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110A -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 Google Patents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110A
KR20200078110A KR1020180167705A KR20180167705A KR20200078110A KR 20200078110 A KR20200078110 A KR 20200078110A KR 1020180167705 A KR1020180167705 A KR 1020180167705A KR 20180167705 A KR20180167705 A KR 20180167705A KR 20200078110 A KR20200078110 A KR 2020007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supply
signal
volta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우
김경섭
김혁수
정호진
최길영
오용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8110A/en
Publication of KR2020007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1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6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mounted on a transformer
    • H02M2001/0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bipolar pulse DC voltage signal to a load.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control unit and a half-bridge circuit including two power supply units and two circuit switches. Each of the two power supply units includes a rectifier circuit unit for receiving a commercial AC voltage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signal and a switch. In addition, each of the two power supply units includes a DC/DC converter unit that is configured to boost or reduce the DC voltag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tifier circuit unit to a predetermined target DC voltage according to on/off control of the switch according to a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The two circuit switches of the half-bridge circuit are on/off-controlled according to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so that the power supply operates to output the bipolar pulse DC voltage signal, wherein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trols the two circuit switches not to b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circuit control unit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wherein the circuit control unit performs digital signal processing based on at least one of a feedback input from each of the DC/DC converter units, a feedback input from the load, and a user input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thereby gener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Description

양극성 펄스 전원 공급 장치{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Bipolar pulse power supply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본 개시는, 펄스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한 스위칭 제어에 따른 양극성 펄스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ulse power supp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polar pulse power supply according to switching control through digital signal processing.

근래에는, 반도체 장비 등 다양한 전기전자기기에서 양극성 펄스 전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양극성 펄스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는데, 그 동작 제어를 아날로그 방식에 의할 경우 설계가 복잡해져서 유연성이 떨어지고 제어 속도가 느리며 출력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recent years,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where a bipolar pulse power source is required in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semiconductor equipment.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power supply for bipolar pulse power supply, and when the operation control is based on an analog method, the design becomes complicated, resulting in inflexibility, slow control speed, and poor output stability.

따라서, 디지털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스위칭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양극성 펄스 전원 공급 장치의 제공이 필요로 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bipolar pulse power supply capable of switching control according to a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부하에 양극성 펄스 직류 전압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전원 공급 장치는, 회로 제어부, 및 2개의 전원부와, 2개의 회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프-브릿지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전원부 각각은, 상용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부, 및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제어부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직류 전압 신호를 소정의 목표 직류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감압하도록 구성된 DC/DC 컨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프-브릿지 회로의 상기 2개의 회로 스위치는, 상기 회로 제어부로부터의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2개의 회로 스위치가 동시에 온 되지 않도록 제어함 -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양극성 펄스 직류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회로 제어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통하여, 상기 DC/DC 컨버터부 각각으로부터의 피드백 입력, 상기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입력,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bipolar pulsed DC voltage signal to a load is provided.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ircuit controller, and a half-bridge circuit including two power supplies and two circuit switches. Each of the two power supply units, A rectify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 commercial AC voltage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signal, and a switch, and received from the rectify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on/off control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And a DC/DC converter configured to boost or depressurize the DC voltage signal to a predetermined target DC voltage, and the two circuit switches of the half-bridge circuit are turned on/off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controller. Off control-the second control signal is controlled so that the two circuit switches are not turned o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operates to output the bipolar pulsed DC voltage signal, and the circuit control unit is a digital signal processor Including,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by perform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eedback input from each of the DC / DC converter unit, the feedback input from the load, and the user input,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generate the second control signa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류 회로부는, 직렬로 연결된 변압기, 브릿지 다이오드, 및 평활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와 상기 평활 캐패시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 회로부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시 발생할 수 있는 개폐 서지 전류를 억제하기 위한 안전 장치- 상기 안전 장치는, 병렬로 연결된 저항 및 트라이악(triac)을 포함함 -를 더 포함하며, 상기 DC/DC 컨버터부 각각의 상기 스위치는 IGBT이고, 상기 회로 제어부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각 피드백 입력을 옵토 커플러에 의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ctifying circuit unit includes a transformer, a bridge diode, and a smoothing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bridge diode and the smoothing capacitor to turn on or turn the rectifying circuit unit. A safety device for suppressing an open/closed surge current that may occur when off, the safety device further includes a resistor and a triac connected in parallel, wherein each switch of each of the DC/DC converter parts It is an IGBT,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the circuit controller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each feedback input by an opto coupler.

본 개시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 방식에 의해 회로 스위칭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스위칭 제어에 따른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비해, 회로의 피드백 반응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고 출력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부하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디지털 신호 처리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제어 회로의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circuit switching control can be perform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 the feedback response speed of the circuit can be faster and the stability of the output can be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by the analog method. I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and flexibly by changing the software configuration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even when there is a fluctuation in load, so that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of the control circui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류 회로부(110a, 110b)의 예시적 구현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예시적 구현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정전압 회로부(130)의 예시적 구현 회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회로 제어부(14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하프-브릿지 회로부(150)의 예시적 구현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 of the rectifying circuit portions 110a and 110b of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of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s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of FIG. 1.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of FIG. 1.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 of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of FIG. 1.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ailed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a component expressed as a singular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refers to the singular.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include' or'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he use of the term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원 장치(100)는 2개의 정류 회로부(110a, 110b), 2개의 DC/DC 컨버터부(120a, 120b), 정전압 회로부(130), 회로 제어부(140), 및 하프-브릿지 회로부(150)를 포함한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two rectifying circuit parts 110a and 110b, two DC/DC converter parts 120a and 120b, a constant voltage circuit part 130, a circuit control part 140, and a half-bridge It includes a circuit unit 15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각각, 상용 교류 전원(Vin)으로부터 교류 입력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입력된 교류 전압 신호(Vin)를 직류 전압 신호로 정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각각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또한 각각 직류 정류된 전압 신호의 리플을 억제하기 위한 평활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may receive an AC input voltage signal from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Vin.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may rectify the input AC voltage signal Vin into a DC voltag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may each include a bridge diode circuit.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rectifying circuits 110a and 110b may also include smoothing capacitors to suppress ripple of the DC rectified voltage signal, respectivel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DC/DC 컨버터부(120a, 120b)는 각각 대응하는 정류 회로부(110a, 110b)에 연결되어, 정류 회로부(110a, 110b)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DC 컨버터부(120a, 120b) 각각은 또한 회로 제어부(140)에 접속되며, 회로 제어부(140)로부터 각각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소자 온/오프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출력 전압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are connected to corresponding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respectively, to receive DC voltage signals output from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Can. As will be described later, each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is also connected to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and can receive switch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ceived switching control signal. The switching elements are turned on/off to output a predetermined output voltage accordingl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 회로부(130)는, 상용 교류 전원(Vin)을 수신할 수 있다. 정전압 회로부(13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변압기,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 소정의 전압 레귤레이터 등을 통해, 위 수신된 상용 교류 전원의 전압 신호를 소정의 정전압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전압 회로부(130)로부터의 정전압 직류 신호는, 후단의 회로 제어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공급 장치(100)가 별도의 정전압 회로부를 포함하는 대신, 회로 제어부(140)가 정류 회로부(110a, 110b)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내부적으로 적절한 처리를 가하여 소정의 정전압 직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may receive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Vin.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may convert and output the voltage signal of the commercial AC power received above into a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DC signal through a transformer, a bridge diode circuit, and a predetermined voltage regulator. . The constant voltage DC signal from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may be input to the circuit controller 140 at the rear s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stead of the voltage supply device 100 including a separate constant voltage circuit part, the circuit control part 140 receives the output from the rectifying circuit parts 110a and 110b and applies appropriate processing internal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DC signa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DC/DC 컨버터부(120a, 120b) 각각의 스위칭 제어를 위한 PWM 신호를 생성 및 증폭하여 각 DC/DC 컨버터부(120a, 120b)로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DC/DC 컨버터부(120a, 120b)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후술하는 부하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피드백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수신된 피드백 입력을 기초로 각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정전압 유지를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수신된 피드백 입력을 기초로, 후술하는 하프-브릿지 회로부(150)의 각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ircuit controller 140 generates and amplifies a PWM signal for switching control of each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thereby amplifying each DC/DC converter unit 120a and 120b. Can be output as As illustrated, the circuit controller 140 may also receive output voltages from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as feedback inpu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also receive a voltage signal from a loa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feedback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ircuit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 PWM signal for maintaining the constant voltage of each DC/DC converter unit 120a and 120b based on the received feedback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and output each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received feedback inpu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프-브릿지 회로부(150)는, 각 DC/DC 컨버터부(120a, 120b)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하프-브릿지 회로부(150)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제어부(140)로부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프-브릿지 회로부(150)는, 수신된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DC/DC 컨버터부(120a, 120b) 각각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부하에 양극성 펄스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may receive output voltages from the respectiv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may also receive a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as described above.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may supply a bipolar pulse power to the load by selectively outputting voltage signals from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according to the received switching control signal.

도 2는, 도 1의 정류 회로부(110a, 110b)의 예시적 구현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회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이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 of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of FIG. 1.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ircuit shown in this figure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상용 교류 전원(Vin)을 입력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변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변압 회로를 통해 수신된 전압 신호를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또한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를 통해 변압 회로에서 강압된 전압 신호를 맥류 전압 신호로 정류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또한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 후단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저항을 각각 포함하며, 캐패시터는 브릿지 다이오드로부터의 맥류 전압 신호는 평활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은 전원 공급 장치(100)를 턴 오프 할 때 캐패시터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되는 방전 전류를 억제하고 소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00)를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때, 캐패시터의 충방전에 의하여 회로에 대규모 전류(개폐 서지)가 흐를 수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a, 110b)는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와 캐패시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개폐 서지 전류 억제를 위한 안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안전 장치는, 각각 병렬로 연결된 트라이악(triac)과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00)가 턴 온 되고 큰 서지 전류가 흐르는 일정 시간 동안은 위 안전 장치 상의 저항을 통해서 억제된 전류가 흘러 캐패시터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고 회로가 정상상태로 접어들면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자에 펄스를 인가하여 턴 온 시키고 그에 따라 저항을 통한 전류는 0이 되고 모든 전류는 트라이악을 통해 억제되지 않은 상태로 흐르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로 제어부(140)는, 정류 회로부(110a, 110b)로부터의 출력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트라이악의 턴 온 여부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a, 110b)의 각 출력단에 배치될 수 있는 평활 캐패시터의 용량은, 맥류 전압 신호의 주파수에 반비례하고 전류의 크기 및 허용 전압 리플에 비례하도록 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평활 캐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방전 전류 억제용 저항을 충분히 큰 값으로 선정하여 평소 전력소모를 최소로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회로 구성을 통해, 수신된 상용 교류 전원(Vin) 신호를, 소정의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may receive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Vin a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may include a transformer circuit, and the volta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ransformer circuit may be stepped down to a predetermined voltage.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may also include a bridge diode circuit, and may rectify the step-down voltage signal from the transformer circuit into a pulse voltage signal through the bridge diode circuit. The rectifying circuit portions 110a and 110b also include a capacitor and a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ar end of the bridge diode circuit, and the capacitor can be used to smooth the pulse voltage signal from the bridge diode. The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may be used to suppress and consume the discharge current in which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is discharged when the power supply 100 is turned off. When the power supply device 100 is turned on or off, a large current (open/closed surge) may flow in the circuit by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capac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May include a safety device for suppressing the switching surge current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bridge diode circuit and the capacitor. As shown, the safety devices may include triacs and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respective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power supply 100 is turned on and a large surge current flows, the suppressed current flows through the resistor on the safety device to charge the capacitor. When charging is completed and the circuit enters a normal state, a pulse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to turn it on, and accordingly, the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becomes 0 and all currents can flow unrestrained through the triac.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output voltage signals from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whether the triac is turned on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pacity of the smoothing capacitor that can be disposed at each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is selecte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pulse voltage signal and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nd the allowable voltage ripple. You ca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resistor for suppressing discharge current, connected in parallel to a smoothing capacitor, may be selected to a sufficiently large valu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ceived commercial AC power supply (Vin)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signal and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ircuit configuration.

도 3은, 도 1의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예시적 구현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회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이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전력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의 예시적 회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전력 스위치가 오프 되었을 때의 예시적 회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of FIG. 1.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ircuit shown in this figure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Figure 3 (a)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ircuit operation when the power switch of the DC / DC converter unit (120a, 120b) is on, Figure 3 (b) is a DC / DC converter unit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circuit operation when the power switch of (120a, 120b) is turned off.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DC/DC 컨버터부(120a, 120b)는, 정류 회로부(110a, 110b)로부터의 평활된 직류 전압 신호(Vi)를 입력 신호로서 수신하고, 소정의 전압 신호로 승압 또는 감압하여 출력하는, 벅-부스트 컨버터일 수 있다. 벅-부스트 컨버터는, 입력 전압 신호를 D/(1-D)배로 출력하는 회로로서, D(Duty Ratio)가 0.5 이상이면 승압을, 그 이하이면 감압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DC/DC 컨버터부(120a, 120b)는, 입력 전압 신호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 소자 S와 스위칭 소자 S에 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DC/DC 컨버터부(120a, 120b)는, 스위칭 소자에 직렬 연결된 인덕터 L과, 인덕터 L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 C와, 인덕터 L과 캐패시터 C 사이의 다이오드 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 소자 S는, 고주파수 고전력을 위한 IGBT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 소자 S가 온 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 S에 걸리는 전압 Vs는 0이 되고 흐르는 전류 Is는 IL이 된다. 이때, 다이오드 D는 오프 되므로 다이오드 D에 흐르는 전류 Id는 0이 되고 걸리는 전압 Vd는 Vi+Vo가 된다. 이때 인덕터 L에는, 양의 전압이 걸리므로 전류 iL은 상승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 소자 S가 오프 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 S에 걸리는 전압 Vs는 Vi+Vo가 되고 흐르는 전류는 Is는 0이 된다. 이때, 다이오드 D는 온 되므로 다이오드 D에 흐르는 전류 Id는 IL이 되며 걸리는 전압 Vd는 0이 된다. 여기서, 인덕터 L에는, 음의 전압이 걸리므로 전류 iL은 하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버터 출력단의 다이오드 D는 스위칭 다이오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PN접합 다이오드와 달리, 스위칭 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솔루션이 포함된 다이오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 소자에 유도성 전압 스파이크가 발생하여 파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회로에 RC 스너버 회로가 추가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receive the smoothed DC voltage signal Vi from the rectifying circuit units 110a and 110b as an input signal and use a predetermined voltage signal. It may be a buck-boost converter that outputs by boosting or reducing pressure. The buck-boost converter is a circuit that outputs an input voltage signal at D/(1-D) times. When the D (Duty Ratio) is 0.5 or more, a boost is performed, and if it is less, a decompression is performed. As illustrated,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may include a switching element S connected in series to the input voltage signal and a diod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witching element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include an inductor L connected in series to a switching element, a capacitor C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ductor L, and a diode D between the inductor L and the capacitor C. It can cont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witching element S may be an IGBT for high frequency and high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switching element S is turned on, the voltage Vs applied to the switching element S becomes 0 and the flowing current Is becomes IL. At this time, since the diode D is off, the current Id flowing through the diode D becomes 0 and the voltage Vd applied becomes Vi+Vo. At this time, since the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inductor L, the current iL ri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switching element S is turned off, the voltage Vs applied to the switching element S becomes Vi+Vo and the flowing current becomes Is. At this time, since the diode D is turned on, the current Id flowing through the diode D becomes IL, and the applied voltage Vd becomes 0. Here, since the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inductor L, the current iL f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ode D of the converter output stage may be a switching diode, and unlike a typical PN junction diode, it may be a diode including a solution for increasing the switching speed. It should be noted tha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RC snubber circuit may be added to the circuit to prevent the inductive voltage spike from occurring in the switching element and being destroy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DC/DC 컨버터부(120a, 120b)는, 회로 제어부(140)로부터 스위칭 소자 S를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로 제어부(14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구동 IC를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DC/DC 컨버터부(120a, 120b) 각각으로부터의 현재 출력 전압(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컨대, 각 컨버터부의 출력단 캐패시터 C에 배치된 전압 센서 등을 통해 측정된 출력 전압 등일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피드백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그 수신된 피드백 입력 값을 기초로,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한 듀티 비를 가진 PWM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제어부(140)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전압 유지를 위한 D값을 PID코드를 통해 계산하고 계산된 D값에 따라 PWM 신호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과도 상태에서 OVER SHOOT를 최소화하여 회로 각 소자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구동 IC를 통해, 위 생성된 PWM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칭 소자 S를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DC/DC 컨버터부(120a, 120b)로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 S(예컨대, IGBT 소자)의 게이트와 드레인, 소스 사이에는 내부 커패시턴스과 존재하고 이것이 충전되어야 턴 온 될 수 있는데, 구동 IC에 의한 PWM 신호의 증폭(전류 증폭)은, 스위칭 소자 S의 턴 온 시간 및 턴 오프 시간을 짧게 하고,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단축하여 총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 통상 디지털 신호 처리기 등의 GPIO의 최대 허용전류는 스위칭 소자 S를 충분히 빠르게 턴 온, 턴 오프 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충분히 빠르게 턴 온, 턴 오프 되지 못한다면 컨버터의 동작 신뢰성을 유지할 수 없고, 스위칭 소자 S의 발열 및 그에 따른 효율 저하와 소손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PWM 신호의 적절한 증폭을 위한 구동 IC를 설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임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쇄교자속에 의한 PWM 파형의 변조 가능성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회로 제어부(140)의 구동 IC 출력단과 DC/DC 컨버터 회로부(120a, 120b)의 스위칭 소자 S의 게이트 또는 베이스까지의 거리는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may receive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he switching element S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driving IC,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s a current output voltage (not specifically shown) from each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However, it may be, for example, an output voltage measured through a voltage sensor or the like disposed on the output terminal capacitor C of each converter unit,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can generate a PWM signal with a duty ratio to obtain a desired output voltage based on the received feedback input value.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calculate a D value for maintaining a constant voltage through a PID code and change the PWM signal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 value, thereby minimizing the overshoot in the transient state to minimize the circuit angle. The burden on the device can be reduced.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also amplify the PWM signal generated above through the driving IC and transmit it to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a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he switching element S. There is an internal capacitance between the gate, drain, and source of the switching element S (e.g., IGBT element) and it can be turned on only when it is charged.The amplification (current amplification) of the PWM signal by the driving IC is turned on. The total heating value can be reduced by shortening the time and turn-off time and shortening the current flowing time. Usually,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of a GPIO such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is not sufficient to turn on and off the switching element S quickly enough. If it is not turned on or off quickly enough,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converter, and the possibility of heat gen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 S and consequent decrease in efficiency and burnout incr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a driving IC for proper amplification of the PWM sig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modulation of the PWM waveform by the flux linkage, the driving IC output terminal of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and the gate of the switching element S of the DC/DC converter circuit units 120a and 120b Alternatively, it may be desirable to minimize the distance to the base.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인덕터 L은 스위칭 소자 S가 턴 온 된 상태 동안 에너지를 자계의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턴 오프 되는 동안 에너지(또는 전류)를 부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덕터 L의 인덕턴스가 클수록 전류는 일정한 값(DC)을 가지도록 평활화될 수 있다. 이는 출력단 캐패시터 C가 전압을 일정한 값으로 평활시키는 것과 유사한 원리이며, 따라서 최대 사용 전압과 전류에 따라 허용 최대 리플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 값을 산정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누설자속에 의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전자기간섭)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인덕터 L로서 트로이달 형태의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캐패시터 C의 경우 고전압 고주파수 고용량을 위해 필름 캐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The inductor L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may function to store energy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during the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S is turned on and then transfer energy (or current) to the load during the turn-off. h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greater the inductance of the inductor L, the more the current can be smoothed to have a constant value (DC). This is a principle similar to that of the output terminal capacitor C smoothing the voltage to a constant value, so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llowable maximum ripple according to the maximum used voltage and current, and calculate the capacitance and inductance values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rder to minimize 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due to leakage flux, a Troidal coil may be used as the inductor L. In the case of capacitor C, a film capacitor can be used for high voltage, high frequency, and high capacity.

도 4는, 도 1의 정전압 회로부(130)의 예시적 구현 회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정전압 회로부(130)는, 상용 교류 전원 AC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변압기를 통해 입력 교류 전압 신호를 소정의 전압 신호로 감압할 수 있다. 정전압 회로부(130)는 또한 감압된 교류 전압 신호를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를 통해 맥류 전압 신호로 정류할 수 있고, 전압 레귤레이터(예컨대, 7820, 7833 레귤레이터 등)를 이용해서 원하는 정전압 신호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s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of FIG. 1.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may receive a commercial AC power AC as an input and decompress the input AC voltage sign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signal through a transformer.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may also rectify the decompressed AC voltage signal into a pulsating voltage signal through a bridge diode circuit, and obtain and output a desired constant voltage signal using a voltage regulator (eg, 7820, 7833 regulator, etc.). have.

도 5는, 도 1의 회로 제어부(14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DC/DC 컨버터 구동 제어부(510)와 하프-브릿지 회로 구동 제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of FIG. 1. As illustrated,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DC/DC converter driving control unit 510 and a half-bridge circuit driving control unit 52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정전압 회로부(130)로부터 회로 제어부(140) 동작 전원으로서 정전압 직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DC/DC 컨버터부(120a, 102b)의 각 출력단으로부터 각각의 피드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하프-브릿지 회로부(150) 후단의 부하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 constant voltage DC signal from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130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of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also receive respective feedback inputs from each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02b. The circuit control unit 140 may also receive a feedback input of an output voltage from a load at the rear end of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도시된 바에 의하면, DC/DC 컨버터 구동 제어부(51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12)와 DC/DC 컨버터 구동 IC(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DC/DC 컨버터부(120a, 102b)의 각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된 피드백 입력 및/또는 부하로부터 입력된 피드백 입력이 디지털 신호 처리기(512)로 입력될 수 있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12)는 수신된 피드백 입력들을 기초로 각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정전압 유지를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IC(514)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12)에 의해 생성된 PWM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PWM 신호를 DC/DC 컨버터부(120a, 120b)의 각 스위칭 제어에 적합하도록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DC/DC converter driving control unit 510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or 512 and a DC/DC converter driving IC 514. As described above, the feedback input input from each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02b and/or the feedback input input from the load may be input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12,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12 may be PWM signals for maintaining a constant voltage of each DC/DC converter unit 120a or 120b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feedback inputs. The driving IC 514 may receive the PWM signal generat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12 and amplify and output the received PWM signal to be suitable for each switching control of the DC/DC converter units 120a and 120b.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프-브릿지 회로 구동 제어부(520)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전술한 부하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입력에 기초하여, 하프-브릿지 회로부(150)를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하프-브릿지 회로부(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원하는 양극성 펄스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데, 양의 반주기 동안은 제1 스위치가 턴 온되고 제2 스위치는 턴 오프되고, 음의 반주기 동안은 제2 스위치가 턴 온되고 제2 스위치는 턴 오프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하프-브릿지 회로부(150)의 제1 및 제2 스위치가 모두 동시에 턴 온될 경우 전체 회로가 저항이 0인 단락 회로가 되어 대전류가 흐를 수 있고 그 결과 회로가 파괴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하프-브릿지 회로 구동 제어부(520)는 하프-브릿지 회로부(150)의 두 개의 스위치가 모두 턴 오프되는 소정의 데드타임(dead time)을,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 사이에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alf-bridge circuit driving control unit 520 is driven for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based on a user input from the outside and/or a feedback input received from the above-described load. Control signals can be generated.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is configured to output a desired bipolar pulse voltage signal by controlling on/off of two switches, as described later. During a positive half cycle,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It is turned off, and during the negative half cycle,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ff.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of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entire circuit becomes a short circuit with zero resistance, and there is a risk that a large current may flow and the circuit may be destroyed. The bridge circuit driving control unit 520 may operat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dead time in which both switches of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are turned off between a positive half cycle and a negative half cycle.

도 6은, 도 1의 하프-브릿지 회로부(150)의 예시적 구현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회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이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프-브릿지 회로부(150)는, 각각 소정의 직류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2개의 전원부와 2개의 스위치(예컨대, IGBT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6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implementation circuit of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of FIG. 1.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ircuit shown in this figure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s illustrated, the half-bridge circuit unit 150 may include two power supply units and two switches (eg, IGBT switches) that respectively output a predetermined DC voltage signa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2개의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전원부 각각은, 상용 교류 전원 신호를 수신하여, 브릿지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등에 의해 평활된 직류 신호로 변환하고, 이 직류 신호를 DC/DC 컨버터(예컨대, 벅-부스트 컨버터 등)를 이용해서 소정의 승압 및 감압된 전압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술한 전원부 2개와 2개의 스위치(예컨대 IGBT)로 구성된 하프-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며, 하프-브릿지 회로의 각 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부하에 소정의 양극성 직류 펄스 전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wer supply device 100 may include two power supplies. Each of the two power supplies receives a commercial AC power signal, converts it into a DC signal smoothed by a bridge diode, a capacitor, or the like, and converts the DC signal to a predetermined value using a DC/DC converter (for example, a buck-boost converter). It can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voltage step-up and step-down voltag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w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half-bridge circuit composed of two of the aforementioned power units and two switches (eg, IGBT), and turns on/off each switch of the half-bridge circuit Through control, a predetermined bipolar DC pulse power signal can be supplied to the loa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DC/DC 컨버터의 승압 또는 감압을 위한 스위치 온/오프 제어 신호, 하프-브릿지 회로의 각 스위치 온/오프 제어 신호 등의 생성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의 안정적이고 빠른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generation of a switch on/off control signal for step-up or decompression of a DC/DC converter, each switch on/off control signal of a half-bridge circuit, or the like is software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stable and fast control of the circuit is possibl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회로로부터의 피드백 입력이 회로제어부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관하여, 전기적 절연을 위해서, 옵토 커플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the part where the feedback input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is connec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the circuit control unit, for electrical isolation, an optocoupler may be used,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이미지들을 캡처 및 기록하는 기준 및 방법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reconstructed, and repla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may be various criteria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recording screen imag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laims (2)

부하에 양극성 펄스 직류 전압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로서,
회로 제어부, 및
2개의 전원부와, 2개의 회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프-브릿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전원부 각각은,
상용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직류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부, 및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제어부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직류 전압 신호를 소정의 목표 직류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감압하도록 구성된 DC/DC 컨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프-브릿지 회로의 상기 2개의 회로 스위치는, 상기 회로 제어부로부터의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제어-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2개의 회로 스위치가 동시에 온 되지 않도록 제어함 -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상기 양극성 펄스 직류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회로 제어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통하여, 상기 DC/DC 컨버터부 각각으로부터의 피드백 입력, 상기 부하로부터의 피드백 입력,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 장치.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bipolar pulsed DC voltage signal to a load,
Circuit control, and
A half-bridge circuit including two power supply units and two circuit switches,
Each of the two power supplies,
A rectify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 commercial AC voltage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signal, and
DC/DC comprising a switch and configured to boost or decompress the DC voltage signal received from the rectifying circuit unit to a predetermined target DC voltage according to on/off control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Including a converter part,
The two circuit switches of the half-bridge circuit are controlled on/off according to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the circuit control unit.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controlled so that the two circuit switches are not turned on at the same time. , The power supply operates to output the bipolar pulsed DC voltage signal,
The circuit controller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igital signal processing based on at least one of a feedback input from each of the DC/DC converter units, a feedback input from the load, and a user input. By performing,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회로부는, 직렬로 연결된 변압기, 브릿지 다이오드, 및 평활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와 상기 평활 캐패시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 회로부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시 발생할 수 있는 개폐 서지 전류를 억제하기 위한 안전 장치- 상기 안전 장치는, 병렬로 연결된 저항 및 트라이악(triac)을 포함함 -를 더 포함하며,
상기 DC/DC 컨버터부 각각의 상기 스위치는 IGBT이고,
상기 회로 제어부의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각 피드백 입력을 옵토 커플러에 의해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원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tifying circuit unit includes a transformer, a bridge diode, and a smoothing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bridge diode and the smoothing capacitor to open and close surge currents that may occur when the rectifying circuit is turned on or off. Safety device for restraining-the safety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sistor and a triac connected in parallel-
The switches of each of the DC/DC converter units are IGBT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of the circuit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ceive each feedback input by an opto coupler,
Power supply.
KR1020180167705A 2018-12-21 2018-12-21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KR202000781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705A KR20200078110A (en) 2018-12-21 2018-12-21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705A KR20200078110A (en) 2018-12-21 2018-12-21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110A true KR20200078110A (en) 2020-07-01

Family

ID=7160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705A KR20200078110A (en) 2018-12-21 2018-12-21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81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6754A (en) * 2024-02-01 2024-03-12 忱芯科技(上海)有限公司 Current source for bipolar degradation test of silicon carbide power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6754A (en) * 2024-02-01 2024-03-12 忱芯科技(上海)有限公司 Current source for bipolar degradation test of silicon carbide power semiconductor device
CN117686754B (en) * 2024-02-01 2024-04-26 忱芯科技(上海)有限公司 Current source for bipolar degradation test of silicon carbide power semiconduct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6348B2 (en) Power controller
KR100796890B1 (en)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TWI501533B (en) An off-line voltage regulator, off-line regulator integrated circuit and voltage convert method thereof
US8749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10193437B1 (en) Bridgeless AC-DC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nd method therefor
US9407156B2 (en) Managing leakage inductance in a power supply
US10104732B2 (en) LED drive method and LED drive device
CN109889062B (en)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converter
US10148176B2 (en) DC to DC converter with pulse width modulation and a clamping circuit for non-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JP2004056997A (en) High power factor transformer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S62178169A (en) Single ended type dc-dc converter without switching loss
EP21014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 to DC power conversion with reduced harmonic current
US9160238B2 (en) Power converter with current feedback loop
US8300437B2 (en) Multi-output DC-to-DC conversion apparatus with voltage-stabilizing function
US20160336847A1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omprising the same
KR20200040673A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pfc burst mode control
JP420782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JPH04299070A (en) Switching regulator
CN113364283A (en) Pseudo current tracking for power supply regulation
CN111064356A (en) Power supply circuit capable of improving power factor
KR20200078110A (en) Bipolar pulse power supply circuit
US1061568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CN109075710A (en) Switching power source control circuit and switching power unit
KR20170050014A (en) Power factor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3350939B2 (en) High voltag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