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616A -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 Google Patents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616A
KR20200071616A KR1020180159523A KR20180159523A KR20200071616A KR 20200071616 A KR20200071616 A KR 20200071616A KR 1020180159523 A KR1020180159523 A KR 1020180159523A KR 20180159523 A KR20180159523 A KR 20180159523A KR 20200071616 A KR20200071616 A KR 2020007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link
control uni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1614B1 (en
Inventor
임유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614B1/en
Publication of KR2020007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6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vers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effective power conversion operation even if an overvoltage is input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version device comprises: a converter which converts an alternating current (AC) voltage provided from an AC voltage source into a direct current (DC) voltage stored in a DC link capacitor; an inverter which converts the DC voltage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into an AC current, and outputs the converted AC current to a load; a power switch provided between the AC power voltage source and the converter to selectively supply the AC voltage to the converter;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and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Description

전력 변환 효율이 개선된 전력 변환 장치{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Power conversion device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본 발명은 과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전력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vers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efficient power conversion operation even when an overvoltage is input.

최근 수많은 전자기기에는 입력 전압(예컨대, 상용 전압)을 해당 전자기기의 구동에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가 구비된다.Recently, many electronic devices are equipped with a power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an input voltage (for example, a commercial voltage) into a voltage suitable for driving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전력 변환 장치는 일반적으로 컨버터와 인버터를 포함한다. 컨버터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버터는 변환된 직류 전압을 부하 구동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Power conversion devices generally include a converter and an inverter. The converter serves to convert the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nd the inverter serves to convert the converted DC voltage into an AC voltage suitable for driving a load.

이와 같은 전력 변환 장치에 과전압, 다시 말해 매우 큰 교류 전압이 입력되면 컨버터에 의해 변환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직류 전압은 인버터의 효율 감소를 초래한다.When an overvoltage, that is, a very large AC voltage is input to the power converter, the magnitude of the DC voltage converted by the converter increases, and the increased DC voltage causes the efficiency of the inverter to decrease.

도 1은 종래 입력 전압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전력 변환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크기(실효치[Vrms])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 손실[W]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graph showing power loss of an invert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input voltage. More specifically, FIG. 1 shows the power loss [W] of the invert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effective value [Vrms]) of the AC voltage input to the power conversion device.

인버터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전력 변환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증가에 따라 컨버터에서 변환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면, 인버터 내 전력 스위칭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에 의해 스위칭 손실(switching loss)이 증가하며, 전력 스위칭 소자의 포화 전압(saturation voltage) 상승에 따른 도통 손실(conduction loss)이 증가한다.The inverter converts the DC voltage converted by the converter into an AC voltage using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When the magnitude of the DC voltage converted by the converter increases as the AC voltage input to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ncreases, the switching loss increases due to the voltage drop occurring in the power switching device in the inverter. Conduction loss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saturation voltage.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의 전력 손실([W])은 전력 변환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크기([Vrms])에 비례하여 계속적으로 증가하므로, 종래 전력 변환 장치는 과전압 입력 시 전력 변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since the power loss ([W]) of the inverter continuousl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Vrms]) of the AC voltage input to the power converter, the conventional power converter is overvolt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version efficiency at the time of input is very low.

본 발명은 과전압 입력에 따른 DC 링크 전압 상승을 제어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nvers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rise in DC link voltage according to an overvoltage input.

또한,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을 순차적으로 낮출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nversion device capable of sequentially lowering the DC link voltage.

또한,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을 기준 링크 전압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nvers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DC link voltage to a reference link voltag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of the appended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의 크기 및 교류 전압원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교류 전압을 선택적으로 컨버터에 제공함으로써 과전압 입력에 따른 DC 링크 전압 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rise of the DC link voltage according to the overvoltage input by selectively providing the AC voltage to the convert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and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provided by the AC voltage source.

또한,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 이하가 될 때까지 전원 스위치의 온 듀티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DC 링크 전압을 순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quentially reduce the DC link voltage by sequentially reducing 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 until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link voltage.

또한, 본 발명은 교류 전압원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의 실효치(effective value)가 기준 링크 전압과 동일하게 되는 온 듀티를 결정하고, 결정된 온 듀티에 따라 전원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DC 링크 전압을 기준 링크 전압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n-duty such that an effective value of the alternating-current voltage provided by the alternating-current voltage source is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and controls the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n-duty, thereby controlling the DC link voltage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 상승을 제어함으로써,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과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curing a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even when a transient or continuous overvoltage is input by controlling the DC link voltage rise.

또한,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을 순차적으로 낮춤으로써, DC 링크 전압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장치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evice instability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DC link voltage by sequentially lowering the DC link voltage.

또한,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을 기준 링크 전압으로 곧바로 제어함으로써, 장치 불안정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버터의 전력 손실을 신속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apidly lowering the power loss of the inverter within a range in which device instability does not occur by directly controlling the DC link voltage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concret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the specific matter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종래 입력 전압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가 교류 전압원과 부하 사이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컨버터의 각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PWM 신호에 따라 과전압 교류 전압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입력 전압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1 is a graph showing power loss of an invert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input voltag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an AC voltage source and a load.
3 and 4 are views showing each example of the converter shown i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rvoltage AC voltag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WM signal.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loss of the inverter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발명은 과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전력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vers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efficient power conversion operation even when an overvoltage is input.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가 교류 전압원과 부하 사이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컨버터의 각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an AC voltage source and a load. 3 and 4 are views showing each example of the converter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PWM 신호에 따라 과전압 교류 전압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rvoltage AC voltag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WM signa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서 입력 전압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loss of the inverter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100)는 컨버터(110), 인버터(120), 전원 스위치(130) 및 스위칭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력 변환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verter 110, an inverter 120, a power switch 130,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140. The power conversion device 100 shown in FIG. 2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have.

컨버터(110)는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을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저장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converter 110 may convert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into a DC voltage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보다 구체적으로, 컨버터(110)는 교류 전압원(20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교류 전압원(200)으로부터 교류 전압(Vac)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컨버터(110)는 DC 링크 커패시터(CDC)를 포함할 수 있고, 교류 전압원(200)으로부터 제공된 교류 전압(Vac)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저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vert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C voltage source 200 to receive the AC voltage Vac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Meanwhile, the converter 110 may include a DC link capacitor (C DC ), and convert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into a DC voltage and store it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컨버터(110)는 교류 전압(Vac)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정류 극성에 따라 반파 정류 회로(half-wave rectifier circuit), 전파 정류 회로(full-wave rectifier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rter 110 may have various circuit configurations for converting an AC voltage (Vac) to a DC voltage, and a half-wave rectifier circuit and a full-wave rectifier circuit according to the rectification polarity It may include.

일 예에서, 컨버터(110)는 다이오드 브릿지(diode bridge)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Vac)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verter 110 may convert an AC voltage Vac into a DC voltage using a diode bridge circuit.

도 3을 참조하면, 컨버터(110)는 두 개의 상암 다이오드(D1, D2) 및 두 개의 하암 다이오드(D3, D4)를 포함하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버터(110)는 교류 전압원(200)의 각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레그(leg) 및 제2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레그에는 제1 상암 다이오드(D1) 및 제1 하암 다이오드(D3)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레그에는 제2 상암 다이오드(D2) 및 제2 하암 다이오드(D4)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verter 110 may include a diode bridge circuit including two upper and lower diodes D1 and D2 and two lower and lower diodes D3 and D4. More specifically, the converter 110 may include a first leg and a second leg connected to each output node of the AC voltage source 200. In this case, the first leg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upper arm diode D1 and a first lower arm diode D3, and the second leg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upper arm diode D2 and a second lower arm diode D4. Can be.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1 상암 다이오드(D1) 및 제2 하암 다이오드(D4)가 도통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 상암 다이오드(D2) 및 제1 하암 다이오드(D3)가 도통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has a positive value, the first upper arm diode D1 and the second lower arm diode D4 are conductive to form a current path. On the other hand, when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has a negative value, the second upper arm diode D2 and the first lower arm diode D3 may be conducted to form a current path.

전술한 도통 동작에 따라 교류 전압(Vac)은 전파 정류될 수 있고, 전파 정류된 교류 전압은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직류 전압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The AC voltage Vac may be fully rectifi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duction operation, and the AC voltage rectified may be stored as a DC voltage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다른 예에서, 컨버터(110)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S1~S4)로 구성된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Vac)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verter 110 may convert the AC voltage Vac into a DC voltage by using a bridge circu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S1 to S4.

도 4를 참조하면, 컨버터(110)는 두 개의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S1, S2) 및 두 개의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3, S4)를 포함하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버터(110)는 교류 전압원(200)의 각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레그에는 제1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S1) 및 제1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3)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레그에는 제2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S2) 및 제2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4)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nverter 110 may include a bridge circuit including two upp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1 and S2 and two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3 and S4. More specifically, the converter 110 may include a first leg and a second leg connected to each output node of the AC voltage source 200. At this time, the first leg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upp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S1 and a first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S3, and the second leg may have a second upp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S2 and a second lower arm power. The switching element S4 may be provided.

스위칭 제어부(140)는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의 위상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시점을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교류 전압원(200)의 출력단에 구비된 제2 전압센서(Vsen2)로부터 교류 전압(Vac)의 크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switching control timing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and for this purpose, the second voltage sensor Vsen2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AC voltage source 200 ) Can be provided with the magnitude of the alternating voltage (Vac).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1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S1) 및 제2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4)가 턴 온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S2) 및 제1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3)가 턴 온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when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has a positive value, the first upp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S1 and the second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S4 are It can be turned on to form a current path. On the other hand, when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has a negative value, the second phase-arm power switching element S2 and the first low-arm power switching element S3 are turned on to turn the current path. Can form.

전술한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교류 전압(Vac)은 전파 정류될 수 있고, 전파 정류된 교류 전압(Vac)은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직류 전압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witching operation, the AC voltage Vac may be fully rectified, and the fully rectified AC voltage Vac may be stored as a DC voltage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컨버터(110)는 복수의 다이오드(D1~D4) 또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S1~S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컨버터(110)는 복수의 다이오드와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3 and 4, the converter 1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odes (D1 ~ D4) or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S1 ~ S4).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rter 11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diodes and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버터(110)가 복수의 다이오드(D1~D4)로 구성된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verter 110 includes a diode bridge circu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odes D1 to D4.

인버터(120)는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저장된 직류 전압(DC 링크 전압, VDC)을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류를 부하(Load, 300)에 출력할 수 있다.The inverter 120 may convert the DC voltage (DC link voltage, V DC )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into AC current, and output the converted AC current to the load (Load, 300).

보다 구체적으로, 인버터(120)는 DC 링크 커패시터(CDC)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DC 링크 전압(VDC)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인버터(120)의 출력단은 부하(300)(예컨대, 전동기)와 연결될 수 있고, 인버터(120)는 DC 링크 전압(VDC)을 교류 전류(예컨대, 3상 교류 전류)로 변환하여 부하(300)에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verter 12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 link capacitor (C DC) can be provided with a DC link voltage (V DC).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120 may be connected to a load 300 (eg, an electric motor), and the inverter 120 converts the DC link voltage (V DC ) into an alternating current (eg,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to load 300 ).

인버터(120)는 DC 링크 전압(VDC)을 교류 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120)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를 이용하여 DC 링크 전압(VDC)을 교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The inverter 120 may have various circuit configurations for converting the DC link voltage (V DC ) into alternating current. For example, the inverter 120 may convert the DC link voltage (V DC ) into an alternating current using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and Sc'.

도 5를 참조하면, 인버터(120)는 DC 링크 전압(VDC)을 3상 교류 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각 상에 대응하는 상암 및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a, Sb, Sc 및 Sa', Sb', Sc')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버터(120)는 a상의 상암 및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b상의 상암 및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b, Sb'), c상의 상암 및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c, Sc')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nverter 120 converts the DC link voltage (V DC ) into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upper and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b, Sc and Sa', Sb' corresponding to each phase. , Sc'). More specifically, the inverter 120 includes a phase-a and low-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a b-phase upper and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b, Sb'), a c-phase upper and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c, Sc').

a상의 상암 및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a, Sa')는 서로 상보적으로 스위칭하여 a상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b상 및 c상의 상암 및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Sb, Sc 및 Sb', Sc') 또한 서로 상보적으로 스위칭하여 각각 b상 및 c상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a and Sa' of the a phase may switch complementarily to each other to generate a phase AC current. Similarly, the b- and c-phase upper and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Sb, Sc and Sb', Sc' can also be switched complementarily to each other to generate b-phase and c-phase AC currents, respectively.

스위칭 제어부(140)는 인버터(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부하(300)에 출력되는 교류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제어부(140)는 각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에 게이트 신호(Sc)를 제공할 수 있고, 각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는 게이트 신호(Sc)에 따른 온 듀티(on-duty)를 가질 수 있다. Switching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Sc') constituting the inverter 120 of the AC current output to the load 300 The size can be controlled. 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provide a gate signal Sc to each of the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Sc', and each of the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 Sb, Sb', Sc, Sc') may have on-duty according to the gate signal Sc.

어느 한 상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의 크기는 해당 상에 구비된 전력 스위칭 소자의 온 듀티에 따라 결정되므로, 스위칭 제어부(140)는 게이트 신호(Sc)를 제어하여 부하(300)에 출력되는 교류 전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Since the magnitude of the AC current output from one phas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ing element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phase,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gate signal Sc to control the AC current output to the load 300. The size can be controlled.

전력 변환을 위한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의 제어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을 따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Sc') for power conversion follows a general method known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5에서는 컨버터(110)가 도 3에 도시된 다이오드 브릿지 외에 전류 안정화를 위한 전류 제한 인덕터(L)와, 전류의 역류 방지를 위한 역류 방지 다이오드(D5)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Meanwhile, FIG. 5 shows that the converter 110 further includes a current limiting inductor L for stabilizing the current and a countercurrent preventing diode D5 for preventing current from flowing in addition to the diode bridge shown in FIG. 3.

전원 스위치(130)는 교류 전압원(200)과 컨버터(110) 사이에 구비되어 컨버터(110)에 교류 전압(Vac)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스위치(130)는 스위칭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을 컨버터(110)에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The power switch 130 is provided between the AC voltage source 200 and the converter 110 to selectively provide the AC voltage Vac to the converter 110.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witch 130 may or may not provide the AC voltage Vac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to the converte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이러한 전원 스위치(130)는 회로를 개폐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예컨대, 릴레이(relay)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witch 130 may be formed of any element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it, and may be configured of, for example, a relay.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저장된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 및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and the size of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130). ) Can be controlled.

먼저, 스위칭 제어부(140)가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130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 b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will be described.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링크 전압(Vref)은 과전압 입력에 따른 인버터(120)의 효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목표 DC 링크 전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power switch 130 when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Here,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may be set to an arbitrary value or a target DC link voltage to prevent the reduction in efficiency of the inverter 120 according to the overvoltage input.

예컨대, 교류 전압원(200)으로부터 과전압이 입력되어 DC 링크 전압(VDC)이 상승하면, DC 링크 전압(VDC)을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120)에서는 입력 전압의 강하에 따른 스위칭 손실(switching loss) 및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의 포화 전압(saturation voltage) 상승에 따른 도통 손실(conduction loss)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vervoltage is in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and the DC link voltage (V DC ) rises, the inverter 120 using the DC link voltage (V DC ) as an input causes a switching loss due to a drop in the input voltage. ) And conduction loss due to an increase in the saturation voltage of the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and Sc'.

전술한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의 손실은 인버터(120)의 전력 변환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기준 링크 전압(Vref)은 인버터(120)의 목표 효율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loss of the above-described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Sc' decreases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inverter 120,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is the target efficiency of the inverter 120 It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value according to.

DC 링크 전압(VDC) 식별을 위해,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커패시터(CDC)의 출력단에 구비된 제1 전압센서(Vsen1)를 통해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order to identify the DC link voltage (V DC ),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siz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 through the first voltage sensor (Vsen1)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 link capacitor (C DC ). Can be.

스위칭 제어부(140)는 제1 전압센서(Vsen1)를 통해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 듀티는 전원 스위치(130)가 온오프되는 임의의 한 주기에서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monitor the siz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 through the first voltage sensor (Vsen1), and power is supplied when the siz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on-duty of the switch 130 can be controlled. Here, the on-duty may be defined as a time to maintain the on state at any one period when the power switch 130 is turned on and off.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Vref) 이하이면 스위칭 제어부(140)는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전원 스위치(130)는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iz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not control the power switch 130. At this time, the power switch 130 may always maintain the on state.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스위칭 제어부(140)는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를 제어할 수 있고, 이 때, 전원 스위치(130)는 스위칭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siz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 130, and at this time, the power switch 130 may be switched Depending on the control of (140) it can operate in an on or off state.

전원 스위치(13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은 전원 스위치(130)가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 한해 컨버터(110)에 입력될 수 있다.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130, the AC voltage Vac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may be input to the converter 110 only when the power switch 130 operates in an on state.

DC 링크 커패시터(CDC)에는 컨버터(110)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Vac)의 실효치(effective value, Vrms)가 DC 링크 전압(VDC)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스위치(13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교류 전압(Vac)이 간헐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교류 전압(Vac)의 실효치가 감소하므로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저장되는 DC 링크 전압(VDC)은 감소할 수 있다.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an effective value (Vrms) of the AC voltage Vac input to the converter 110 may be stored as the DC link voltage V DC . Accordingly, when the AC voltage (Vac) is intermittently input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130, the effective value of the AC voltage (Vac) is reduced, so the DC link voltage (V)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DC ) may decrease.

스위칭 제어부(140)는 교류 전압(Vac)의 반 주기를 한 주기로 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power switch 130 by generat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having a half period of the AC voltage Vac as one period.

도 6을 참조하면,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의 한 주기는 Ta일 수 있다. 한편, 교류 전압(Vac)은 컨버터(110)에 의해 전파 정류되므로, 전파 정류된 교류 전압의 주기는 Ta/2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제어부(140)는 교류 전압(Vac)의 반 주기(Ta/2)를 한 주기(Tp)로 하는 PWM 신호(Sp)를 생성하고, 해당 PWM 신호(Sp)를 통해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one cycle of the AC voltage Vac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may be Ta. Meanwhile, since the AC voltage Vac is full-wave rectified by the converter 110, the period of the full-wave rectified AC voltage may be Ta/2. According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generates a PWM signal Sp having a half period (Ta/2) of the alternating voltage (Vac) as one period (Tp), and the power switch (through the corresponding PWM signal Sp) 130) can be controlled.

PWM 신호(Sp)는 한 주기(Tp) 내에서 하이(high) 구간(Ton) 및 로우(low) 구간을 갖는 구형파일 수 있다. PWM 신호(Sp)가 전원 스위치(130)에 제공되면, 전원 스위치(130)는 PWM 신호(Sp)의 하이 구간(Ton)에서 온 듀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 스위치(130)는 PWM 신호(Sp)가 하이 구간(Ton)일 때에 한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PWM 신호(Sp)의 한 주기(Tp)에 대한 하이 구간(Ton)의 비율을 듀티비(duty ratio)라고 한다.The PWM signal Sp may be a rectangular file having a high period (Ton) and a low (low) period within one period (Tp). When the PWM signal Sp is provided to the power switch 130, the power switch 130 may have a duty from a high period Ton of the PWM signal Sp. In other words, the power switch 130 may maintain the ON state only when the PWM signal Sp is a high period Ton. Here, the ratio of the high period Ton to one period Tp of the PWM signal Sp is called a duty ratio.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버터(110)에 입력되는 입력 교류 전압(Vro)는 전원 스위치(130)가 온 상태일 때, 다시 말해 PWM 신호(Sp)가 하이 구간(Ton)일 때에 한해 값을 가질 수 있다. 결국, 입력 교류 전압(Vro)의 실효치(Vrms)는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의 실효치(Vrms)보다 감소할 수 있고, DC 링크 전압(VDC) 또한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6, the input AC voltage Vro input to the converter 110 is when the power switch 130 is turned on, that is, when the PWM signal Sp is a high section Ton. It can have a year value. As a result, the effective value Vrms of the input AC voltage Vro may be reduced than the effective value Vrms of the AC voltage Vac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and the DC link voltage V DC may also be reduced. .

한편, 스위칭 제어부(140)는 교류 전압(Vac)의 제로 크로싱(zero-crossing) 시점에 PWM 신호(Sp)를 전원 스위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칭 제어부(140)는 교류 전압(Vac)의 크기가 0인 시점에 PWM 신호(Sp)를 전원 스위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output the PWM signal Sp to the power switch 130 at the time of zero-crossing of the AC voltage Vac. In other words,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output the PWM signal Sp to the power switch 130 when the level of the AC voltage Vac is 0.

이를 위해, 스위칭 제어부(140)는 교류 전압원(200)의 출력단에 구비된 제2 전압센서(Vsen2)를 통해 교류 전압(Vac)의 크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Vac through the second voltage sensor Vsen2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AC voltage source 200.

스위칭 제어부(140)는 제2 전압센서(Vsen2)를 통해 교류 전압(Vac)의 크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교류 전압(Vac)의 제로 크로싱 시점에 맞추어 PWM 신호(Sp)를 전원 스위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monitor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Vac through the second voltage sensor Vsen2, and when the DC link voltage V DC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AC voltage Vac The PWM signal Sp may be output to the power switch 130 according to the zero crossing timing of.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제로 크로싱 시점(tz1)에서 첫 번째 PWM 신호(Sp)가 출력될 수 있고, 두 번째 제로 크로싱 시점(tz2)에서 두 번째 PWM 신호(Sp)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모든 PWM 신호(Sp) 또한 마찬가지로 교류 전압(Vac)의 제로 크로싱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6, the first PWM signal Sp may be output at the first zero crossing time tz1, and the second PWM signal Sp at the second zero crossing time tz2 is output. Can be. Subsequently, all PWM signals Sp may also be output at the time of zero crossing of the AC voltage Vac.

PWM 신호(Sp)가 교류 전압(Vac)의 제로 크로싱 시점마다 출력됨으로써, 전원 스위치(130)는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과 위상 동기되어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Since the PWM signal Sp is output at each zero crossing time point of the AC voltage Vac, the power switch 130 may be switched in phase synchronization with the AC voltage Vac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한편, PWM 신호(Sp)가 교류 전압(Vac)의 제로 크로싱 시점에 출력될 때, PWM 신호(Sp)는 교류 전압(Vac)의 연속되는 두 제로 크로싱 시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WM signal Sp is output at the zero crossing time point of the AC voltage Vac, the PWM signal Sp may be symmetrical based on the centers of two successive zero crossing time points of the AC voltage Vac.

전술한 바와 같이, PWM 신호(Sp)는 하이 구간과 로우 구간을 갖는 구형파일 수 있다. 이 때, PWM 신호(Sp)의 하이 구간은 연속되는 두 제로 크로싱 시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PWM 신호(Sp)의 하이 구간의 중심은 연속되는 두 제로 크로싱 시점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WM signal Sp may be a rectangular file having a high section and a low section. At this time, the high section of the PWM signal Sp may be symmetrically formed based on the centers of two consecutive zero crossing points.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the high section of the PWM signal Sp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wo consecutive zero crossing points.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첫 번째 PWM 신호(Sp)의 하이 구간은 연속되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제로 크로싱 시점(tz1, tz2)의 중심(tm)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모든 PWM 신호(Sp)의 하이 구간 또한 마찬가지로 연속되는 두 제로 크로싱 시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high period of the first PWM signal Sp may be symmetrically formed based on the centers tm of the successive first and second zero crossing points tz1 and tz2. Thereafter, the high period of all PWM signals Sp may also be symmetrically formed based on the centers of two consecutive zero crossing points.

이에 따라, 전원 스위치(13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컨버터(110)에 입력되는 입력 교류 전압(Vro)은,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의 마루(crest)와 골(trough)을 중심으로 PWM 신호(Sp)의 하이 구간 내에서 값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input AC voltage Vro input to the converter 110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130 includes a crest and trough of the AC voltage Vac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 May have a value within a high period of the PWM signal Sp.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 이하가 될 때까지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A switching control unit 140 of the DC link voltage (V DC) power switch 130 until the size has exceeded a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DC link voltage (V DC) is to be a reference link voltage (Vref) follows the The on duty can be reduced sequentially.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를 제1 제어 듀티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전압(VDC)과 기준 링크 전압(Vref)을 다시 비교하고, 여전히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를 전술한 제1 제어 듀티보다 감소된 제2 제어 듀티로 설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C link voltage V DC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set the on duty of the power switch 130 as the first control duty. Thereafter,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DC link voltage (V DC ) and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again, and if the DC link voltage (V DC ) still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power switch 130 The on duty of can be set as the second control duty reduced than the first control duty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스위칭 제어부(140)는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를 설정할 때마다 DC 링크 전압(VDC)과 기준 링크 전압(Vref)을 비교할 수 있고,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 이하가 될 때까지 온 듀티를 순차적, 계속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can compare the DC link voltage (V DC ) and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whenever 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 130 is set, and the DC link voltage (V DC ) is the reference. The on-duty may be sequentially and continuously decreased until the link voltage Vref or lower is reach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VDC)을 순차적으로 낮춤으로써, DC 링크 전압(VDC)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장치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DC link voltage (V DC) in seque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ce instability caused by rapid changes in the DC link voltage (V DC).

다음으로, 스위칭 제어부(140)가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130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will be described.

교류 전압(Vac)의 크기에 기초한 제어 방법은, 전술한 DC 링크 전압(VDC)의 크기에 기초한 제어 방법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Vac) is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 described above.

스위칭 제어부(140)는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의 실효치가 기준 링크 전압(Vref)과 동일하게 되는 온 듀티를 결정하고, 결정된 온 듀티에 따라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determines an on-duty such that the effective value of the alternating-current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lternating-current voltage source 200 is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and controls the power switch 13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n-duty. can do.

스위칭 제어부(140)는 제2 전압센서(Vsen2)를 통해 교류 전압원(200)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Vac)의 크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교류 전압(Vac)에 기초하여 온 듀티에 따른 예상 실효치를 산출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identifies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Vac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through the second voltage sensor Vsen2, and the expected effective value according to the on duty based on the identified AC voltage Vac Can be calculated.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는 PWM 신호(Sp)의 듀티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40)는 PWM 신호(Sp)의 듀티비를 변수로 하여, 식별된 교류 전압(Vac)을 해당 듀티비에 대응하는 하이 구간에 대해 적분함으로써 예상 실효치를 산출할 수 있다.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 130 may be determined by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Sp.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alculate the expected effective value by integrating the identified AC voltage Vac with respect to a high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duty ratio, using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Sp as a variable.

도 6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스위칭 제어부(140)는 PWM 신호(Sp)의 듀티비(Ton/Tp)를 변수로 하여, 해당 듀티비에 대응하는 하이 구간(Ton)에서의 교류 전압(Vac)의 크기를 적분함으로써 예상 실효치를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s an example,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uses the duty ratio (Ton/Tp) of the PWM signal Sp as a variable, and the AC voltage Vac in a high section Ton corresponding to the duty ratio. The expected effective value can be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size of.

스위칭 제어부(140)는 예상 실효치가 기준 링크 전압(Vref)과 동일하게 되는 듀티비를 특정하고, 결정된 듀티비를 통해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칭 제어부(140)는 결정된 온 듀티에 따라 전원 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specify the duty ratio at which the expected effective value is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and determine the on duty of the power switch 130 through the determined duty ratio. Subsequent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power switch 13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n-duty.

이에 따라, 전원 스위치(130)는 교류 전압원(200)에서 입력되는 정현파의 교류 전압(Vac) 중에서 일부만을 컨버터(110)에 제공함으로써, 컨버터(110)가 전원 스위치(130)를 통해 제공된 입력 교류 전압(Vro)의 실효치([Vrms])인 기준 링크 전압(Vref)을 DC 링크 커패시터(CDC)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wer switch 130 provides only a portion of the sinusoidal AC voltage (Vac) in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to the converter 110, so that the converter 110 inputs the AC provided through the power switch 130.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which is the effective value ([Vrms]) of the voltage Vro, may be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C DC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VDC)을 기준 링크 전압(Vref)으로 곧바로 제어함으로써, 장치 불안정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버터(120)의 전력 손실을 신속하게 낮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controlling the DC link voltage V DC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power loss of the inverter 120 can be quickly lowered within a range in which device instability does not occu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스위칭 제어부(140)가 DC 링크 전압(VDC)의 상승을 억제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suppresses the rise of the DC link voltage V D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스위칭 제어부(140)는 제1 전압센서(Vsen1)를 통해 DC 링크 전압(VDC)을 식별할 수 있다(S10). 이어서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전압(VDC)과 기준 링크 전압(Vref)을 비교할 수 있다(S20).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identify the DC link voltage V DC through the first voltage sensor Vsen1 (S10 ). Subsequent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mpare the DC link voltage (V DC ) and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S20 ).

비교 결과,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 이하이면 스위칭 제어부(140)는 지속적으로 DC 링크 전압(VDC)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10).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DC link voltage V DC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ntinuously monitor the DC link voltage V DC (S10 ).

반면에,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면 스위칭 제어부(140)는 제2 전압센서(Vsen2)를 통해 식별되는 교류 전압(Vac)의 크기에 기초하여 교류 전압(Vac)의 제로 크로싱 시점을 식별할 수 있다(S30).On the other hand, when the DC link voltage (V DC )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is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Vac) identified through the second voltage sensor (Vsen2), the AC voltage (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zero crossing time of Vac) (S30).

이어서, 스위칭 제어부(140)는 제로 크로싱 시점에서 전원 스위치(130)의 온 듀티 제어를 위한 PWM 신호(Sp)를 전원 스위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S40).Subsequent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output the PWM signal Sp for controlling 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 130 to the power switch 130 at the zero crossing point (S40 ).

PWM 신호(Sp)에 따라 전원 스위치(130)가 스위칭 동작한 이후, 스위칭 제어부(140)는 다시 DC 링크 전압(VDC)을 식별하고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과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S50).After that a switching operation power switch 130 in accordance with the PWM signal (Sp),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is again DC link voltage (V DC) to identify and DC link voltage (V DC), the reference-link voltage (Vref) to the It can be compared whether they are the same (S50).

비교 결과,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여전히 초과하면, 스위칭 제어부(140)는 전원 스위치(130)로 출력되는 PWM 신호(Sp)의 듀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S60). 단계(S60)는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과 동일해질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DC link voltage V DC still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reduce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Sp output to the power switch 130 ( S60). Step S60 may be performed until the DC link voltage V DC becomes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과 동일한 경우, 스위칭 제어부(140)는 인버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S70).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제어부(140)는 인버터(120) 내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에 게이트 신호(Sc)를 인가함으로써, 인버터(120)가 DC 링크 전압(VDC)을 부하(300) 구동을 위한 교류 전류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DC link voltage V DC is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inverter 120 (S70). 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applies the gate signal Sc to the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and Sc' in the inverter 120, so that the inverter 120 May convert the DC link voltage (V DC ) into an alternating current for driving the load 300.

도 8은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의 크기([Vrms])에 따른 인버터(120)의 손실[W]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DC 링크 전압(VDC)이 기준 링크 전압(Vref)으로 조절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와는 달리, 교류 전압원(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압(Vac)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Vref)을 초과하더라도 인버터(120)의 손실이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8 shows the loss [W] of the inverter 120 according to the magnitude ([Vrms]) of the AC voltage Vac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Referring to FIG. 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link voltage (V DC ) is adjusted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and thus, unlike the case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AC voltage source 200 ( It can be seen that even if the size of Vac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the loss of the inverter 120 does not incre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C 링크 전압(VDC) 상승을 제어함으로써,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과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DC link voltage (V DC ) rise,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can be secured even when an overvoltage is temporarily or continuously input.

한편, 스위칭 제어부(140)는 DC 링크 전압(VDC)이 목표 전압 범위 이내인 경우에 한해 인버터(120)의 전력 변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operation of the inverter 120 only when the DC link voltage V DC is within a target voltage range.

목표 전압 범위는 기준 링크 전압(Vref) 내외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전압 범위는 기준 링크 전압(Vref)의 +10% 이내의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고, 기준 링크 전압(Vref)의 -10%에서 +10%의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target voltage range may be set within or outside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For example, the target voltage range may be set within a range of +10% of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or may be set in a range of -10% to +10% of the reference link voltage Vref.

스위칭 제어부(140)가 인버터(120)를 구성하는 전력 스위칭 소자(Sa, Sa', Sb, Sb', Sc, Sc')에 게이트 신호(Sc)를 인가하여 인버터(120)의 전력 변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40 applies a gate signal Sc to the power switching elements Sa, Sa', Sb, Sb', Sc, and Sc' constituting the inverter 120 to perform a power conversion operation of the inverter 120. The control is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인버터(120)는 DC 링크 전압(VDC)이 목표 전압 범위를 초과함에 따라 전력 변환 효율이 낮은 구간에서는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 변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verter 120 may not perform a power conversion operation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loss in a section in whic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is low as the DC link voltage (V DC ) exceeds a target voltage range.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ecause it is possible for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by.

Claims (12)

교류 전압원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을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전류를 부하에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교류 전압원과 상기 컨버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컨버터에 상기 교류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DC 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DC 링크 전압의 크기 및 상기 교류 전압원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A converter that converts the AC voltage provided by the AC voltage source into a DC voltage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An inverter that converts the DC voltage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into an AC current and outputs the converted AC current to a load;
A power switch provided between the AC voltage source and the converter to selectively provide the AC voltage to the converter; And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stored in the DC link capacitor and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provided from the AC voltage source.
Power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다이오드 브릿지(diode bridge)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ter is a power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an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using a diode bridge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ter is a power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an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using a bridge circu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회로는 제1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 및 제1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제1 래그와, 제2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 및 제2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제2 래그를 포함하고,
상기 교류 전압의 크기가 양일 때 상기 제1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 및 제2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가 턴 온 제어되고, 상기 교류 전압의 크기가 음일 때 상기 제1 하암 전력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상암 전력 스위칭 소자가 턴 온 제어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bridge circuit includes a first lag composed of a first upp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and a first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lag composed of a second upp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lower arm power switching element,
When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is positive, the first and second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are turned on and controlled,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AC voltage is negative, the first and second arm power switching elements are switched. Power conversion device in which the element is turned on and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복수의 전력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DC 링크 전압을 교류 전류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verter is a power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the DC link voltage to an alternating current using a plurality of power switching elem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DC 링크 전압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듀티를 제어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 when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압의 반 주기를 한 주기로 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witch by generating a PWM signal having a half cycle of the AC voltage as one cy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압의 제로 크로싱(zero-crossing) 시점에 상기 PWM 신호를 상기 전원 스위치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witching control unit is a power conversion device that outputs the PWM signal to the power switch at the time of zero crossing of the AC volt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는 상기 교류 전압의 연속되는 두 제로 크로싱 시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인 전력 변환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WM signal is a power conversion devic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wo successive zero crossing points of the AC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DC 링크 전압의 크기가 기준 링크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DC 링크 전압의 크기가 상기 기준 링크 전압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듀티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exceeds the reference link voltage, the switching control unit sequentially decreases the on-duty of the power switch until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nk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압원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압의 실효치(effective value)가 기준 링크 전압과 동일하게 되는 온 듀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온 듀티에 따라 상기 전원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control unit determines an on-duty such that an effective value of an alternating-current voltage provided by the alternating-current voltage source is equal to a reference link voltage, and controls the power switch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n-du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DC 링크 전압이 목표 전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인버터의 전력 변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operation of the inverter when the DC link voltage is within a target voltage range.
KR1020180159523A 2018-12-11 2018-12-11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KR102231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23A KR102231614B1 (en) 2018-12-11 2018-12-11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23A KR102231614B1 (en) 2018-12-11 2018-12-11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616A true KR20200071616A (en) 2020-06-19
KR102231614B1 KR102231614B1 (en) 2021-03-23

Family

ID=7113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23A KR102231614B1 (en) 2018-12-11 2018-12-11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6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8242A (en) * 2021-12-31 2023-07-11 圣邦微电子(北京)股份有限公司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method
KR102627236B1 (en) 2023-04-14 2024-01-19 인코스(주) A sea squirt shell ferment made by using bioconversion process,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for anti-inflammatory, anti-oxidation, anti-wrinkle, skin regeneration, skin elasticity and skin sooth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844A (en) * 1998-09-14 2000-03-31 Daikin Ind Ltd Converter
JP2010146819A (en) * 2008-12-18 2010-07-01 Fujitsu General Ltd Driving device of relay, and air conditioner using this
JP2017017931A (en) * 2015-07-03 2017-01-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Motor drive device having pwm converter
KR101743064B1 (en) * 2016-07-27 2017-06-02 김근식 Led dimming control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844A (en) * 1998-09-14 2000-03-31 Daikin Ind Ltd Converter
JP2010146819A (en) * 2008-12-18 2010-07-01 Fujitsu General Ltd Driving device of relay, and air conditioner using this
JP2017017931A (en) * 2015-07-03 2017-01-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Motor drive device having pwm converter
KR101743064B1 (en) * 2016-07-27 2017-06-02 김근식 Led dimming control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8242A (en) * 2021-12-31 2023-07-11 圣邦微电子(北京)股份有限公司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method
KR102627236B1 (en) 2023-04-14 2024-01-19 인코스(주) A sea squirt shell ferment made by using bioconversion process,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for anti-inflammatory, anti-oxidation, anti-wrinkle, skin regeneration, skin elasticity and skin soot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614B1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9655B2 (en) DC bus boost method and system for regenerative brake
CN100490284C (en) Power factor improving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69839B1 (en) Power converter
US8503204B2 (en) Power converter circuit
US10003272B2 (en) Three-phase/single-phase matrix converter
Roggia et al. Digital current controllers applied to the boost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with load variation
RU2645726C2 (en) Ac-to-ac voltage converter
CN113014124A (en) Power conversion device
CN108418422B (en) Power supply system compatible with single-phase and three-phase input
KR102231614B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KR20190115364A (en) Single and three phase combined charger
JP6142926B2 (en) Power converter
Gangavarapu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three phase single stage isolated Cuk based PFC converter
KR100420964B1 (en) Single-stage converter compensating power factor
US6137272A (en) Method of operating an AC-DC converter
JP2018099014A (en) Power conversion device
CN107979297B (en) AC/DC converter based on multiplexing inductance
KR101898117B1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having ac switch
CN112075019A (en) Buck matrix rectifier with boost switch and operation thereof during one phase loss
RU2325752C1 (e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regulator
US11689110B2 (en) AC voltage regulating circuit and method and transformer
KR20200078110A (en)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JP4140245B2 (en) Inverter control method and power saving device using the control method
Giuntini et al. Double-conversion UPS efficiency under varying mains conditions
De Paris et al. Third Harmonic Content Correction Technique for DCM Boost Rect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