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488A - 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ctor - Google Patents

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488A
KR20070098488A KR1020070018144A KR20070018144A KR20070098488A KR 20070098488 A KR20070098488 A KR 20070098488A KR 1020070018144 A KR1020070018144 A KR 1020070018144A KR 20070018144 A KR20070018144 A KR 20070018144A KR 20070098488 A KR20070098488 A KR 2007009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shaft
clutch
transmission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14522B1 (en
Inventor
아끼후미 니시노
겐조 우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7009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6Auxiliary drives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ake-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A PTO(power takeoff) transmission structure for a tractor is provided to facilitate power transmission in a selected PTO mode by simplifying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A 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a tractor comprises a rear PTO shaft(12)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and a middle PTO shaft(1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A PTO mode selection unit(66) is disposed on a PTO transmission shaft of the tractor to selectively output power to the rear mode PTO shaft or the middle PTO shaft. A one-way clutch(46) and a PTO clutch(47) ar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TO mode selection unit. The one-way clutch, the PTO clutch and the PTO mode selection unit are concentrically arranged.

Description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CTOR}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CTOR

도1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1 is a full side view of a tractor;

도2는 전륜 전동 구조의 종단 측면도.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front wheel transmission structure;

도3은 전동 구조 전체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3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transmission structure;

도4는 전동 구조 전체의 기어 트레인을 도시하는 개략도.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gear train of the entire transmission structure.

도5는 표준 사륜 구동 모드에 있는 전륜 변속 기구의 종단 측면도. 5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front wheel shift mechanism in the standard four-wheel drive mode;

도6은 전륜 증속 구동 모드에 있는 전륜 변속 기구의 종단 측면도. 6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front wheel shift mechanism in the front wheel speed drive mode;

도7은 유압 회로도. 7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도8은 PTO 전동 구조의 종단 측면도. 8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a PTO transmission structure;

도9는 PTO 전동 구조의 종단 측면도. 9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도10은 PTO 전동 구조의 종단 측면도. 10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도11은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도12는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도13은 다른 실시예의 전동 구조 전체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Fig. 13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transmission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도14는 다른 실시예의 전동 구조 전체의 기어 트레인을 도시하는 개략도.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gear train of the entire transmission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 리어 PTO축12: rear PTO shaft

13 : 미드 PTO축13: mid PTO shaft

45 : 전동축45: electric shaft

46 : 일방향 클러치46: one-way clutch

47 : PTO 클러치47: PTO Clutch

66 : PTO 모드 선택 기구66: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3mw : 베어링 벽3mw: Bearing Wall

e : 유로e: euro

f : 내부 유로f: internal flow path

V4 : 조작 밸브V4: Operation Valve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162551호 공보[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162551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7-277017호 공보[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277017

본 발명은 리어 PTO축과 미드 PTO축을 구비한 트랙터의 PTO 전동(傳動)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TO transmission structure of a tractor having a rear PTO shaft and a mid PTO shaft.

PTO 전동 구조에 있어서는, 주 클러치가 오프되었을 때에, 리어 PTO축 혹은 미드 PTO축으로 구동되는 작업 장치의 관성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주행 전동계에 전달되어 기체(機體)가 움직이는 것을 회피하기 때문에, PTO 전동계에, 일방향 클 러치를 개재하는 일이 많다. In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when the main clutch is turned off, the driving force due to the inertia rotation of the work device driven by the rear PTO shaft or the mid PTO shaft is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transmission system, thereby avoiding the movement of the body. In many cases, the electric system interposes one-way clutches.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162551호 공보(도5)에는, 일방향 클러치를 거친 PTO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PTO 모드 선택 수단을 통해 리어 PTO축, 혹은 미드 PTO축, 혹은 양자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PTO 전동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277017호 공보에서는, 리어 PTO축의 전동계와 미드 PTO축으로의 전동계에 각각 일방향 클러치를 개재한 PTO 전동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162551 (FIG. 5) transmits power for driving a PTO via a one-way clutch to the rear PTO shaft, the mid PTO shaft, or both through the PTO mode selection means. A PTO transmiss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disclosed is disclos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277017 discloses a PTO transmission structure in which a transmission system of a rear PTO shaft and a transmission system to a mid PTO shaft are respectively interposed through a one-way clutch.

상기한 종래 구조에서는, 일방향 클러치의 도입에 의해, 리어 PTO축 혹은 미드 PTO축으로 구동되는 작업 장치의 관성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주행 전동계에 전달되어 기체가 움직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리어 PTO축만의 구동, 미드 PTO축만의 구동 및 양 PTO축의 구동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한 임의의 PTO 모드에 있어서 동력을 전달/차단하는 구조에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ructure, by introducing the one-way clutch, the driving force due to the inertia rotation of the work device driven by the rear PTO shaft or the mid PTO shaft is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electric system, and the movement of the gas can be avoided. It is also possible to arbitrarily select the driving of the rear PTO shaft only, the driving of the mid PTO shaft only, and the driving of both PTO shafts. Howeve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structure of transmitting / blocking power in any PTO mode selected.

일본 특허 공개 평5-162551호 공보에 개시되는 PTO 전동 구조에 있어서는, PTO 모드 선택 수단에 있어서의 시프트 슬리브의 조작 영역에 중립 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PTO 모드 선택 수단이 PTO 모드의 선택과 PTO 클러치의 양방의 기능을 갖는다. PTO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 후, 다시 동력 전달을 행하는 경우, 그때마다 모드 선택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거로운 것이 된다. 시프트 슬리브를 중립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선택하고 있지 않은 PTO 모드의 선택 위치를 통과하는 일도 있고, 순간이기는 하지만 중지하고 있었던 PTO축을 구동해 버리는 일도 있다. In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162551, a neutral position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region of the shift sleeve in the PTO mode selection means, and the PTO mode selection means includes the selection of the PTO mode and the PTO clutch. It has both functions. When power transmission is again performed after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PTO shaft is interrupt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mode selection operation every time, and operation becomes cumbersome. In the middle of moving a shift sleeve to a neutral position, it may pass the selection position of the PTO mode which is not selected, and may drive the PTO shaft which was stopped although it is momentary.

일본 특허 공개 평7-277017호에 개시되는 PTO 전동 구조에 있어서는, 리어 PTO축의 전동계와 미드 PTO축의 전동계의 각각에 구비되는 시프트 기어의 조작으로 전동 전달의 단속(斷續)을 행하고, 2개의 시프트 기어의 조작 패턴으로 PTO 모드의 선택과 전동 전달의 단속을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리어 PTO축과 미드 PTO축의 양자를 구동하는 PTO 모드에서는, 구동 정지를 행하기 위해서는 2개의 시프트 기어를 조작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거로워진다. In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277017, the electric transmission is interrupted by the operation of the shift gear provided in each of the electric system of the rear PTO shaft and the electric system of the mid PTO shaft.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two shift gears selects the PTO mode and interrupts transmission transmission. Therefore, in the PTO mode which drives both the rear PTO shaft and the mid PTO shaft,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wo shift gears in order to stop driving, and operation becomes cumbersom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리어 PTO축 및 미드 PTO축 중 어느 한쪽에 작업 장치가 장착되어도, 작업 장치의 관성 회전력이 주행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택된 PTO 모드에서의 동력 단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PTO 전동 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even if the work device is mounted on either the rear PTO shaft or the mid PTO shaft, the inertial rotational force of the work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system, and the power interruption in the selected PTO mode is prevente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structure of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performed.

제1 발명에 관한 트랙터의 전동 구조는, 주 클러치를 통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주행계 전동축과 PTO계 전동축을 구비하는 트랙터에 있어서, 기체의 후방부에 리어 PTO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기체 하부에 미드 PTO축을 구비한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가며, The tractor's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ctor having a traveling system transmission shaft and a PTO transmission shaft that receive power from the engine via a main clutch, and having a rear PTO shaft at the rear of the body, PTO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with the mid PTO shaft,

상기 PTO계 전동축에, 상기 리어 PTO축과 미드 PTO축으로의 출력 형태를 절환하여 선택하는 PTO 모드 선택 기구를 배치하는 동시에, 이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전동 상방측에 일방향 클러치와 PTO 클러치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PTO transmission shaft, a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for switching and selecting the output form to the rear PTO shaft and the mid PTO shaft is arranged, and a one-way clutch and a PTO clutch are arranged on the motorized upper side of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Of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모드 선택 기구에 의해 어떠한 PTO 모드가 선택되 어 있어도, 연결한 작업 장치의 관성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주행계에 역전달되는 것이 일방향 클러치에서 차단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if any PTO mode is selected by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the one-way clutch stops the revers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by the inertia rotation of the connected work device to the traveling system.

PTO 모드 선택 기구에 의해 어떠한 PTO 모드가 선택되어 있어도, PTO 클러치에 의해 그 PTO 모드를 유지한 상태로 동력의 차단이나 전달을 행할 수 있다. Even if any PTO mode is selected by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power can be interrupted or transmitted by the PTO clutch while maintaining the PTO mode.

따라서, 제1 발명에 따르면, 리어 PTO축 및 미드 PTO축 중 어느 한쪽에 작업 장치가 장착되어도, 작업 장치의 관성 회전력이 주행계에 역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선택된 PTO 모드에서의 동력 단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even if the work device is mounted on either the rear PTO shaft or the mid PTO shaft, the inertial rotational force of the work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versely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system, and the power in the selected PTO mode can be prevented. Interruption can be performed easily.

제2 발명에 관한 트랙터의 전동 구조에서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를 PTO 클러치의 전동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In th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which concerns on 2nd invention, the said one-way clutch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PTO clutch.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클러치를 오프함으로써, 그 이후의 PTO 전동계의 관성 회전이 일방향 클러치에 전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일방향 클러치를 소형의 것으로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turning off the PTO clutch, it is possible to prevent transmission of the inertia rotation of the PTO transmission system thereafter to the one-way clutch, and make the one-way clutch small.

제3 발명에 관한 트랙터의 전동 구조에서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 PTO 클러치 및 PTO 모드 선택 기구를 동일 축심 상에 연속하여 배치하고 있다. In th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which concerns on 3rd invention, the said one-way clutch, the PTO clutch, and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are arrange | positioned continuously on the same shaft center.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일방향 클러치, PTO 클러치 및 PTO 모드 선택 기구에 있어서의 각 전동 부재를 서로 공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 클러치가 PTO 클러치의 전동 상방에 있는 경우, 일방향 클러치의 종동측 전동 부재를 PTO 클러치의 구동측 전동 부재로 함으로써, 일방향 클러치와 PTO 클러치를 축심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TO 클러치와 PTO 모드 선택 기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고, PTO 클러치의 종동측 전동 부재를 PTO 모드 선택 기구의 구동 측 전동 부재로 함으로써, PTO 클러치와 PTO 모드 선택 기구를 축심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each transmission member in a one-way clutch, a PTO clutch, and a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can be shared. For example, when the one-way clutch is located above the PTO clutch, the driven side transmission member of the one-way clutch can be used as the drive side transmission member of the PTO clutch, so that the one-way clutch and the PTO clutch can be compactly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do. The same applies to the PTO clutch and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By making the driven side transmission member of the PTO clutch the driving side transmission member of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the PTO clutch and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can be arranged compactly in the axial direction. do.

제4 발명에 관한 트랙터의 전동 구조에서는, 상기 PTO 클러치의 전동 하방측에 PTO 브레이크를 배치하고, 상기 PTO 클러치의 클러치 부재의 클러치 오프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PTO 브레이크가 제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which concerns on 4th invention, a PTO brake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transmission lower side of the said PTO clutch,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aid PTO brake may be braked in conjunction with the clutch off operation of the clutch member of the said PTO clutch.

이러한 구조에 의해, PTO축으로의 구동의 필요가 없어져 PTO 클러치를 오프하면, PTO 브레이크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작업 장치를 자동적으로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With this structure, the drive to the PTO shaft is eliminated, and when the PTO clutch is turned off, the PTO brake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reliably stop the work device automatically.

제5 발명에 관한 트랙터의 전동 구조는, 상기 PTO 클러치 및 PTO 모드 선택 기구를 공통의 전동축에 장착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Th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which concerns on 5th invention attaches and supports the said PTO clutch and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to a common transmission shaft.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클러치 및 PTO 모드 선택 기구를 공통의 전동축에 예비 조립 부착할 수 있어, 전동 구조 전체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하는 데 있어서 유효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a PTO clutch and a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can be pre-assembled and attached to a common transmission shaft, and it become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whole transmission structure.

제6 발명에 관한 트랙터의 전동 구조는, 상기 PTO 클러치를 유압 조작식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그 클러치 조작용의 유로(油路)를 상기 전동축의 내부에 형성하고, 이 유로와 케이스 외측에 배치한 조작 밸브를, 상기 전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벽의 내부 유로를 통해 연통 접속하고 있는 것이다. In the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TO clutch is hydraulically operated, and a flow path for clutch operation is formed inside the transmission shaft, and the flow path is disposed outside the flow path and the case. One operation valve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via an internal flow path of a bearing wall supporting the electric shaft.

상기 구성에 따르면, PTO 클러치를 온(on)/오프(off) 조작하는 조작이, 조작 밸브를 조작하는 것만의 가벼운 것으로 되어, 빈번한 PTO 클러치 조작이라도 피로하지 않고 신속 경쾌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turning on / off the PTO clutch is light only by operating the operation valve, and even frequent PTO clut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lightly without fatigue.

도1에, 작업기의 일례로서 사륜 구동형의 농업용 트랙터의 전체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농업용 트랙터는, 엔진(1)의 후방부에 연결된 클러치 하우징(2)과, 미션 케이스(3)가 판금제의 하우징 프레임(4)을 통해 연결되어 기체 보디가 구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엔진(1)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프레임(5)에 조향용의 전륜(6)을 구비한 전방차 축 케이스(7)가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미션 케이스(3)의 후방부에 후륜(8)이 장착되어 있다. 1, the whole side surface of the four-wheel drive type agricultural tractor is shown as an example of a work machine. This agricultural tra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gas body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lutch housing 2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engine 1 and the mission case 3 via the housing frame 4 made of sheet metal. The front vehicle shaft case 7 with the front wheels 6 for steering is rollably supported by the front frame 5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engine 1, and at the same time, the rear part of the mission case 3 is supported. The rear wheel 8 is attached.

미션 케이스(3)는 전방부 케이스(3f), 미드 케이스(3m) 및 차동 케이스(differential case)(3d)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차동 케이스(3d)의 좌우에 감속 케이스(3e)를 후륜(8)이 통해 축 지지되어 있다. 차동 케이스(3d)의 상부에는, 리프트 아암(9)을 구비한 실린더 케이스(10)가 연결되고, 유압 구동되는 리프트 아암(9)에 의해 작업 장치 연결용의 3점 링크 기구(11)가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차동 케이스(3d)의 후방면으로부터 리어 PTO축(12)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미드 케이스(3m)의 하부에 미드 PTO축(13)이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다. The mission case 3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front case 3f, the mid case 3m, and the differential case 3d, and the rear case of the reduction case 3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fferential case 3d. (8) is axially supported through this. The cylinder case 10 provided with the lift arm 9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ifferential case 3d, and the three-point link mechanism 11 for connecting a work device is lifted by the lift arm 9 which is hydraulically driven. It is supposed to be. The rear PTO shaft 12 protrudes back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fferential case 3d, and the mid PTO shaft 13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id case 3m.

도2 내지 도4에 전동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하우징(2)의 상부에는 단판건식(單板乾式)의 주 클러치(14)가 장비되는 동시에, 전방부 케이스(3f)의 내부에는 주 기어 변속부(15)와 전후진 절환부(16)가 조립되고, 미드 케이스(3m)의 내부에 부 기어 변속부(17)가 조립되어 있다. The transmission structure is shown in Figures 2-4. The upper clutch unit 2 is equipped with a single plate dry main clutch 14, and inside the front case 3f, the main gear transmission 15 and the forward and rearward switching unit 16 are provided. ) Is assembled, and the sub gear shifting section 17 is assembled inside the mid case 3m.

주 기어 변속부(15)는 입력축(18)에 입력된 엔진 동력을 3단으로 변속하여 중간축(19)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전후진 절환부(16)는 중간축(19)의 변 속 동력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여 출력축(2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방부 케이스(3f) 내에서 전진 3단, 후진 3단의 주 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main gear transmission 15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engine power input to the input shaft 18 in three stages and transmit the engine power to the intermediate shaft 19, while the forward and reverse switching section 16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ntermediate shaft 19. It is comprised so that speed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shaft 20 by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and the main gear of 3 steps of forward and 3 steps of reverse may be performed in the front case 3f.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 기어 변속부(15)의 입력축(18)에는 소직경 아이들링 기어(G1)와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가 장착되고, 소직경 및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1, G2) 사이에 중간 직경의 시프트 기어(G3)가 스플라인 장착되어 있다. 중간축(19)에는, 상기 소직경 아이들링 기어(G1) 및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에 각각 상시 맞물림하는 대직경 기어(G4)와 소직경 기어(G5) 및 상기 시프트 기어(G3)에 맞물림 가능한 중간 직경 기어(G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기어(G3)를 전방 위치로 시프트하여 소직경 아이들링 기어(G1)의 보스부에 스플라인 맞물림시킴으로써, 소직경 아이들링 기어(G1)와 대직경 기어(G4)를 통해 중간축(19)에 저속(제1속)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시프트 기어(G3)를 전후 중간 위치로 시프트하여 중간 직경 기어(G6)에 직접 맞물림시킴으로써, 중간축(19)에 중속(제2속)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시프트 기어(G3)를 후방 위치로 시프트하여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의 보스부에 스플라인 맞물림시킴으로써,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와 소직경 기어(G5)를 통해 중간축(19)에 고속(제3속)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detail, the small diameter idling gear G1 and the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 are attached to the input shaft 18 of the main gear transmission 15, and between the small diameter and large diameter idling gears G1 and G2. The intermediate gear shift gear G3 is spline-mounted. The intermediate shaft 19 is engaged with the large diameter gear G4 and the small diameter gear G5 and the shift gear G3 which are always engaged with the small diameter idling gear G1 and the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 respectively. Possible medium diameter gear G6 is fixedly installed. By shifting the shift gear G3 to the front position and spline-engaging the boss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idling gear G1, the low speed idling gear G1 and the large diameter gear G4 have a low speed (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haft), and the shift gear G3 is shifted to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positions and directly engaged with the middle diameter gear G6, thereby providing power to the intermediate shaft 19 at medium speed (second speed). The transmission is made, and by shifting the shift gear G3 to the rear position and spline-engaging the boss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 the intermediate shaft (through the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 and the small diameter gear G5) 19), the power is transmitted at a high speed (third speed).

출력축(20)에는, 중간축(19)의 기어(G7)에 상시 맞물림하는 정회전 전달용 아이들링 기어(G8)와, 중간축(19)의 기어(G9)에 역회전 기어(G10)를 통해 상시 맞물림 연동된 역회전 전달용 아이들링 기어(G11)가 구비되어 있고, 출력축(20)에 스 플라인 끼워 맞춤된 시프트 슬리브(S)를 시프트하여 정회전 전달용 아이들링 기어(G8)의 보스부, 혹은 역회전 전달용 아이들링 기어(G11)의 보스부에 선택 맞물림시킴으로써, 중간축(19)의 변속 동력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여 출력축(2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output shaft 20 is provided with an idling gear G8 for forward rotation that is always engaged with the gear G7 of the intermediate shaft 19, and a reverse gear G10 to the gear G9 of the intermediate shaft 19. The boss part of the forward rotation transmission idling gear G8 which is provided with the idling gear G11 for reverse rotation transmission interlocking | engaged with always being engaged, and shifting the shift sleeve S fitted to the output shaft 20, Alternatively, by selectively engaging the boss portion of the idling gear G11 for reverse rotation transmission, the shifting power of the intermediate shaft 19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ly and transmitted to the output shaft 20.

부 기어 변속부(17)는, 상기 출력축(20)에 맞대어 연결된 전동축(21)과, 이것에 평행하게 배치된 최종 출력축(22) 사이에서 3단의 변속을 행하고, 최종 출력축(22)의 후단부에 구비한 베벨 피니언 기어(Gp)를 통해 차동 기구(D)를 구동하고, 좌우의 후륜(8)을 차동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sub-gear transmission part 17 performs three speed shifts between the transmission shaft 21 coupled to the output shaft 20 and the final output shaft 22 arranged in parallel thereto, The differential mechanism D is driven through the bevel pinion gear Gp provided at the rear end, and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8 are differentially driven.

상세하게 서술하면, 전동축(21)의 전후에는 대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2)와 소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3)가 장착되는 동시에, 소직경 및 대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2, G13) 사이에서 시프트 조작되는 시프트 기어(G14)가 스플라인 장착되어 있다. 한편, 최종 출력축(22)에는 상기 대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2)에 상시 맞물림하는 소직경 기어(G15), 상기 소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3)에 상시 맞물림하는 대직경 기어(G16) 및 상기 시프트 기어(G14)에 직접 맞물림 가능한 중간 직경 기어(G17)가 고착되어 있다. 시프트 기어(G14)를 후방으로 시프트하여 그 보스부를 소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3)의 보스부에 맞물림 연결함으로써, 소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3)와 대직경 기어(G16)의 기어비에서의 전동에 의해「저속」이 초래되고, 시프트 기어(G14)를 전후 중간 위치까지 시프트하여 중간 직경 기어(G17)에 직접 맞물림시킴으로써, 시프트 기어(G14)와 중간 직경 기어(G17)와의 기어비에서의 전동에 의해「중속」이 초래된다. 시프트 기어(G14)를 전방으로 시 프트하여 그 보스부를 대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2)의 보스부에 맞물림 연결함으로써, 대직경의 헐겁게 끼운 기어(G12)와 소직경 기어(G15)와의 기어비에서의 전동에 의해「고속」이 초래되는 것이다. In detail, the large diameter loose gear G12 and the small diameter loose gear G13 are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electric shaft 21, and the small diameter and large diameter loose gears G12 and G13 are installed. The shift gear G14 which is shift-operated among () is spline-mounted. On the other hand, the final output shaft 22 has a small diameter gear (G15) is always engaged with the large diameter loosely fitted gear (G12), a large diameter gear (G16) is always engaged with the small diameter loosely fitted gear (G13) and The medium diameter gear G17 which can be directly engaged with the shift gear G14 is fixed. By shifting the shift gear G14 backward and engaging the boss portion with the boss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loosely fitted gear G13, the gear ratio of the small diameter loosely fitted gear G13 and the large diameter gear G16 is reduced. Electric transmission causes "low speed", and shifts the shift gear G14 to the front-rear intermediate position and directly engages with the medium diameter gear G17, thereby transmitting at the gear ratio between the shift gear G14 and the medium diameter gear G17. "Middle speed" is caused by this. By shifting the shift gear G14 forward and engaging the boss portion with the boss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loosely fitted gear G12, the gear ratio between the large diameter loosely fitted gear G12 and the small diameter gear G15 is obtained. "High speed" is caused by the transmission of.

상기와 같이 하여 변속되는 최종 출력축(22)의 전단부에는 전륜(6)으로의 동력 전달용의 출력 기어(G18)가 고착되는 동시에, 전방부 케이스(3f)와 미드 케이스(3m)에 걸쳐 전륜 구동용 전동축(23)이 관통 지지되고, 이 전륜 구동용 전동축(23)으로부터 취출된 동력이, 후술하는 전륜 전동 구조를 통해 전방차 축 케이스(7)에 축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전륜 구동용 전동축(23)의 후단부에는 시프트 기어(G19)가 스플라인 끼움 장착되어 있고, 이 시프트 기어(G19)를 전방으로 시프트하여 최종 변속축(22)의 출력 기어(G18)에 맞물림시킴으로써, 후륜 구동 속도와 동조(同調)한 속도의 전륜 구동용 동력을 전륜 구동용 전동축(23)으로부터 취출하는 사륜 구동 상태가 초래되고, 또한 시프트 기어(G19)를 후방으로 시프트하여 출력 기어(G18)와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전륜 구동을 중단하여 후륜(8)만에 의한 후방 이륜 구동 상태가 초래된다. The output gear G18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front wheel 6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nal output shaft 22 shifted as mentioned above, and the front wheel is spread over the front case 3f and the mid case 3m. The drive transmission shaft 23 is supported through, and the power extracted from this front wheel drive transmission shaft 23 is axially transmitted to the front vehicle shaft case 7 via the front wheel transmission structure mentioned later. On the rear end of the front-wheel drive electric shaft 23, a shift gear G19 is fitted with a spline, and the shift gear G19 is shifted forward to engage the output gear G18 of the final transmission shaft 22. The four-wheel drive state in which the front-wheel drive power of the speed synchronized with the rear-wheel drive speed is taken out from the front-wheel drive electric shaft 23 is brought about, and the shift gear G19 is shifted backward and the output gear G18 By releasing the engagement with), the front wheel drive is stopped and the rear two-wheel drive state by only the rear wheel 8 is caused.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하우징(2)에는 주 클러치(14)를 수용한 건식의 클러치실(a)과, 이것과 격리된 습식(오일 바스 윤활식)의 변속실(b)이 구비되어 있고, 이 변속실(b)의 상부에, 엔진 동력을 상기 주 기어 변속부(15)의 입력축(18)에 전달하는 주 전동축(25)이 삽입 관통 지지되는 동시에, 변속실(b)의 하부에, 전륜 구동용 전동축(23)으로부터 전방으로 취출된 전륜 구동용 동력을 받는 전륜 변속 기구(26)가 장비되어 있다. 이 전륜 변속 기구(26)에는, 전륜 구동 용 전동축(23)에 중간 전동축(27)을 통해 동심형으로 연결된 입력축(28)과 이것과 평행한 변속축(29)이 구비되어 있고, 변속축(29)에 구비한 변속 클러치(30)를 온/오프함으로써 변속축(29)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고, 이 변속 동력을 케이스 하단부에 배치한 전륜 구동축(31)에 기어 전달하고, 전륜 구동축(31)으로부터 전방으로 취출한 고저 2단의 변속 동력을 전방차 축 케이스(7)에 축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lutch housing 2 includes a dry clutch chamber a in which the main clutch 14 is accommodated, and a wet (oil bath lubricated) transmission chamber b isolated therefrom. The main transmission shaft 25 which transmits engine power to the input shaft 18 of the said main gear transmission part 15 is inserted through and supported in the upper part of this transmission chamber b, and the transmission chamber b is supported. The front wheel shift mechanism 26 which receives the front wheel drive power taken out from the front wheel drive transmission shaft 23 forward is equipp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wheel shift mechanism 26 is provided with an input shaft 28 concen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drive transmission shaft 23 via an intermediate transmission shaft 27 and a transmission shaft 29 parallel thereto. By shifting the transmission clutch 30 provided on the shaft 29 on and off, the transmission shaft 29 is shifted to two stages at high and low gears, and the transmissio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drive shaft 31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It is comprised so that the high-speed two-speed transmission power taken out from the drive shaft 31 to the front may be transmitted to the axle shaft case 7.

상기 입력축(28)에는 대직경 기어(G20)와 소직경 기어(G21)가 구비되는 동시에, 변속축(29)에는 대직경 및 소직경 기어(G20, G21)에 상시 맞물림된 소직경 아이들링 기어(G22)와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3)가 구비되어 있다. 변속축(29)에 구비된 변속 클러치(30)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축(29)에 고착된 클러치 드럼(32)과 소직경 아이들링 기어(G22)에 연결 설치된 스플라인 보스부(33) 사이에 다판식의 마찰 전동부(34)를 개재시켜, 클러치 드럼(32)에 내측 끼움 장착한 피스톤 부재(35)를 축내 유로를 통해 급배되는 압유 및 내장한 스프링(36)에 의해 진퇴 변위시킴으로써, 마찰 전동부(34)를 압박 접촉 혹은 압박 접촉 해제하여 클러치 온/오프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input shaft 28 is provided with a large diameter gear G20 and a small diameter gear G21, and the shift shaft 29 has a small diameter idling gear always engaged with the large diameter and small diameter gears G20 and G21. G22) and a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3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5, the shift clutch 30 provided in the shift shaft 29 is a spline boss portion connected to the clutch drum 32 and the small diameter idling gear G22 fixed to the shift shaft 29. The piston member 35, which is fitted to the clutch drum 32, with the multi-plate friction transmission unit 34 interposed therebetween, by the pressurized oil and the built-in spring 36 which are deliver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in-axis flow path. By advancing and displacing, it is comprised so that the friction transmission part 34 may press-contact or cancel press-contact, and clutch on / off may be performed.

클러치 드럼(32)의 보스부에 시프트 가능하게 외측 끼운 시프트 부재(37)가, 클러치 드럼(32)을 관통하는 연결핀(38)을 통해 피스톤 부재(35)에 일체화되어 있고, 피스톤 부재(35)의 진퇴 이동에 수반하여 시프트 부재(37)가 일체로 시프트되도록 되어 있다. The shift member 37 which is shifted to the boss portion of the clutch drum 32 so as to be shifted outward is integrated with the piston member 35 via a connecting pin 38 penetrating through the clutch drum 32, and the piston member 35. The shift member 37 is shifted integrally with the advancing and moving movement of the &quot;

변속 클러치(30)로의 압유 공급이 중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5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피스톤 부재(35)가 내장 스프링(36)에 의해 도면 중 좌측으로 후퇴 변위하여 변속 클러치(30)가「오프」상태가 되는 동시에, 피스톤 부재(35)와 일체화된 시프트 부재(37)가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3)에 측면에서 맞물림 연결되고, 입력축(28)의 동력이 소직경 기어(G21),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3), 시프트 부재(37) 및 클러치 드럼(32)을 거쳐 변속축(29)에 감속 전달된 후, 변속축(29)의 전단부로부터 취출되어 전륜 구동축(31)을 통해 전방차 축 케이스(7)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전륜(6)은 후륜 주위 속도와 동등(혹은, 약간 빠른 주위 속도)한 주위 속도로 구동되고, 따라서 표준의 사륜 구동 모드가 현출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pressure oil supply to the transmission clutch 30 is stopped, as shown in FIG. 5, the piston member 35 is retracted and displac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by the built-in spring 36 so that the transmission clutch 30 is moved. In the "off" state, the shift member 37 integrated with the piston member 35 is engaged with the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3 from the side, and the power of the input shaft 28 is the small diameter gear G21, After the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3, the shifting member 37, and the clutch drum 32 are reduced and transmitted to the speed change shaft 29, it is taken out from the front end of the speed change shaft 29, and through the front wheel drive shaft 31. It is transmitted to the front vehicle shaft case (7). In this case, the front wheels 6 are driven at an ambient speed equivalent to (or slightly faster than around) the rear wheels, so that a standard four-wheel drive mode is exhibited.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유의 공급에 의해 피스톤 부재(35)가 스프링(36)에 대항하여 도면 중 우측으로 이동하여 마찰 전동부(34)를 압박 접촉함으로써 변속 클러치(30)가「온」상태가 되는 동시에, 피스톤 부재(35)와 일체화된 시프트 부재(37)가 대직경 아이들링 기어(G23)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입력축(28)의 동력이 대직경 기어(G20), 소직경 아이들링 기어(G22), 마찰 전동부(34) 및 클러치 드럼(32)을 통해 변속축(29)에 증속 전달된 후, 전륜 구동축(31)을 통해 전방차 축 케이스(7)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전륜(6)은 후륜 주위 속도의 약 2배 정도의 주위 속도로 구동되고, 따라서 전륜 증속 구동 모드가 현출된다. As shown in Fig. 6, the piston clutch 35 moves to the right side in the figure against the spring 36 by the supply of pressure oil, and the transmission clutch 30 is turned on by pressing the friction transmission portion 34 in contact. And the shift member 37 integrated with the piston member 35 is disengaged from the large diameter idling gear G23, and the power of the input shaft 28 is driven by the large diameter gear G20 and the small diameter idling gear. (G22) is transmitted to the speed change shaft 29 via the friction transmission portion 34 and the clutch drum 32,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ront vehicle shaft case 7 through the front wheel drive shaft 31. In this case, the front wheels 6 are driven at an ambient speed of about twice the peripheral speed of the rear wheels, so that the front wheel speed drive mode is exhibited.

도7의 유압 회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변속 클러치(30)의 압유 급배 유로에는, 전륜(6)의 조향에 연동하여 절환 조작되는 전륜 제어 밸브(V1)와, 전륜(6)의 자동 변속을 온/오프 선택하는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와, 부 기어 변속부(17)의 변속 조작에 연동하여 절환 조작되는 견제 밸브(V3)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고, 엔진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OP)로부터의 압유가 파워 스티어링 유닛(39) 및 오일 쿨러(40)를 거친 후에, 전륜 변속용 유압 회로(c)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FIG. 7, the hydraulic oil supply / discharge flow path of the shift clutch 30 includes the front wheel control valve V1 and the automatic shift of the front wheel 6 which are switched and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teering of the front wheel 6. The automatic transmission selection valve V2 for selecting the on / off and the check valve V3 for switching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hift operation of the sub-gear transmission section 17 are arranged in series, and the hydraulic pressure driven by the engine power is provided. After the oil pressure from the pump OP passes through the power steering unit 39 and the oil cooler 40, it is supplied to the front-wheel-speed hydraulic circuit c.

도5,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륜 제어 밸브(V1),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 및 견제 밸브(V3)는 각각 로터리 밸브로 구성되고, 이들 밸브(V1, V2, V3)가 클러치 하우징(2)의 후방부에 연결된 단일의 밸브 케이싱(41)에 조립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 제어 밸브(V1)와 견제 밸브(V3)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해 이들의 중간에 위치하는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는, 그 스풀 축심이 다른 밸브(V1, V2)의 스풀 축심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ront wheel control valve V1, the automatic shift selection valve V2 and the check valve V3 are each composed of a rotary valve, and these valves V1, V2, V3 are It is attached to a single valve casing 41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clutch housing 2. And while the front wheel control valve V1 and the check valve V3 are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the automatic shift selector valve V2 located in between these spools of valves V1 and V2 in which the spool shaft center differs. It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haft.

전륜 제어 밸브(V1)가, 전륜(6)의 스티어링 기구(42)에 기계적으로 연동 연결되어 있고, 전륜(6)이 직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유로를 차단하고, 전륜(6)이 직진 위치로부터 설정 각도(예를 들어 35°) 이상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조향되면 전륜 제어 밸브(V1)가 회전되어 유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는 절환 레버(43)에 링크 연계되어 있고, 자동 변속「온」위치에서는 유로가 개방되고, 자동 변속「오프」위치에서는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견제 밸브(V3)는, 주행 속도를 3단으로 변속하는 부 기어 변속부(17)를 절환 조작하는 부 변속 레버(44)에 링크 연계되어 있고, 부 기어 변속부(17)가「저속」혹은「중속」으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로가 개방되고, 부 기어 변속부(17)가「고속」으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로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The front wheel control valve V1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teering mechanism 42 of the front wheel 6, and when the front wheel 6 is in a straight state, the flow path is shut off and the front wheel 6 is set from the straight position. When steering to the left or right by an angle (for example, 35 degrees) or more, the front wheel control valve V1 is configured to rotate to open the flow path. In addition, the automatic shift selector valve V2 is linked to the switching lever 43, the flow path is opened at the automatic shift &quot; on &quot; position, and the flow path is blocked at the automatic shift &quot; off &quot; position. In addition, the check valve V3 is linked with the sub-shift lever 44 which switches the sub-gear transmission part 17 which shifts a travel speed to three steps, and the sub-gear transmission part 17 is "low speed. Or the flow path is opened in the state of being operated at "middle speed", and the flow path is block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gear transmission part 17 is operated at "high speed".

따라서,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가 자동 변속「온」위치에 선택되어 유로가 개방되는 동시에, 부 기어 변속부(17)가「저속」혹은「중속」으로 조작되고, 견제 밸브(V3)가 유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전륜(6)의 설정 각도 이상의 조향에 연동하여 전륜 제어 밸브(V1)가 절환되고, 변속 클러치(30)에 압유가 공급되어 전륜(6)이 증속 구동되어 원활한 작은 회전 반경으로 선회가 행해진다. 그리고,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가 자동 변속「온」위치에 선택되어 있어도 부 기어 변속부(17)가「고속」에 있는 경우에는, 전륜(6)이 설정 각도 이상으로 조향되어도 전륜 자동 증속이 실행되는 일은 없다. 또한, 자동 변속 선택 밸브(V2)가 자동 변속「오프」위치에 선택되어 유로가 폐쇄되어 있으면, 당연히 전륜(6)의 조향에 의해서도 전륜 자동 증속이 행해지는 일은 없다. Therefore, the automatic shift selector valve V2 is selected at the automatic shift &quot; on &quot; position to open the flow path, and the sub-gear shift section 17 is operated at &quot; low speed &quot; or &quot; medium speed &quot;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is opened, the front wheel control valve V1 is switched in conjunction with steering over the set angle of the front wheel 6, the pressure oil is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clutch 30, and the front wheel 6 is driven at a high speed to smoothly operate the small. The turning is performed at the radius of rotation. Further, even when the automatic shift selector valve V2 is selected at the automatic shifting "on" position, when the sub-gear shifting section 17 is at "high speed", the front wheels automatically speed up even when the front wheels 6 are steered above the set angle. This never happens. In addition, if the automatic shift selector valve V2 is selected at the automatic shift &quot; off &quot; position and the flow path is closed, the front wheel automatic speedup is not naturally performed even by steering of the front wheels 6.

다음에, PTO 전동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전방부 케이스(3f)의 상부에 관통 지지된 상기 입력축(18)의 후단부와, 전방부 케이스(3f) 및 미드 케이스(3m)에 걸쳐 지지된 전동축(45)이 동심으로 맞대어 배치되고, 그 맞댐 부위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46) 및 PTO 클러치(47)를 통해 입력축(18)과 전동축(45)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전동축(45)의 후단부에는 중계 전동축(48)이 동심형으로 연결되고, 이 중계 전동축(48)의 후단부에 설치한 소직경 기어(G24)와 상기 리어 PTO축(12)에 설치한 대직경 기어(G25)가 맞물림되고, 주행계와는 독립하여 리어 PTO축(12)이 정속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The rear end of the input shaft 18, which is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ase 3f, and the transmission shaft 45 supported over the front case 3f and the mid case 3m are arranged concentrically, The input shaft 18 and the transmission shaft 45 are interlockedly connected through the one-way clutch 46 and the PTO clutch 47 provided at the butt portion. A relay transmission shaft 48 is con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shaft 45, and is connected to the small diameter gear G24 and the rear PTO shaft 1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mission transmission shaft 48. The large-diameter gear G25 provided is engaged, and the rear PTO shaft 12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independently of the traveling system.

도3,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46)는, 입력축(18)의 후단부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되는 동시에 스프링(49)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드 압박된 구동측의 클러치 부재(50)와, 전동축(45)의 전방부에 축심 방향으로 변위 불가능하게 헐겁게 끼워 장착된 종동측의 전동 부재(51)로 구성되어 있고, 클러치 부재(50)와 전동 부재(51)의 맞댐 대향 단부에 있어서 서로 경사 갈고리 결합부(52)를 통해 맞물림 연동되어 있다. 경사 갈고리 결합부(52)는, 종동측의 전동 부재(51)가 클러치 부재(50)를 스프링(49)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밀어 젖혀 변위시키면서, 클러치 부재(50)에 대해 입력축(18)의 회전 방향으로 선행 회전할 수 있도록 갈고리 경사 방향이 설정되어 있고, 입력축(18)이 PTO 전동계로부터의 역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 관성이 큰 작업 장치가 PTO 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경우, 주 클러치(14)를 오프하여 주행을 정지하는 동시에 PTO 전동계로의 전동을 정지해도, 작업 장치의 회전 관성으로 입력축(18)이 구동되어, 주행이 속행되어 버리는 것이 미연에 회피되고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3 and 8, the one-way clutch 46 is splined to the rear end of the input shaft 18 so as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and at the same time, the clutch member on the drive side that is pushed backward by the spring 49 ( 50 and a driven transmission member 51 on the driven side that is loosely fitted in the axial center direction without displacement in the front part of the transmission shaft 45, and opposes the clutch member 50 and the transmission member 51 to face each other. At the end, they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via the slanted hook coupling portion 52. The inclined claw engaging portion 5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en member 51 of the driven side pushes the clutch member 50 forward against the spring 49 and is displaced, thereby displacing the input shaft 18 with respect to the clutch member 50. The hook inclination direction is set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advan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input shaft 18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by reverse driving from the PTO electric system. That is, when the work device with large rotational inertia is driven to rotate with PTO power, even if the main clutch 14 is turned off to stop running and stops the transmission to the PTO electric system, the input shaft 18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work device. It is being avoided that it is driven and driving continues.

일방향 클러치(46)를 구성하는 클러치 부재(50)와 전동 부재(51)는, 전방부 케이스(3f)의 후방부에 설치된 베어링 벽(3fw)에 베어링(53)을 통해 지지되어 있고, 경사 갈고리 결합부(52)가 베어링(53)의 내주에서 내측 끼움 지지되어, 확실하게 중심 맞추어진 상태에서 맞물림 및 이탈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The clutch member 50 and the transmission member 51 which comprise the one-way clutch 46 are supported by the bearing 53 at the bearing wall 3fw provided in the rear part of the front part case 3f, and the inclined hook The engaging portion 52 is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earing 53 so as to engage and disengage in a state where it is securely centered.

상기 PTO 클러치(47)는, 전동축(45)의 전방부 헐겁게 끼움 지지된 드럼형의 상기 전동 부재(이하, 클러치 드럼이라 호칭함)(51), 전동축(45)에 외측 삽입된 종동측의 클러치 슬리브(54), 클러치 드럼(51)과 클러치 슬리브(54) 사이에 개재한 다판식의 마찰 전동부(55), 클러치 드럼(51)에 내측 끼움 장비한 클러치 조작용의 피스톤 부재(56), 피스톤 부재(56)를 마찰 해제 방향(도8에서는 좌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5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동축(45)에는 유로(e)가 뚫려 있고, 이 유로(e)를 통해 공급된 압유로 피스톤 부재(56)를 스프링(57)에 대항하여 도8 중 우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마찰 전동부(55)가 압박 접촉되어「클러치 온」상태가 초래되고, 압유 공급을 해제하여 피스톤 부재(56)를 스프링(57)으로 도8 중 좌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마찰 전동부(55)의 압박 접촉이 해제된「클러치 오프」상태가 초래되도록 되어 있다. The PTO clutch 47 is a drum-type transmission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utch drum) 51 which is loosely supported at the front of the transmission shaft 45, and a driven side inserted to the transmission shaft 45 on the outside. Multi-plate friction transmission unit 55 interposed between clutch sleeve 54, clutch drum 51 and clutch sleeve 54, and piston member 56 for clutch operation equipped with clutch drum 51 inwardly fitted. ) And a spring 57 for pressing the piston member 56 in the friction release direction (left in FIG. 8). A flow path e is drilled through the transmission shaft 45, and the frictional transmission part (1) is displaced to the right side in Fig. 8 against the spring 57 by the hydraulic oil supplied through the flow path e. 55 is press-contacted to cause a "clutch-on" state, and the pressurized contact of the friction transmission portion 55 is released by releasing the pressure oil supply and displacing the piston member 56 to the left in FIG. 8 with the spring 57. The "clutch off" state is caused.

전동축(45)의 유로(e)는, 미드 케이스(3m)의 전후 중간에 설치된 베어링 벽(3mw)의 내부 유로(f)를 통해 케이스 외면에 설치된 조작 밸브(V4)에 연통 접속되어 있고, 조작 밸브(V4)를 운전부에 구비한 PTO 클러치 레버(58)로 절환 조작함으로써 PTO 클러치(47)가 온/오프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밸브(V4)는 상기 리프트 아암(9)을 구동하는 유압계에 속해 있다. The flow path e of the transmission shaft 45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valve V4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via the internal flow path f of the bearing wall 3mw provided in the front and middle of the mid case 3m, The PTO clutch 47 is operated on / off by switching the operation valve V4 to the PTO clutch lever 58 provided in the driving section. The operation valve V4 also belongs to a hydraulic system for driving the lift arm 9.

PTO 클러치(47)의 후방 부위에는,「클러치 오프」작동에 연동하여 전동 하방측의 관성 회전을 저지하는 PTO 브레이크(60)가 배치되어 있다. 이 PTO 브레이크(60)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54)에 스플라인 외측 끼운 마찰판(61), 마찰판(61)을 후방으로부터 받치는 받침판(62), 전방부 케이스(3f)에 스테이(63)를 통해 고정한 제동판(64)으로 구성되어 있고, PTO 클러치(47)가 오프 작동하여 피스톤 부재(56)가 스프링(57)에 의해 도면 중 좌측으로 압박 이동되면, 피스톤 부재(56)와 일체로 클러치 슬리브(54)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찰판(61)이 받침판(62)과 제동판(64)으로 끼움 지지되어 클러치 슬리브(54)에 제동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At the rear portion of the PTO clutch 47, a PTO brake 60 is disposed which prevents rotation of the inertia of the electric downward side in association with the "clutch off" operation. The PTO brake 60 is fixed to the clutch sleeve 54 via the stay plate 63 on the friction plate 61 fitted outside the spline, the support plate 62 supporting the friction plate 61 from the rear side, and the front case 3f. When the PTO clutch 47 is turned off and the piston member 56 is pressed by the spring 57 to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the clutch sleev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ston member 56. 54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riction plate 6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62 and the brake plate 64 so that the clutch sleeve 54 is braked.

도3 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드 케이스(3m)의 하면에는, 전방을 향해 미 드 PTO축(13)을 돌출 설치 지지한 미드 PTO 케이스(65)가 연결되어 있고, PTO 동력을 리어 PTO축(12)과 미드 PTO축(13)으로부터 취출하는 형태를 절환하여 선택하는 PTO 모드 선택 기구(66)가 PTO 클러치(47)의 전동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id PTO case 65 which protrudes and supports the mid PTO shaft 13 toward the front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 case 3m, and the PTO power is applied to the rear PTO shaft ( 12) and a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66 for switching and selecting the form to be taken out from the mid PTO shaft 13 are disposed below the PTO clutch 47 by electric transmission.

미드 PTO축(13)으로의 전동계는, 상기 전동축(45)의 후방부에 헐겁게 끼운 동력 취출용 기어(G26)와, 미드 PTO축(13)에 일체 형성한 기어(G27)가 중계 기어(G28, G29, G30)를 통해 맞물림 연동된 구조로 되어 있고, 중계 기어(G28)는 전륜 구동용 전동축(23)에 헐겁게 끼워지는 동시에, 중계 기어(G29)는 주행계의 전동축(21)에 헐겁게 끼움 지지되고, 또한 중계 기어(G30)는 미드 케이스(3m) 하측 벽부에 장착한 지지축(67)에 헐겁게 끼움 지지되어 있다. As for the electric system to the mid PTO shaft 13, the power take-out gear G26 inserted loosely in the rear part of the said transmission shaft 45, and the gear G27 integrally formed in the mid PTO shaft 13 are relay gears. (G28, G29, G30) has a structure interlocked interlocked, the relay gear (G28) is loosely fitted to the front wheel drive transmission shaft 23, and the relay gear (G29) is a transmission shaft 21 of the traveling system ) Is loosely supported, and the relay gear G30 is loose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67 attached to the lower wall part of the mid case 3m.

PTO 모드 선택 기구(66)는, PTO 클러치(47)에 있어서의 클러치 슬리브(54)의 후방부에 스플라인 내측 끼워진 시프트 부재(68)를 전후로 시프트함으로써, 리어 PTO축(12)에만 동력을 전달하는 모드와, 리어 PTO축(12) 및 미드 PTO축(13)의 양자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드와, 미드 PTO축(13)에만 동력을 전달하는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66 transfers power only to the rear PTO shaft 12 by shifting the shift member 68 fitted inside the spline in the rear portion of the clutch sleeve 54 in the PTO clutch 47 back and forth. The mode, the mode which transmits power to both the rear PTO shaft 12 and the mid PTO shaft 13, and the mode which transmits power only to the mid PTO shaft 13 are comprised.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68)를 가장 전방 위치로 시프트 조작하면, 시프트 부재(68)가 전동축(45)에 구비한 스풀라인부(45a)에만 맞물림 상태로 되고, PTO 클러치(47)를 통해 시프트 부재(68)에 전달된 동력은 중계 전동축(48)을 통해 리어 PTO축(12)에만 전달된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shift member 68 is shifted to the most forward position, the shift member 68 is engaged only with the spool line portion 45a provided on the transmission shaft 45, and the PTO clutch is engaged. Power transmitted to the shift member 68 through 47 is transmitted only to the rear PTO shaft 12 via the relay transmission shaft 48.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68)를 전후 중간 위치로 시프트 조작하면, 시프트 부재(68)가 전동축(45)의 스플라인부(45a)와 동력 취출용 기 어(G26)의 보스부에 걸쳐 스플라인 맞물림 상태로 되고, PTO 클러치(47)를 통해 시프트 부재(68)에 전달된 동력이 중계 전동축(48)을 통해 리어 PTO축(12)에 전달되는 동시에, 미드 PTO축(13)에도 기어 전달된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shift member 68 is shifted to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positions, the shift member 68 causes the spline portion 45a of the transmission shaft 45 and the boss of the power take-out gear G26. Mid-PTO shaft 13 is brought into the spline meshing state over the portion, and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shift member 68 through the PTO clutch 47 is transmitted to the rear PTO shaft 12 through the relay transmission shaft 48. The gear is also transmitted.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68)를 가장 후방 위치로 시프트 조작하면, 시프트 부재(68)가 동력 취출용 기어(G26)의 보스부에만 스플라인 맞물림 상태로 되고, PTO 클러치(47)를 통해 시프트 부재(68)에 전달된 동력은 미드 PTO축(13)에만 기어 전달된다.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hift member 68 is shifted to the rearmost position, the shift member 68 is in a spline mesh with only the boss portion of the power take-off gear G26, and the PTO clutch 47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shift member 68 via the gear is transmitted only to the mid PTO shaft 13.

여기서, PTO계의 전동축(45)과 중계 전동축(48)에 걸쳐 스플라인 외측 끼워진 축 연결 슬리브(69)가, PTO 모드 선택 기구(66)에 의해 미드 PTO축(13)만이 구동되는 전동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자유로워진 리어 PTO축(12)이 동반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ere, the transmission mode in which only the mid-PTO shaft 13 is driven by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66 is driven by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66 for the shaft connecting sleeve 69 fitted over the transmission shaft 45 and the relay transmission shaft 48 of the PTO system. When is selected, the free rear PTO shaft 12 is configured to prevent rotation around the companion.

상기 축 연결 슬리브(69)는 전후 시프트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되는 동시에, 이 축 연결 슬리브(69)가, PTO 모드 선택용의 시프트 부재(68)와 동기하여 역방향으로 시프트되도록, 그 조작계가 연계되어 있다. 즉, 도11,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68)에 결합하는 편심 조작핀(70a)이 구비된 조작축(70)과, 축 연결 슬리브(69)에 결합하는 조작 아암(71a)이 구비된 조작축(71)이 미드 케이스(3m)의 측벽에 관통 지지되고, 조작축(70)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조작핀(70b)과, 지지점(p)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PTO 모드 선택 레버(72)가 로드(73)를 통해 연동 연결되는 동시에, 조작축(71)의 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연계 레버(71b)와 상기 조작핀(70b)이 긴 구멍 연계되어 있고, PTO 모드 선택 레버(72)의 전후 요동 조작에 의해 시프트 부재(68)와 축 연결 슬리브(69)가 서로 역방향으로 시프트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The axial coupling sleeve 69 is spline-mounted so as to be shifted back and forth, and its operating system is linked so that the axial coupling sleeve 69 is shif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hift member 68 for PTO mode selection. . That is,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operation shaft 70 provided with the eccentric operation pin 70a engaged with the shift member 68, and the operation arm 71a engaged with the shaft connecting sleeve 69. )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shaft 71 penetrated and supported by the side wall of the mid case 3m, and is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swing back and forth around the operating pin 70b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70 and the support point p. The PTO mode selection lever 72 is interlockedly connected through the rod 73, and the linkage lever 71b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operation shaft 71 and the operation pin 70b are connected to the long hole. The shift member 68 and the shaft connecting sleeve 69 are shif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wing operation of the PTO mode selection lever 72.

따라서, 시프트 부재(68)가 최전방 위치 및 전후 중간 위치로 시프트되어, 리어 PTO축(12)만이 구동되는 전동 모드, 혹은 리어 PTO축(12)과 미드 PTO축(13)이 모두 구동되는 전동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축 연결 슬리브(69)는 그 시프트 범위의 최후방 위치 혹은 전후 중간 위치에 있고, 이때의 축 연결 슬리브(69)는 단순한 축 조인트로서 기능한다.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68)가 최후방 위치로 시프트되고, 미드 PTO축(13)만이 구동되는 전동 모드가 선택되면, 시프트 부재(68)의 후방 시프트에 연동하여 축 연결 슬리브(69)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미드 케이스(3m)에 있어서의 베어링 벽(3mw)의 후방면에 형성된 리브(74)에 축 연결 슬리브(69)의 전단부 결합 갈고리(69a)가 후방으로부터 결합되고, 따라서 회전 자유 상태가 된 PTO계의 전동축(45)과 중계 전동축(48)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shift member 68 is shifted to the foremost position and the front-rear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transmission mode in which only the rear PTO shaft 12 is driven, or the transmission mode in which both the rear PTO shaft 12 and the mid PTO shaft 13 are driven. In the selected state, the shaft connecting sleeve 69 is at the rearmost position or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hift range, and the shaft connecting sleeve 69 at this time functions as a simple shaft joint.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hifting member 68 is shifted to the rearmost position and the transmission mode in which only the mid PTO shaft 13 is driven is selected, the shaft connecting sleeve is linked with the rear shift of the shifting member 68. 69 moves forward, and the front end engaging hook 69a of the axial coupling sleeve 69 engages from the rear to the rib 74 formed on the rear face of the bearing wall 3mw in the mid case 3m. As a result, rotation of the PTO-based transmission shaft 45 and the relay transmission shaft 48 is prevented.

〔다른 실시예〕[Other Examples]

(1) 도13,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진의 복수단 변속을 행하는 전방부 케이스(3f) 대신에,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P)와 정용량형의 유압 모터(M)를 장비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를 미드 케이스(3m)에 연결하여, 전후진을 무단 변속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펌프축으로 되는 입력축(18)을 후방으로 관통하여, 그 후방 관통 단부와 PTO계 전동축(45)과의 맞댐 부위에 일방향 클러치(46)를 배치하는 것으로 된다. (1)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P and the constant displacement hydraulic motor M are replaced with the front case 3f which performs the multi-stage shifting forward and backward. The equipped hydrostatic stepless speed changer (HST) can be connected to the mid case (3m), and can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 forward and rearward speed can be continuously shifted. In this case, the one-way clutch 46 is arrang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input shaft 18 serving as the pump shaft, and at the portion where the rear penetration end thereof is aligned with the PTO-based transmission shaft 45.

(2) 상기 일방향 클러치(46)는, 상기한 맞물림식 외에 롤러식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2) The one-way clutch 46 may use a roller ty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ngagement type.

(3) 상기 PTO 클러치(47)를, 인위식 혹은 유압식으로 시프트 조작되는 갈고리 클러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3) The PTO clutch 47 may be constituted by a hook clutch which is operated by an artificial or hydraulic shift operation.

(4) 상기 PTO 클러치(47)를 상기 일방향 클러치(46)의 전동 상방에 배치한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4)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PTO clutch 47 in a form in which the one-way clutch 46 is driven upward.

(5) 상기 PTO 모드 선택 기구(66)를, 리어 PTO축(12) 혹은 미드 PTO축(13)의 어느 한쪽에만 전달하는 2모드의 절환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5)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66 may be configured in a two-mode switch type that transmits only to either the rear PTO shaft 12 or the mid PTO shaft 13.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 PTO축 및 미드 PTO축 중 어느 한쪽에 작업 장치가 장착되어도, 작업 장치의 관성 회전력이 주행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택된 PTO 모드에서의 동력 단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PTO 전동 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ork device is mounted on either the rear PTO shaft or the mid PTO shaft, the inertial rotational force of the work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system, and the power control in the selected PTO mode can be easily performed.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can be compactly constructed.

Claims (6)

주 클러치를 통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주행계 전동축과 PTO계 전동축을 구비하는 트랙터에 있어서, 기체의 후방부에 리어 PTO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기체 하부에 미드 PTO축을 구비한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이며, A tractor having a traveling system drive shaft and a PTO drive shaf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via a main clutch, wherein the tractor has a rear PTO shaft at the rear of the body and a PTO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provided with a mid PTO shaft at the bottom of the body. Is, 상기 PTO계 전동축에, 상기 리어 PTO축과 미드 PTO축으로의 출력 형태를 절환하여 선택하는 PTO 모드 선택 기구를 배치하는 동시에, 이 PTO 모드 선택 기구의 전동 상방측에 일방향 클러치와 PTO 클러치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 On the PTO transmission shaft, a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for switching and selecting the output form to the rear PTO shaft and the mid PTO shaft is arranged, and a one-way clutch and a PTO clutch are arranged on the motorized upper side of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PTO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를 PTO 클러치의 전동 상방에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 The tractor PTO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way clutch is disposed above the PTO clutch transmis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 PTO 클러치 및 PTO 모드 선택 기구를 동일 축심 상에 연속하여 배치하고 있는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 The tractor's PTO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ne-way clutch, the PTO clutch, and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same shaft cen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의 전동 하방측에 PTO 브레이크를 배치하고, 상기 PTO 클러치의 클러치 부재의 클러치 오프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PTO 브레이크가 제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 The tractor's PTO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TO brake is arranged on the electric downward side of the PTO clutch, and the PTO brake is braked in conjunction with the clutch-off operation of the clutch member of the PTO clut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 및 PTO 모드 선택 기구를 공통의 전동축에 장착 지지하고 있는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 The tractor's PTO trans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TO clutch and the PTO mode selection mechanism are mounted and supported on a common transmission shaf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O 클러치를 유압 조작식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그 클러치 조작용의 유로를 상기 전동축의 내부에 형성하고, 이 유로와 케이스 외측에 배치한 조작 밸브를, 상기 전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벽의 내부 유로를 통해 연통 접속하고 있는 트랙터의 PTO 전동 구조. The said PTO clutch is hydraulic-actuated, the flow path for clutch operation is formed in the said transmission shaft, and the operation valve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is flow path and the case supports the said transmission shaft. The PTO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tractor, which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via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bearing wall.
KR1020070018144A 2006-03-30 2007-02-23 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ctor KR1008145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4070 2006-03-30
JP2006094070A JP4758800B2 (en) 2006-03-30 2006-03-30 Tractor PTO transmiss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488A true KR20070098488A (en) 2007-10-05
KR100814522B1 KR100814522B1 (en) 2008-03-17

Family

ID=3852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144A KR100814522B1 (en) 2006-03-30 2007-02-23 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58800B2 (en)
KR (1) KR100814522B1 (en)
FR (1) FR28991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4956A1 (en)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진명파워텍 Work vehicle and driving extraction device of work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1244A1 (en) 2007-10-26 2009-04-30 Deere & Company, Moline transmission assembly
JP5467887B2 (en) * 2010-02-12 2014-04-09 ヤンマー株式会社 Work vehicle transmission
KR102282517B1 (en) * 2015-04-29 2021-07-28 주식회사 대동 Transmission of agriculture vehicle
KR102445396B1 (en) * 2017-09-29 2022-09-20 주식회사 대동 Four wheel drive device
JP7091286B2 (en) 2019-06-11 2022-06-27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KR102583451B1 (en) * 2021-11-23 2023-09-27 주식회사 진명파워텍 Pto hydraulic control valv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028A (en) * 1987-06-30 1989-01-12 Honda Motor Co Ltd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ctor
JPH05162551A (en) * 1991-12-16 1993-06-29 Kubota Corp Pto structure for tractor
JP3161903B2 (en) * 1994-04-08 2001-04-25 株式会社クボタ Tractor power take-out structure
JPH1024746A (en) * 1996-07-08 1998-01-2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for working vehicle
JP4231993B2 (en) 2002-08-02 2009-03-04 井関農機株式会社 Powered vehicle
JP4101114B2 (en) 2003-05-21 2008-06-18 株式会社クボタ Passenger work vehicle
JP4104149B2 (en) 2004-03-22 2008-06-18 株式会社クボタ Tractor PTO transmission structure
JP4233498B2 (en) * 2004-06-25 2009-03-04 株式会社クボタ Tractor operation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4956A1 (en)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진명파워텍 Work vehicle and driving extraction device of work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99157B1 (en) 2016-02-12
FR2899157A1 (en) 2007-10-05
JP4758800B2 (en) 2011-08-31
KR100814522B1 (en) 2008-03-17
JP2007269061A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522B1 (en) Pto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ctor
KR960015254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engine drive in speeds to drive wheels of a working vehicle
US7887449B2 (en) Speed-change transmission apparatus
CA2292101C (en) Synchronized range shift mechanism for transfer case
KR100693977B1 (en) Pto operating structure of tractor
JP4201228B2 (en) Work vehicle transmission
JP4902075B2 (en) Power take-out device for work vehicle
US6044720A (en) Drive transmission assembly for working vehicles
JPH0751389Y2 (en) Power extractor for tractor
EP0924117A2 (en) Four-wheel driven vehicle
US5617936A (en) Synchromesh change transmission having a neutral brake
JP5167224B2 (en) Gear switching device
WO2020137439A1 (en) Work vehicle
JP4233498B2 (en) Tractor operation structure
JP4104149B2 (en) Tractor PTO transmission structure
US5001941A (en) Transmission assembly for tractors
JP3727218B2 (en) Tractor transmission structure
JP3750166B2 (en) Transmission
JP4174206B2 (en) Transmission
JPS621473Y2 (en)
JP4528006B2 (en) Four-wheel drive tractor travel device
EP0296770A2 (en) A transmission for producing multiple speed ratios
JP4246306B2 (en) Gearbox for work vehicle
JPH0721377Y2 (en) Transmission device for work vehicles
JP4666743B2 (en)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