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423A -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423A
KR20160102423A KR1020167016567A KR20167016567A KR20160102423A KR 20160102423 A KR20160102423 A KR 20160102423A KR 1020167016567 A KR1020167016567 A KR 1020167016567A KR 20167016567 A KR20167016567 A KR 20167016567A KR 20160102423 A KR20160102423 A KR 2016010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core
absorbent
liquid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9775B1 (en
Inventor
가오리 우메모토
요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7Form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weak s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59/025Fibrous surfaces with piles or similar fibre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15Hot melt adhesives, e.g. thermoplastic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2013/15715Shaping or making ou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09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8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Abstract

(과제) 오목홈을 가공하기 쉽게 하고, 오목홈을 깔끔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장착감을 악화시키지 않고,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이면 시트 (2) 사이에, 체액 배출 부위 (H) 를 포함하는 피부 맞닿음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오목홈상 또는 슬릿상의 흡수체 오목부 (20) 가 형성된 흡수체 (4) 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따라 엠보스부 (21) 가 형성된 실금 패드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구비한 상기 흡수체 (4) 를 성형하는 제 1 공정과, 적어도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측에 상기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코어 엠보스 (23) 를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흡수체 (4) 의 표면측에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를 적층하여 상기 엠보스부 (21) 를 형성하는 제 3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PROBLEMS] To easily process a concave groove, to form a concave groove neatly, and to improve the spreadability of a body fluid without deteriorating the mounting feeling.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groove or slit-like absorber concave or convex concav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the backsheet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kin- The absorber 4 in which the absorber 20 is formed is interposed and the absorber recess 20 is formed inside the absorber recess 20 by embossing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qui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continence pad (1) having an embossed portion (21)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absorbent core (1), comprising the first step of forming the absorbent body (4) A second step of applying a core embossing 23 to both sides of the absorber 4 by pressing from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4; ) To form the embossed portion (21) It is included.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0001]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0002]

본 발명은, 주로는 실금 패드, 생리용 냅킨, 분비물 시트, 의료용 패드, 토일리트리, 일회용 기저귀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흡수체의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used mainly for an incontinence pad, a sanitary napkin, a secretion sheet, a medical pad, a toilet paper, a disposable diaper and the like, ≪ / RTI >

종래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부직포 또는 투액성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액성 표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s an absorbent article, an absorbent body is interposed between a liquid-impervious backsheet such as a polyethylene sheet or a polyethylene sheet laminate nonwoven fabric and a liquid-pervious topsheet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a liquid-pervious plastic sheet.

이러한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수많은 개량이 거듭되었으며, 체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여러 가지로 강구되고 있다. 이들 체액 누출 방지 수단의 하나로서, 열 엠보스에 의해 오목홈을 형성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서는, 액체 등의 흡수 유지성을 높여, 한번 흡수한 액체 등을 흡수체 내부로 빠르게 이행시켜 액체 등의 역류나 누출을 억제하고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층 흡수체와 하층 흡수체가 이루는 중고부 (中高部) 는, 피부 맞닿음면측에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임부를 가지고, 상기 패임부는, 상기 상층 흡수체를 관통한 개구부이며, 그 개구부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상기 상층 흡수체의 하면에 상기 하층 흡수체가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 에서는, 흡수체의 입체 개더 내측 근방, 또한 흡수체의 사용면측에 입체 개더를 따라 엠보스 가공을 형성함으로써, 뇨를 흡수했을 때에 흡수 폴리머에 의한 입체 개더 근방의 흡수체의 팽윤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여성용 실금 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3 에서는, 다수의 개구를 갖는 시트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투액성 톱 시트를 갖고, 투액성 톱 시트 상면으로부터 흡수체에 부여된 오목홈상의 센터 엠보스와, 이 센터 엠보스의 양측에 각각 사이드 엠보스가 존재하고, 상기 센터 엠보스는, 상기 사이드 엠보스의 부여 가공을 실시하고, 그 후공정에서 상기 센터 엠보스의 부여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센터 엠보스 가공부에서는, 상기 투액성 톱 시트가 연신되면서 오목상 홈이 형성되고, 그 센터 엠보스 가공부에 있어서 톱 시트 개구의 확대 또는 부직포의 섬유 간극의 확대가 도모되고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Numerous improvements have been made to these types of absorbent articles, and various means for preventing body fluid leakage have been proposed. As one of these means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there is a technique of forming a concave groove by thermal embossing.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absorbent / retaining property of a liquid or the like and rapidly transferring a once absorbed liquid or the like to the inside of the absorbent body to suppress or prevent backflow or leakage of liquid or the like, The upper and lower absorbent members have a depressed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and the depressed portion is an opening portion penetrating the upper absorbent body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lower layer absorbent is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absorbent. In Patent Document 2, embossing is performed along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near the inside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of the absorber and also on the use side of the absorber, thereby suppressing the swelling of the absorber near the three- A female incontinence pad is disclosed.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3, a liquid-pervious topsheet made of a sheet or a nonwoven fabric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is provided, center embosses on concave grooves provided on the absorbent body from the top surface of the liquid-pervious topsheet, Wherein the center emboss is provided with the side embossing, and the embossing processing of the center emboss is performed in the subsequent step, so that in the center embossing portion, the liquid- In which a concave groove is formed and the center emboss processing portion is enlarged in the opening of the topsheet or the fiber gap of the nonwoven fabric is enlarg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12590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9-11259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8765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87655 일본 특허공보 제4652626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652626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층 흡수체가 하층 흡수체에 적층되고, 하층 흡수체의 표면측의 일부 (개구부 바닥면) 가 개구부의 부분에서 직접 표면 시트에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층 흡수체의 개구부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부를 통하여 그 내부에 도입된 표면 시트의 일부와 용융 접착법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upper absorbent body is laminated on the lower absorbent body, and a part of the surface side of the lower absorbent body (the bottom face of the opening)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sheet directly at the opening.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lower layer absorbent body is joined to a part of the surface sheet introduced into the lower layer absorbent body through the opening portion by the melt adhesion method.

이와 같이,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개구부의 내부에 표면 시트의 일부를 도입하여 하층 흡수체의 개구부 바닥면과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1) 흡수체를 라인 반송하는 도중에, 흡수체가 롤 사이에 끼이는 것 등에 의해 개구부의 측벽이 내측으로 쓰러져, 표면 시트의 가압시에 쓰러진 흡수체도 동시에 압착 (壓搾) 되어 버리는 문제, (2) 흡수체의 라인 반송 중에 전후좌우의 이송 엇갈림이 발생하여, 개구부와 프레스 위치의 위치 맞춤이 어려워, 개구부 주변의 흡수체의 일부를 압착해 버리는 문제, 등에 의해 균일한 제품을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art of the surface sheet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opening by the pressure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topsheet and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bottoms absorbent, the following problems have arisen. (1) a problem that the side wall of the opening portion is collapsed inward due to sandwiching of the absorber between the rolls during the line conveyance of the absorber, and the absorber that collapses at the time of pressing the topsheet is also pressed simultaneously; (2) And a problem that the opening and press position are difficult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absorber around the opening portion is pressed, and the like, so that a uniform product can not be manufactured.

또,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리 흡수체의 개구부를 크게 해 두는 대책도 생각할 수 있지만, 개구부를 크게 함으로써, 그 만큼의 흡수량을 보충하기 위해 개구부 주변의 흡수체 겉보기 중량을 늘릴 필요가 있어, 제품의 두께가 더해져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consider measures to increase the opening of the absorber beforehand.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pparent weight of the absorber around the opening to compensate for the amount of absorption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open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ounting feeling may be deteriorated.

또한, 미리 오목홈이 형성된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표면측에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 대해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엠보스를 실시한 경우, 오목홈 바닥부가 압착됨에 수반하여 오목홈의 측벽이 내측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오목홈의 용적이 작아져, 저류할 수 있는 체액의 양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In the case where the liquid-absorbent surface sheet is laminat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body in advance and the embossing is carried out by pressing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quid-pervious top sheet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concave groove,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groove may collapse inwardly as the bottom of the concave groove is squeezed.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concave groove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body fluid that can be stored is reduced.

한편으로, 개구부에 일시 저류된 체액은, 개구부의 측벽으로부터도 흡수체 내부로 침투하는데, 개구부 주변의 흡수체의 밀도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에서는, 개구부의 측벽으로부터 흡수체 내부로 침투한 체액이 정체되기 쉽고, 흡수체의 보수량 (保水量) 이 곧바로 가득 차게 되어 그 이상의 흡수를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fluid temporarily stored in the opening penetrates into the absorber even from the side wall of the opening, but if the density of the absorber around the opening is uniform, the body fluid permeating into the absorber from the side wall of the opening tends to stagnate, There is a fear that the absorbed amount of the absorbent is immediately filled up and the absorbed amount can not be further absorbed.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3 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엠보스 부여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투액성 톱 시트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확대하는 기술은 존재하고 있었지만, 흡수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개구를 확대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However,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there has been a technique of enlarging a large number of openings formed in the liquid-pervious topsheet by embossing, but there is a technique of enlarging the openings of the recesses formed in the absorber Did not do it.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오목홈을 가공하기 쉽게 하고, 오목홈을 깔끔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장착감을 악화시키지 않고,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 princip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which can easily process a concave groove and can form a concave groove neatly and improve the diffusibility of a body fluid without deteriorating the mounting feeling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체액 배출 부위를 포함하는 피부 맞닿음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오목홈상 또는 슬릿상의 흡수체 오목부가 형성된 흡수체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따라 엠보스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pervious topsheet and a backsheet,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has a concave groove or a slit-like absorptanc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ki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body having a concav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having an embossed portion formed along the absorbent body recess inside the absorbent body recess by embossing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quid-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구비한 상기 흡수체를 성형하는 제 1 공정과, 적어도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코어 엠보스를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흡수체의 표면측에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여 상기 엠보스부를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 first step of forming the absorber having the absorber recessed portion, a second step of performing core embossing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absorber recess by pressing from the skin abutment side of the absorber, And a third step of forming the embossed portion by laminating the liquid-pervious topsheet on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상기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체액 배출 부위를 포함하는 피부 맞닿음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오목홈상 또는 슬릿상의 흡수체 오목부를 형성한 흡수체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따라 엠보스부를 형성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 내로 체액이 침입하여 흡수체 오목부 주변의 폴리머나 펄프가 팽창했을 때, 미리 상기 흡수체에 흡수체 오목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압착에 의해 폴리머나 펄프가 고밀도가 된 것에 비해 흡수체 오목부의 바닥면이 높아지는 것이 매우 작게 억제됨과 함께, 상기 엠보스부에 의해 흡수체 오목부 내에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 오목부의 측면의 팽창도 작게 억제된다. 따라서, 흡액시에 팽창한 폴리머나 펄프에 의해 흡수체 오목부가 막혀서 체액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슬릿상으로 형성한 경우, 흡수체 오목부의 바닥면에는 흡수체가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면의 팽창이 일어나지 않는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bsorbent body having concave groove-shaped or slit-shaped absorbent body recesses formed by compression bo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including the body fluid discharging portion between the liquid- And an embossed portion is formed along the absorber recess in the absorber recess by embossing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quid-pervious topsheet. In such an absorbent article, by forming the absorbent body recess in the absorbent body in advance when the body fluid infiltrates into the absorbent body recess and the polymer or pulp around the absorbent body recess expands, the polymer or pulp becomes high density by compression The increas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concave portion is suppressed to be very small and the expans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concave portion is suppressed to be small since the embossing portion intervenes the liquid-pervious topsheet in the absorbent core concave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sorbent body from being deteriorated by clogging the absorbent body recess by the expanded polymer or pulp during absorp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 slit shape, since the absorber does not interven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the bottom surface does not expand.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구비한 상기 흡수체를 성형하는 제 1 공정과, 적어도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코어 엠보스를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흡수체의 표면측에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여 상기 엠보스부를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공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제 2 공정에 있어서 코어 엠보스를 실시함으로써, 이 코어 엠보스에 끌어당겨져 흡수체 오목부의 양 측벽이 외측으로 기울어져, 흡수체 오목부의 개구가 크게 열리게 된다. 이 때문에, 다음의 제 3 공정에 있어서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엠보스부를 형성할 때, 엠보스 장치의 선단이 흡수체 오목부의 내부로 진입하기 쉬워져, 흡수체와 엠보스 장치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져 오목홈이 가공하기 쉬워짐과 함께, 불필요한 부분을 압착하지 않고 오목홈을 깔끔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In manufacturing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forming the absorbent body having the absorbent body recesses, and a step of pressing the core embossed body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absorbent body recesses from the skin- And a third step of laminating the liquid-pervious topsheet on the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body to form the embossed portion. By performing core embossing in the second step, both side walls of the absorber recess are pulled out by being attracted to the core embossment, so that the opening of the absorber recess is largely opened. Therefore, when the embossed portion is form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quid-pervious topsheet in the third step, the front end of the embossing device is likely to enter the inside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and the alignment of the absorbent core and the embossing device So that the concave groove can be easily processed and the concave groove can be neatly formed without pressing unnecessary portions.

또, 흡수체 오목부의 개구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오목홈을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체 겉보기 중량이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concave groove can be formed without increasing the opening dimension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apparent weight or thickness of the absorbent core, and the mounting feeling of the absorbent core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주변에 압밀화된 코어 엠보스가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흡수체 오목부에 일시 저류된 체액이 흡수체 내부로 침투했을 때, 섬유의 밀도 구배에 의해 체액이 코어 엠보스측으로 끌려들어가기 쉬워져, 체액의 확산성이 향상되고, 흡수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ody fluid temporarily stored in the absorbent core recess penetrates into the absorbent core, the body fluid is liable to be attracted to the core embossed side due to the density gradient of the fiber, because the core embossed in the periphery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is formed. The diffusibility of the body fluid is improved and the absorption performance is improved.

청구항 2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코어 엠보스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의 거리가 10 ㎜ 이상 30 ㎜ 이내의 범위에서 실시되어 있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e emboss is carried out in a range of 1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absorbent core concave portion.

상기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코어 엠보스를 형성하는 위치로서,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의 거리를 10 ㎜ 이상 30 ㎜ 이내의 범위로 하고 있다. 10 ㎜ 보다 가까운 범위에 코어 엠보스를 형성한 경우, 코어 엠보스에 끌려가 흡수체 오목부의 높이 (깊이) 가 작아지고, 오목홈의 용적이 감소하여 흡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30 ㎜ 보다 먼 범위에 형성한 경우, 흡수체 오목부의 측벽을 외측으로 쓰러뜨리는 효과를 그다지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th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is set within a range of 1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as a position for forming the core embossment. When the core embossment is formed in a range closer to 10 mm, the height (depth) of the absorber recessed portion is pulled by the core embossing, the volume of the recessed groove is reduced, and the absorption performance may be lowered. In addition, when it is formed in a range farther than 30 mm, the effect of collapsing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absorber to the outside can not be expected so much.

청구항 3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코어 엠보스의 평면 형상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나 또는 복수 조 (條) 의 연속선이나 불연속선, 도트상 또는 격자상의 패턴인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core embossment is one or a plurality of sets of continuous lines, discontinuities, dots or lattice-like patter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article is provided.

상기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코어 엠보스의 평면 형상으로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나 또는 복수 조의 연속선이나 불연속선, 도트상 또는 격자상의 패턴이 바람직한 것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속선이나 불연속선은, 직선이어도 되고 원호 등의 곡선이어도 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it is preferable that a planar shape of the core emboss is one or a plurality of sets of continuous lines, discontinuous lines, dots or lattice patter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continuous line or the discontinuous line may be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such as an arc.

청구항 4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코어 엠보스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전측 및 후측에도 실시되어 있는 청구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re emboss is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상기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코어 엠보스를,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전측 및 후측에도 실시함으로써, 오목홈으로부터 흡수체 내부로 침투한 체액의 전측 및 후측으로의 확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 흡수 성능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the core emboss is applied to both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absorbent core concave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ffusibility from the concave groove to the front side and back side of the body fluid infiltrating into the absorbent core, And becomes even better.

청구항 5 에 관련된 본 발명으로서, 상기 코어 엠보스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흡수체 오목부측에서부터 외방측을 향하여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외방측의 압착압 쪽이 서서히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claim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emboss is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rom the side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toward the outer side as viewed in a plane, and is set so that the compression pressure on the outer side gradually increases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producing an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any one of [1] to [4].

상기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코어 엠보스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흡수체 오목부측에서부터 외방측을 향하여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외방측의 압착압 쪽이 서서히 높아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외방측을 향하여 흡수체의 밀도 구배가 서서히 높아지기 때문에, 체액의 확산성이 더욱 커져 흡수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core embossment is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rom the side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toward the outer side as viewed in a plan view, the pressing force on the outer side is set to gradually increase The density gradient of the absorbent body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so that the body fluid becomes more diffusible and the absorption performance is improved.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목홈이 가공하기 쉬워지고, 오목홈을 깔끔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장착감이 악화되지 않고,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groove can be easily processed, the concave groove can be formed neatly, the mounting feeling does not deteriorate, and the diffusibility of the body fluid can be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금 패드 (1) 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 화살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 화살표도이다.
도 4 는 흡수체 (4) 의 단면도이다.
도 5(A) ∼ 도 5(C) 는, 실금 패드 (1) 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흡수체 (4) 의 평면도이다.
도 7(A) ∼ 도 7(D) 는 흡수체 (4) 의 평면도이다.
도 8(A) ∼ 도 8(D) 는 흡수체 (4) 의 평면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the incontinence pa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I-II line arrow in Fig.
3 is an arrow line III-III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r 4. Fig.
5 (A) to 5 (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continence pad 1.
6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r 4. Fig.
Figs. 7 (A) to 7 (D) are plan views of the absorber 4. Fig.
Figs. 8 (A) to 8 (D) are plan views of the absorber 4.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서술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금 패드 (1) 의 기본 구성〕[Basic configuration of incontinence pad (1)]

본 발명에 관련된 실금 패드 (1)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뇨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이들 양 시트 (2, 3) 사이에 개재 장착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4) 와, 필요에 따라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배치되는 친수성의 세컨드 시트 (6) 와, 상기 흡수체 (4) 의 대략 측가장자리부를 기립 기단 (起端) 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체액 배출 부위 (H) 를 포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구간 내에서 피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좌우 1 쌍의 입체 개더 (BS, BS) 를 형성하는 사이드 부직포 (7, 7) 로 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흡수체 (4) 의 주위에 있어서는, 그 길이 방향 끝 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고, 또 그 양측 가장자리부에서는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 (4) 는,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 크레이프지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포 (被包) 시트에 의해 둘러쌀 수 있다.1 to 3, the incontinence pa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quid-impervious backsheet 2 made of a polyethylene sheet or the like, a liquid-pervious topsheet 3 for rapidly permeating urine or the like, An absorbent body 4 made of a sheet pulp or synthetic pulp interposed between the two sheets 2 and 3 and a hydrophilic body 4 disposed between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the absorbent body 4,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cond sheet 6 and an absorbent core 4 which are formed by projecting substantially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absorbent body 4 to the skin side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ide nonwoven fabrics 7 and 7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olid gathers BS and BS. In the vicinity of the absorber 4, Liquid-impervious backsheet 2 and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re joined together by means of an adhesive such as hot-melt adhesive or heat sealing or the like, The backsheet 2 and the side nonwoven fabric 7 are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or an adhesive such as a heat seal. The absorbent body 4 may be surrounded by a wrapped sheet made of a crepe,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shape and improving diffusibility.

이하, 상기 실금 패드 (1) 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서술하면,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continence pad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되는데, 이 밖에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다음에 부직포 시트 (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불투액성 이면 시트를 구성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습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차수ㆍ투습성 시트재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 축 또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liquid-impervious backsheet 2 is made of at least water-repellent sheet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In addition, the liquid-impervious backsheet 2 is secured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in this case, waterproof A film and a nonwoven fabric constitute a liquid-impermeable backsheet). In recent years, there is a tendency that moisture permeability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wetness. A porous sheet obtained by melt-kneading an inorganic filler in an 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to form a sheet, and then stretching the sheet in a uniaxial or biaxial direction is preferably used as the aeration / moisture-permeable sheet material.

이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에서, 스펀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점에서 우수하고, 서멀 본드법은 벌크하고 소프트한 점에서 우수하다.Next, as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 porous or non-porous nonwoven fabric or porous plastic sheet is preferably used. Examples of the material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clude synthetic fibers such as olefinic, polyester, and polyamide fib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natural fibers such as regenerated fibers such as rayon and cupra, And a nonwoven fabric obtained by a suitable processing method such as a spun lace method, a spun bond method, a thermal bond method, a melt blown method or a needle punch method can be used. Among these processing methods, the spun lace method is excellent in that it is rich in flexibility and drape property, and the thermal bond method is superior in terms of bulk and softness.

상기 흡수체 (4) 는, 예를 들어 플러프상 펄프 등의 흡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 (8) 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예에서는 평면 형상이 패드 길이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대략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8) 는, 예를 들어 입상 가루가 되어, 흡수체 (4) 를 구성하는 펄프 중에 분산 혼입되어 있다.The absorbent body 4 is composed of, for example, absorbent fibers such as fluff-like pulp and a super absorbent polymer 8, 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lanar shape is a longitudinally elongated generally elliptical shape that is long in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erabsorbent polymer 8 becomes, for example, a granular powder and is dispersed and incorporated into the pulp constituting the absorbent article 4. [

상기 펄프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 쪽이 기능 및 가격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실금 패드 (1) 에서는,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 (5) 로 둘러싸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 피포 시트 (5) 가 개재하게 되어, 흡수성이 우수한 상기 피포 시트 (5) 에 의해 체액을 신속하게 확산시킴과 함께, 이들 뇨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펄프의 겉보기 중량은 100 g/㎡ ∼ 600 g/㎡, 바람직하게는 200 g/㎡ ∼ 500 g/㎡ 로 하는 것이 좋다.Examples of the pulp include cellulose fibers such as chemical pulp and soluble pulp obtained from wood, artificial cellulose fibers such as rayon and acetate, and softwood pulp having a longer fiber length than hardwood pulp, . In this incontinence pad 1, since the absorbent body 4 is surrounded by the feces sheet 5, the feces sheet 5 is interposed between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the absorbent body 4, The body fluid can be quickly diffused by the excellent poultice sheet 5 and backflow of urine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The apparent weight of the pulp is preferably 100 g / m2 to 600 g / m2, more preferably 200 g / m2 to 500 g / m2.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8) 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염 가교물, 자기 가교한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에스테르-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가교물의 비누화물, 이소부틸렌ㆍ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가교물, 폴리술폰산염 가교물이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수팽윤성 폴리머를 부분 가교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흡수량, 흡수 속도가 우수한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 성능을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는,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가교 밀도 및 가교 밀도 구배를 조정함으로써 흡수력 (흡수 배율) 과 흡수 속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머의 겉보기 중량은 150 g/㎡ ∼ 500 g/㎡, 바람직하게는 200 g/㎡ ∼ 450 g/㎡ 로 하는 것이 좋다.Examples of the highly water-absorbent polymer (8) include polyacrylate crosslinked products, self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salts, saponified products of crosslinked acrylic acid ester-vinyl acetate copolymers, crosslinked isobutylene / maleic anhydride copolymers, poly Sulfonic acid salt bridges, and partially crosslinked water-swellable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oxide and polyacrylamide. Of these, acrylic acid or acrylic acid salt-based ones having excellent absorption and absorption rates are preferable.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absorption capacity (absorption magnification) and the absorption rat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ross-link density and the cross-link density gradient. The apparent weight of the polymer is preferably 150 g / m2 to 500 g / m2, more preferably 200 g / m2 to 450 g / m2.

또, 상기 흡수체 (4) 에는 합성 섬유를 혼합해도 된다. 상기 합성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2 종을 혼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 융점이 높은 섬유를 심으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초로 한 심초 (core/sheath) 형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는, 체액에 대한 친화성을 갖도록, 소수성 섬유의 경우에는 친수화제에 의해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sorber 4 may be mixed with synthetic fibers. Examples of the synthetic fibers include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amides such as nylon, and copolymers thereof. Or a mixture of these two species. Further, composite fibers such as core / sheath type fibers, side-by-side type fibers and split type fibers having a core having a high melting point and a core having a low melting point can be also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ynthetic fibers ar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with a hydrophilic agent so as to have affinity for body fluids and hydrophobic fibers.

상기 세컨드 시트 (6) 는, 체액에 대해 친수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소재 자체에 친수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거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를 친수화제에 의해 표면 처리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세컨드 시트 (6) 는, 스티프니스를 갖게 하기 위해, 이면측 (흡수체 (4) 측) 에 다공의 필름층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또 펄프를 포함하는 소재를 사용해도 된다.The secondary sheet 6 may be any one having hydrophilicity with respect to body fluids. Concretely, it is possible to use a material having hydrophilicity in itself by using natural fibers such as regenerated fibers such as rayon and cupra, cotton or the like, or by using synthetic resins such as olefins, polyesters, polyamides, etc.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Fibers having hydrophilicity imparted by surface treatment of the fibers with a hydrophilic agent can be used. The secondary sheet 6 may have a porous film layer on the back surface side (on the side of the absorber 4)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pulp so as to have a stiffness.

본 실금 패드 (1) 의 표면측 양 측부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또한 실금 패드 (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사이드 부직포 (7, 7) 가 형성되고, 이 사이드 부직포 (7, 7) 의 외측 부분이 측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가 측방으로 연장되고, 이들 측방으로 연장된 사이드 부직포 (7) 부분과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부분을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측부 플랩이 형성되어 있다.Side nonwoven fabrics 7 and 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incontinence pad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continence pad 1, The liquid impervious backsheet 2 is extended laterally and the portions of the side nonwoven fabric 7 and the liquid impervious backsheet 2 extending to the side portions are joined together by hot melt adhesive or the like, Respectively.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로는, 중요시하는 기능의 면에서 발수 처리 부직포 또는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뇨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촉감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중시한다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라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SSMS 나 SMS, SMMS 등의 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액의 흡수성을 중시한다면, 합성 섬유의 제조 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 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제2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하여 금속의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 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사이드 부직포 (7) 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재생 섬유 등을 소재로 하여,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side nonwoven fabric 7, a water-repellent nonwoven fabric or a hydrophilic-treated nonwoven fabric can be used in terms of important functions. For example, if you are concerned about preventing urine from penetrating or enhancing touch, use water-repellent nonwoven fabrics such as SSMS, SMS, SMMS, etc. coated with silicone, paraffin, alkylchromic chloride water repellent If the absorbency of body fluids is important, a method of polymerizing a compound having a hydrophilic group during the production of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an oxidation product of polyethylene glycol or the like, or a method of treating with a metal salt such as stannic chloride It is preferable to use a hydrophilic-treated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synthetic fibers are made swellable or porous by a method of partially dissolving the surface to make porous and depositing hydroxides of the metal or the like, and applying hydrophilicity by applying capillary phenomenon. As such side nonwoven fabric 7, those formed of natural fibers, synthetic fibers, regenerated fibers or the like and formed by appropriate processing methods can be used.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7) 는 적절히 접혀지고, 상기 흡수체 (4) 의 대략 측가장자리 근방 위치를 기립 기단으로 하여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좌우 1 쌍의 내측 입체 개더 (10, 10) 와, 상대적으로 상기 내측 입체 개더 (10) 보다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및 사이드 부직포 (7) 에 의해 형성된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좌우 1 쌍의 외측 입체 개더 (11, 11) 로 이루어지는 2 겹 개더 구조의 입체 개더 (BS) 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입체 개더 (BS) 는, 내측 입체 개더 (10) 또는 외측 입체 개더 (11) 중 어느 것으로만 이루어지는 1 겹 개더 구조여도 되고, 사이드 부직포 (7) 를 배치 형성할 뿐 피부측으로 기립한 입체 개더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The side nonwoven fabrics 7 and 7 are folded appropriately and include a pair of left and right inner three-dimensional gathers 10 and 10 rising up toward the skin side with a position near the substantially side edge of the absorbent 4 as a standing base, A pair of left and right outer solids standing up toward the skin formed by the liquid-impervious backsheet 2 and the side nonwoven fabric 7, which are located outside the inner three-dimensional gathers 10 and extend laterally from the absorbent body 4, And forms a three-dimensional gauze (BS) having a two-layered gath- er structure composed of gathers (11, 11).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BS may be a one-fold gathers structure composed of only the inner three-dimensional gathers 10 or the outer three-dimensional gathers 11, It may not be formed in a gaseous phase.

상기 내측 입체 개더 (10) 및 외측 입체 개더 (11) 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양 측단을 각각 패드 이면측으로 되접어 꺾어 폭 방향 내측 및 폭 방향 외측에 각각 2 중 시트 부분 (7a, 7b) 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내부에 양단 또는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도시예에서는 1 개의 사상 (絲狀) 탄성 신축 부재 (12) 가 배치 형성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외측의 2 중 시트 부분 (7b) 내부에 양단 또는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가 고정된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도시예에서는 2 개의 사상 탄성 신축 부재 (13, 13) 가 배치 형성되고,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의 기단부가 흡수체 (4) 의 측부에 배치 형성되는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상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됨과 함께, 폭 방향 외측의 2 중 시트 부분 (7b) 의 기단부가 상기 흡수체 (4) 보다 측방으로 연장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의 측단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에 의해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내측 입체 개더 (10) 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폭 방향 외측의 2 중 시트 부분 (7b) 에 의해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외측 입체 개더 (1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부직포 (7) 는, 패드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상 탄성 신축 부재 (12, 13) 가 배치 형성되지 않음과 함께, 상기 폭 방향 내측의 2 중 시트 부분 (7a) 이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흡수체 (4) 측으로 접합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inner three-dimensional gathers 10 and the outer three-dimensional gathers 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 the side nonwoven fabric 7 is folded back (7a, 7b)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in the widthwise inner side of the double sheet portion (7a) One or a plurality of yarn elastic stretchable members 12 are arranged and a suitable position in both ends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inside the double sheet portion 7b on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base end portion of the double sheet portion 7a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arranged and formed on the side of the absorbent body 4, Permeable table Liquid-impervious backsheet 2 which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3 by hot-melt adhesive or the like and in which the proximal end of the double sheet portion 7b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wise direction extends laterally from the absorbent body 4, The inner three-dimensional gathers 10 which rise up toward the skin side are formed by the double sheet portion 7a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hot melt adhesive or the like, And an outer solid gathers 11 that rise toward the skin side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a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nonwoven fabric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d, the yarn-shaped elastic stretchable members 12 and 13 are not arranged, The sheet portion 7a is bonded to the absorbent body 4 side by a hot-melt adhesive or the like.

〔오목홈 (22) 에 대하여〕[Regarding the recessed groove 22]

본 실금 패드 (1) 에서는, 실금 패드 (1) 의 표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체액 유입용의 오목홈 (22)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 (22) 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으로 배출된 체액을 받아들여, 체액을 일시 저류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의 체액의 확산을 유도하고, 또한 흡수체 (4) 로의 체액의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incontinence pad 1, concave grooves 22 for introducing body fluids are form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incontinence pad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cave groove 22 receives the body fluid discharged to the surface of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temporarily stores the body fluid, induces diffusion of the body fluid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nd to prevent the body fluid from leaking sideways at a faster rate of absorption.

상기 오목홈 (22) 은, 미리 흡수체 (4) 에, 체액 배출 부위를 포함하는 피부 맞닿음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오목홈상 또는 슬릿상의 흡수체 오목부 (20) 를 형성해 두고,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필요에 따라 세컨드 시트 (6) 를 적층한 상태에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표면측 (피부 맞닿음면측) 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따라 엠보스부 (21) 를 형성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The concave groove 22 is formed by previously forming the concave groove or slit-like absorber recess 20 in the absorber 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including the body fluid discharge portion, By the embossing from the surface sid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in the state that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if necessary, the secondary sheet 6 are laminated, 20 by forming the embossed portion 21 along the absorber recess 20.

상기 흡수체 (4) 에는, 상기 엠보스부 (21) 의 형성 전에, 미리 압착에 의하지 않고 흡수체 오목부 (2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는,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 (투액성 표면 시트 (3) 측) 의 면에 있어서, 주위보다 비(非)피부 맞닿음면측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측) 이 움푹 들어가게 한, 바닥면을 갖는 비관통형의 오목홈 부분이다. 또,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는, 이와 같은 비관통형의 것 대신에,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비피부 맞닿음면측까지 관통한 슬릿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흡수체 오목부 (20) 는,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섬유 적층, 또는 (B)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부의 두께로 형성된 하층 흡수체 (4a) 와,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상층 흡수체 (4b) 의 적층 구조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Before forming the embossed portion 21, the absorber 4 is formed with an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n advance not by pressing.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bsorber 4 on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side) and on the non-skin contact surface side (the liquid- ) Recessed groove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penetrating from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4 to the non-skin contact surface side, instead of the non-penetration type.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formed by pressing the lower layer absorber 4a (see FIG. 4) formed by the lamination of the fibers (A) or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bsorber recess 20 And an upper layer absorber 4b hav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bsorber recess 20 opened.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에 대해, 체액 배출 부위 (H) 에 대응하는 패드 폭 방향의 중앙부로서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1 조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패드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복수 조 형성하거나, 패드 길이 방향으로 이간하여 불연속선상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도시 생략). 또한, 흡수체 오목부 (20) 를 복수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흡수체 오목부 (20) 에 대해 상기 엠보스부 (21)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formed only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r 4 as a central portion in the pad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fluid discharging portion (H) However, a plurality of trenches may be form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d, or may be formed in a discontinuous line shape (not shown) spaced apart in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 plurality of absorber recesses 20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mbossed portions 21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absorber recesses 20.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평면 치수는, 패드 길이 방향의 길이를 100 ∼ 180 ㎜, 홈 폭 (바닥면의 홈 폭) 을 5 ∼ 3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오목홈상으로 형성한 경우,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깊이는, 흡수체 (4) 의 두께의 50 % 이상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absorber recess 20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d is 100 to 180 mm and the groove width (groov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is 5 to 30 mm. When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the depth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preferably 50%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absorber 4.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부 (불투액성 이면 시트 (2) 측 부분, 비피부측 부분) 에 개재하는 흡수체 (4) 부분은, 펄프의 겉보기 중량을 70 g/㎡ ∼ 210 g/㎡, 바람직하게는 90 g/㎡ ∼ 190 g/㎡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머의 겉보기 중량을 60 g/㎡ ∼ 200 g/㎡, 바람직하게는 80 g/㎡ ∼ 180 g/㎡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rt of the absorbent body 4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the liquid-impervious backsheet 2 side portion and the non-skin side portion)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has an apparent weight of pulp in a range of 70 to 210 g / , Preferably 90 g / m 2 to 190 g / m 2, and the apparent weight of the polymer is preferably 60 g / m 2 to 200 g / m 2, preferably 80 g / m 2 to 180 g / m 2 Do.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홈 (22) 은,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따라 엠보스부 (21) 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2, the concave groove 22 is formed in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by the embossing from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The embossed portion 21 is formed.

상기 엠보스부 (21) 는, 상기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필요에 따라 세컨드 시트 (6) 를 적층한 상태에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세컨드 시트 (6) 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엠보스부 (21) 는, 상기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에 의해 둘러싸는 경우,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로 둘러싼 상태에서 피포 시트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미리 피포 시트만을 압착한 후,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필요에 따라 세컨드 시트 (6) 를 적층하고,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세컨드 시트 (6) 를 압착하는 2 단 압착에 의해 형성해도 되고,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로 둘러싼 상태에서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필요에 따라 세컨드 시트 (6) 를 적층하고, 투액성 표면 시트 (3)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투액성 표면 시트 (3), 세컨드 시트 (6) 및 피포 시트를 일체적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The embossed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absorbent body 4 facing the skin surface of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in a state in which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if necessary, the secondary sheet 6 are laminated on the ski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the secondary sheet (6) by pressing from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When the absorbent body 4 is surrounded by the poultice sheet, the embossed portion 21 is formed by pressing only the poultice sheet from the skin contact face side of the poultice sheet in the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body 4 is surrounded by the poultice sheet,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the secondary sheet 6 are laminated and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the secondary sheet 6 are pressed together by pressing from the skin- Or by laminating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if necessary, the secondary sheet 6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absorbent body 4 with the poultice sheet, the liquid-pervious topsheet 3, The topsheet 3, the secondary sheet 6, and the papermaking sheet may be integrally compressed by pressing from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topsheet 3, the secondary sheet 6, and the papermaking sheet.

상기 엠보스부 (21) 의 평면 치수는, 흡수체 오목부 (20) 의 치수와 거의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엠보스부 (21) 의 폭 치수는, 흡수체 오목부 (20) 의 홈 폭 (저부의 폭 치수) 와의 차이를 0 ∼ -2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엠보스부 (21) 의 직사각형 치수는, 머신에서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흡수체 오목부 (20) 의 직사각형 치수보다 5 ㎜ ∼ 20 ㎜ 정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엠보스부 (21) 의 바닥면에는, 주변의 오목홈 (22) 의 바닥면보다 더욱 깊게 압착한 고압착부를 적절한 패턴으로 형성해도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ar dimension of the embossed portion 21 is mad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mension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Concret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dimension of the embossed portion 21 is set to about 0 to -2 mm in the difference from the groove width (width dimens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bsorber recess 20. On the other hand, the rectangular dimension of the embossed portion 21 is preferably 5 mm to 20 mm shorter than the rectangular dimension of the absorber recess 20 because the deviation in the machine is large. A high-pressure bonding portion, which is pressed more deeply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peripheral concave groove 2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mbossed portion 21 in an appropriate pattern.

상기 오목홈 (22) 을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오목홈 (22) 내에 유입된 체액이 흡수체 (4) 에 침투하여, 흡수체 오목부 (20) 주변의 폴리머나 펄프가 흡수하여 팽창했을 때, 미리 흡수체 (4) 에 흡수체 오목부 (20) 를 형성해 둠으로써, 압착에 의해 폴리머나 펄프가 고밀도가 된 것에 비해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면이 높아지는 것이 매우 작게 억제됨과 함께, 상기 엠보스부 (21) 에 의해 흡수체 오목부 (20) 내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 오목부 (20) 의 측면의 팽창도 작게 억제된다. 따라서, 흡액시에 팽창한 폴리머나 펄프에 의해 흡수체 오목부 (20) 가 막혀서 체액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슬릿상으로 형성한 경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바닥면에는 흡수체가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흡액시에 바닥면의 팽창이 일어나지 않는다.By forming the concave groove 22,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When the body fluid infiltrated into the concave groove 22 penetrates the absorbent body 4 and the polymer or pulp around the absorbent body recess 20 absorbs and expands, the absorbent body recess 20 is formed in advance in the absorbent body 4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is suppressed to be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olymer or pulp is made high in density by the compression bonding and the inside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20 is filled with the embossed portion 21 Since the liquid surface sheet 3 is interposed, the expans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is also suppressed to be sma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sorptive body 10 from being deteriorated in absorbency by clogging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by polymer or pulp expanded during absorp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formed in a slit shape, since the absorber does not interven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the bottom surface does not expand during absorption.

〔실금 패드 (1) 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continence pad (1)]

본서에서는, 실금 패드 (1) 의 제조 방법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상기 오목홈 (22) 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is document, a method of forming the concave groove 22, which is a characterist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incontinence pad 1.

(제 1 공정)(First step)

먼저, 처음으로 제 1 공정에서는,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구비한 흡수체 (4) 를, 상기 서술한 도 4 에 나타내는 섬유 적층 또는 적층 구조에 의해 성형한다.First, in the first step, as shown in Fig. 5 (A), the absorber 4 having the absorber recess 20 is formed by the fiber lamination or lamination structure shown in Fig. 4 described above do.

(제 2 공정)(Second Step)

다음으로, 제 2 공정에서는,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측에 각각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코어 엠보스 (23) 를 실시한다. 이 코어 엠보스 (23) 는,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에 의해 둘러싸는 경우, 피포 시트를 둘러싸기 전의 흡수체 (4) 에 대해 실시해도 되고, 피포 시트에 의해 둘러싼 흡수체 (4) 에 대해, 피포 시트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상기 코어 엠보스 (23) 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코어 엠보스 (23) 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세히 서술한다.Next, in the second step, as shown in Fig. 5 (B), at least the both sides of the absorber recess 20 are pressed with the skin abutt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4, (23). The core embossing 23 may be performed on the absorbent body 4 before the absorbent body 4 is surrounded by the poultice sheet before the poultice sheet is wrapped around the absorbent body 4, Or by pressing the papermaking sheet from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The core embossment 23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e core embossment 23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흡수체 (4) 에 상기 코어 엠보스 (23) 를 실시함으로써,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엠보스 (23) 내부측으로 섬유가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이것에 끌려가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 측벽이 외측으로 기울어져, 흡수체 오목부 (20) 의 개구가 크게 열리게 된다.5 (B), the fibers are pull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re embossment 23, so that they are attracted to the core embossment 23 and the absorbent core recesses 20 Are inclin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opening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largely opened.

(제 3 공정)(Third step)

그 후, 제 3 공정으로서,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엠보스 (23) 가 실시된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투액성 표면 시트 (3) 및 필요에 따라 세컨드 시트 (6) 를 적층하고,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를 따라 엠보스부 (21) 를 형성한다.5C, a liquid-pervious topsheet 3 and, if necessary, a liquid-impervious backsheet 3 on the skin-contact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4 on which the core embossment 23 is applied, as a third step, The sheet 6 is laminated and the embossed portion 21 is formed along the absorber recess 20 in the absorber recess 20.

이 때, 상기 제 2 공정에서 코어 엠보스 (23) 를 실시함으로써 흡수체 오목부 (20) 의 개구가 크게 열려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스부 (21) 를 형성할 때의 엠보스 장치의 선단부가, 흡수체 (4) 의 불필요한 부분을 압착하지 않고, 흡수체 오목부 (20) 의 내부로 제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흡수체 (4) 와 엠보스 장치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져 오목홈 (22) 이 가공하기 쉬워짐과 함께, 불필요한 부분을 압착하지 않고 오목홈 (22) 을 깔끔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opening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largely opened by performing the core embossing 23 in the second step,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mbossing device when the embossing portion 21 is formed is, The unnecessary portion of the absorber 4 can be properly entered into the absorber recess 20 without being squeezed. Therefore, the positioning of the absorber 4 and the embossing device is facilitated, the concave groove 22 is easily processed, and the concave groove 22 can be formed neatly without pressing unnecessary portions.

〔코어 엠보스 (23)〕[Core emboss (23)]

상기 코어 엠보스 (23) 는, 흡수체 오목부 (20) 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오목부 (20) 의 가장자리부로부터의 거리가 10 ㎜ 이상 30 ㎜ 이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25 ㎜ 이내의 범위에서 실시하게 한다. 흡수체 오목부 (20) 로부터의 거리가 10 ㎜ 보다 작은 범위, 즉 도면 중의 사선 범위에 코어 엠보스 (23) 를 실시하면, 이 코어 엠보스 (23) 에 끌려가 흡수체 오목부 (20) 의 측벽의 높이 (흡수체 오목부 (20) 의 깊이) 도 작아져 버리기 때문에, 오목홈 (22) 의 용적이 감소하여 체액의 흡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30 ㎜ 보다 먼 범위에 형성한 경우, 흡수체 오목부 (20) 의 측벽을 외측으로 쓰러뜨리는 효과를 그다지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흡수체 오목부 (20) 의 가장자리부로부터의 거리는, 코어 엠보스 (23)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흡수체 오목부 (20) 의 가장자리부까지의 최단의 직선 거리에서의 길이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re embossment 23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bsorber recess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set within a range of 1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preferably 10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When the core embossment 23 is carried out in a range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absorber recess 20 is smaller than 10 mm, that is, in a hatched range in the drawing, the core embossment 23 is pulled by the core embossment 23,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22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20) of the concave groove 22 is reduced, and thus the volume of the concave groove 22 is reduced and the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body fluid may be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formed in a range farther than 30 mm, the effect of collapsing the sidewall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outwardly can not be expected to be expected. Th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absorber recess 20 is the length at the shortest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core emboss 23 to the edge of the absorber recess 20.

코어 엠보스 (23) 의 평면 형상은, 여러 가지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측에 각각, 흡수체 오목부 (20) 와 패드 폭 방향과 겹치는 범위를 포함하는 패드 길이 방향을 따라 1 조의 연속되는 직선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 오목부 (20) 와 패드 폭 방향과 겹치는 범위를 포함하는 흡수체 오목부 (20) 의 길이와 동등 이상의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오목부 (20) 가 전체 길이에 걸쳐 열리게 된다.The planar shape of the core embossment 23 can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on both sides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a pair of continuous straight line patterns are formed along the pad length direction including the absorber recess 20 and a range overlapping the pad width direction .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opened over the entire length by forming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n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ncluding the range overlapping the pad width direction.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직선 패턴이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중간까지로 되어 있지만,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흡수체 (4)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중앙부에서부터 코어 엠보스 (23) 측으로의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straight line pattern extends to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r 4, but it can also b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absorber 4 as shown in Fig. 7 (A).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diffusibility of body fluids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core embossment 23 sid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absorbent body 4. [

또, 도 1 에서는 코어 엠보스 (23) 를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측에 각각 1 조씩 형성하고 있지만,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폭 방향으로 이간하여 복수 조씩 형성해도 된다. 도시예에서는 3 조씩 형성되어 있다. 복수 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해도 되고, 도시예와 같이 내측의 코어 엠보스 (23) 가 전후 모두 서서히 짧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단, 적어도 1 조의 코어 엠보스 (23) 가 흡수체 오목부 (20) 의 전체 길이에 걸쳐 패드 폭 방향과 겹치는 길이를 갖도록 한다. 코어 엠보스 (23) 를 복수 조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오목부 (20) 가 보다 확실하게 열리게 됨과 함께, 압밀화 영역이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체액의 확산성이 한층 더 향상되게 된다. 복수 조 형성하는 경우의 압착 순서는, 복수 조의 코어 엠보스 (23, 23 …) 를 동시에 압착해도 되지만,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 측벽을 외측으로 끌어당기는 효과를 발휘하기 쉽게 하기 위해, 외측에 위치하는 코어 엠보스 (23) 에서부터 순서대로 내측을 향하여 1 조씩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1, a pair of core embossments 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bsorber recess 20. However, as shown in Fig. 7 (B), a plurality of pairs of the core embossings 23 may be form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ad width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ree sets are formed. In the case of forming them in a plurality of sets, they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o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core embossment 23 is gradually shortened both before and after, as shown in the drawing. However, at least one set of core embossments 23 has a length overlapping the pad width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absorber recess 20. By forming a plurality of core embossings 23,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more reliably opened and the compaction area is formed over a wider range, so that the body fluid diffusibility is further improv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effect of pulling both side walls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out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ide (outer side) of the core embosses 23, 23, One set may be formed in the order from the core embossment 23 located at the inner side toward the inner side.

또한, 상기 코어 엠보스 (23) 는,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길이 방향으로 압착부와 비압착부가 교대로 복수 배치된 불연속선상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패턴에서는, 압착에 의한 흡수체 오목부 (20) 의 열림이나 체액 확산이라고 하는 효과가 다소 저하되기는 하지만, 코어 엠보스 (23) 를 형성함에 따른 흡수체의 고강성화가 억제되게 된다.7 (C), the core embossing 23 may be formed in a discontinuous line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ed portions and non-crimped portions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pattern, although the effect of opening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by compressing and the effect of body fluid diffusion is somewhat reduced, the strength of the absorbent cor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ore embossment 23 is suppressed.

또, 상기 코어 엠보스 (23) 는, 도 7(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상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예에서는, 내측을 향하여 팽출되는 원호상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패드 폭 방향 단부까지 연속되는 영역을 전체면에 걸쳐 압착하고 있지만, 패드 길이 방향을 거의 따르는 하나 또는 복수 조의 곡선상 패턴으로 형성해도 된다.The core embossment 23 may be formed in a curved pattern as shown in Fig. 7 (D). In the illustrated example, it is formed in an arc pattern that bulges toward the insid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gions continuous to the end portions in the pad width direction are pressed over the entire surface, but they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of sets of curved patterns substantially along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코어 엠보스 (23) 는, 도 7(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폭 방향 단부까지 연속되는 영역을 전체면에 걸쳐 압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코어 엠보스 (23) 의 효과가 보다 명확하게 발휘되게 됨과 함께, 흡수체 (4) 의 양 측부가 박육화되기 때문에, 장착감이 향상되게 된다.7 (D), the core embossing 23 may be squeezed over the entire surface in a region continuous to the end portion in the pad width direction.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core embossing 23 can be more clearly demonstrated, and both sides of the absorber 4 can be thinned, resulting in improved wearing feeling.

상기 코어 엠보스 (23) 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밖에 소정의 영역에 대해 복수의 도트를 부여한 도트상 패턴이나, 복수의 패드 길이 방향 선과 패드 폭 방향선을 교차시킨 격자상 패턴 등 여러 가지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the core embossed pattern 23 may include a dot-like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dots are given to a predetermined area, a lattice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pad longitudinal direction lines intersect with a pad width direction line, Pattern can be formed.

상기 코어 엠보스 (23) 는,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측뿐만 아니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오목부 (20) 의 전측 및 후측에도 실시할 수 있다. 이 흡수체 오목부 (20) 의 전후부의 코어 엠보스 (23) 는, 머신 흐름 방향을 패드 길이 방향에 맞춘 세로 흐름의 경우, 패드 길이 방향에 대해 머신 이송의 편차가 커지기 때문에, 엠보스의 가공 정밀도 향상의 관점에서는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흡수체 오목부 (20) 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산성이 향상되고, 흡수체 전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펄프량이나 폴리머량으로 많은 체액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는, 이 부분에도 코어 엠보스 (23)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embossment 23 can be applied not only to both sides of the absorber recess 20 but also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bsorber recess 20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longitudinal flow in which the machine flow direction is aligned with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re embossment 23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absorber recess 20 has a large machine devi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it necessarily from the viewpoint of improvement. However, the diffusi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is improved and the entire absorbent body can be efficiently used, so that much body fluid can be absorbed with a smaller amount of pulp or polym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re embossment 23 in this portion as well.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전후부에 형성하는 코어 엠보스 (23) 의 평면 형상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전후 끝 가장자리가 각각 패드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하여 팽출되는 원호에 의해 구획된 영역을 전체면에 걸쳐 압착한 패턴, (B) 대략 패드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패드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하여 팽출되는 하나 또는 복수 조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C) 패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압착부를 지그재그상 또는 격자상으로 배치한 패턴, (D) 패드 폭 방향을 따름과 함께, 패드 길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하여 팽출되는 2 조의 원호선을 패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함과 함께, 상기 2 조의 원호선에 걸치도록 패드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을 패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한 패턴 등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planar shape of the core embossing 23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is a circular arc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of the core embossment 23 are bulged outwardly in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B) a pattern consisting of one or a plurality of curved lines extending along the pad width direction and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C) a pattern formed by pressing the pad length (D)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crimping portions are arranged in a zigzag or lattice pattern with intervals in the direction of the width and the width direction, (D) And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extending in the pad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pad width direction so as to extend over the two sets of the circular lines .

상기 흡수체 오목부 (20) 의 전후부에 형성하는 코어 엠보스 (23) 는, 흡수체 오목부 (20) 의 양 측부에 형성하는 코어 엠보스 (23) 와 연속되도록 배치해도 되고 (도 8(D) 참조.), 이간되도록 배치해도 된다.The core embossing 23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may be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core embossing 23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20 )), Or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도 7(B), 도 7(D)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 엠보스 (23) 가 흡수체 오목부 (20) 측에서부터 외방측을 향하여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압착압을 모든 영역에서 일정하게 해도 되고, 외방측에 위치하는 코어 엠보스 (23) 의 압착압 쪽이, 내방측에 위치하는 코어 엠보스 (23) 의 압착압보다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서서히 높아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외방측을 향하여 압착압이 서서히 높아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외방측을 향하여 흡수체 (4) 의 밀도가 서서히 높아지는 섬유의 밀도 구배가 형성되게 되어, 체액의 확산성이 더욱 커져, 펄프나 폴리머의 양을 늘리지 않아도 흡수체 (4) 의 체액 보유 용량을 최대한으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7 (B), 7 (D) and 8, when the core embossment 23 i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from the side of the absorber concave portion 20 toward the outer side, Or the compression pressure of the core embossing 23 located on the outer side may be set to be gradually higher or lower than the compression pressure of the core embossing 23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a continuous or stepwise manner do. The density of the fibers gradually increasing in density toward the outer side is formed so that the diffusibility of the body fluids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amount of the pulp or polymer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tilize the body fluid storage capacity of the absorber 4 as much as possible and improve the absorption performance.

1 : 실금 패드, 2 :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 투액성 표면 시트, 4 : 흡수체, 6 : 세컨드 시트, 7 : 사이드 부직포, 8 : 고흡수성 폴리머, 10 : 내측 입체 개더, 11 : 외측 입체 개더, 12ㆍ13 : 사상 탄성 신축 부재, 20 : 흡수체 오목부, 21 : 엠보스부, 22 : 오목홈, 23 : 코어 엠보스1: incontinence pad, 2: impervious back sheet, 3: liquid-pervious topsheet, 4: absorber, 6: secondary sheet, 7: side nonwoven fabric, 8: superabsorbent polymer, 10: , 12 揃 13: Elastomeric elastic stretching member, 20: Absorber recess, 21: Embossed portion, 22: Concave groove, 23: Core emboss

Claims (5)

투액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체액 배출 부위를 포함하는 피부 맞닿음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에 의하지 않고 오목홈상 또는 슬릿상의 흡수체 오목부가 형성된 흡수체가 개재됨과 함께,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의 엠보스에 의해,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따라 엠보스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흡수체 오목부를 구비한 상기 흡수체를 성형하는 제 1 공정과, 적어도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의해 코어 엠보스를 실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흡수체의 표면측에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적층하여 상기 엠보스부를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An absorbent body in which concave grooves or slit-shaped absorbent body recesses are formed is pressed between the liquid-pervious topsheet and the backsheet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including the body fluid discharge portion, Wherein an embossed portion is formed along the concave portion of the absorbent body in the inside of the absorbent body concave portion by embossing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 first step of forming the absorber having the absorber recessed portion, a second step of performing core embossing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absorber recess by pressing from the skin abutment side of the absorber, And a third step of forming the embossed portion by laminating the liquid-pervious top sheet on th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엠보스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의 거리가 10 ㎜ 이상 30 ㎜ 이내의 범위에서 실시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e embossing is performed in a range of 1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from the edge of the absorbent core rec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엠보스의 평면 형상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나 또는 복수 조의 연속선이나 불연속선, 도트상 또는 격자상의 패턴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core emboss is a pattern of one or a plurality of sets of continuous lines, discontinuous lines, dots or latti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엠보스는, 상기 흡수체 오목부의 전측 및 후측에도 실시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re embossing is carried out also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absorbent core concav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엠보스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흡수체 오목부측에서부터 외방측을 향하여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외방측의 압착압 쪽이 서서히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re emboss is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rom the absorbent core concave portion side toward the outer side and is set such that the compression pressure on the outer side is gradually increased.
KR1020167016567A 2013-12-26 2014-12-26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KR1022897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8306 2013-12-26
JP2013268306A JP6033765B2 (en) 2013-12-26 2013-12-26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PCT/JP2014/084507 WO2015099121A1 (en) 2013-12-26 2014-12-26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423A true KR20160102423A (en) 2016-08-30
KR102289775B1 KR102289775B1 (en) 2021-08-12

Family

ID=5347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567A KR102289775B1 (en) 2013-12-26 2014-12-26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96044B2 (en)
EP (1) EP3087961B1 (en)
JP (1) JP6033765B2 (en)
KR (1) KR102289775B1 (en)
CN (1) CN105828760B (en)
TR (1) TR201910477T4 (en)
WO (1) WO201509912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3961B2 (en) * 2013-06-28 2016-08-03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WO2015127289A1 (en) * 2014-02-21 2015-08-27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uid control features
JP6138872B2 (en) * 2015-07-31 2017-05-31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198076B2 (en) 2015-09-25 2017-09-20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242423B2 (en) * 2016-03-29 2017-12-06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338725B2 (en) * 2016-06-10 2018-06-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346262B1 (en) * 2016-12-28 2018-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507193B2 (en) * 2017-03-30 2019-04-24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CN109893345B (en) 2017-12-11 2022-04-12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T520852A1 (en) * 2018-01-29 2019-08-15 Lehner Andrea sanitary pad
JP6605064B2 (en) * 2018-03-23 2019-11-13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KR102370317B1 (en) * 2020-01-07 2022-03-04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Sanitary Pads with leakproof structure
CN217186765U (en) * 2021-01-26 2022-08-16 王子控股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bsorbent article
WO2023247023A1 (en) * 2022-06-22 2023-12-28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embossed shaping elem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655A (en) 2003-09-19 2005-04-07 Daio Paper Corp Incontinence pad for women
JP2006095156A (en) * 2004-09-30 2006-04-13 Uni Charm Corp Absorbing pad
JP2009112590A (en) 2007-11-07 2009-05-28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4652626B2 (en) 2001-07-16 2011-03-16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075009A (en) * 2011-09-30 2013-04-25 Daio Paper Corp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5599B2 (en) * 1974-04-01 1979-11-02
JPS5648249Y2 (en) * 1977-08-16 1981-11-11
JPS5435599A (en) * 1977-08-24 1979-03-15 Toshiba Corp Neutron detector
US6692603B1 (en) * 1999-10-14 2004-02-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molded cellulosic web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US7037406B2 (en) 1999-11-12 2006-05-02 Fort James Corporation Cross-machine direction embossing of absorbent paper products having an undulatory structure including ridges extending in the machine direction
JP3890313B2 (en) * 2003-03-31 2007-03-07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693574B2 (en) * 2005-09-29 2011-06-01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972335B2 (en) * 2006-02-09 2012-07-11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JP4801035B2 (en) * 2007-11-30 2011-10-26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97147B2 (en) 2008-05-15 2013-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2626B2 (en) 2001-07-16 2011-03-16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087655A (en) 2003-09-19 2005-04-07 Daio Paper Corp Incontinence pad for women
JP2006095156A (en) * 2004-09-30 2006-04-13 Uni Charm Corp Absorbing pad
JP2009112590A (en) 2007-11-07 2009-05-28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2013075009A (en) * 2011-09-30 2013-04-25 Daio Paper Corp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28760B (en) 2017-12-08
JP6033765B2 (en) 2016-11-30
US10596044B2 (en) 2020-03-24
EP3087961A1 (en) 2016-11-02
EP3087961A4 (en) 2016-12-07
JP2015123163A (en) 2015-07-06
TR201910477T4 (en) 2019-08-21
EP3087961B1 (en) 2019-06-19
US20170027765A1 (en) 2017-02-02
KR102289775B1 (en) 2021-08-12
WO2015099121A1 (en) 2015-07-02
CN105828760A (en)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423A (en)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KR102353425B1 (en) Absorbent article
KR101782763B1 (en) Absorbing article
CN107405238B (en) Absorbent article
JP4035341B2 (en) Sanitary napkin
KR101782772B1 (en) Absorbent article
JP6366565B2 (en) Absorbent articles
KR101728656B1 (en) Absorbent product
JP6360540B2 (en) Absorbent articles
KR101881269B1 (en) Absorbent article
KR20160081907A (en) Absorbent article
JP2015047432A5 (en)
JP6047606B2 (en) Absorbent articles
JP2017104263A5 (en)
JP6581337B2 (en) Absorbent articles
JP6371814B2 (en) Absorbent articles
JP6484416B2 (en) Absorbent articles
JP2015100547A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20481B1 (en) Absorbent product
JP6441621B2 (en) Absorbent articles
JP6484417B2 (en) Absorbent articles
JP6254030B2 (en) Absorbent articles
JP6033612B2 (en) Absorber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2018149046A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