOSFET를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turn-off switching loss of the switch is reduced, even at a high input voltage of 800V or more, the switches S1 to S4 can use a 600V Si MOSFET.

한편 변압부(200)는 스위치 S1의 출력단에 연결된 누설 인덕터 Lk1 및 누설 인덕터 Lk1 의 출력단과 스위치 S2의 출력단 사이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된 변압기 T1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변압부(200)는 스위치 S3의 출력단에 연결된 누설 인덕터 Lk2 스위치 S4의 출력단 사이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된 변압기 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forming unit 200 may be provided to the primary coil is wound between the leakage inductor L k1 and k1 leakage inductor 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1 and switch S2 output transformer T1. In addition, the transformer 200 is a leakage inductor L k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3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former T2 in which the primary side coil is woun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4.

그리고 변압부(200)의 2차측에는 정류부(300)가 연결되며, 정류부(300)는 각 변압기 T1의 일단과 변압기 T2의 타단과 부하 load 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는 캐패시터 Cr과 상기 각 변압기 T1, T2 출력단 각각에 연결된 다이오드 D1, D2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변압기 T1, T2의 전류에 포함된 직류성분은 캐패시터 Cr에 의거 차단된다. 즉, 캐패시터 Cr이 변압기 T1, T2의 2차측에 인터리빙됨에 따라 캐패시터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스위치의 전류 정격을 감소할 수 있으며, 변압기(200)의 자화 전류의 오프셋이 제거될 수 있다. And the rectify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200, the rectifying unit 300 is a capacitor Cr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each transformer T1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ormer T2 and the output end of the load load and each of the transformer T1, Diodes D1 and D2 connected to each of the output terminals of T2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DC component included in the current of the transformers T1 and T2 is blocked by the capacitor Cr. That is, as the capacitor Cr is interleaved on the secondary sides of the transformers T1 and T2, the number of capacitors can be reduced, the current rating of the switch can be reduced, and the offset of the magnetizing current of the transformer 200 can be removed.

그리고, 각 변압기 T1의 일단과 변압기 T2의 타단 각각에 정류부(200)의 출력단에 필터부(400)를 연결하고 상기 필터부(400)는 코일 L1, L2 및 캐패시터 Cout로 구비된다.Then, the filter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200 to one end of each transformer T1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ormer T2, and the filter unit 400 is provided with coils L1, L2 and a capacitor Cout.

즉, 코일 L1. L2 각각은 변압기 T1의 일단과 변압기 T2의 타단에 접속되며, 캐패시터 Cout는 부하의 양단에 연결된다. 이에 정류부(300)의 전압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이 필터부(400)에 의거 제거된다. That is, coil L1. Each of L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nsformer T1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ormer T2, and the capacitor Cou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ad. Accordingly, the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voltage of the rectifying unit 300 is removed based on the filter unit 400 .

이에 DC 블록킹용 정류부의 캐패시터 Cr의 전압

Figure pat00001
은 부하 전압
Figure pat00002
과 동일하고, 캐패시터 Cr의 전류
Figure pat00003
은 정류부(200)의 다이오드 D1, D2의 전류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의 차로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ly,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r of the rectifier for DC blocking
Figure pat00001
silver load voltage
Figure pat00002
equal to and the current of the capacitor Cr
Figure pat00003
Currents of diodes D1 and D2 of the silver rectifier 200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can be expressed as the difference of

이에 일 실시 예는 dc 블로킹 캐패시터를 인터리빙하고 직렬 입력단과 병렬 출력단으로 구비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변압기 1차측 스위치의 전압 정격을 입력 전원의 절반으로 결정할 수 있고,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전류 정격을 줄일 수 있으며, 캐패시터 Cr을 인터리빙함에 따라 캐패시터의 전류 정격을 감소할 수 있고, 캐패시터의 수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the voltage rating of the primary side switch of the transformer can be determined as half of the input power by interleaving the dc blocking capacitor and applying the soft switching method of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provided with the serial input terminal and the parallel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he current rating of the winding may be reduced, and the current rating of the capacitor may be reduced by interleaving the capacitor Cr, and the number of capacitors may be reduced.

또한 일 실시 예는 누설인덕터 Lk1, Lk2및 DC 블록킹 캐패시터 Cr의 공진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다이오드 소자의 ZCS 턴오프 설계가 가능하고, 입력 전압 및 부하 변동에 따라 스위치 S1~S4의 ZVS 턴온 동작이 가능하므로 스위치의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 ZCS turn-off design of the diode element of the switch is possible using the resonance of the leakage inductors L k1 , L k2 and the DC blocking capacitor Cr, and the ZVS turn-on operation of the switches S1 to S4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and load chan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witching loss of the switch.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에 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for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to 이전의 시점(Deadtime Period 사구간)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치 S1 ~ S3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스위치 S1의 다이오드 소자는 온 상태로 유지되고, 정류부(300)의 다이오드 D1, D2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다이오드 D1의 전압은 선형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정류부의 다이오드 D2의 전압을 선형적으로 증가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2, the switches S1 to S3 supplied from the outside at the time before the initial to (deadtime period) are maintained in the off state, and the diode element of the switch S1 is in the on state. is maintained, and the diodes D1 and D2 of the rectifying unit 300 are maintained in an on state. Accordingly, the voltage of the diode D1 is linearly decreased while the voltage of the diode D2 of the rectifier is linearly increased.

즉,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인덕터 LK1의 전압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으로 증가된 다음 유지되고, 변압기 T1의 2차측 전압
Figure pat00008
은 음의
Figure pat00009
값을 가진다. 여기서,
Figure pat00010
는 스위치 S1의 게이트 신호의 PWM 듀티이다. That is, as shown in (b), the voltage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06
silver
Figure pat00007
is increased and then held, the voltage on the secondary side of transformer T1
Figure pat00008
is negative
Figure pat00009
have a value here,
Figure pat00010
is the PWM duty of the gate signal of switch S1.

또한,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11
의 크기는 감소하나 기울기는
Figure pat00012
이다. Also, the current in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11
decreases in size, but the slope of
Figure pat00012
to be.

또한, 스위치 S1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13
은 선형적으로 증가되고 스위치 S1의 전압
Figure pat00014
은 0으로 유지되며, 스위치 S2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15
는 0으로 유지되고 스위치 S4의 양단 간의 전위차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으로 유지된다. 이에 캐패시터 C2의 전압은
Figure pat00018
이다. Als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S1
Figure pat00013
increases linearly and the voltage on switch S1
Figure pat00014
is held at zero,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switch S2
Figure pat00015
is held at zero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nds of switch S4
Figure pat00016
Is
Figure pat00017
is maintained as Therefore, the voltage across capacitor C2 is
Figure pat00018
to be.

그리고 정류부(300)의 다이오드 D1의 전류

Figure pat00019
은 서서히 감소되는 반면 정류부(200)의 다이오드 D2의 전류
Figure pat00020
는 선형적으로 증가된다.And the current of the diode D1 of the rectifying unit 300
Figure pat00019
is gradually decreased while the current of the diode D2 of the rectifier 200
Figure pat00020
is increased linearly.

도 3은 시점 t0~t1 구간의 모드 2의 회로도 및 파형도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0에서 스위치 S1는 ZVS 턴온 상태로 동작하고 스위치 S4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 3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and a waveform diagram of mode 2 in the period of time t0 to t1. As shown in (a) (b) of FIG. 3, at time t0, the switch S1 operates in the ZVS turn-on state, and the switch S4 is kept on.

따라서,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21
의 크기는 감소 상태가 유지되나, 기울기
Figure pat00022
는 양의 값을 가지며,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23
의 감소량이 0일 때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24
의 방향이 반대로 흐르고, 이에 모드 3로 진행된다. Therefore, the current in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21
The magnitude of is maintained in a decreasing state, but the slope
Figure pat00022
is a positive value, and the current in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23
The current in the leakage inductor L K1 when the decrease of
Figure pat00024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us mode 3 proceeds.

도 4는 t1~t2 구간의 모드 3의 회로도 및 파형도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4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25
은 필터부(400)의 코일 L1 전류와 동일할 때까지 증가된다. 이때 정류부(300)의 다이오드 D1은 ZCS(Zero Current Switching) 턴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26
는 하기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and a waveform diagram of mode 3 in the period t1 to t2, and as shown in (a) (b) of FIG. 4, th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25
is increased until it is equal to the coil L1 current of the filter unit 400 . At this time, the diode D1 of the rectifier 300 is switched to a ZCS (Zero Current Switching) turned off state. At this time, th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26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7

즉,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인덕터 LK1의 누설 전류가 변압기 T1에 의거 여기되어 2차측으로 전달되므로, 누설 인덕터 LK1 전압

Figure pat00028
은 급격하게 감소되고, 변압기 T1의 2차측 전압
Figure pat00029
은 급격하게 증가된다.That is, as shown in (b), since the leakag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is excited by the transformer T1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the leakag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Voltage
Figure pat00028
is sharply reduced, and the secondary voltage of transformer T1
Figure pat00029
is increased rapidly.

또한, 스위치 S1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30
은 선형적으로 증가되고 스위치 S1의 전압
Figure pat00031
은 0으로 유지되며, 스위치 S2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32
는 0으로 유지되고 스위치 S4의 양단 간의 전위차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으로 유지된다. 이에 캐패시터 C2의 전압은
Figure pat00035
이다. Als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S1
Figure pat00030
increases linearly and the voltage on switch S1
Figure pat00031
is held at zero,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switch S2
Figure pat00032
is held at zero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nds of switch S4
Figure pat00033
Is
Figure pat00034
is maintained as Therefore, the voltage across capacitor C2 is
Figure pat00035
to be.

그리고 정류부(300)의 다이오드 D1의 전류

Figure pat00036
은 서서히 감소되어 시점 t3에서 ZCS 턴오프되고, 정류부(200)의 다이오드 D2의 전류
Figure pat00037
는 선형적으로 증가된다.And the current of the diode D1 of the rectifying unit 300
Figure pat00036
is gradually decreased and ZCS is turned off at time t3, and the current of the diode D2 of the rectifying unit 200 is
Figure pat00037
is increased linearly.

즉 다이오드 D1이 ZCS 턴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 모드 4로 진행된다.That is, when the diode D1 is switched to the ZCS turn-off state, it proceeds to mode 4.

도 5는 t2~t3 구간의 모드 4의 회로도 및 파형도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는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38
은 하기 식 2에 도달될 때 까지 선형적으로 증가된다.5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and a waveform diagram of mode 4 in the period t2 to t3. As shown in FIG. 5(a)(b), th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increases
Figure pat00038
is linearly increased until Equation 2 is reached.

[식 2][Equation 2]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39

또한, 변압기 T1의 2차측 전압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로 유지된다.Also, the secondary voltage of transformer T1
Figure pat00040
silver
Figure pat00041
is maintained as

또한, 스위치 S1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42
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급격하게 0으로 감소하고, 스위치 S1의 전압
Figure pat00043
은 0으로 유지되며, 스위치 S2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44
는 0으로 유지되다가 급격하게 감소되며, 스위치 S4의 양단 간의 전위차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으로 유지되고 시점 t3에서 급격하게 0으로 감소된다. 이에 캐패시터 C2의 전압은 0이다. Als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S1
Figure pat00042
increases linearly and then abruptly decreases to 0, and the voltage of switch S1
Figure pat00043
is held at zero,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switch S2
Figure pat00044
is maintained at 0 and then rapidly decreased,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witch S4
Figure pat00045
Is
Figure pat00046
, and abruptly decreases to 0 at time t3. Accordingly,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C2 is zero.

이에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47
가 식 2를 만족하는 시점 t3에서 하프브리지 컨버터(100)의 스위치 S1은 턴오프 상태로 스위칭되며, 이에 모드 5로 진행된다. Therefore, th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47
At a time t3 that satisfies Equation 2, the switch S1 of the half-bridge converter 100 is switched to a turned-off state, thereby proceeding to mode 5.

도 6은 t3~t4 구간의 모드 5의 회로도 및 파형도를 보인 도면으로서,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48
는 스위치 S2의 다이오드 소자로 흐르고, 이에 누설 인덕터 LK1와 캐패시터 Cr 간의 공진된다. 6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and a waveform diagram of mode 5 in the period t3 to t4. As shown in (a)(b), th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48
flows into the diode element of the switch S2, thereby resonating between the leakage inductor L K1 and the capacitor Cr.

이에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등가회로는 도시된 바와 같다. Accordingly,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is as shown.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49

이러한 등가 회로에 의하면, 스위치 S2의 전류

Figure pat00050
는 다음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quivalent circuit, the current of the switch S2
Figure pat00050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3 below.

[식 3][Equation 3]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1

여기서,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52
이고, D는 게이트 신호의 PWM 듀티이다.Here, the resonant frequency
Figure pat00052
and D is the PWM duty of the gate signal.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인덕터 LK1의 전압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으로 유지되고, 변압기 T1의 2차측 전압
Figure pat00055
은 캐패시터 Cr의 전압
Figure pat00056
과 동일하고 감소되며, 또한,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57
의 기울기는 감소된다. As shown in (b), the voltage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53
silver
Figure pat00054
is maintained, and the voltage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1 is
Figure pat00055
the voltage on the silver capacitor Cr
Figure pat00056
is equal to and reduced, and also the current in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57
slope is reduced.

또한, 스위치 S1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58
은 0으로 유지되나 스위치 S1의 전압
Figure pat00059
은 0으로 유지되며, 스위치 S2에 흐르는 전류
Figure pat00060
는 선형적으로 증가되나 스위치 S4의 양단 간의 전위차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으로 유지된다. 이에 캐패시터 C2의 전압은
Figure pat00063
이다. Als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S1
Figure pat00058
remains at zero, but the voltage on switch S1
Figure pat00059
is held at zero,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switch S2
Figure pat00060
is linearly increased, but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of switch S4
Figure pat00061
Is
Figure pat00062
is maintained as Therefore, the voltage across capacitor C2 is
Figure pat00063
to be.

그리고 정류부(300)의 다이오드 D1의 전류

Figure pat00064
및 다이오드 D2의 전류
Figure pat00065
는 선형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And the current of the diode D1 of the rectifying unit 300
Figure pat00064
and current in diode D2
Figure pat00065
It can be seen that increases linearly.

그리고, 스위치 S2는 ZVS 턴온 상태로 전환될 때 다음 모드 6로 진행된다. Then, when the switch S2 is switched to the ZVS turn-on state, it proceeds to the next mode 6 .

도 7은 t4~t5 구간의 모드 6의 회로도 및 파형도를 도면으로서,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시점 t4에서 스위치 S2는 ZVS 턴온되고, 누설 인덕터 LK1와 캐패시터 Cr 간의 공진이 유지되며, 이에 대한 등가 회로는 도시된 바와 같다.7 is a circuit diagram and waveform diagram of mode 6 in the period t4 to t5. Referring to FIGS. 7 (a) and (b), at time t4, the switch S2 is ZVS turned on, and the leakage inductor L K 1 and the capacitor Resonance between Cr is maintained, and an equivalent circuit therefor is as shown.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6

(b)를 참조하면, 누설 인덕터 LK1의 전류

Figure pat00067
의 크기는 증가하나 기울기
Figure pat00068
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정류부(300)의 다이오드 D1의 전류
Figure pat00069
은 서서히 감소되는 반면 정류부(200)의 다이오드 D2의 전류
Figure pat00070
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스위치 S3가 ZVS 턴온 상태로 동작되는 시점에서 선형적으로 감소하다가 0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모드 6는 스위치 S2가 턴오프로 스위칭될 때까지 유지되며 이후 모드 1로 진행된다. Referring to (b), the current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Figure pat00067
increases in size but slopes
Figure pat00068
is linearly decreased, and the current of the diode D1 of the rectifying unit 300 is
Figure pat00069
is gradually decreased while the current of the diode D2 of the rectifier 200
Figure pat00070
increases linearly, decreases linearly when switch S3 is operated in the ZVS turn-on state, and remains at 0. Then, the mode 6 is maintained until the switch S2 is switched to turn off, and then proceeds to the mode 1.

이에 일 실시 예는 dc 블로킹 캐패시터를 인터리빙하고 직렬 입력단과 병렬 출력단으로 구비된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의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변압기 1차측 스위치의 전압 정격을 입력 전원의 절반으로 결정할 수 있고,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전류 정격을 줄일 수 있으며, 캐패시터 Cr을 인터리빙함에 따라 캐패시터의 전류 정격을 감소할 수 있고, 캐패시터의 수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the voltage rating of the primary side switch of the transformer can be determined as half of the input power by interleaving the dc blocking capacitor and applying the soft switching method of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provided with the serial input terminal and the parallel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he current rating of the winding may be reduced, and the current rating of the capacitor may be reduced by interleaving the capacitor Cr, and the number of capacitors may be reduced.

또한 일 실시 예는 누설인덕터와 DC 블록킹 캐패시터의 공진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ZVS 전류를 설계함으로써 입력 전압 및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스위치의 ZVS 턴온 동작이 가능하므로 스위치의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ZVS current of the switch is designed using the resonance of the leakage inductor and the DC blocking capacitor, so that the ZVS turn-on operation of the switch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input voltage and load variation, thereby reducing the switching loss of the switch.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부하 변동에 따른 스위치 S1~S4에 흐르는 전류를 보인 파형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는 입력 전압 Vin 및 부하 Vbat 변동에 상관없이 ZVS 턴 온을 성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8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current flowing in the switches S1 to S4 according to each load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an embodiment shows the ZVS turn-on regardless of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load Vbat change. You can see what you achieve.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to the extent recognized as

Claims (5)

입력 전원의 입력단과 출력단 양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소프트 스위칭 방식으로 직류 형태의 입력 전원을 교류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로 구비되는 변압부; 및
상기 변압부의 출력 전류를 직류 형태로 정류시켜 부하 측으로 전달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a converter connected in series to bot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input power to convert the DC input power into the AC type using a soft switching method;
a transform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transformer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and
and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output current of the transformer in a DC form and transmitting the rectifier to the lo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하프 브리지의 다수의 스위치 S1~S4 로 구비되고, 스위치 S1, S2와 스위치 S3, S4에 대해 180도 위상 천이하고 비대칭 상보적으로 스위칭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verter
A soft switching converter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S1 to S4 of the half-bridge, and is provided to perform a 180 degree phase shift with respect to the switches S1 and S2 and the switches S3 and S4 and to perform asymmetrically complementary switch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부는,
입력 전원의 입력단에 연결된 컨버터의 스위치 S1의 출력단에 연결된 누설 인덕터 Lk1와 누설 인덕터 Lk1 의 출력단과 스위치 S1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 S2의 출력단 사이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된 변압기 T1; 및
스위치 S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 S3의 출력단에 연결된 누설 인덕터 Lk2 상기 스위치 S3의 출력단과 입력 전원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 S4의 출력단 사이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된 변압기 T2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ormer,
a transformer T1 in which a primary coil is woun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leakage inductor L k1 and the leakage inductor L k1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1 of the converter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put pow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2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witch S1; and
Leakage inductor L k2 connected to the output of switch S3 in series with the output of switch S2 and A soft switching converter comprising a transformer T2 in which a primary coil is woun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4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3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put p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각 변압기 T1과 변압기 T2의 출력단에 인터리빙되는 캐패시터 Cr; 및
각 캐패시터 Cr의 출력단과 변압기 T1의 입력단 사이와 변압기 T2 입력단 각각에 연결된 다이오드 D1, D2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tifying unit
a capacitor Cr interleaved at the output terminals of each of the transformers T1 and T2; and
A soft switching converter comprising diodes D1 and D2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each capacitor C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T1 and each of the input terminals of the transformer T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는
정류부의 출력 전압에 대해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oft switching converter
Soft switching co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lter for removing a noise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KR1020190152743A 2019-11-25 2019-11-25 Soft switching converter KR1023297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743A KR102329733B1 (en) 2019-11-25 2019-11-25 Soft switching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743A KR102329733B1 (en) 2019-11-25 2019-11-25 Soft switching co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80A true KR20210063980A (en) 2021-06-02
KR102329733B1 KR102329733B1 (en) 2021-11-23

Family

ID=7637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743A KR102329733B1 (en) 2019-11-25 2019-11-25 Soft switching co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73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565A (en) * 2001-01-24 2002-08-09 Nissin Electric Co Ltd Dc-to-dc converter
KR20090072561A (en) * 2007-12-28 200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Interleaved type converter
KR20100077526A (en) * 2008-12-29 2010-07-08 한국전기연구원 Dc-dc convert for the photovoltaic system
JP2018074692A (en) * 2016-10-27 2018-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565A (en) * 2001-01-24 2002-08-09 Nissin Electric Co Ltd Dc-to-dc converter
KR20090072561A (en) * 2007-12-28 2009-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Interleaved type converter
KR20100077526A (en) * 2008-12-29 2010-07-08 한국전기연구원 Dc-dc convert for the photovoltaic system
JP2018074692A (en) * 2016-10-27 2018-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733B1 (en)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0787B (en) Bi-directional battery power inverter
WO2018077230A1 (en) Llc resonant converter having high-voltage output
KR100820461B1 (en) A DC/DC converter circuit for a vehicle's digital amplifier
KR101923317B1 (en) Bidirectional full-bridge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19463A (en) Pulse width modulation resonant converter, and vehicle charger utilizing the same
US20230246555A1 (en) Unitary charging device for low and high voltages
CN109687702B (en) DC-DC converter
EP3700074B1 (en) Dc-dc converter
EP2211448A1 (en) Switcing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 of switching power supply
Jang et al. 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Lin et al. Analysis of LLC converter with series-parallel connection
KR101595927B1 (en) Dc-dc converter circuit
KR102329733B1 (en) Soft switching converter
KR101649109B1 (en) Dual full-bridge converter
KR101492965B1 (en) SLLC Resonant Converter for Bidirectional Power Conversion using auxiliary inductor
KR102479366B1 (en) Battery Charger and Control Methods
KR102371910B1 (en) Dc-dc converter
KR100998064B1 (en) DC-DC converter using leakage inductor for Zero Current Swithching
Che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stage boost and full-bridge resonant converter for wide-range APMs
KR102273763B1 (en) LLC resonant converter
KR101849626B1 (en) High efficiency electric vehicles battery charger
KR20170104434A (en) Resonance-type dc-dc converter
KR101813778B1 (en) Hybride type LED Power Supply
KR102030918B1 (en) High Efficiency EV Charger with Small Ripple Current
KR102307484B1 (en) Low Voltage Isolation DC/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