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01052A1 - Device for monitoring intravenous fluid - Google Patents

Device for monitoring intravenous flu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01052A1
WO2020101052A1 PCT/KR2018/013815 KR2018013815W WO2020101052A1 WO 2020101052 A1 WO2020101052 A1 WO 2020101052A1 KR 2018013815 W KR2018013815 W KR 2018013815W WO 2020101052 A1 WO2020101052 A1 WO 20201010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device
sap
main body
suppor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815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임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티케이
Publication of WO20201010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010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37Charging mea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nitoring an intravenous fluid, the device being provided with: a main body set on a drip bottle which is installed between an intravenous fluid container and a supply tube and supplies an intravenous fluid, discharged from the intravenous fluid container, to the supply tube; an intravenous fluid detect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etects the intravenous fluid that drops from the intravenous fluid container into the drip bottle; and a support unit which is provid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supported on the drip bottle. The device for monitoring an intravenous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wherein a separate holding means is not required due to the main body being fixed and supported on the drip bottle by the support unit, and installation is easier.

Description

수액 모니터링 장치Sap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적통에 장착되어 수액의 투입상황을 감지하는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p monit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p monitoring device that is mounted on a drip container to detect the infusion state of the sap.
환자의 치료와 관리를 위해 필요한 양분(즉, 포도당) 및 주사액 등을 환자에게 보충하기 위하여 수액용기(링거팩, 링거병)에 수용된 수액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혈액에 장착된 공급튜브를 통해 수액용기의 수액이 환자에게 공급되며, 수액용기와 공급튜브 사이에는 점적통이 설치되어 있다. In order to replenish the patient with nutrients (i.e., glucose) and injection solutions necessary for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the patient, the fluid contained in the fluid container (Ringer's Pack, Ringer's disease) is injected into the patient's blood vessels. In general, the fluid in the fluid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a supply tube mounted on the patient's blood, and a drip container is installed between the fluid container and the supply tube.
이러한 수액 주입수단에서는 수액의 투입차단 및 수액용기 교체를 위해 간호사나 간병인이 환자 주변에 상주하여 수액의 양을 수시로 체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더욱이 실수로 수액용기의 제거 및 교체시기를 놓치는 경우에는 수액이 주입되는 튜브를 따라 공기가 유동하여 혈관 내로 유입되는 위험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어, 수액의 주입을 모니터링하고 투약 종료 시기를 알려주는 감지장치가 필요하다. In such a fluid infusion means,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nurse or a caregiver resides around the patient to check the amount of fluid at any time in order to cut off the fluid and replace the fluid container, and furthermore, if the accidental 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fluid container is missed As the air flows along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is injected, a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blood vessel may be generated, and a sensing device is required to monitor the injection of the fluid and inform the end of the administr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등록번호 10-08023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액 모니터링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수액 모니터링 장치의 경우, 수액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수액을 감지할 수 있도록 수액용기 거치대와 같은 별도의 거치수단이 요구되므로 번거럽고, 거치수단이 환자의 활동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fluid monitor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2313.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fluid monitoring device, a separate mounting means such as a fluid container holder is required to detect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fluid container, which is cumbersome an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mounting device interferes with patient activ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액감지부가 설치된 본체가 점적통에 지지될 수 있도록 본체를 점적통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이 마련된 수액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nfusion solution monitoring device provided with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ain body to the drip container so that the main body in which the sap sensing unit is installed is supported by the drip contai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수액용기와 공급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액용기로부터 배출된 수액을 상기 공급튜브에 공급하는 점적통에 세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액용기에 상기 점적통 내부로 낙하하는 수액을 감지하는 수액감지부와, 상기 본체를 상기 점적통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를 구비한다. The apparatus for monitoring s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between the infusion container and the supply tube, and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be set in a drip container for supply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infusion container to the supply tube, , A sap sensing unit for sensing a sap falling into the drip container into the sap container, and a suppor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body in the drip container.
상기 점적통은 상단부에,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는 전면에 상기 점적통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깊이 인입되게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상기 점적통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dropper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dropper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and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with an edge of the protruding member to support it In order to be able to be, a support groove is formed to be drawn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to ope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dropper can be easily inser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무선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무선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에서 무선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수액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전력 수신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ap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main body to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wireless power, and transmit the converted wireless powe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the wireless power It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that is supplied and charge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fluid detecting unit.
상기 본체는 측면에, 상기 수액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점적통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본체가 거치되는 것으로서, 거치된 상기 본체의 충전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단자가 마련된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자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구비한다.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fusion unit on the side, and the main body separated from the dropper is mounted, and can be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unted main body.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terminal so as to be installed in the cradle, and a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terminal through the coupling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크래들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충전알림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ap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cradle, and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notification unit that detect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ensed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o the user's terminal.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액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된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관리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ap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ap detection unit, and is installed in a user's terminal, and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user's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module to display to the user.
상기 관리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수액용기에 수용된 수액의 용량과 투여시간을 토대로 수액의 제1투여속도를 계산하며,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수액의 제2투여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제1 및 제2투여속도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The management module calculates the first administration rate of the sap based on the volume and administration time of the sap contained in the infusion container input from the user, and calculates the second administration rate of the sap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en,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dose rates are displayed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액감지부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액용기에서 상기 공급튜브로 공급되는 수액의 공급량이 기설정된 최소 투여량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최대 투여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공급량 알람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ap detection unit,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from the infusion container to the supply tub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dose or a predetermined amount When the maximum dose is exceeded, a supply amount alarm unit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user's terminal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공급튜브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공급튜브를 통해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의 투여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급튜브의 내부유로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튜브를 가압하는 속도조절부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투여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투여속도에 정보에 따라 상기 수액의 투여속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속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ui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installed on the supply tube, and reduces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supply tube to control the administration rat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supply tube. A speed control unit for pressurizing the supply tube so as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dose rate input through the user's terminal, and adjust the speed so that the dose rate of the flui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dose rate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ealt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수액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지지시키는 보조지지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ap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body on a support supporting the sap container.
상기 보조지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마련된 홀더를 구비한다. The auxiliary support unit includes a rotating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a holder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and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 so that the support can be inserted.
상기 홀더는 상기 삽입구가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로 상기 지지대가 인입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절개홈이 형성된다. The holder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hole penetrat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n incision groove is formed at the rear side so that the suppor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hole.
상기 지지홈은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되, 상기 돌출부재가 인입시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하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groove may be drawn from a side open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ther side, but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top and bottom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one side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is forcibly fitted when being pulled i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지지홈에 인입된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 천장면 또는 일측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홈으로 인입되는 상기 돌출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되, 상기 돌출부재가 통과시 외형이 초기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간섭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protrud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groove,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or one side of the floor It is formed to protrude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and is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rotrud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and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 external shape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shape when the protruding member passes. An interference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지지홈에 인입된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돌출부재에 고정되는 제1접촉자석과,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지지홈에 인입시 상기 제1접촉자석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홈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소정깊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홈 내부에 설치된 제2접촉자석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sap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project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groove, and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is a first contact magnet fixed to the proj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tact magnet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groove in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can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tact magnet when it enters the support groo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으로 인입되는 상기 돌출부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 또는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적통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점적통을 상기 지지부의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점적통의 외주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공급튜브 내부에 정체된 수액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점적통에 진동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지홈으로 상기 돌출부재의 인입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작동시간동안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protruding member entering the support groove, and a vibrat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or the support portion to apply vibration to the drip container With, when inserting the dropper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upport, the detection is performed so that vibration can be applied to the dropp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pper or to flow stagnant sap inside the supply tub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a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operate the vibrator for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inflow of the protruding member is detected into the support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고정유닛에 의해 본체가 점적통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별도의 거치수단이 요구되지 않고, 설치가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본체가 거치시 충전작업이 수행되는 크래들이 마련되어 있어 보다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The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 separate mounting means is not required and installation is easier because the main body is fixed and supported by a dropping unit. In addition, the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radle in which a f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charged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1 is a front view of a flui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uid monitoring device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수액 모니터링 장치의 케이스에 대한 정면도이고, 3 is a front view of the case of the fluid monitoring device of Figure 1,
도 4는 도 1의 수액 모니터링 장치의 수액 감지부에 대한 블럭도이고, 4 is a block diagram of the fluid detection unit of the fluid monitoring device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6 is a block diagram of a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7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8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9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of a fluid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지지대에 설치된 도 10의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12 is a front view of the fluid monitoring device of Figure 10 installed on a support,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p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a specific disclosur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p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explain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the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4, the sap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액 주입장치의 점적통(20)에 설치되어 점적통(20)에서 낙하하는 수액을 감지한다. 상기 수액 주입장치는, 수액을 수용하는 수액용기(10)와, 상기 수액용기(10)와 연결되어 인체에 수액을 공급하는 공급튜브(40)와, 상기 공급튜브(40)와 상기 수액용기(10) 사이에서 수액을 저장하는 점적통(20)과, 상기 공급튜브(4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미도시)와, 상기 점적통(20)과 주사기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튜브(40)의 단면적을 조정하여 수액이 주사기로 흐르는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30)로 이루어진다. 점적통(20)은 내부에 수액용기(10)로부터 배출된 수액이 공급튜브(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액용기(10) 및 공급튜브(40)에 연통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외부에서 낙하하는 수액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fusion monitor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drip container 20 of the infusion device to detect the dropping fluid from the drip container (20). The infusion device includes a fluid container 10 for receiving fluid, a supply tube 40 connected to the fluid container 10 to supply fluid to the human body, the supply tube 40 and the fluid container ( 10) between the dropper container (20) for storing the sap, and a syringe (not shown)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ly tube (40) and injected into the blood vessels of the human body, and installed between the dropper tube (20) and the syringe It is made of a flow regulator 30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ly tube 40 to control the amount of fluid flowing through the syringe. The drip container 20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container 10 and the supply tube 40 so that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fluid container 10 can be supplied to the supply tube 40, and is dropped from the outside. It is formed transparently so that the sap to be observed can be observed.
이때, 점적통(20)은 상부에 돌출부재(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재(121)는 점적통(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점적통(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돌출부재(121)는 점적통(20)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점적통(20)을 중심으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dripping container 2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member 121 at the top. The protruding member 121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p container 20,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rip container 20. At this time, the protruding member 121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pper 20, it is preferable to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round the dropper 20.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액용기(10)와 공급튜브(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액용기(10)로부터 배출된 수액을 상기 공급튜브(40)에 공급하는 점적통(20)에 거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수액용기(10)에 상기 점적통(20) 내부로 낙하하는 수액을 감지하는 수액감지부(130)와, 상기 본체(110)가 상기 점적통(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탈착가능하게 상기 점적통(20)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The infusion solution monitoring device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infusion container 10 and the supply tube 40 and mounted on a drip container 20 for supply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infusion container 10 to the supply tube 40 The body 110 to be installed, the body 110 is installed, the infusion container 20 to the drip container 20 to detect the fluid falling into the infusion unit 130, and the body 110 I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dropper 20 and detachably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the dropper 20.
본체(110)는 상기 점적통(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공간으로 상기 점적통(20)이 인입될 수 있게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1)에 설치된 개폐부재(112)와, 상기 케이스(111) 내부에 마련된 내부부재(120)를 구비한다. Th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n inlet space so that the drop container 20 can be accommodated, and a case 111 with one side open so that the drop container 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space, and the case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2 installed in the case 111 and the inner member 120 provided inside the case 111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one side of the opening 111.
상기 케이스(111)는 사각의 구조물로 형성되며, 점적통(20)이 연결되는 수액의 연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면에 제1관통구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점적통(20)에 연결된 공급튜브(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케이스(111)는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111)의 하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전용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The case 111 is formed of a rectangular structure, a first through-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sap to which the dropper 20 is connected can be penetrated, and the supply connected to the dropper 2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the tube 40 can penetrate. At this time, the case 111 is preferably formed to open the front.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11, a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to connect a charging cable.
또한, 케이스(111)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수액감지부(130)의 디스플레이 패널(141)을 리셋 또는 설정 변경 등을 위한 입력부가 버튼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케이스(111) 내부에는 수액감지부(13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11, an input unit for resetting or changing a display panel 141 of the fluid detect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a button form.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attery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11 so as to provide power to the fluid detecting unit 130.
개폐부재(112)는 개방된 케이스(111)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111)의 전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개폐부재(112)는 좌측 가장자리가 케이스(111)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우측 가장자리에는 케이스(111)의 우측면에 마련된 결속홈(1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속플레이트(1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속플레이트(113)는 개폐부재(112)에 대해 케이스(111) 측으로 직교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결속플레이트(113)와, 케이스(111)의 결속홈(114)에는 상호 접촉시 자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 결속자석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12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11 so as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ed case 11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2 is provided so that the left edg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ase 111, and the right side edge is provided with a binding plate 113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114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se 111. have. The binding plate 113 is formed to protrude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ward the case 111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binding magnets may be installed in the binding plate 113 and the binding groove 114 of the case 111 so that the contact state is maintained by magnetic force upon contact with each other.
내부부재(120)는 점적통(2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1)의 내부에 삽입된다. 내부부재(120)는 케이스(111)의 인입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외측면이 상기 케이스(111)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케이스(111)의 인입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11)에 지지된다. The inner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case 111 so that the drip container 20 can be engaged. The inner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inlet space of the case 111,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let space of the case 111 so that the outer surface can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11. 111).
한편, 내부부재(120)는 전면에 점적통(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23)은 점적통(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내부부재(1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홈(123)은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member 12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23 so that the dropper 20 can be inserted in the front. The insertion groove 12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ropper 20, and is formed to be drawn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inner member 120. 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123 is formed to open the front.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재(12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23)의 상부에, 상기 삽입홈(123)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깊이 인입되게 지지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홈(124)은 삽입홈(123)과 동일하게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홈(124)은 삽입홈(123)의 내벽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점적통(20)이 내부부재(120)의 삽입홈(123)에 삽입시 돌출부재(121)가 상기 지지홈(124)에 삽입되어 내부부재(120)에 지지되므로 본체(110)가 점적통(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부부재(120)는 스펀지나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23 so that the edge of the protruding member 121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and a support groove 124 is formed to be drawn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3. . At this time, the support groove 124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same way as the insertion groove 123. The support groove 124 is formed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3. When the drip container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3 of the inner member 120, the protruding member 12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124 and supported by the inner member 120,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dropped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20). At this time, the inner member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uch as sponge or rubber.
한편, 내부부재(120)는 점적통(20)과 수용용기의 연결부분 및 점적통(20)에 연결된 공급튜브(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23)의 상하단부로부터 각각 제1관통구 및 제2관통구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장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member 120 is a first through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ertion groove 123 so that the supply tube 40 connected to the dropping tube 2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and the dropping tube 20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extension grooves 125 extending to the spher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formed.
수액감지부(130)는 광을 발진하는 광발진기(131)와, 발광부(132), 수광부(133) 및 신호판별부(134)를 포함한다. 수액감지부(130)는 적외선, 레이저, 자외선 등 다양한 파장의 광이 적용될 수 있으며, 광발진기(131)에서 발진된 광은 발광부(132)를 통해 수광부(133)를 향해 조사된다. 수광부(133)는 발광부(132)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데, 이때 발광부(132)와 수광부(133)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수액에 의해 수광부(133)에서는 발광부(132)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되지 않거나 광의 왜곡이 발생한다. 수광부(133)에서는 수광신호를 신호판별부(134)로 전달하고 신호판별부(134)는 수광부(133)의 수광신호를 통해 수액의 낙하 여부를 판별한다.The sap sensing unit 130 includes an optical oscillator 131 for oscillating light, a light emitting unit 132, a light receiving unit 133, and a signal identification unit 134. The sap sensing unit 130 may be applied with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such as infrared, laser, and ultraviolet light, a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enerator 131 is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32.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receive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2, and in this case, when passing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13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is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32 by the fluid. The received light is not received or distortion of light occurs.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transmits the light receiving signal to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134, and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134 determines whether the sap is dropp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여기서, 발광부(132) 및 수광부(133)는 삽입홈(123)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데, 삽입홈(123)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지지부(1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ight emitting portion 132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133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3, which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ortion 120 in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23 desirable.
이 때 신호판별부(134)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케이스(111)에 설치되며, 발광부(132)에서 광이 조사되는 발광신호도 함께 수집하고, 신호 판별에 적용한다. 이는 자연광에 의한 감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삽입홈(123)으로 자연광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132)와 수광부(133) 사이에 수액이 통과하면서 수액의 낙하가 이루어졌으나, 상기 자연광에 의해 수광부(133)에 광이 수신된 것으로 감지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신호판별부(134)는 발광부(132)의 발광신호와 수광부(133)의 수광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수광부(133)의 수광신호의 신호가 정상신호인것으로 판단하고, 발광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수광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만을 수액 낙하로 판단한다.At this time, although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134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in the case 111, and the light emission signal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2 is also collected and applied to signal determination. This is to prevent a detection error due to natural light. When natural light is incident on the insertion groove 123, the fluid is passed between the light-emitting unit 132 and the light-receiving unit 133. Since the detection error may occur due to light being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134 may detect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when the light emitting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unit 132 and the light receiving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match.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signal is a normal signal, and only when the light receiving signal is not input while the light emitting signal is input is determined as the sap drop.
신호판별부(134)는 판별정보를 상기 정보처리부(140)로 전달한다.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134 transmits the discrimina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정보처리부(140)는 발광부(132) 및 수광부(133)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초로 수액의 투입양과 투입속도를 분석한다. 한편, 수액감지부(130)는 개폐부재(112)의 전면에 설치되며, 정보처리부(140)의 분석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41)을 더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1)은 입력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설정을 초기화하거나 재설정을 하는 것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41)에서 표시되는 표시정보를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analyzes the input amount and the input speed of the sap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33. Meanwhile, the sap detection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12 and further includes a display panel 141 for displaying analysis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The display panel 141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unit to initialize or reset settings or to chang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41.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100)는 지지부(120에 의해 본체(110)가 점적통(20)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별도의 거치수단이 요구되지 않고, 설치가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fusion solution monitoring apparatus 1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20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fixed to the dropper 20, so no separate mounting means is required and installation is easier. There are advantages.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21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fluid monitoring device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previously illustrat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10)는 전원공급부(213)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무선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무선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211)와,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211)에서 무선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수액감지부(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를 충전하는 무선전력 수신부(21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fusion monitoring device 210 conver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3 into wireless power,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wireless power, and the main body 110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2 is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150 that receives th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and supplies power to the infusion detector 130.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211)는 전원공급부(2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전력으로 변환시켜 본체(110) 내에 구비된 무선전력 수신부(212)로 송신해 준다. 무선전력 송신부(21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전기 코일과, 커버 안에 상기 전기 코일을 감은 충전패드를 구비하며, 충전패드에 전원을 연결하면 코일에서 전자기장이 발생하여 전자기 유도현상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전류를 무선전력 수신부(212)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무선전력 송신부(211)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내장된 코일로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로 저장하여 배터리(150)를 충전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3 and converts it into wireless power to transmit it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2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ic coils that are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to generate various electromagnetic fields, and a charging pad wound around the electric coil in a cover.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coil, and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the generated induced curr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2.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2 may receive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as a built-in coil and store it as electrical energy to charge the battery 150.
여기서, 전원공급부(21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건축물에 공급되는 전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플러그 및 무선전력 송신부(211)에 연결되어 전기를 무선전력 송신부(211)로 전달하는 전력선과, 전력선에 설치되어 외부의 상용전원(예를 들어, 교류 220V)을 직류전원(예를 들어, DC 5V)으로 변환시켜 무선전력 송신부(211)에 전달하는 변압부재를 구비한다. Here, the power supply unit 213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plug is coupled to an outlet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o receive electricity supplied to the building, and the plug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are connected to wireless electricity Power line to be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11, and installed on the power line to convert external commercial power (for example, 220V AC) to DC power (for example, DC 5V) to transmi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211 It is provided with a transformer member.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본체(110)에 설치되며, 무선전력 송신부(211)로부터 발생된 유도전류를 수신할 수 있도록 코일이 내장되어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무선전력 송신부(211)로부터 전달방은 유도전류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배터리(150)를 충전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2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a coil is built in to receive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2 charges the battery 150 by storing electrical energy through an induced curren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본체(110)에 설치된 배터리(150)의 충전이 요구될 경우, 사용자는 점적통(20)으로부터 본체(110)를 분리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12)에 접촉시키거나 인접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전원공급부(213)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통해 무선전력을 발생시키고, 본체(110) 내부에 마려된 무선전력 송신부(211)는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50)를 충전시킨다. When charging of the battery 15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is required, the user separates the main body 110 from the dropper 20 and contact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2 or is placed adjacent thereto.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2 generates wireless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3,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11 finished inside the main body 110 receives the wireless power to receive the battery 150 ) Is charged.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210)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150)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50) 충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ap monitoring devic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rge the battery 15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 by using wireless power, thereby saving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150 can do.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22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6 illustrates an infusion solution monitoring device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20)는 본체(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거치홈(223)이 마련된 크래들(221)과, 상기 크래들(221)의 거치홈(223)에 삽입된 본체(110)를 충전하는 충전부(222)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110)의 측면에는 상기 수액감지부(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미도시)가 마련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uid monitoring device 220 is a cradle 221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223 so that the body 110 can be fitted, and a bod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3 of the cradle 221 It is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222 for charging the (110). At this time,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charge the battery 150 that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fluid detecting unit 130.
크래들(221)은 상면에 다수의 거치홈(223)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223)은 충전단자가 마련된 본체(110)의 측면이 인입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측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크래들(221)은 거치홈(223)에 본체(110)가 삽입시 본체(110)의 충전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거치홈(223)의 바닥면에 결합단자(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크래들(221)은 거치홈(223)에 인접된 위치의 상면에, 본체(110)의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엘이디 램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Cradle 221 has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2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mounting groove 223 is a larger area than the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It is formed to have. On the other hand, the cradle 22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terminal (not show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23 to be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3. . In addition, the cradle 22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mounting groove 223, an LED lamp to display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50 of the main body 110.
충전부(222)는 크래들(22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15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자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로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부(222)는 건축물에 공급되는 전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결합되는 충전 플러그(224)와, 충전 플러그(224) 및 결합단자에 연결되어 전기를 결합단자로 전달하는 충전선(225)과, 충전선(225)에 설치되어 외부의 상용전원(예를 들어, 교류 220V)을 직류전원(예를 들어, DC 5V)으로 변환시켜 결합단자에 전달하는 변압기(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charging unit 222 is installed on the cradle 221, and supplies power to the charging terminal through the coupling terminal to charge the battery 150. The charging unit 222 is connected to a charging plug 224 coupled to an outlet installed on a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receive electricity supplied to the building, and a charging plug 224 and a charg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coupling terminal to transfer electricity to the coupling terminal A transformer (not shown) that is installed on the line 225 and the charging line 225 to convert external commercial power (for example, AC 220V) into DC power (for example, DC 5V) and transmits it to the coupling terminal. It is provided.
한편,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20)는 크래들(221)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150)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배터리(150)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33)로 전송하는 충전알림부(226)를 더 구비한다. 이때, 본체(110)의 배터리(150)에는 배터리(150)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이 마련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ap monitoring device 220 is provided in the cradle 221, detect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50, and detects th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50, the user's terminal 233 It further includes a charging notification unit 226 to transmit. At this time, the battery 150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capable of measuring the state of the battery 150.
상기 충전알림부(226)는 결합단자에 본체(110)의 충전단자가 연결시 충전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배터리(150)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배터리(150)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233)로 전송한다. 이때, 충전알림부(226)는 배터리(150)의 충전이 완료되면, 완충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233)로 전송한다. When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ain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terminal, the charging notification unit 226 accesses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150, and collects the battery ( 15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harge to the user's terminal 233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50 is completed, the charging notification unit 226 transmits a buffer signal to the user's terminal 233.
한편,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배터리(150)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배터리(150)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233)로 방전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전알림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luid monitoring device 22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of the battery 150,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15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harge amount , A discharge notification unit (not shown) that can transmit a discharge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s terminal 233 may be further provided.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20)는 본체(110)의 배터리(150)가 방전시 본체(110)를 점적통(20)에 분리하여 크래들(221)에 결합하여 충전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50)의 충전 작업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ap monitoring device 220 can charge the battery 150 by discharging the body 110 to the drip tray 20 and charging the cradle 221 when the battery 150 of the body 110 is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ging operation of 150) is relatively simple.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230)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 fluid monitoring device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수액 모니터링 장치(230)는 상기 수액감지부(13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231)과, 사용자의 단말기(233)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33)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231)에서 전송된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관리모듈(232)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ap monitoring device 230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231 and the user's terminal 233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ap detection unit 130, the user's terminal (233) It is provided with a management module 232 for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31 to display to the user.
통신모듈(231)은 수액감지부(130)에 연결되어 수액감지부(13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33)에 전송한다. 상기 통신모듈(231)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비콘 등의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33)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또는 전용 단말기(233)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환자의 보호자, 간호사, 의사 등이 적용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31 is connected to the sap detection unit 13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ap detection unit 130 to the user's terminal 233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231 may be appli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Wi-Fi, beacon, and the user's portable terminal 233 may be a smart phone or tablet PC or a dedicated terminal 233. Here, the user is applied to the patient's guardian, nurse, doctor, and the like.
관리모듈(232)은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의 단말기(2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신모듈(231)로부터 전송된 수액감지부(130)의 감지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33)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관리모듈(232)은 사용자의 단말기(233)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수액감지부(130)의 감지정보를 표시한다. The management module 232 is installed in the user's terminal 233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d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luid detecting unit 130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31 through the user's terminal 233. At this time, the management module 232 display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luid detection unit 130 through the display means of the user's terminal 233.
한편, 관리모듈(232)은 실행시 사용자가 사용하는 수액용기(10)에 수액의 용량과 투여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창을 사용자의 단말기(233)에 표시하고, 정보입력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수액용기(10)에 수용된 수액의 용량과 투여시간을 토대로 수액의 제1투여속도를 계산한다. 이때, 제1투여시간은 수액용기(10)에 수용된 수액을 모두 투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관리모듈(232)은 제1투여속도로서, 점적통(20)에서 1분당 떨어지는 수액의 방울 수(gtt/min)를 계산하는데, 1cc를 20방울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module 232 displays an information input window on the user's terminal 233 to input the dose and administration time of the fluid to the infusion container 10 used by the user during execution, an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The first dose rate of the fluid is calculated based on the dose and administration time of the fluid received in the fluid container 10 input from the user. At this time, the first administration time is the time required to administer all of the sap accommodated in the sap container 10. The management module 232 calculates the number of drops (gtt / min) of the sap falling per minute from the drip container 20 as the first administration rate, assuming that 1 cc is 20 drops.
또한, 관리모듈(232)은 상기 통신모듈(231)에서 전송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수액의 제2투여속도를 계산한다. 이때, 관리모듈(232)은 제2투여속도로서, 점적통(20)에서 1분당 떨어지는 수액의 방울 수(gtt/min)를 계산하는데, 수액감지부(130)로부터 점적통(20)점적통(20)어지는 수액방울 간의 간격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떨어지는 수액방울 간의 간격시간의 평균시간을 구한 다음, 1분을 상기 평균시간으로 나눠 제2투여속도를 산출한다. 한편, 관리모듈(232)은 계산된 상기 제1 및 제2투여속도를 사용자에게 동시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수액의 투여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module 232 calculates the second administration speed of the sap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31. At this time, the management module 232 calculates the number of drops (gtt / min) of the sap falling per minute from the drip container 20 as the second administration speed, and the drip container 20 drips from the sap detection unit 130 (20)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interval time between falling sap drops, obtaining the average time of the interval time between falling sap drops, and dividing 1 minute by the average time to calculate the second dose rate. Meanwhile, the management module 232 simultaneously displays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administration speeds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grasp the administration state of the fluid.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240)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in FIG. 8, a sap monitoring device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40)는 상기 수액감지부(130)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액용기(10)에서 상기 공급튜브(40)로 공급되는 수액의 공급량이 기설정된 최소 투여량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최대 투여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233)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공급량 알람부(241)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fusion monitoring device 240 is provided with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infusion detection unit 130,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the infusion fluid supplied from the infusion container 10 to the supply tube 40 When the supply amount of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dose or exceeds a predetermined maximum dose, a supply amount alarm unit 241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user's terminal 233 is further provided.
상기 공급량 알람부(241)는 수액감지부(130)를 통해 1초 동안 잠적통 내에서 낙하하는 수액이 감지되지 않거나 1초에 잠적통 내에서 5방울 이상의 수액이 낙하할 경우, 통신모듈(231)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233)로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233)는 알람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The supply amount alarm unit 241 is a communication module 231 when the sap falling within the submerged container for 1 second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ap sensing unit 130 or more than 5 drops of sap are dropped in the submerged container in 1 second. ) To send an alarm signal to the user's terminal 233. At this time, the user's terminal 233 receives and displays an alarm signal.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25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in FIG. 9, a sap monitoring device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50)는 상기 공급튜브(4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마련되며, 상기 공급튜브(40)를 통해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의 투여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급튜브(40)의 내부유로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튜브(40)를 가압하는 속도조절부(251)와, 사용자의 단말기(233)를 통해 입력된 투여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투여속도에 정보에 따라 상기 수액의 투여속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속도조절부(251)를 제어하는 제어부(25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uid monitoring device 250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1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on the supply tube 40, and the administration rat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supply tube 40 In order to reduce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supply tube 40 in order to adjust the speed control unit 251 to pressurize the supply tube 40 and information about the administration speed input through the user's terminal 233. It has a control unit 252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speed control unit 251 so that the administration speed of the flui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administration speed.
상기 속도조절부(25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삽입홈(123)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며, 공급튜브(40)과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케이스(111)와, 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급튜브(4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되, 상기 공급튜브(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을 갖는 복수의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들에 대향되는 케이스(111)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가압판들이 상호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자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전자석을 구비한다. 상기 전자석을 제어부(25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속도조절부(251)는 마그네틱 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속도조절부(25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튜브(40)를 가압하여 수액의 투여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Although the speed control unit 25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under the body 110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sertion groove 123, and a case 111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upply tube 40 ),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11, is oppos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supply tube 40, a plurality of magnetically slidably installed in a mutually adjacent direction to pressurize the supply tube 40 A pressure plate and a plurality of electromagnet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ase 111 facing the pressure plates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pressure plates so as to be adjacent to or away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The electromagne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52. The speed control unit 251 is preferably a magnetic valve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the speed control unit 251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any control means that can regulate the administration speed of the fluid by pressing the supply tube 40.
제어부(252)는 통신모듈(231)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233)로부터 투여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공급튜브(40)가 가압될 수 있도록 전자석들을 제어하여 가압판을 이동시킨다. The control unit 252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dministration speed from the user's terminal 233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31, and moves the pressure plate b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s so that the supply tube 40 can be pressed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Order.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250)는 사용자가 단말기(233)를 통해 입력된 투여속도에 따라 수액의 투여속도를 조절하므로 보호자가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수액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ap monitoring device 250 controls the dosing rate of the sap according to the dosing rat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233, so that the guardian can easily control the supply of the sap even at a long distance.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50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10 to 12 illustrate a fluid monitoring devic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500)는 상기 본체(52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520)를 상기 수액용기(10)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지지시키는 보조지지유닛(510)을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uid monitoring device 5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unit 510 installed on the main body 520 to support the main body 520 on a support supporting the fluid container 10. .
이때, 본체(520)는 전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점적통(20)과 수액용기(10)의 연결부분 및 점적통(20)에 연결된 공급튜브(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23)의 상하단부로부터 각각 상면 및 하면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장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main body 52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connection groove of the dripping container 20 and the infusion container 10 and the supply tube 40 connected to the dripping container 20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extension grooves 125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123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are formed.
지지대(55)는 수액이 충진된 수액용기(1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 수액용기(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용기 결합로드(미도시)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지지대(55)는 수액용기(10)를 지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지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upport 55 is to support the sap container 10 filled with sap, and a container coupling rod (not shown) is installed to support the sap container 10 at the upper end, a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at the bottom. The flange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to be possible.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55 is a support means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support the infusion container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보조지지유닛(510)은 상기 본체(52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511)와, 상기 회전부재(51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514)가 마련된 홀더(512)를 구비한다. Auxiliary support unit 510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511 and the rotating member 51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520, the insertion port so that the support 55 can be inserted It is provided with a holder 512 is provided (514).
회전부재(511)는 본체(520)의 후면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회전부재(511)는 일단부 후면에,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부재(5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재(513)가 형성되어 있다. The rotating member 511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520, and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center. The rotating member 511 is formed with a gripping member 513 on one rear surface to allow an operator to grip and rotate the rotating member 511.
홀더(512)는 회전부재(511)의 타단부에, 회전부재(5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삽입구(514)는 상기 회전부재(511)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홀더(512)는 상기 삽입구(514)로 지지대(55)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절개홈(515)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515)은 삽입구(514)에 연통되되, 삽입구(514)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The holder 512 extends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51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511. Here, the insertion hole 514 is formed to pass throug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511. In addition, the holder 512 is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515 on the rear side so that the support 55 can be easily drawn into the insertion hole 514. The incision groove 515 communicates with the insertion hole 514 and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514.
점적통을 본체(520)의 삽입홈에 삽입하고, 점적통의 돌출부재를 지지홈에 인입한 다음, 작업자는 회전부재(511)를 회전시켜 홀더(512)가 지지대(55)에 인접되게 조작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홀더(512)의 삽입구(514)로 지지대(55)를 삽입시켜 홀더(512)를 지지대(55)에 지지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500)는 상기 지지대(55)에 결합된 보조지지유닛(510)에 의해 본체(520)는 보다 견고하게 점적통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511)가 본체(5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지지대(55)에 보다 다양한 각도로 결합될 수 있어 본체(520)의 설치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After inserting the drip container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ain body 520, and inserting the protruding member of the drip container into the support groove, the operator rotates the rotating member 511 to operate the holder 512 adjacent to the support 55 do. Next, the operator inserts the support 55 into the insertion hole 514 of the holder 512 to support the holder 512 on the support 55. The fluid monitoring device 5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upported on the drip container more firmly by the main body 520 by an auxiliary support unit 510 coupled to the support 55. 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member 511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520, the volume during storage can be reduced, and the support 55 can be combined at various angles,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body 520 is relative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33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3 shows a support part 3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부(330)의 지지홈(331)은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되, 상기 돌출부재(121)가 인입시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하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재(121)는 지지홈(33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인입되면서 감소되는 지지홈(331)의 상하 폭에 의해 지지부(33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본체(520)가 점적통(20)에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upport groove 331 of the support part 330 is drawn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the vertical width is reduced as it moves away from the one side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21 can be forced during insertion. It is formed to. The protruding member 121 is tight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30 by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support groove 331 which is reduced while being pulle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331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body 520 is more securely dropped It can be supported on (20).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FIG. 14 illustrates a fluid monitor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400)는 상기 지지홈(124)에 인입된 상기 돌출부재(121)가 상기 지지홈(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41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fusion monitoring device 400 further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410 for preventing the protruding member 121 drawn into the support groove 124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groove 124. To be equipped.
상기 이탈방지부(410)는 지지홈(124)의 입구 측에 설치된 복수의 간섭부재(411)를 구비한다. 상기 간섭부재(411)들은 개방된 지지홈(124)의 전방측 천장면 및 전방측 바닥면에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간섭부재(411)는 상기 지지홈(124)으로 인입되는 상기 돌출부재(121)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되, 상기 돌출부재(121)가 통과시 외형이 초기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410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ference members 411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support groove 124. The interference members 411 are installed to protrude downwardly and upwardly on the front side ceiling surface and the front side bottom surface of the open support groove 124, respectively. Here, the interference member 411 is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rotruding member 121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124, but when the protruding member 121 passes, the external shape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shape.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rubber-lik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작업자가 점적통(20)을 지지부(310)의 삽입홈(123)에 인입시 점적통(20)의 상부에 마련된 돌출부재(121)는 지지부(310)의 지지홈(124)으로 인입된다. 이때, 작업자가 돌출부재(121)를 지지홈(124)에 인입하기 위해 돌출부재(121) 또는 점적통(20)을 가압하는데, 돌출부재(121)가 간섭부재(411)에 접촉시 작업자가 인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간섭부재(411)는 압축된다. 여기서, 돌출부재(121)가 간섭부재(411)를 통과하여 지지홈(124)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간섭부재(411)는 탄성에 의해 초기 형상으로 복귀되고, 복귀된 간섭부재(411)는 돌출부재(121)가 지지홈(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부재(121)를 간섭한다. When the operator draws the dripping container 20 into the insertion groove 123 of the support part 310, the protruding member 121 provided on the top of the dripping container 20 is drawn into the support groove 124 of the support part 310. At this time, the operator presses the protruding member 121 or the dropper 20 to insert the protruding member 121 into the support groove 124, but when the protruding member 121 contacts the interference member 411, the worker The interference member 411 is compressed by the applied pressing force. Here, when the protruding member 121 passes through the interference member 411 and moves to the rear of the support groove 124, the interference member 411 returns to its initial shape by elasticity, and the returned interference member 411 protrudes. The member 121 interferes with the protruding member 121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groove 124.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간섭부재(411)가 지지홈(124)의 천장면 및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탈방지부(4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홈(124)의 천장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한 면에만 간섭부재(41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탈방지부(410)에 의해 돌출부재(121)는 지지홈(1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본체(520)는 점적통(2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ference member 411 is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groove 124, respectively, is illustrated, but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4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groove 124 The interference member 411 may be installed on only one of the top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Since the protruding member 121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groove 124 by 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4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52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drip container 20.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5 shows a departure prevention unit 4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420)는 돌출부재(121)에 설치된 제1접촉자석(421)과, 상기 제1접촉자석(421)과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홈(124)의 내부에 설치된 제2접촉자석(422)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420 is a first contact magnet 421 installed on the protruding member 121, and the first contact magnet 421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groove 124 It has a second contact magnet (422) installed in.
상기 제1접촉자석(421)은 돌출부재(121)의 후면에 고정되며, 소정의 자성을 갖는 자석이 적용된다. 제2접촉자석(422)은 개방된 지지홈(124)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즉, 지지홈(124)의 전단부에 대해 후방으로 소정깊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홈(124)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접촉자석(422)은 제1접촉자석(421)이 접촉시 상기 제1접촉자석(421)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자성을 갖는 자석이 적용된다. The first contact magnet 421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121, and a magnet having a predetermined magnetism is applied. The second contact magnet 422 is installed in the support groove 124 in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ne side of the open support groove 124 to the other side, that is, rearwardly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groove 124. . The second contact magnet 422 is applied with a magnet having a predetermined magnetism so that the first contact magnet 42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tact magnet 421 upon contact.
상기 제1접촉자석(421) 및 제2접촉자석(422)에 의해 지지홈(124)에 인입된 돌출부재(121)는 지지부(310)에 구속되므로 본체(520)에 외부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보다 견고하게 본체(520)가 점적통(20)에 지지될 수 있다. Since the protruding member 121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124 by the first contact magnet 421 and the second contact magnet 422 is constrained by the support unit 310,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main body 520 The main body 520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drip container 20.
한편,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450)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ure 16 is shown a fluid monitoring device 4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450)는 상기 지지홈(12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124)으로 인입되는 상기 돌출부재(12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51)와, 상기 본체(520)에 지지부(310)에 설치되어 상기 점적통(20)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452)와, 감지센서(451)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바이브레이터(452)를 제어하는 제어부(453)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uid monitoring device 45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124, the detection sensor 451 for detecting the protruding member 121 is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124, and A vibrator 452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310 on the main body 520 to apply vibration to the dropper 20,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vibrator 452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sensor 451 (453) is further provided.
감지센서(451)는 개방된 지지홈(124)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지지홈(124)으로 인입되는 돌출부재(121)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451)는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을 감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etection sensor 451 is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open support groove 124 to detect the protruding member 121 that is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124. Since the detection sensor 451 is a sensor generally used to detect a detection target by using laser or ultrasonic wave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바이브레이터(45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편심 회전축 및 상기 편심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편심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바이브레이터(45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vibrator 452 includes an eccentric rotating shaft and a rotating motor installed on the eccentric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eccentric rotating shaft. On the other hand, the vibrator 452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may be used.
제어부(453)는 상기 감지센서(45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지홈(124)으로 상기 돌출부재(121)의 인입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작동시간동안 바이브레이터(452)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작동시간은 5초 내지 10초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53)는 점적통(20)이 본체(520)에 결합시 점적통(20)에 진동을 인가하도록 바이브레이터(452)를 제어하므로 상기 점적통(20)을 상기 지지부(310)의 삽입홈(123)에 삽입시 상기 점적통(20)의 외주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공급튜브 내부에 정체된 수액을 유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53 operates the vibrator 452 for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from the time when the inflow of the protruding member 121 is detected into the support groove 124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etection sensor 451. . Here, the operating time is preferably applied from 5 seconds to 10 seconds. The control unit 453 controls the vibrator 452 to apply vibration to the dropper 20 when the dropper 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520, so that the dropper 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support 310 When inserted into the (123),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pper container 20 may be removed or the stagnant sap may flow inside the supply tube.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장치(460)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ure 17 is shown a fluid monitoring device 4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모니터링 장치(460)는 상기 점적통(20)이 인입되는 삽입홈(123) 내부의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삽입홈(123)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습기흡수패드(461)를 구비한다. 상기 습기흡수패드(461)들은 삽입홈(123)의 내벽면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다. 여기서, 습기흡수패드(461)는 소정의 공간 내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분흡수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uid monitoring device 460 absorbs a plurality of moisture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3 so as to absorb moistur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23 into which the dropper 20 is introduced. A pad 461 is provided. The moisture absorption pads 461 are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23. Here, the moisture absorbing pad 461 is a moisture absorbing means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absorb moisture in a predetermined spac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습기흡수패드(461)에 의해 삽입홈(123) 내부의 습기가 제거되므로 점적통(20) 표면에 수분의 응축되어 수액감지부(130)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moisture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23 is removed by the moisture absorption pad 461,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from condensing on the surface of the drip container 20 and causing an error in the operation of the fluid detecting unit 130.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16)

  1. 수액용기와 공급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액용기로부터 배출된 수액을 상기 공급튜브에 공급하는 점적통에 세팅되는 본체;A main body installed between the infusion container and the supply tube and set in a drip container for supply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infusion container to the supply tube;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액용기에 상기 점적통 내부로 낙하하는 수액을 감지하는 수액감지부; 및I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the flui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fluid falling into the drip container in the infusion container; And
    상기 본체를 상기 점적통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를 구비하는,Equipped with a support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support the main body on the drip container;
    수액 모니터링 장치.Sap monitoring device.
  2.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점적통은 상단부에,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마련되고, The drop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upper end portion,
    상기 본체는 전면에 상기 점적통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dropper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깊이 인입되게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상기 점적통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edge of the protruding member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a support groove is formed to be drawn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support groove is easily inserted into the drop container. The front is opened so that it can be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3.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무선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무선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및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wireless power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wireless power; And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에서 무선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수액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전력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or charging a battery that receives th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supplies power to the infusion detector;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4.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는 측면에, 상기 수액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마련되고,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 charging terminal is provided for charging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fluid detection unit,
    상기 점적통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본체가 거치되는 것으로서, 거치된 상기 본체의 충전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단자가 마련된 크래들; 및A cradle provided with a coupling terminal to be coupled 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unted body as the main body separated from the dropper is mounted; And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자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구비하는,It is installed on the cradle, further comprising a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terminal through the coupling terminal to charge the battery;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5. 제4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크래들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충전알림부;를 더 구비하는,Further provided in the cradle, the charging notification unit for sens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sensed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o the user's terminal;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6.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액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detec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infusion detection unit; And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된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관리모듈;을 더 구비하는,It is installed on the user's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a management module that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user's terminal and displays it to the user.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7.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관리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수액용기에 수용된 수액의 용량과 투여시간을 토대로 수액의 제1투여속도를 계산하며,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수액의 제2투여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제1 및 제2투여속도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The management module calculates the first administration rate of the sap based on the volume and administration time of the sap contained in the infusion container input from the user, and calculates the second administration rate of the sap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displaying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dose rates to the user.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8.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액감지부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액용기에서 상기 공급튜브로 공급되는 수액의 공급량이 기설정된 최소 투여량 미만이거나 기설정된 최대 투여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공급량 알람부;를 더 구비하는,When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fluid detection unit,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when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container to the supply tub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dosage or exceeds a predetermined maximum dosage, the user Further comprising a supply amount alarm unit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terminal,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9. 제1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공급튜브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공급튜브를 통해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의 투여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공급튜브의 내부유로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튜브를 가압하는 속도조절부; 및I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installed on the supply tube, and the speed is adjusted to pressurize the supply tube so as to reduce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supply tube to control the administration rat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supply tube. part; And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투여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투여속도에 정보에 따라 상기 수액의 투여속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속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dose rate input through the user's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speed control unit so that the dose rate of the flui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dose rate information,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10. 제2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수액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지지시키는 보조지지유닛;을 더 구비하는,I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o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infusion container;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11.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보조지지유닛은The auxiliary support unit
    상기 본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 및A rotating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마련된 홀더;를 구비하는,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so that the support can be inserted; having,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12.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홀더는 상기 삽입구가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로 상기 지지대가 인입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절개홈이 형성된,The holder is formed such that the insertion hole penetrat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n incision groove is formed at the rear side so that the support can be drawn into the insertion hole.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13. 제2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지지홈은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되, 상기 돌출부재가 인입시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하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The support groove is drawn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 formed so that the vertical width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one side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can be forcibly fitted when being pulled in,
    수액 모니터링 장치.Sap monitoring device.
  14. 제2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지지홈에 인입된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Further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protrud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groove,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홈의 일측 천장면 또는 일측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홈으로 인입되는 상기 돌출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되, 상기 돌출부재가 통과시 외형이 초기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간섭부재;를 더 구비하는,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at least one of the one side of the ceiling surface or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and is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protrud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when the protruding member passes It further comprises an interferenc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 outer shape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shape,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15. 제2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지지홈에 인입된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Further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protrud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groove,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돌출부재에 고정되는 제1접촉자석과,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is a first contact magnet fixed to the protruding member,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지지홈에 인입시 상기 제1접촉자석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홈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소정깊이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홈 내부에 설치된 제2접촉자석을 구비하는,When the protruding member is drawn into the support groove, a second contact magnet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groov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groove so as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tact magnet,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16. 제2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지지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홈으로 인입되는 상기 돌출부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A sensing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groove to detect the protrud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ove;
    상기 본체 또는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적통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 및A vibrat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or the support part to apply vibration to the dropper; And
    상기 점적통을 상기 지지부의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점적통의 외주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공급튜브 내부에 정체된 수액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점적통에 진동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지홈으로 상기 돌출부재의 인입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작동시간동안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When the drop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upport portion, the foreign material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p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so that vibration can be applied to the drop tube to flow stagnant fluid inside the supply tub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vibrator for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from the time when the inflow of the protruding member is detected into the support groove based on the provided detection information;
    수액 모니터링 장치. Sap monitoring device.
PCT/KR2018/013815 2018-11-13 2018-11-13 Device for monitoring intravenous fluid WO2020101052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63 2018-11-13
KR1020180138763A KR102210373B1 (en) 2018-11-13 2018-11-13 Apparatus for intravenous fluid monit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1052A1 true WO2020101052A1 (en) 2020-05-22

Family

ID=7073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815 WO2020101052A1 (en) 2018-11-13 2018-11-13 Device for monitoring intravenous flui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0373B1 (en)
WO (1) WO202010105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585B1 (en) * 2020-06-06 2023-09-08 주식회사한빛엠디 Drip Sens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3002A1 (en) * 1984-11-07 1986-05-2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Drop detection system with mirror element
KR20140112161A (en) * 2013-03-13 2014-09-23 안영준 Apparatus for detecting provision of infusion solution
KR101462438B1 (en) * 2013-11-07 2014-11-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KR20150039082A (en) * 2014-08-20 2015-04-09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Autoclamp and its using method
KR101864360B1 (en) * 2016-10-20 2018-06-04 손문호 Automatic injectio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6411B2 (en) * 2012-10-15 2018-08-22 エイス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Automatic adjustment device for injection volume by drop method
KR101398255B1 (en) * 2012-12-28 2014-05-26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measuring infusion speed of ringer-solution directly connected to ringer-solution infusion set
KR20150088019A (en) *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티티엠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Residual Quantity of Liquid
EP3442620A4 (en) * 2016-04-15 2019-10-09 Shift Labs Inc. Device for monitoring an infusion s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3002A1 (en) * 1984-11-07 1986-05-2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Drop detection system with mirror element
KR20140112161A (en) * 2013-03-13 2014-09-23 안영준 Apparatus for detecting provision of infusion solution
KR101462438B1 (en) * 2013-11-07 2014-11-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KR20150039082A (en) * 2014-08-20 2015-04-09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Autoclamp and its using method
KR101864360B1 (en) * 2016-10-20 2018-06-04 손문호 Automatic injectio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373B1 (en) 2021-02-01
KR20200055282A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781B1 (en) Mask case apparatus
WO2018110932A1 (en) Patch-type sensor module
WO2017150845A1 (en) Cover body and medicinal fluid injection device having same
WO2010068038A2 (en) Device for controlling injection of ringer’s solution
WO2016129816A1 (en) Wound volume measuring method and device
US20080240358A1 (en) Wireless X-ray detector power system and method
WO2015178592A2 (en)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CN104936634B (en) Dropping speed measuring device
WO2015012477A1 (en) Hair collector and hair transplantation device having same
WO2020101052A1 (en) Device for monitoring intravenous fluid
WO2011118888A1 (en) Portable discharging device for body fluid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rtable discharging device
CN106730162A (en) A kind of intelligent transfusion warning device and system
KR102436621B1 (en) Fluid injection apparatus
WO2018124491A2 (en) Dual-type automatic breast pump apparatus
JP2018075344A (en) Transfusion monitoring device
WO2018111058A1 (en) Sterilizing modul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WO2019221429A1 (en) Compact washer
WO2020032382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ontinuous blood glucose tester
WO20202467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mount of drops injected into human body, an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mount of drops using same
WO2020045700A1 (en) Docking station apparatus for smart moveable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care, and system comprising same
CN202069947U (en) Infusion drip speed display alarm
CN208958982U (en) A kind of medical Transfusion device warning device
WO2018131763A1 (en) Pourer containing light-emitting device
US20200188583A1 (en) Ringer's solution monitoring apparatus
WO2015115678A1 (en) Mobile smart x-ray medical imag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402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402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