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421A -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421A
KR20170120421A KR1020160048886A KR20160048886A KR20170120421A KR 20170120421 A KR20170120421 A KR 20170120421A KR 1020160048886 A KR1020160048886 A KR 1020160048886A KR 20160048886 A KR20160048886 A KR 20160048886A KR 20170120421 A KR20170120421 A KR 20170120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power
unit
power suppl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성용
이진형
이윤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0421A/en
Priority to US15/418,279 priority patent/US10217419B2/en
Publication of KR2017012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H02M2001/0064
    • H02M2001/00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신호 제공부, 및, 제1 컨버터 및 제2 컨버터 각각을 이용하여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을 생성하고, 제1 구동 전원을 영상 신호 제공부에 제공하고 제2 구동 전원을 백라이트에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제1 컨버터와 제2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한다. A display device is disclosed. The present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backlight, a video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a first drive power source and a second drive unit using the first and second converters, And a power supply unit for generating a power source, providing a first driving power source to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and providing a second driving power source to the backlight unit, and the power supplying unit alternately controls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power supply method.

본 개시는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power supply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alterna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verters,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power supply method.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 또는 내부 저장장치에 다양한 포맷의 압축 파일로 저장된 다양한 영상 신호 등이 처리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digital or analog video signals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various video signals stored in compressed files of various formats in an internal storage device.

백라이트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 이외에 백라이트용 구동 전원을 위하여 복수의 컨버터를 구비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였다. In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backlight, a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rters for driving power for backlighting is used in addition to a driving power source necessary for driving the system.

그러나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복수의 제어 IC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버터를 제어하였다는 점에서, 리플 전류가 클 수밖에 없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류 회로에 큰 커패시터 이용이 불가피하였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ower supply device controls a plurality of converters by using a plurality of control ICs, the ripple current has to be large. To prevent this, it is inevitable to use a large capacitor in the rectifying circuit.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device for alterna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verters,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power supply metho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신호 제공부, 및, 제1 컨버터 및 제2 컨버터 각각을 이용하여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상기 영상 신호 제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백라이트에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backlight, a video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2 converters to generate a first driving power source and a second driving power source, and supplies the first driving power source to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to the backlight unit, The power supply unit alternately controls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컨버터 및 제2 컨버터를 서로 다른 제어 방식으로 교차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may cross-control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different control schemes.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컨버터를 전압 제어하고, 상기 제2 컨버터를 전류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may perform voltage control of the first converter and current control of the second converter.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백라이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stop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if the backlight is not driven.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AC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sense the input of the external AC power, and may stop generating the second driving power if the external AC power is not detected.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제1 컨버터의 제어와 상기 제2 컨버터의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alternately perform the control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verter in units of a predetermined period.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DC 전원을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1 컨버터, 상기 DC 전원을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2 컨버터, 및 상기 제1 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rectifier for rectifying an external AC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a first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C power source to a first driving power source, a seco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C power source to a second driving power sour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wherein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an alternating manner.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되도록 상기 제2 컨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second converter to stop generating the second driving power if no input of the external AC power is detected.

한편, 본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입력받는 출력 부하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출력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컨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sensing a magnitude of an output load receiving the first driving power, and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first convert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nsed output load.

한편, 상기 정류부는 상기 외부 AC 전원에 대한 EMI를 감소하는 EMI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ctify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MI filter unit for reducing EMI of the external AC power source.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IC로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one IC.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DC 전원을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1 컨버터, 상기 DC 전원을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2 컨버터, 및 상기 제1 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rectifier for rectifying an external AC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a first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C power source to a first driving power sourc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C power,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wherein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an alternating manner.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를 서로 다른 제어 방식으로 교차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can cross control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different control schemes.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를 전압 제어하고, 상기 제2 컨버터를 전류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controls the voltage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urrent control of the second converter.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디밍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이 중단되도록 상기 제2 컨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second converter to stop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according to an external dimming signal.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AC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senses an input of an external AC power source, and stops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if the external AC power source is not detected.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제1 컨버터의 제어와 상기 제2 컨버터의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alternately perform the control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verter in units of a predetermined period.

한편, 상기 정류부는 상기 외부 AC 전원에 대한 EMI를 감소하는 EMI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ctify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MI filter unit for reducing EMI of the external AC power source.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IC로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one IC.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단계, 상기 DC 전원을 제1 컨버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DC 전원을 제2 컨버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rectifying an external AC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transforming the DC power source to a predetermined first drive power source using a first converter Converting the DC power to a predetermined second driving power by using a second converter, and alternately controlling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버터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6은 입력 AC에 대한 프로세서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plurality of conver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processor with respect to the input AC,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ow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영상 신호 제공부(120) 및 전원 공급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0, a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and a power supply unit 200.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백라이트에서 발광된 빛을 LCD를 통해 투과시키거나 투과 정도를 조절하여 계조를 표시하는 LCD 패널일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부(110)가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후술할 전원 공급부(200)를 통하여 백라이트에 필요한 전원을 입력받고, 백라이트에서 발광된 빛을 LC에 투과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n imag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an LCD panel that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a backlight through an LCD or displays a gray level by adjusting the degree of transmission. If the display unit 110 operates using a backlight, the display unit 110 receives power required for the backlight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rans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to the LC. have.

여기서 백라이트는 LCD에 빛을 발산하는 구성으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라이트를 발광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구현시에는 LED 이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Here, the backlight is configured to emit light to the LCD. The backlight may include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Hereinafter, the backlight is illustrated as being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bu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configurations than the LED in the implementation.

한편, 빛을 발광을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백라이트는 LED 구동을 위한 LED 드라이버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LED 드라이버부는 영상 신호 제공부(120)에서 제공되는 디밍 정보에 대응되는 밝기 값으로 백라이트가 동작하도록 밝기 값에 대응되는 정전류를 LED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LED 드라이버부는 디밍 신호에 따라 LED에 정전류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light emitting diode is used, the backlight must have an LED driver for driving the LED. Specifically, the LED driver unit provides a constant current corresponding to a brightness value to the LED so that the backlight operates at a brightness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mm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 The LED driver unit may not provide a constant current to the LED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영상 신호 제공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제공부(120)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provides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10. Specifically, the image signal providing unit 120 may supply various image signals for displaying image data and / or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the image data.

전원 공급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200)는 서로 다른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복수의 컨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 공급부(200)는 백라이트 이외의 구성들에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원과 백라이트에 제공되는 제2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3개 이상의 구동 전원이 필요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00 supplies power to each configuration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2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driving power sources using a plurality of converters that generate different driving power sources.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200 may generate a first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backlight and a second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backlight. Although only two driving power sources ar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ree or more driving power sources are required.

또한, 전원 공급부(220)는 복수의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220)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제1 컨버터에 대한 제어와 제2 컨버터에 대한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220)는 제1 컨버터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압 제어를 수행하고, 제2 컨버터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전류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power supply unit 220 can control the plurality of converters alternately.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220 may alternately control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units of a predetermined period.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220 may perform the voltage control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urrent control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urrent to the second converter.

또한, 전원 공급부(220)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을 감지하고, 외부 AC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20)는 백라이트가 구동되지 않는 대기 모드 시에는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so, the power supply unit 220 senses the input of the external AC power, and can stop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if no external AC power is detected. Also, the power supply unit 220 may stop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in the standby mode in which the backlight is not driven.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간략한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Although only a simpl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영상 신호 제공부(120), 방송 수신부(130), 신호 분리부(135), A/V 처리부(140), 오디오 출력부(145), 저장부(150), 통신 인터페이스부(155), 조작부(160), 프로세서(170) 및 전원 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a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a signal separating unit 135, an A / V processing unit An audio output unit 145, a storage unit 150,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55, an operation unit 160, a processor 170, and a power supply unit 200.

디스플레이부(110), 전원 공급부(200)의 동작은 도 1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전원 공급부(200)가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로세서(170)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원 공급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원이 요구되는 구성 모두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power supply unit 200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00 supplies power only to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processor 170. However, the power supply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only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processor 170, Power can be provided.

방송 수신부(13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can receive and demodulate broadcasts from a broadcasting station or satellite by wire or wireless.

신호 분리부(135)는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부가정보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분리부(135)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A/V 처리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ignal separator 135 may separate the broadcast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The signal separation unit 135 may transmit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to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A/V 처리부(140)는 방송 수신부(130) 및 저장부(15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A/V 처리부(140)는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제공부(120)로 출력하고,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45)로 출력할 수 있다.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such as video decoding, video scaling, and audio decoding on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50. [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may output the video signal to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and output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unit 145.

반면, 수신된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경우, A/V 처리부(140)는 영상과 오디오를 압축된 형태로 저장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ed video and audio signal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may output the video and audio to the storage unit 150 in a compressed form.

오디오 출력부(145)는 A/V 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45 convert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into sound and outputs the sound through a speaker (not shown) or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n external output terminal (not shown) .

영상 신호 제공부(12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신호 제공부(120)는 생성된 GUI를 A/V 처리부(140)에서 출력된 영상에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신호 제공부(120)는 GUI가 부가된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 및 영상 신호 제공부(120)에서 전달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may generate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o the user.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may add the generated GUI to the image output from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the display unit 110 with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ideo to which the GUI is added.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10 can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그리고 영상 신호 제공부(120)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밝기 정보 추출하고, 추출된 밝기 정보에 대응되는 디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신호 제공부(120)는 생성된 디밍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밍 신호는 백라이트 제어를 위한 PWM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영상 신호 제공부(120)에서 디밍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부(110)가 디밍 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이용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백라이트 제어를 위한 디밍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만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디밍 신호는 전원 공급부(200)에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image signal providing unit 120 may extract brightn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nd generate a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brightness information.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the generated dimm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110. This dimming signal may be a PWM signal for backlight control.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dimm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and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10.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the display unit 110 receiving the video signal may transmit the dimming signal itself And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generated and us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mming signal for backlight control is provided only to the display unit 110. However, the dimming signal may also be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200. [

그리고 저장부(150)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A/V 처리부(140)로부터 영상과 오디오가 압축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A/V 처리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5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image contents. In detail, the storage unit 150 can receive and store video and audio compressed image contents from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and store the stored image cont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to the A / V processing unit 140 As shown in Fig. Meanwhile, the stora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hard disk,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or the like.

조작부(160)는 터치 스크린, 터치패드, 키 버튼, 키패드 등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조작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조작부(160)를 통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조작부(160)는 외부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로부터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The operation unit 160 is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a touch pad, a key button, a keypad, or the like, and provides a user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operation unit 160 receives input of a user's opera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have.

통신 인터페이스부(15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55 is formed to connect the display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via a local area network (LAN) (Universal Serial Bus) port.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조작부(160)를 통하여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 신호 제공부(120),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Specifically,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110 such that an imag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60 is displayed.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동작이 필요한 경우 노멀 모드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대기 모드(또는 절전 모드, 스탠바이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ex, 전원 온 명령)을 기다리는 상태뿐만 아니라, 화면 표시 없이 음성만을 출력하는 상태이거나, 주변의 다른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IoT 통신 상태일 수도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0. [ Specifically, when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is required, the normal mode is determined. If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is not required, the standby mode (or the power saving mode or the standby mode) can be determined. Such a standby mode may be a state of waiting for a user operation (ex, power-on command), a state of outputting only audio without displaying a screen, or an IoT communication stat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other external devices in the vicinity.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바,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는바, 전원 공급부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 및 EMI 필터의 크기를 작게 설계 가능하다. 또한, 입력 AC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백라이트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하는바 전원 공급부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a plurality of converters alternately, so that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ize of the EMI filter can be designed to be small. In addition, when the input AC power is cut off, the generation of the driving power required for the backlight is stopped, so that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power supply can be further reduced.

한편,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이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어떠한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re applied only to the display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broadcasting. However, the power supply apparatus described later can be applied to any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splay section.

한편, 이상에서는 전원 공급부(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원 공급부(200)의 기능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전원 공급부(2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Although the power supply unit 2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he fun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Hereinafter,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power supply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200)는 정류부(210), 제1 컨버터(300), 제2 컨버터(400), 감지부(220) 및 프로세서(230)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ower supply 200 may include a rectifier 210, a first converter 300, a second converter 400, a sensing unit 220, and a processor 230.

정류부(210)는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한다. 구체적으로, 정류부(21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AC 전원을 풀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 등의 정류 회로를 이용하여 정류할 수 있다. 이러한 정류부(210)는 정류된 AC 전원을 평활하기 위한 평활부(구체적으로,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정류부(210)는 EMI 저감을 위한 EMI 필터 및/또는 시스템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PFC 회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rectifying unit 210 rectifies the external AC power to the DC power. Specifically, the rectifying unit 210 can rectify external AC power using a rectifying circuit such as a full bridge diode circuit. The rectifying unit 210 may include a smoothing unit (specifically, a capacitor) for smoothing the rectified AC power. The rectifying unit 210 may include an EMI filter for EMI reduction and / or a PFC circuit for compensating the power factor of the system.

제1 컨버터(300)는 정류된 DC 전원을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컨버터(300)는 기설정된 크기의 전압을 갖는 제1 구동 전원이 출력 가능한 정전압 제어 방식(CV 모드)으로 동작하는 컨버터이다. 이러한 제1 컨버터(300)는 플라이백(Flayback)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CV 모드로 동작 가능한 다양한 DC/DC 컨버터(예를 들어, LLC 공진형 컨버터 등)가 이용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nverter 300 transforms the rectified DC power to the first driving power and outputs it. Specifically, the first converter 300 is a converter that operates in a constant voltage control mode (CV mode) capable of outputting a first driving power having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The first convert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flyback converter, but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C / DC converters (for example, an LLC resonant converter or the like) capable of operating in the CV mode may be used .

제2 컨버터(400)는 정류된 DC 전원을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 컨버터(400)는 기설정된 크기의 전류를 갖는 제2 구동 전원이 출력 가능한 정전류 제어 방식(CC 모드)으로 동작하는 컨버터이다. 이러한 제2 컨버터(400)는 플라이백(Flayback)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CC 모드로 동작 가능한 다양한 DC/DC 컨버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converter 400 transforms the rectified DC power to the second driving power and outputs it. Specifically, the second converter 400 is a converter that operates in a constant current control mode (CC mode) capable of outputting a second driving power having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The second converter 400 may be implemented as a flyback conver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C / DC converters operable in the CC mode may be used.

감지부(220)는 제1 구동 전원을 입력받는 출력 부하의 크기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20)는 포토 커플러, 플라이백 회로, 하프 브릿지 회로 등을 이용하여 제1 컨버터(300)의 출력단에 연결된 출력 부하의 크기(또는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23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20 senses the size of the output load receiving the first driving power. 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220 outputs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output loa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converter 300 (or the current size flowing in the output stage) using a photocoupler, a flyback circuit, a half bridge circuit, (230).

프로세서(230)는 복수의 컨버터(300, 400)를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제1 컨버터(300)에 대한 제어와 제2 컨버터(400)에 대한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30)는 제1 컨버터(300)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압 제어를 수행하고, 제2 컨버터(400)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전류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30)는 하나의 IC(예를 들어, ASIC)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ocessor 23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converters 300 and 400 alternately. Specifically, the processor 230 may alternatively control the first converter 300 and the second converter 400 in units of a predetermined period. At this time, the processor 230 may perform a voltage control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first converter 300 and a current control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urrent to the second converter 400 . Such a processor 23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C (e.g., an ASIC).

또한, 프로세서(230)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을 감지하고, 외부 AC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백라이트가 구동되지 않는 대기 모드 시에는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30 senses the input of the external AC power, and can stop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unless an external AC power is detected. In addition, the processor 230 may stop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in the standby mode in which the backlight is not driven.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200)는 복수의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바,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는바, 정류부(210)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 및 EMI 필터의 크기를 작게 설계 가능하다. 또한, 전원공급장치(200)는 입력 AC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백라이트에 필요한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하는바 정류부(210)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a plurality of converters alternately, so that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rectification part 210 and the size of the EMI filter can be designed to be small. In addition, when the input AC power is cut off, the power supply 200 can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rectifying part 210, which stops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required for the backlight.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200)는 정류부(210), 제1 컨버터(300), 제2 컨버터(400), 감지부(220) 및 프로세서(230)로 구성될 수 있다. 4, the power supply 200 may include a rectifier 210, a first converter 300, a second converter 400, a sensing unit 220, and a processor 230.

정류부(210)는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한다. 구체적으로, 정류부(210)는 EMI 필터(211), AC 감지부(212), 정류 회로(213), 평활부(214)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ctifying unit 210 rectifies the external AC power to the DC power. More specifically, the rectifying unit 210 may include an EMI filter 211, an AC sensing unit 212, a rectifying circuit 213, and a smoothing unit 214.

EMI 필터(211)는 입력된 AC에 대한 EMI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MI 필터(211)는 입력된 AC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현시에 EMI 필터는 생략될 수도 있다. EMI filter 211 can reduce EMI noise with respect to the input AC. Specifically, the EMI filter 211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AC. EMI filters may be omitted in implementation.

AC 감지부(212)는 외부 AC의 입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AC 감지부(212)는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커패시터로 AC 감지부를 구현하였지만, AC 감지가 가능하다면 다른 구성으로 AC 감지부(212)를 구현할 수도 있다. The AC sensing unit 212 can sense whether an external AC is input. The AC sensing unit 212 may include a capacitor. Meanwhile, although the AC sensing unit is implemented as a capaci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 sensing unit 212 may be implemented in other configurations as long as AC sensing is possible.

정류 회로(213)는 입력된 AC 전원을 정류한다. 이러한 정류회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풀브릿지 정류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구현시에는 다른 형태의 정류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rectifying circuit 213 rectifies the input AC power. Such a rectifying circuit may be implemented as a full bridge rectifying circuit as shown, but may also be implemented with other types of rectifying circuits in implementation.

평활부(214)는 정류된 AC 전원을 평활한다. 구체적으로, 평활부(214)는 커패시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200)의 입력 전류의 피크는 종래보다 감소하는바, 평활부(214)를 구성하는 커패시터의 용량은 종래의 용량보다 작아질 수 있다. The smoothing portion 214 smoothes the rectified AC power. In detail, the smoothing unit 214 may be implemented by a capacitor.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and the capacity of the capacitor constituting the smoothing unit 214 May be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capacity.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류부(210)에는 전원공급장치(200)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PFC 회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rectifying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PFC circuit for compensating the power factor of the power supply unit 200.

제1 컨버터(300)는 정류된 DC 전원을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컨버터(300)는 제1 스위치(320), 제1 저항(321), 제1 트랜스포머(330), 제1 다이오드(341), 제1 커패시터(34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verter 300 transforms the rectified DC power to the first driving power and outputs it. Specifically, the first converter 300 may include a first switch 320, a first resistor 321, a first transformer 330, a first diode 341, and a first capacitor 342.

제1 스위치(320)는 일 단이 제1 트랜스포머(330)의 1차 권선(331)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 저항(321)의 일 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치(320)는 프로세서(230)의 제어 신호에 따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switch 32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331 of the first transformer 3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321. The first switch 320 may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processor 230.

제1 저항(321)은 1차 권선(33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저항(321)은 일 단이 제1 스위치(320)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시스템의 1차 측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항(321)의 일 단은 프로세서(230)의 CS1단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resistor 321 is configured to sens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rimary winding 331. Specifically, the first resistor 321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3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ground of the system.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321 may be connected to the CS1 end of the processor 230.

제1 트랜스포머(330)는 제1 권선(331) 및 제2 권선(332, 333)을 포함한다. 제1 권선(331)과 제2 권선(332, 333)은 기설정된 권선비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transformer 330 includes a first winding 331 and a second winding 332 and 333. The first winding 331 and the second windings 332 and 333 may have predetermined winding ratios.

제1 권선(331)은 일 단이 정류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 스위치(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권선(332)은 일 단이 제1 다이오드(341)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 커패시터(342)의 타 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권선(333)은 일 단이 Vcc 다이오드(340)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타 단이 1차 측 접지에 연결된다. 이러한 2차 권선(333)은 프로세서(230)의 전원을 제공하기 용도이다. One end of the first winding 331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part 2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320. One end of the second winding 332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first diode 34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342. One end of the second winding 333 is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Vcc diode 34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ground. This secondary winding 333 is intended to provide power to the processor 230.

제1 다이오드(341)는 애노드가 제1 트랜스포머(330)의 2차 권선(332)의 일 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1 커패시터(342)의 일 단에 연결된다. The first diode 341 has an an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ary winding 332 of the first transformer 330 and a cath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342.

제1 커패시터(342)는 일 단이 제1 다이오드(341)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 트랜스포머(330)의 2차 권선(332)의 타 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커패시터(342)의 양단 전압이 제1 구동 전압이 된다.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342 is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first diode 34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ary winding 332 of the first transformer 330. The voltage across the first capacitor 342 becomes the first driving voltage.

제2 컨버터(400)는 정류된 DC 전원을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 컨버터(400)는 제2 스위치(450), 제2 저항(451), 제2 트랜스포머(460), 제2 다이오드(471), 제1 커패시터(47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nverter 400 transforms the rectified DC power to the second driving power and outputs it. Specifically, the second converter 400 may include a second switch 450, a second resistor 451, a second transformer 460, a second diode 471, and a first capacitor 472.

제2 스위치(450)는 일 단이 제2 트랜스포머(460)의 1차 권선(461)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저항(451)의 일 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스위치(450)는 프로세서(230)의 제어 신호에 따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switch 4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461 of the second transformer 46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 451. The second switch 450 may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processor 230.

제2 저항(451)은 제2 트랜스포머(460)의 1차 권선(46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2 저항(451)은 일 단이 제2 스위치(450)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시스템의 1차 측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항(451)의 일 단은 프로세서(230)의 CS2단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resistor 451 is configured to sens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rimary winding 461 of the second transformer 460. Specifically, the second resistor 451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4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ground of the system.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451 may be connected to the CS2 terminal of the processor 230. [

제2 트랜스포머(460)는 제1 권선(461) 및 제2 권선(462)을 포함한다. 제1 권선(461)과 제2 권선(462)은 기설정된 권선비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transformer 460 includes a first winding 461 and a second winding 462. The first winding 461 and the second winding 462 may have predetermined winding ratios.

제1 권선(461)은 일 단이 정류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스위치(4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권선(462)은 일 단이 제2 다이오드(471)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커패시터(472)의 타 단에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winding 461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part 2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450. One end of the second winding 462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second diode 47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472.

제2 다이오드(471)는 애노드가 제2 트랜스포머(460)의 2차 권선(462)의 일 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2 커패시터(472)의 일 단에 연결된다. The second diode 471 has its an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ary winding 462 of the second transformer 460 and its cath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472.

제2 커패시터(472)는 일 단이 제2 다이오드(471)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트랜스포머(460)의 2차 권선(462)의 타 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커패시터(472)의 양단 전압이 제2 구동 전압이 된다. 이러한 제2 구동 전압은 백라이트(115)에 제공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472 is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second diode 47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ary winding 462 of the second transformer 460. The voltage across the second capacitor 472 becomes the second driving voltage. This second driving voltage may be provided to the backlight 115.

감지부(220)는 제1 구동 전원을 입력받는 출력 부하의 크기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20)는 다이오드(221) 및 포토 커플러(22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20 senses the size of the output load receiving the first driving power. 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diode 221 and a photocoupler 222.

다이오드(221)는 제1 컨버터(300)의 출력 부하의 크기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가변하여 포토 커플러(222)에 제공할 수 있다. The diode 221 can vary the current flowing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load of the first converter 300 and provide it to the photocoupler 222.

포토 커플러(222)는 제공된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 정보를 프로세서(23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photocoupler 222 may provide the processor 230 with volt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ovided current.

프로세서(230)는 복수의 컨버터(300, 400)를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제1 트랜스포머(330)의 2차 권선(333) 및 2차 권선에 연결된 다이오드(340)를 통하여 구동 전원(Vcc)을 제공받아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로세서(230)가 제1 트랜스포머(330)의 2차 권선을 이용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컨버터(400)는 AC 전원이 일시 차단되거나 백라이트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변환 동작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The processor 23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converters 300 and 400 alternately. Specifically, the processor 230 can operate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Vcc through the secondary winding 333 of the first transformer 330 and the diode 340 connected to the secondary wind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uses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first transformer 330 becau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 power is temporarily shut off or the backlight is not driven,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 is interrupted.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AC 전원의 입력(AC_Det), 제1 트랜스포머(330)의 1차 권선의 전류 정보(CS1), 제2 트랜스포머(460)의 1차 권선(461)의 전류 정보(Cs2), 제1 구동 전류를 입력받는 출력 부하의 크기 정보(F/B)를 입력받아, 상술한 바와 같은 두 컨버터(300, 400)에 대한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30 receives the input AC_Det of the AC power source, the current information CS1 of the primary winding of the first transformer 330, the current information Cs2 of the primary winding 461 of the second transformer 460, And the magnitude information F / B of the output load to which the first drive current is input, so as to alternatively control the two converters 300 and 400 as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200)는 복수의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바,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는바, 정류부(210)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 및 EMI 필터의 크기를 작게 설계 가능하다. 또한, 전원공급장치(200)는 입력 AC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백라이트에 필요한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하는바 정류부(210)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a plurality of converters alternately, so that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rectification part 210 and the size of the EMI filter can be designed to be small. In addition, when the input AC power is cut off, the power supply 200 can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rectifying part 210, which stops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required for the backlight.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버터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5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plurality of conver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주기 단위 내에서 제1 컨버터에 대한 CV 제어를 수행한 이후에 제2 컨버터에 대한 CC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컨버터에 대한 CV 제어와 제2 컨버터에 대한 CC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하는바, 각 컨버터에 요구되는 전류가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5, after the CV control for the first converter is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the CC control for the second converter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V control for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C control for the second converter are alternately performed, and the current required for each converter is dispersed.

도 6은 입력 AC에 대한 프로세서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6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processor with respect to the input AC.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의 AC 전원이 특정 시점에서 중단되는 경우, 전원공급장치(200)는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제2 컨버터(400)의 제2 구동 전원의 생성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컨버터(300)는 제1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AC 전원의 입력이 복귀되면, 전원공급장치(200)는 다시 제2 컨버터(400)의 제2 구동 전원의 생성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6, when the external AC power is interrupt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the power supply 200 interrupts the generating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of the second converter 400 from the time when the input of the AC power is stopped can do. Also in this case, the first converter 300 can generate the first driving power. When the input of the AC power source is returned again, the power supply unit 200 can resume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second driving power of the second converter 400 again.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AC 전원이 차단되는 상황에서 전원공급장치(200)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제1 컨버터(300) 및 제2 컨버터(400)에 필요한 전원을 충분히 저장하기 위한 큰 커패시터가 요구되었다. 하지만, 본 개시에 따르면 AC 전원이 차단되는 시점에 제2 컨버터(400)의 동작이 중단되어 제1 컨버터(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만을 저장하면 되는바, 종래보다 낮은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operate the power supply 200 stably in a state where the AC power is temporarily interrupted in this way, conventionally, a large capacitor for sufficiently storing power required for the first converter 300 and the second converter 400 is required .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verter 400 is interrupted at the time when the AC power is shut off, only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verter 300 can be stored. As a result, The device can be implemented.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ow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한다(S710). Referring to FIG. 7, an external AC power source is rectified to a DC power source (S710).

정류된 AC 전원(즉, DC 전원)을 제1 컨버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한다(S720). 구체적으로, 제1 구동 전원의 크기를 감지하고, 제1 구동 시간에 감지된 크기가 기설정된 전압을 갖도록 CV 제어할 수 있다. The rectified AC power (that is, DC power)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first driving power by using the first converter and outputted (S720). Specifically, the magnitude of the first driving power source may be sensed, and the CV sensed at the first driving time may have a predetermined voltage.

그리고 정류된 AC 전원(즉, DC 전원)을 제2 컨버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한다(S730). 구체적으로, 제2 구동 전원의 전류를 감지하고, 제2 구동 시간에 감지된 구동 전류가 기설정된 전류 값을 갖도록 CC 제어할 수 있다. Then, the rectified AC power source (i.e., DC power source) is transformed to a predetermined second driving power source by using the second converter and outputted (S730). Specifically, the current of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can be sensed and the driving current sensed at the second driving time can be CC-controlled to have a preset current value.

그리고 제1 컨버터와 제2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한다(S740).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컨버터에 대한 CV 제어 및 제2 컨버터에 대한 CC 제어를 교번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Then,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are alternately controlled (S740). Concretely, the CV control for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C control for the second converter described above can be alternately repeat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복수의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바,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류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는바, 정류부(210)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 및 EMI 필터의 크기를 작게 설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입력 AC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백라이트에 필요한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하는바 정류부(210) 내의 입력 커패시터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은 전원 공급 방법은 도 1 또는 2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전원 공급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른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원 공급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ow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a plurality of converters alternately, so that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eak of the input current can be reduced,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rectification part 210 and the size of the EMI filter can be designed to be small.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input capacitor in the rectifying part 210, which stops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required for the backlight when the input AC power is cut off. The power supply method as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on a display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1 or 2 or on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3, or on a display device or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nother configuratio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 공급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술한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Further, the power supply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including an executable algorith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영상 신호 제공부 200: 전원공급장치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rt
120: video signal supply unit 200: power supply unit

Claims (2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신호 제공부; 및
제1 컨버터 및 제2 컨버터 각각을 이용하여 제1 구동 전원 및 제2 구동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상기 영상 신호 제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백라이트에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backlight;
A video signal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A power source for generating the first driving power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by using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providing the first driving power to the video signal providing unit and supplying the second driving power to the backlight, Compris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s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alternat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컨버터 및 제2 컨버터를 서로 다른 제어 방식으로 교차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are cross-controlled in different control schem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컨버터를 전압 제어하고, 상기 제2 컨버터를 전류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s the voltage of the first converter to control the current of the second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백라이트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nd stops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if the backlight is not dr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AC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Detects an input of an external AC power source, and stops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if the external AC power source is not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제1 컨버터의 제어와 상기 제2 컨버터의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Wherein the control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verter are alternately performed in units of a predetermined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DC 전원을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1 컨버터;
상기 DC 전원을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2 컨버터; 및
상기 제1 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차적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 rectifying part for rectifying the external AC power to the DC power;
A first converter converting the DC power to a first driving power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A seco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C power to a second driving power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an alternating man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되도록 상기 제2 컨버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second converter to stop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when the input of the external AC power is not detec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입력받는 출력 부하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출력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컨버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ensing unit sensing a size of an output load receiving the first driving power,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first convert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tected output loa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외부 AC 전원에 대한 EMI를 감소하는 EMI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tify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MI filter unit that reduces EMI to the external AC power sou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IC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cessor is implemented as one IC.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제1 정류부;
상기 DC 전원을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1 컨버터;
상기 DC 전원을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제2 컨버터; 및
상기 제1 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차적으로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
In a power supply,
A first rectifying section for rectifying an external AC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A first converter converting the DC power to a first driving power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A seco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C power to a second driving power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an alternating mann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를 서로 다른 제어 방식으로 교차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cross-control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in different control schem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버터를 전압 제어하고, 상기 제2 컨버터를 전류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cesso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converter is voltage-controlled and the second converter is current-controll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디밍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이 중단되도록 상기 제2 컨버터를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second converter to stop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according to an external dimming sig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AC 전원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AC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 구동 전원의 생성을 중단하는 전원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tects an input of an external AC power source and stops gen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if the external AC power source is not detec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상기 제1 컨버터의 제어와 상기 제2 컨버터의 제어를 교번적으로 수행하는 전원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wer supply unit,
Wherein the control of the first converter and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verter are alternately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cycle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외부 AC 전원에 대한 EMI를 감소하는 EMI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tify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MI filter unit that reduces EMI for the external AC power sour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IC로 구현되는 전원공급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ocessor is implemented as a single IC.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단계;
상기 DC 전원을 제1 컨버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1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DC 전원을 제2 컨버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2 구동 전원으로 변압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를 교번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In a power supply method of a power supply,
Rectifying an external AC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Transforming the DC power into a predetermined first driving power by using a first converter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Transforming the DC power to a predetermined second driving power by using a second converter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And
And alternately controlling the first converter and the second converter.
KR1020160048886A 2016-04-21 2016-04-21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KR2017012042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86A KR20170120421A (en) 2016-04-21 2016-04-21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US15/418,279 US10217419B2 (en) 2016-04-21 2017-01-27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86A KR20170120421A (en) 2016-04-21 2016-04-21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21A true KR20170120421A (en) 2017-10-31

Family

ID=6008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886A KR20170120421A (en) 2016-04-21 2016-04-21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17419B2 (en)
KR (1) KR201701204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85A1 (en) * 2018-04-18 2019-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small power modu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766B1 (en) 2018-06-01 202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magnetic sensor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30426B2 (en) * 2019-10-25 2023-11-2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WO2022168200A1 (en) * 2021-02-03 2022-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516A (en) 1992-09-17 1994-09-20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reduced input current distortion
US6437999B1 (en) 2001-05-12 2002-08-20 Technical Witts, Inc. Power electronic circuits with ripple current cancellation
US20040217735A1 (en) 2001-05-08 2004-11-04 Ehsan Chitsazan Interleaved switching lead-acid battery equalizer
US6950319B2 (en) 2003-05-13 2005-09-27 Delta Electronics, Inc. AC/DC flyback converter
US6853563B1 (en) 2003-07-28 2005-02-08 System General Corp. Primary-side controlled flyback power converter
US9461552B2 (en) 2006-03-23 2016-10-04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version
US20070236197A1 (en) 2006-04-10 2007-10-11 Vo Hai H Adaptive DC to DC converter system
JP4633035B2 (en) * 2006-11-07 2011-02-1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US7633266B2 (en) 2007-01-05 2009-12-15 Bc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mited Charger circuit and transformer used therein
TWI358187B (en) 2007-08-16 2012-02-11 Delta Electronics Inc Magnetic integrated circuit for multiphase interle
US8537572B2 (en) 2007-09-28 2013-09-17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conversion using an interleaved flyback converter with automatic balancing
US20100067263A1 (en) 2008-06-16 2010-03-18 Northeastern University Dual interleaved flyback converter for high input voltage
US20110249474A1 (en) 2010-04-12 2011-10-13 Yuhao Luo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version using an interleaved flyback converter with alternating master and slave branches
EP2533408B1 (en) 2011-05-25 2020-01-22 Icepower A/S Power supply arrangement for single ended class D amplifier
KR101496819B1 (en) 2012-08-03 2015-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Single stage forward-flyback converter,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y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CN103138573B (en) 2013-02-28 2016-03-09 上海新进半导体制造有限公司 Step down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US9602048B2 (en) 2014-01-15 2017-03-21 Lg Electronics Inc. Photovoltaic module
KR20160120055A (en)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85A1 (en) * 2018-04-18 2019-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small power modules
US10901488B2 (en) 2018-04-18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small power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17419B2 (en) 2019-02-26
US20170309232A1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2474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power supply device with power factor compensation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10991297B2 (en) Power supply device that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AC power is input,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power supply method
EP2814163B1 (en) Power supply, power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tandby mod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172309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usabl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using the same
US10217419B2 (en)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KR101538675B1 (en)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906534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3633847A (en) DC/DC converter,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C/DC conversion method thereof
KR20110133353A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using the same
US20200083816A1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44935A (en)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7095633B2 (en) Power supply system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0362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thereof
US10644602B2 (en) Adaptor,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9531285B2 (en) PFC power system with power managed main and standby voltage outputs
JP201424085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10176764B2 (en)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1174181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lf-diagnosis function
KR101768224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50141A (en) Driving app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KR20200008351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84205B1 (en) Power supl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KR20000003101A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computer display devices
CN114913817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080086092A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using single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