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576A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576A
KR20170114576A KR1020160041756A KR20160041756A KR20170114576A KR 20170114576 A KR20170114576 A KR 20170114576A KR 1020160041756 A KR1020160041756 A KR 1020160041756A KR 20160041756 A KR20160041756 A KR 20160041756A KR 20170114576 A KR20170114576 A KR 2017011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battery pack
relay
comparato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3937B1 (en
Inventor
이창복
송현진
최양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4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937B1/en
Publication of KR2017011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9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365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6Switches for conn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or electric motors to measuring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23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from sources with high internal resistance by means of measuring circuits with high input impedance, e.g. OP-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01R31/365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making use of a thermal sensor, e.g. thermistor, heated by the excess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과전류 상황에서, MCU와 같은 릴레이 제어 유닛이 오작동되더라도, 이러한 릴레이 제어 유닛의 오작동과 관계 없이, 배터리 팩의 과전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셀 어셈블리와 상기 셀 어셈블리의 이차 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전류가 흐르는 충방전 경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충방전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로 턴온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전류 공급부; 상기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된 션트 저항;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저항; 및 상기 릴레이와 상기 전류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 저항의 발열에 의해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상기 릴레이로의 턴온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부를 포함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shutting off the overcurrent of a battery pack regardless of a malfunction of the relay control unit even if a relay control unit such as an MCU malfunctions in an overcurrent situation of the battery pack. .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managing a battery pack having a cel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and a charge and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a current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cell assembly flows, A relay provided on the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pack to selectively open / close the charge / discharge path; A current supplier for turning on the relay by supplying a turn-on current to the relay; A shunt resistor provided on a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A comparator for comparing a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with a reference voltage; A heat generating resisto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generating heat by a current supplied from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a current restrict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relay and the current supply portion and for limiting a turn-on current from the current supply portion to the relay by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resistor.

Description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0002]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비정상 상태에서도 배터리 팩에 이상 전류가 흐를 때 보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배터리 팩 관리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managing a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configured to perform a protection function when an abnormal current flows in a battery pack even in an abnormal state, A battery pack, and a battery pack management method.

근래에 들어서,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사용 및 개발이 확대됨에 따라, 이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그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cameras and portable telephon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as the use and development of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satellites, and the like have expanded,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battery packs used The research is also proceeding actively.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노트북이나 넷북, 울트라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컴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는 컴퓨터로서의 뛰어난 성능과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성이라는 편리함까지 갖추고 있으므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각 가정이나 회사는 물론, 강의실이나 도서관, 버스, 전철 등에서도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가 이용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으며, 그 사용은 대중들에게 점차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portable computers such as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netbook, and an ultrabook have been widely used. Such a portable computer is used for many users because it provides excellent performance and functions as a computer and also has convenience of mobility. Therefore, it is now easy to see how these portable computers are used in lecture rooms, libraries, buses, and trains as well as in homes and companies, and their use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to the general public.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를 비롯하여 여러 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에는, 셀이라고도 불리는 이차 전지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 포함된다. 그리고,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다. 그 중,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A battery pack used in such a portable computer and various devices typically includes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also called a cell. The 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nickel-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been more popular due to the fact that the memory effect is hardly generated compared to the nickel-based secondary battery, the charge and discharge are free, the self-discharge rate is very low, and the energy density is high.

이처럼 배터리 팩의 적용 영역이 더욱 확장됨에 따라, 이러한 배터리 팩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노트북이나 휴대폰 등의 경우, 사용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배터리의 폭발은 휴대용 전자제품의 파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 내지 화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가 시급하다. 따라서, 배터리 팩에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관리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관리 장치가 구비된다.As the application area of the battery pack is further expanded, the safety of such a battery pack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notebook computer or a mobile phone, the use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may lead to damage to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and damage to persons or fire. Therefore, the battery pack generally includes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charge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pack and ensuring safety.

이러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에는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충방전 전류가 흐르는 경로에 구비된 션트 저항(센스 저항), 이러한 션트 저항으로부터 전류를 센싱하여 과전류 시 충방전 경로 상의 릴레이를 차단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제어 유닛을 들 수 있다. Such a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Typically, the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shunt resistor (sense resistor) provided in a path through which charging and discharging current flows, and a relay that senses a current from the shunt resistor, And a control unit such as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 팩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어 유닛, 이를테면 MCU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릴레이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하지만, MCU와 같은 제어 유닛은, 전자 부품으로서 고장 내지 일시적인 오작동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 물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근래에는 이러한 MCU 등의 고장이나 오작동의 발생 가능성이 많이 낮아지긴 하였지만, 단 한 번의 오작동에도 배터리 팩 자체는 물론이고,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장비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the battery pack, the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can be shut off by turning off the relay when the control unit, such as the MCU, is in a normal state. However, a control unit such as an MCU has a risk of malfunction or temporary malfunction as an electronic part. Of course, as the technology develops,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se MCUs has been reduced in recent years, but even a single malfunction may damage the equipm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pack as well as the battery pack itself have.

특히, 최근에는 배터리 팩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비롯한 전기 자동차에 대한 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팩에 과전류가 흐를 때, 배터리 팩 자체는 물론이고, 전기 자동차의 전원 계통에도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더욱이, 전기 자동차의 운행 중에 배터리 팩이나 전기 자동차의 전원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과전류 발생 시 이를 적절하게 차단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에 이용되는 배터리 팩의 경우, 출력 전류가 매우 크기 때문에, 과전류 상황은 더욱 위험하며, 심한 경우 화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Particularly, commercialization of pure electric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including hybrid electric vehicles, which are supplied with driving power from battery packs, are being commercialized in earnest in recent years.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electric vehicle,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the battery pack, it may damage the power system of the electric vehicle as well as the battery pack itself. Furthermore, if an electric power system of the battery pack or the electric vehicle is damag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t may lead to a serious accident.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properly shut off the overcurrent of the battery pack when it occu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attery pack used in an electric vehicle, since the output current is very large, an overcurrent situation is more dangerous and, in severe cases, a fire may occur.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구축이나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면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에 대한 개발 및 생산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력저장장치에 포함된 배터리 팩의 경우, 매우 방대한 양의 이차 전지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MCU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MCU의 오작동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력저장장치에는 많은 MCU가 포함되기 때문에, 고장 내지 오작동이 일어난 MCU의 파악이 쉽지 않으며, 특정 MCU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인 대처가 쉽지 않다.In recent years,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for storing electric power have become more active as the construction of a smart grid system or the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more and more. However, in the case of a battery pack included in such a power storage device, since an extremely large amount of secondary batteries can be included, the MCU is often overloaded, which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MCU. In addition, since many MCUs are included in the power storage device,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MCU that has failed or malfunctioned, and even if a malfunction occurs in a certain MCU, it is not easy to cope with it immediate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의 과전류 상황에서, MCU와 같은 릴레이 제어 유닛이 오작동되더라도, 이러한 릴레이 제어 유닛의 오작동과 관계 없이, 배터리 팩의 과전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러한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control apparatus and a battery pack control method which can prevent overcurrent of a battery pack from being overcurrented regardless of a malfunction of a relay control unit such as an MCU, And to provide a battery pack, an automobile, and the like that include such a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셀 어셈블리와 상기 셀 어셈블리의 이차 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전류가 흐르는 충방전 경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충방전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로 턴온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전류 공급부; 상기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된 션트 저항;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저항; 및 상기 릴레이와 상기 전류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 저항의 발열에 의해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상기 릴레이로의 턴온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 cel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cell, and a battery pack having a charge /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o charge / A relay provided on a charging / discharging path of the battery pack to selectively open / close the charging / discharging path; A current supplier for turning on the relay by supplying a turn-on current to the relay; A shunt resistor provided on a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A comparator for comparing a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with a reference voltage; A heat generating resisto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generating heat by a current supplied from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a current restrict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relay and the current supply portion and for limiting a turn-on current from the current supply portion to the relay by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resistor.

여기서, 상기 전류 제한부는, PTC 소자 또는 TCO 소자일 수 있다.Here, the current limiting unit may be a PTC device or a TCO device.

또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arato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current to an output terminal when the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not output a current to the output terminal when the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

또한, 상기 증폭기 및 상기 비교기 중 적어도 하나는, OP AMP일 수 있다.Also, at least one of the amplifier and the comparator may be an OP AMP.

또한, 상기 릴레이는,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전류가 일정 크기 이상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relay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turn-on state as the 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over a predetermined magnit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상기 전류 공급부로 하여금 상기 릴레이로 턴온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류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attery pack man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ing unit so that the current supplying unit supplies the turn-on current to the relay.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비교기로 상기 기준 전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variably supply the reference voltage to the compa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상기 비교기로 상기 기준 전압을 고정적으로 공급하는 기준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reference voltage to the comparator in a fixed manner.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bile including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셀 어셈블리와 상기 셀 어셈블리의 이차 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전류가 흐르는 충방전 경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증폭기에 의해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이 증폭되는 단계;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기준 전압이 비교기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가 출력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구비된 발열 저항이 발열되는 단계; 상기 발열 저항의 발열에 의해 전류 공급부로부터 릴레이로 공급되는 턴온 전류가 제한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가 턴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battery pack including a cel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cell and a battery pack having a charge /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o charge / The method comprising: amplifying a voltage across a shunt resistor by an amplifier; Inputting a voltage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a reference voltage into a comparator; Outputting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when the voltage amplified by the amplifie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 step of outputting a curr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generating an exothermic resistanc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Limiting the turn-on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to the relay by the heat of the heating resistor; And a step in which the relay is turned of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MCU와 같은 릴레이 제어 유닛과는 별도로, 배터리 팩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가 차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 relay control unit such as an MCU,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a battery pack, the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cut off.

특히, 본 발명의 경우, 과전류 상황에서 고장 내지 일시적인 오작동으로 인해 제어 유닛에 의한 릴레이의 턴오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별도로 구성된 회로를 통해 릴레이가 턴오프되도록 하여,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lay is not properly turned off by the control unit due to a fault or a temporary malfunction in an overcurrent condition, the relay is turned off through a separately configured circuit so that the charge / .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팩의 과전류 상황에서 배터리 팩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MCU와 같은 제어 유닛의 오작동을 보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of the battery pack can be secured in the overcurrent condition of the battery pack. Further,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lfunction of a control unit such as an MCU can be compens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릴레이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할 정도의 높은 온도 조건에서 릴레이를 향하는 턴오프 전류 신호를 제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고온 상황에서 MCU와 같은 제어 유닛의 제어 없이도 릴레이가 자동적으로 턴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imiting the turn-off current signal to the relay at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at which the relay can not operate properly, the relay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ithout control of a control unit such as an MCU under abnormal high- Off.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종래 배터리 팩 관리 장치에서 션트 저항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추가로 많은 수의 부품을 포함시키거나 과도한 설계 변경을 하지 않아도 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unt resistor or the like can be used as it is in a conventional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parts may be included or an excessive design change may not be requir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conomical and efficient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동작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aug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a battery pack man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동작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연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a battery pack man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릴레이(100), 전류 공급부(200), 션트 저항(300), 증폭기(400), 비교기(500), 발열 저항(600) 및 전류 제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관리하는 배터리 팩에는, 셀 어셈블리(10)와 충방전 경로(P)가 구비될 수 있다.1 and 2, a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100, a current supply unit 200, a shunt resistor 300, an amplifier 400, a comparator 500, a heating resistor 600 And a current restricting part 700. The current restricting part 700 includes a current limiting part 700, The battery pack managed by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may include a cell assembly 10 and a charge / discharge path P.

여기서, 셀 어셈블리(10)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특히, 1개의 이차 전지만으로는 배터리 팩의 고출력 내지 고용량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셀 어셈블리(10)에는 다수의 이차 전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차 전지에는 외장재가 파우치 형태로 구성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또는 외장재가 금속 캔으로 구성된 캔형 이차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이차 전지가 포함될 수 있다. 셀 어셈블리(10)에 다수의 이차 전지가 포함되는 경우, 이차 전지 사이는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셀 어셈블리(10)에 4개의 이차 전지가 직렬로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셀 어셈블리(10)에는 다양한 개수의 이차 전지가 다양한 연결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cell assembly 1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In particular, sinc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high output or high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by only one secondary battery, the cell assembly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such as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sing in the form of a pouch or a can-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sing made of a metal can. When a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are included in the cell assembly 10, the secondary cel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In FIG. 2, four seconda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cell assembly 10,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The cell assembly 10 may include various numbers of secondary cells in various connection forms .

상기 충방전 경로(P)는, 셀 어셈블리(10)의 이차 전지를 충전 내지 방전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르는 경로이다. 상기 충방전 경로(P)는, 배터리 팩에서 충전기나 부하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팩 단자와 셀 어셈블리(10) 사이의 전원 경로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구성을 참조하면, 셀 어셈블리(10)의 양극 단자와 양극 팩 단자(Pack +) 사이, 및 셀 어셈블리(10)의 음극 단자와 음극 팩 단자(Pack -) 사이의 전류 경로가 충방전 경로(P)라 할 수 있다.The charge / discharge path P is a path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o charge / discharge the secondary cell of the cell assembly 10. [ The charge / discharge path P may be a power path between the cell module 10 and a pack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harger or a load in the battery pack.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 the current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cell assembly 10 and the anode pack terminal (Pack +) an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cell assembly 10 and the cathode pack terminal (Pack - The path can be referred to as a charge / discharge path (P).

상기 릴레이(100)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P)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100)는, 이러한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P)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릴레이(100)는, 전자기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전류 경로를 개폐시키는 전자적 스위치라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릴레이(100)는,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석이 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10)과 스위치(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100)에는, 전자기 릴레이, 리드 릴레이, 프로그램 릴레이, 반드체 릴레이 등 다양한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The relay 100 may be provided on the charge / discharge path P of the battery pack. The relay 100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harge / discharge path P of the battery pack. The relay 100 may be an electronic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a current path using electromagnetic phenomenon. Particularly, the relay 100 utilizes the property that the coil 100 becomes a magnet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100, and may include the coil 110 and the switch 120, as shown in FIG. The relay 1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electromagnetic relays, reed relays, program relays, relays, and the like.

상기 전류 공급부(200)는, 릴레이(100)로 턴온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릴레이(100)로 턴온 전류가 공급되면, 릴레이(100)는 턴온되어 충방전 경로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즉, 상기 전류 공급부(200)는, 릴레이(100)를 턴온시킬 수 있다.The current supply unit 200 may supply a turn-on current to the relay 100. When the turn-on current is supplied to the relay 100 in this way, the relay 100 is turned on and a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charge / discharge path. That is, the current supply unit 200 can turn on the relay 100. [

여기서, 상기 전류 공급부(200)는, 릴레이(100)의 코일(110) 양단에 연결되어, 릴레이(100)의 코일(110)로 턴온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100)의 코일(110)로 턴온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110) 주변의 스위치(120)가 이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100)의 코일(110)로 턴온 전류가 공급되면, 릴레이(100)의 코일(110)은 전자석이 되어, 철편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철편에 구비된 스위치(120)의 접점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The current supply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to supply a turn-on current to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When the turn-on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the switch 120 around the coil 110 is moved and opened. For example, when a turn-on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becomes an electromagnet so that the iron piece can be moved. In this process, the contact of the switch 120 provided on the iron piece can be opened or cl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릴레이(100)는, 전류 공급부(200)로부터 전류가 일정 크기 이상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lay 100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turn-on state as the 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200 over a predetermined magnitude.

즉, 상기 릴레이(100)는, 전류가 공급될 때에만 스위치(120) 접점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전류가 멈추면 스프링 등의 복원력에 의해 이전 상태로 돌아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릴레이(100)는, 전류 공급부(200)에 의해 코일(110)로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면, 스위치(120)가 닫혀짐으로써, 턴온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100) 구성에서, 전류 공급부(200)가 코일(110)로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면, 릴레이(100)의 스위치(120)는 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공급부(200)가 릴레이(100)의 코일(110)로 전류를 전혀 공급하지 못하거나 전류를 공급하더라도 그 크기가 일정 수준 미만인 경우, 릴레이(100)는 턴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That is, the relay 100 can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ontact of the switch 120 only when current is supplied, and to return to the previous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or the like when the current stops. Particularly, the relay 100 can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when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110 by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nd the switch 120 is closed. In such a configuration of the relay 100, if the current supply unit 200 can not supply a current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o the coil 110, the switch 120 of the relay 100 can be opened. For example, if the current supply unit 200 fails to supply current to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at all or supplies current, if the size of the current supply unit 2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relay 100 may be turned off have.

상기 션트 저항(300)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300)은, 그 자체의 저항값과 양단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통해 전류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300)의 저항값은, 배터리 팩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shunt resistor 300 may be provided on the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The shunt resistor 300 may allow current to be measured through its own resistance value and voltage values measured at both end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unt resistor 300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like.

한편, 상기 릴레이(100), 전류 공급부(200), 션트 저항(300) 등은, 종래 배터리 팩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그대로 이용해도 무방하고,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relay 100, the current supply unit 200, the shunt resistor 30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상기 증폭기(400)는, 션트 저항(300)에 연결되어, 션트 저항(300) 양단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션트 저항(300)은, 일반적으로 저항값이 작게 설계되기 때문에 전압값이 크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증폭기(400)를 통해, 션트 저항(300) 양단의 전압값은 크게 증폭될 수 있다. The amplifi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hunt resistor 300 to amplify and output the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300. Since the shunt resistor 300 is generally designed to have a small resistance value, the voltage value may not be large. However, through the amplifier 400, the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300 can be greatly amplified.

특히, 상기 증폭기(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 AMP(OPerating AMPlifier; 연산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폭기(400)의 두 입력단은, 션트 저항(300)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기(400)의 하나의 출력단은, 비교기(500)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션트 저항(300) 양단의 전압은, 증폭기(400)로 입력되어 증폭된 후, 비교기(500)로 입력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mplifier 400 may be implemented as an OP AMP (operational amplifier)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wo input terminals of the amplifier 40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hunt resistor 300. On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parator 500. Accordingly, the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300 can be input to the amplifier 400 and amplified, and then input to the comparator 500.

상기 비교기(500)는, 상기 증폭기(400)에 의해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교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기(500)는, 2개의 입력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이 서로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mparator 500 may compare the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400 with a reference voltage. Different signals can be outpu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at is, the comparator 500 compares the two input values, and makes the outputs diff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특히, 상기 비교기(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 AMP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교기(500)는, 2개의 입력단(제1 입력단, 제2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구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mparator 500 may be implemented as an OP AMP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mparator 500 may include two input terminals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and one output terminal.

상기 비교기(500)의 두 입력단 중 하나의 입력단, 즉 제1 입력단은 증폭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증폭기(400)도 OP AMP로 구현된 경우, 증폭기(400)의 출력단은 비교기(500)의 제1 입력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기(400)의 출력 전압은 +로 표시된 비교기(500)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기(500)에서 -로 표시된 제2 입력단에는 기준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500)는, 2개의 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된 증폭기(400)의 증폭 전압과 기준 전압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One of the two in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 500, i.e., the first inpu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amplifier 400. Furthermore, when the amplifier 400 is also implemented as an OP AMP, the output of the amplifier 4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of the comparator 500. Thus, the output voltage of the amplifier 400 may be input to the first input of the comparator 500, labeled +. Also, a reference voltage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00. Therefore, the comparator 500 can compare the amplification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amplifier 400, which are respectively inputted to the two input terminals, with each other.

상기 비교기(500)는, 이러한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단으로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mparator 500 may output different signals to output terminal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기(500)는, 증폭기(400)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고, 증폭기(400)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Preferably, the comparator 500 outputs a current to the output stage when the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400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the current to the output stage when the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4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current may not be output.

예를 들어, 상기 비교기(500)는, 증폭기(400)에 의한 증폭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출력단으로 5V의 전압을 출력하고, 증폭기(400)에 의한 증폭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출력단으로 0V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기(500)는, 증폭기(400)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 출력단에 소정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출력단에 전압이 전혀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parator 500 outputs a voltage of 5V to the output terminal when the amplification voltage by the amplifier 40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the voltage when the amplification voltage by the amplifier 40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Lt; RTI ID = 0.0 > 0V. ≪ / RTI > That is, the comparator 5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voltage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when the voltage input from the amplifier 400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otherwise, no voltage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상기 발열 저항(600)은, 비교기(500)의 출력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열 저항(600)은, 일단이 비교기(500)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기(500)가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단으로 전원을 출력하면, 발열 저항(600)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그리고, 발열 저항(600)은, 이러한 전류의 흐름을 통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heating resistor 600 may be provid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00. For example, the heating resistor 6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grounded. Accordingly, when the comparator 500 outputs power to the outpu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a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heating resistor 600. Then,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can generate heat through this current flow.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릴레이(100)와 전류 공급부(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발열 저항(600)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발열 저항(600)의 발열 여부 내지 발열 크기에 따라, 턴온 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relay 100 and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In particular,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to block the turn-on cur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generates heat or generates heat.

이를테면,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발열 저항(600)이 열을 발생시키면, 릴레이(100)로 공급되는 턴온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발열 저항(600)이 발열하지 않거나 발열량이 소정 수준 미만이라면, 전류 공급부(200)로부터 릴레이(100)로 공급되는 턴온 전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발열 저항(600)이 발열하여 그 발열량이 소정 수준 이상이라면, 전류 공급부(200)로부터 릴레이(100)로 공급되는 턴온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전류 공급부(200)가 턴온 전류를 공급하더라도 릴레이(100)는 턴온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may limit the turn-on current supplied to the relay 100 when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generates heat. That is,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does not limit the turn-on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200 to the relay 100 if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does not generate heat or the calorific pow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However,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may limit the turn-on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200 to the relay 100 if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generates heat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refore, in this case, the relay 100 may not be turned on even if the current supply unit 200 supplies the turn-on current.

특히, 전류 제한부(700)는, 발열 저항(600)의 발열에 의해, 저항값이 변함으로써 릴레이(100)와 전류 공급부(200) 사이의 전류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발열 저항(600)의 발열에 의해, 저항값이 무한대에 가깝도록 크게 증대되어 릴레이(100)와 전류 공급부(200) 사이의 전류 경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발열 저항(600)의 발열에 의해, 저항값이 다소 증대되어 릴레이(100)의 코일(110)로 공급되는 턴온 전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100)의 코일(110)로 턴온 전류가 공급되더라도, 전류의 크기가 작아 릴레이(100)의 스위치(120)는 접점이 연결되지 않아 릴레이(100)가 턴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can limit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relay 100 and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by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by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 For example,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is greatly increased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approaches infinity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resistor 600, thereby completely blocking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relay 100 and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 Alternatively, the resistance of the current limiting part 700 may be slightly increased due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resistor 600, thereb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turn-on current supplied to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In this case, even if a turn-on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the size of the current is small, so that the switch 120 of the relay 100 can prevent the relay 100 from being turned on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PTC 소자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urrent limiting portion 700 may be a PTC device.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이다. 즉, 상기 PTC 소자는, 낮은 온도에서는 저항값이 낮고, 높은 온도에서는 저항값이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에서, 이러한 PTC 소자는 일단이 릴레이(100)의 코일(110)에 직접 연결되고, 타단이 전류 공급부(2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TC 소자는,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는 경우, 양단으로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할 수 있다.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is a device whose resistance varies with temperature. That is, the PTC element has a low resistance value at a low temperature and a high resistance value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TC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il 110 of the relay 100 at one end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current supply unit 200 at the other end.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e PTC element can prevent the current from flowing further to both ends.

특히, 상기 PTC 소자는, 발열 저항(600)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발열 저항(600)의 발열에 의해 저항값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PTC 소자는, 발열 저항(600)에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열로 인해 저항값이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PTC element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and the resistance value may be changed by heat gen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In addition, the PTC ele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the resistance value is increased due to the generated heat.

이를 위해, 상기 PTC 소자는, 발열 저항(600)의 발열 여부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될 수 있을 만한 위치 및/또는 사양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TC 소자는, 발열 저항(600)에 접촉하거나 그에 최대한 근접하여, 이를테면 발열 저항(600)과 수 mm 이내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TC devic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sition and / or a specification capable of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generates heat. For example, the PTC element may be placed at or near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for example, at a distance of several millimeters or less from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600.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제한부(700)가, 이러한 PTC 소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TCO 소자일 수 있다. TCO(Thermal Cut-Off) 소자는, 온도 퓨즈로서 금속 케이스 내에 유기물 입자의 감온 소자가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TCO 소자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증가시 감온 소자가 용융 액화되어 접점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전류 제한부(700)는, 다른 퓨즈나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PTC device, and may be implemented by other devices. For example,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may be a TCO element. The TCO (Thermal Cut-Off) element can be configured as a thermal fuse in which a thermosensitive element of organic particles is accommodated in a metal cas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CO element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he temperature-sensitive element is melted and liquefied, and the contact can be opened. In addition, the current limiting unit 700 may be implemented with another fuse or a FET (Field Effect Transistor).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제어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800. [

상기 제어 유닛(800)은, 전류 공급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800)은, 전류 공급부(200)로 하여금 릴레이(100)로 턴온 전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유닛(800)이 전류 공급부(200)에게 턴온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전류 공급부(200)는 릴레이(100)로 턴온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800)이 전류 공급부(200)에게 턴온 전류를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전류 공급부(200)는 릴레이(100)로 턴온 전류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current supply unit 200. [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800 may cause the current supply unit 200 to supply a turn-on current to the relay 100. [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8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supply the turn-on current to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can supply the turn-on current to the relay 100. If the control unit 8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so as not to supply the turn-on current to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the current supplying unit 200 may not supply the turn-on current to the relay 100.

상기 제어 유닛(800)은, 전류 공급부(200)를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에서 새롭게 구비된 것일 수 있으나, 종래 배터리 팩 관리 장치나 배터리 팩 또는 배터리 팩에 연결된 다른 장비의 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800)은,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MCU는, 일반적인 배터리 팩에 많이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셀 어셈블리(10)의 과충전이나 과방전, 과전압 및 과전류 등과 같은 배터리 팩의 이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MCU는, 이러한 이상 상황 발생 시, FET나 퓨즈 등을 제어하여 배터리 팩의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800)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이,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unit 200 and may be newly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in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equipment.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800 may be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The MCU is a component included in a general battery pack, and can determine an abnormal state of the battery pack such as overcharge, overdischarge, overvoltage, and overcurrent of the cell assembly 10. The MCU can control the FET, the fuse, and the like to perform the protection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when such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원(Ref)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power supply Ref as shown in FIG.

상기 기준 전원(Ref)은, 비교기(500)로 기준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500)는, 이와 같이 기준 전원(Ref)에 의해 공급되는 기준 전압을 증폭기(400)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비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준 전원(Ref)은, 기준 전압을 고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전원(Ref)은, 동일한 크기의 전압을 비교기(500)의 하나의 입력단에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The reference power supply Ref may supply a reference voltage to the comparator 500. Accordingly, the comparator 500 can compare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by the reference power supply Ref with the voltage amplified by the amplifier 400. [0054] Particularly, the reference power supply Ref can supply the reference voltage fixedly. That is, the reference power supply Ref may continuously supply a voltage of the same magnitude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500.

한편, 비교기(500)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은, 기준 전원이 아닌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유닛(800)은, 비교기(500)로 기준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기(500)로 공급되는 기준 전압은, MCU와 같은 제어 유닛(80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유닛(800)은, 비교기(500)로 기준 전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유닛(800)은, 충전 시와 방전 시에 비교기(500)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을 서로 다른 크기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유닛(800)은, 방전 시에도 배터리 팩의 방전 상태, 또는 부하의 종류나 상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기준 전압을 비교기(500)로 입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erence voltage input to the comparator 500 may be supplied by a component other than the reference power supply.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0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a reference voltage to the comparator 500. That is, the reference voltage supplied to the comparator 500 may be supplied by a control unit 800 such as an MCU.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800 may variably supply the reference voltage to the comparator 5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00 can supply reference voltages input to the comparator 500 at different size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800 may input a reference voltage having a different magnitude to the comparator 500 depending on the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pack, the type or state of the load, and the like even during discharging.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비교기(500)의 기준 전압이 상황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사양이나 구동 상태, 부하 등의 변화 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배터리 팩이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ator 500 is changed to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changes in specifications, operating conditions, loads, etc. of the battery pack, Manag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 자체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battery pack itself. Therefor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상술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팩으로부터 구동력을 얻기 때문에, 배터리 팩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효과적인 안전성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utomobiles. Therefore,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hybrid vehicle, since the driving force is obtained from the battery pack, securing the safety for the battery pack is very important. Accordingly, when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ffective safety of the battery pack for an automobile can be ensu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방법에 의하면, 먼저 증폭기에 의해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이 증폭된다(S110). 그리고,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기준 전압이 비교기로 입력된다(S120). 다음으로, 증폭 전압과 기준 전압이 서로 비교되어(S130), 증폭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가 출력된다(S140). 다음으로, 이처럼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출력된 전류에 의해, 발열 저항이 열을 발생시킨다(S150). 그러면, 이러한 발열 저항의 발열에 의해, 전류 공급부로부터 릴레이로 공급되는 턴온 전류가 제한될 수 있다(S160). 그리고 이러한 턴온 전류의 제한에 의해, 릴레이는 턴오프될 수 있다(S170). 여기서, 이전 상태에서 릴레이가 턴온 상태인 경우, 상기 S170 단계에서는 이러한 턴온 상태가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하고 턴오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전 상태에서 릴레이가 턴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S170 단계에서는, 전류 공급부에 의해 턴온 전류가 공급되더라도, 릴레이는 턴온되지 않고 턴오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battery pac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is first amplified by the amplifier (S110). The voltage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the reference voltage are input to the comparator (S120). Next, the amplification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S130). If the amplification voltag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S140). Next, the heat generating resistor generates heat by the current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S150). Then, by the heat generation of such exothermic resistance, the turn-on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to the relay can be limited (S160). By the limitation of the turn-on current, the relay can be turned off (S170). Here, if the relay is turned on in the previous state, the turn-on state can not be maintained any longer and the turn-off state can be changed in step S170. Also, if the relay is turned off in the previous state, the relay may not be turned on and the turn-off state may be maintained even if the turn-on current is supplied by the current supply unit in step S17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셀 어셈블리
P: 충방전 경로
100: 릴레이
110: 코일, 120: 스위치
200: 전류 공급부
300: 션트 저항
400: 증폭기
500: 비교기
600: 발열 저항
700: 전류 제한부
800: 제어 유닛
10: Cell assembly
P: charge / discharge path
100: Relay
110: coil, 120: switch
200: current supply part
300: Shunt resistance
400: amplifier
500: comparator
600: Heat resistance
700:
800: control unit

Claims (11)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셀 어셈블리와 상기 셀 어셈블리의 이차 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전류가 흐르는 충방전 경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충방전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로 턴온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전류 공급부;
상기 배터리 팩의 충방전 경로 상에 구비된 션트 저항;
상기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저항; 및
상기 릴레이와 상기 전류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 저항의 발열에 의해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상기 릴레이로의 턴온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An apparatus for managing a battery pack having a cel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cell and a charge /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o charge / discharge the secondary cell of the cell assembly,
A relay provided on a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to selectively open / close the charge / discharge path;
A current supplier for turning on the relay by supplying a turn-on current to the relay;
A shunt resistor provided on a charge /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pack;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A comparator for comparing a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with a reference voltage;
A heat generating resisto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generating heat by a current supplied from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A current limiting unit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relay and the current supply unit and limits a turn-on current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to the relay by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resistor,
The battery pack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부는, PTC 소자 또는 TCO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 limiting unit is a PTC device or a TCO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출력단으로 전류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arator outputs a current to an output terminal when the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does not output a current to the output terminal when the voltage output by the amplifi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및 상기 비교기 중 적어도 하나는, OP 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mplifier and the comparator is an OP A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전류가 일정 크기 이상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y is configured to maintain a turn-on state as the current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over a predetermined magnit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공급부로 하여금 상기 릴레이로 턴온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류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unit to supply the current supply unit with a turn-on current to the rela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비교기로 상기 기준 전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variably supplies the reference voltage to the compa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로 상기 기준 전압을 고정적으로 공급하는 기준 전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ference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reference voltage to the comparator in a fixed manner.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An automobi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셀 어셈블리와 상기 셀 어셈블리의 이차 전지를 충방전하기 위한 전류가 흐르는 충방전 경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증폭기에 의해 션트 저항 양단의 전압이 증폭되는 단계;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과 기준 전압이 비교기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가 출력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구비된 발열 저항이 발열되는 단계;
상기 발열 저항의 발열에 의해 전류 공급부로부터 릴레이로 공급되는 턴온 전류가 제한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가 턴오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관리 방법.
A method of managing a battery pack having a cel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cell and a charge /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o charge / discharge the secondary cell of the cell assembly,
Amplifying a voltage across the shunt resistor by an amplifier;
Inputting a voltage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a reference voltage into a comparator;
Outputting a current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when the voltage amplified by the amplifie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 step of outputting a curr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and generating an exothermic resistanc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Limiting the turn-on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upply to the relay by the heat of the heating resistor; And
Wherein the relay is turned off
Wherein the battery pack is mounted on the battery pack.
KR1020160041756A 2016-04-05 2016-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KR102063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6A KR102063937B1 (en) 2016-04-05 2016-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56A KR102063937B1 (en) 2016-04-05 2016-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76A true KR20170114576A (en) 2017-10-16
KR102063937B1 KR102063937B1 (en) 2020-01-08

Family

ID=6029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56A KR102063937B1 (en) 2016-04-05 2016-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93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608A1 (en) * 2017-12-14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Curren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CN110873846A (en) * 2018-08-31 2020-03-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Current limit value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080006A (en) * 2019-12-20 2021-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Detecting system for control circuit of lo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813A (en)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Apparatus for controlling rel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273A (en) * 2002-06-28 2004-01-29 Solectron Japan Kk Battery voltage monitoring device and battery pack
KR20110064055A (en)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Circuit device for protecting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058682B1 (en) * 2010-06-18 2011-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protecting battery pack by controlling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f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and multi battery pack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50094167A (en) * 2014-02-10 2015-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273A (en) * 2002-06-28 2004-01-29 Solectron Japan Kk Battery voltage monitoring device and battery pack
KR20110064055A (en)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Circuit device for protecting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058682B1 (en) * 2010-06-18 2011-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protecting battery pack by controlling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f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and multi battery pack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50094167A (en) * 2014-02-10 2015-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management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608A1 (en) * 2017-12-14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Curren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11397200B2 (en) 2017-12-14 2022-07-26 Lg Energy Solution, Ltd. Current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873846A (en) * 2018-08-31 2020-03-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Current limit value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080006A (en) * 2019-12-20 2021-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Detecting system for control circuit of load
KR20210119346A (en) * 2019-12-20 2021-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Detecting system for control circuit of load
US11355921B2 (en) 2019-12-20 2022-06-07 Samsung Sdi Co., Ltd. Detecting system for control circuit of l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937B1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078B1 (en) Apparatus and method protecting battery pack by detecting destruction of sense resistor in battery pack
US9130383B2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device, battery pack, electrical equipment, and charging/discharging control method
US7667435B2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with over voltage transient protection
JP4659886B2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US9917461B2 (en) Battery unit, overcurre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US9018910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4320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irect cell attachment for batteries
KR102246769B1 (en) The battery pack and a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WO2013153889A1 (en) Battery pack provided with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switch circuit
JP2008043009A (en) Battery pack and control method
KR1020639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JP4821691B2 (en) Secondary battery pack
JP2009142140A (en) Mems based battery monitoring technical field
US20160094068A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device
KR101562881B1 (en)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and laptop computer including the same
JP2000102185A (en) Secondary battery pack
US20160094059A1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device and battery device
US20050237028A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with over voltage transient protection
KR1020657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KR1016108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KR101254687B1 (en) Protective circuit of secondary cel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889523B1 (en) A battery pack using a thermal fuse
TW201445845A (en) Parallel discharge regulation device and regulation method thereof
KR20160143091A (en) Battery Pack and Overcharge Protection System Including Thereof
KR102059608B1 (en) Electrical Element Having Coupling Part Available for Disconnection by H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