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456B1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456B1
KR102499456B1 KR1020177026478A KR20177026478A KR102499456B1 KR 102499456 B1 KR102499456 B1 KR 102499456B1 KR 1020177026478 A KR1020177026478 A KR 1020177026478A KR 20177026478 A KR20177026478 A KR 20177026478A KR 102499456 B1 KR102499456 B1 KR 102499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rbon nanotub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nanotub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935A (ko
Inventor
라켈 오벨
Original Assignee
린텍 오브 아메리카, 인크.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오브 아메리카, 인크.,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오브 아메리카,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2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7Uncured, e.g. g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Abstract

점착 시트이며, 상기 점착 시트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점착제가 포함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복수의 카본 나노튜브가 시트의 면 내의 일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정렬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가 10% 이상인, 점착 시트.

Description

점착 시트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점착 시트는 예전부터, 예를 들어 곤포, 밀봉, 결속, 눈 메우기, 마스킹 및 의장성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최근들어 소형의 물품에 내장되는 부품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피부의 창상흔을 은폐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점착 시트의 얇음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는, 기재의 두께가 6㎛이며, 점착제층의 두께가 2 내지 6㎛인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카본 나노튜브를 사용한 시트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파이버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적어도 1매의 드론 구조 카본 나노튜브 필름과, 지지체와, 피복막을 구비하는 보호 구조체를 갖는 카본 나노튜브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324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8-523254호 공보 일본 특허 제525502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되는 점착 시트 중 시트 전체 두께가 가장 얇은 것은, 두께 8㎛의 점착 시트이다. 그러나, 점착 시트의 기재는 얇아질수록 강도가 저하되고, 인장, 찌르기 또는 타격 등에 의해 점착 시트가 파괴되기 쉬워진다. 또한, 예를 들어 양면 점착성의 시트의 파단 방지를 위한 코어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이상 있고, 점착 시트 전체적으로는 두꺼워도 되지만, 기재의 기계적 성질의 영향을, 두께 방향에 있어서 가능한 한 발현시키지 않기 위하여, 기재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가 얇고, 강도가 높은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점착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복수의 카본 나노튜브가 시트의 면 내의 일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정렬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가 1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파단 신도가, 다른 어느 층의 파단 신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전체 두께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이 인접하며, 또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상기 점착제층이 인접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 위에, 부착 방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부착 방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상기 카본 나노튜브가 평균 직경 1㎛ 이상 300㎛ 이하인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상온 액체의 물질의 증기 또는 입자에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노출시키는 처리가 실시된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증착, CVD, 스퍼터 처리, 분자선 애피택시, 이온 플레이팅, 액체 침투, 전기 도금, 무전해 도금, 증기 분무, 에어로졸 분무 및 잉크젯 인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다른 화합물과 복합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된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상기 다른 화합물의 질량비는 0.5:99.5 내지 5: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가 얇고, 강도가 높은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점착 시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와, 점착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20)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1 면(11)(이하, 「제1 시트면(11)」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과, 점착제층(20)의 제1 면(21)(이하, 「제1 점착면(21)」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이 인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에 있어서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기재 시트로서 기능한다. 즉, 점착제층(20)만으로는, 예를 들어 보관, 반송 및 적용 등일 때에 시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보강 재료로서 기능한다.
점착 시트(1)는 파단 신도가 10% 이상이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에 점착제층(20)이 적층된 점착 시트(1)에 있어서, 파단 신도가 10% 이상이면, 점착 시트(1)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점착 시트(1)의 파단 신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에 점착제층(20)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1)로 하면, 카본 나노튜브 시트(10) 단체의 상태보다도, 파단 신도가 현저하게 증대된다. 이것은,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통상의 수지 필름 등과 달리, 시트를 구성하는 물질끼리 결합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인장에 의해, 일부에 힘이 집중되어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트 전체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끼리 이격되어 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절단 등의 가공 시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8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파단 신도는, JIS Z0237:2009의 8의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카본 나노튜브의 정렬 방향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인장하여 측정한, 신도의 값이다.
점착 시트(1)는 전체 두께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의 전체 두께가 10㎛ 이하이면, 예를 들어 미세한 구조를 갖는 디바이스의 밀봉재 및 고정재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 시트의 전체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또한, 점착 시트가 박리층을 갖는 경우, 점착 시트의 전체 두께는 박리층을 제외한 두께이다.
점착 시트(1)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점착제층(20)이 인접하는 면(제1 시트면(11))과는 반대의 면인 제2 면(12)(이하, 「제2 시트면(12)」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이 의도치 못한 개소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2 시트면(12)측에는 점착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2 시트면(12)에, 점착제층(20)의 점착제가 스며나오지 않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복수의 카본 나노튜브가, 시트면 내의 일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정렬된 구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가 시트면 내의 일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란, 카본 나노튜브가 시트면 내의 일 방향을 따라 정렬된 상태이며,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의 장축이, 시트면 내의 일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정렬된 상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정렬된 상태」란, 당해 정렬된 상태가 주류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카본 나노튜브의 장축이, 시트면 내의 일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정렬된 상태인 경우, 당해 정렬 상태가 주류라면, 일부의 카본 나노튜브는, 카본 나노튜브의 장축이, 시트면 내의 일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정렬된 상태가 아니어도 된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의 포레스트(카본 나노튜브를,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기판 위에 복수 성장시킨 성장체이며, 「어레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로부터, 분자간력에 의해 집합된 카본 나노튜브를 시트의 상태로 인출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JIS Z0237:2009의 8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가, 다른 어느 층(점착제층 및 그 밖의 임의의 층)의 파단 신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파단 신도가, 다른 어느 층의 파단 신도보다도 크면, 파단 신도가 큰 다른 재료를 별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점착 시트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가 당해 구조를 가짐으로써,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의 포레스트로부터의 인출에 의해 제조한 경우에는, 시트면 내의 일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의 카본 나노튜브가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균일하게 포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프리스탠딩(자립) 상태에서의 증기 등에 대한 폭로를 한 경우에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균일하게 포함되어 있는 카본 나노튜브가, 국소적으로 미세한 다발이 되어,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를 꼬아서 사상으로 한 사상체는,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이며, 이것을 다수 배열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된다.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의 평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 이상 3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15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의 평균 직경이란, 당해 구조의 외측의 원주의 평균 직경을 가리킨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고밀도화 처리가 실시된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에 당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도,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밀도화 처리」란,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를 번들링(카본 나노튜브 시트(10)를 구성하는 카본 나노튜브에 대하여, 근접하는 복수의 카본 나노튜브가 다발이 된 상태로 하는 것)하거나, 두께 방향의 카본 나노튜브의 존재 밀도를 높이거나 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에 고밀도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번들링을 실시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를 형성시켜도 된다.
고밀도화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상온 액체의 물질(예를 들어, 물, 알코올류(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케톤류(예를 들어,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등) 및 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 등)의 증기에, 프리스탠딩의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노출시키는(폭로하는) 처리에 의한 번들링 및 상온 액체의 물질의 입자(에어로졸)에, 프리스탠딩의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를 노출시키는 처리에 의한 번들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 등의 다른 시트에 접합된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상온 액체의 물질에 침지하거나, 상온 액체의 물질을 분무하거나 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상온 액체의 물질과 접촉시킨 후에 건조하여, 두께 방향의 카본 나노튜브의 존재 밀도를 높이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온 액체의 물질의 입자에 의해 번들링을 행하는 경우, 당해 상온 액체의 물질의 입자 직경은 5㎚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꼬아서 사상으로 한 사상체를, 다수 배열하여 시트상으로 하고, 카본 나노튜브가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를 형성시킨 시트여도 된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상기 사상체를 다수 배열하여 시트상으로 한 시트라면, 점착 시트(1)의 파단 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포레스트로부터 인출하여 제조된 시트가 복수 적층된 적층체여도 된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상기 적층체라면, 점착 시트(1)의 파단 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표면에, 점착제층(20)의 점착제가 스며나오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는 고밀도화 처리를 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복수 적층된 적층체여도 되고, 포레스트로부터 인출하여 제조된 시트가 복수 적층된 적층체를 고밀도화 처리해도 된다. 또한, 고밀도화 처리를 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복수 적층된 적층체를 재차 고밀도화 처리해도 된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증착, CVD, 스퍼터 처리, 분자선 애피택시, 이온 플레이팅, 액체 침투, 전기 도금, 무전해 도금, 증기 분무, 에어로졸 분무 및 잉크젯 인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다른 화합물(이하, 「게스트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과 복합화되어 있어도 된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다른 화합물의 복합화에 의해, 점착 시트의 강도를 높인다는 효과를 얻으면서, 점착 시트에 당해 다른 화합물에 기인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를 크게 할 수도 있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복합화에 사용되는 게스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류(예를 들어, 니켈 및 구리 등),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산화티타늄 및 알루미나 등), 비금속의 무기물(예를 들어, 규소 등) 및 당해 비금속의 무기물과 탄소 또는 질소 등과의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복합화된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게스트 화합물의 질량비는 0.5:99.5 내지 5: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질량비로 함으로써, 복합화된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게스트 화합물에 기인한 특성을 가지면서, 점착 시트 자체는 강인한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게스트 화합물의 질량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5:99.5 내지 3:9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99 내지 2:98이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두께는, 점착 시트(1)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 시트 배면(제2 시트면(12))으로부터의 점착제의 비어져나옴을 방지하면서, 점착 시트 전체의 얇음을 유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두께 t10(도 1 참조)은, 10㎚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카본 나노튜브 시트가 2㎛ 이하인 경우에는, 이러한 두께의 일반적인 재료,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등으로 기재 시트를 형성하는 것으로는, 점착 시트의 강도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점착 시트는, 이와 같이 기재 시트를 얇은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점착제층)
점착제층(20)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폴리비닐에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제층(20)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직쇄의 알킬기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나타내는 단어로서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유사 용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아크릴계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공중합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1')(이하, 「단량체 성분 (a1')」라고도 한다)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1) 및 관능기 함유 단량체 (a2')(이하, 「단량체 성분 (a2')」라고도 한다)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2)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성분 (a1') 및 단량체 성분 (a2') 이외의 그 밖의 단량체 성분 (a3')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a3)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단량체 성분 (a1')이 갖는 알킬기의 탄소수로서는, 점착 특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이다. 단량체 성분 (a1')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성분 (a1') 중에서도,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 (a1)의 함유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99.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97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이다.
단량체 성분 (a2')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물 단량체,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케토기 함유 단량체 및 알콕시실릴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성분 (a2') 중에서도,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와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고, (메트)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물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디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구성 단위 (a2)의 함유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5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이다.
단량체 성분 (a3')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미드(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및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구성 단위 (a3)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전체 구성 단위(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25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이다.
또한, 상술한 단량체 성분 (a1')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상술한 단량체 성분 (a2')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상술한 단량체 성분 (a3')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가교하는 경우에는, 단량체 성분 (a2')에서 유래하는 관능기를, 가교제와 반응하는 가교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을 구성하는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용매, 난연제,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방미제, 가소제, 소포제 및 습윤성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20)의 두께는, 점착 시트(1)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일반적으로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1 시트면(11)에 형성된 점착제층(20)의 두께 t20(도 1 참조)은, 3㎛ 이상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0㎛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되지만, 예를 들어 점착 시트 전체의 두께를 작게 함과 함께, 충분한 접착성을 얻는 관점에서, t20은, 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 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점착 시트(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점착 시트(1)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먼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 등의 기판 위에 카본 나노튜브의 포레스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형성된 포레스트의 단부를 비틀어, 핀셋 등으로 인출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제작한다. 필요에 따라, 제작된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대하여 고밀도화 처리를 실시한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는 별도로, 점착제층을 제작한다. 먼저, 박리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막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제작된 점착제층의 한쪽의 면에,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한쪽의 면을 접합한다. 그 후, 박리 시트를 박리하면, 점착 시트(1)가 얻어진다.
종래, 점착 시트에 있어서, 종이 또는 수지 필름(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기재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이 또는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기재 시트에서는, 얇게 하면 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점착제층(20)과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적층체인 본 실시 형태의 점착 시트(1)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를 기재로서 이용하고 있음으로써, 기재가 얇고, 강도가 높은 점착 시트가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점착 시트(1)는 기재가 얇기 때문에, 점착제층(20)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어, 높은 점착성을 갖는 점착 시트를 얻는 것이 용이하다.
〔실시 형태의 변형〕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이나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 등과 동일하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 시트(10) 및 점착제층(20) 중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박리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 시트여도 된다.
도 2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20)의 제2 면(22)(이하, 「제2 점착면(22)」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위에 박리층(30)이 적층된, 점착 시트(1A)가 도시되어 있다.
박리층(30)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취급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박리층(30)은, 박리 기재와, 박리 기재 위에 박리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박리제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층(30)은, 박리 기재의 편면에만 박리제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박리 기재의 양면에 박리제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박리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종이 기재, 이 종이 기재에 폴리에틸렌 등의 열 가소성 수지를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지 및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종이 기재로서는, 글라신지, 코팅지 및 캐스트 코팅지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제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고무계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부타디엔계 수지, 이소프렌계 수지 등), 장쇄 알킬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층(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 20㎛ 이상 200㎛ 이하이고, 25㎛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박리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경우, 박리제층의 두께는 0.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이상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기재로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3㎛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와 점착제층(20)이 인접하며, 또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2 시트면(12) 위에 부착 방지층을 갖는 점착 시트여도 된다.
도 3에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2 시트면(12) 위에 부착 방지층(40)이 적층되고, 점착제층의 제2 점착면(22) 위에 박리층(30)이 적층된, 점착 시트(1B)가 도시되어 있다. 점착 시트(1B)에 있어서, 부착 방지층(40)은,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의도치 못한 개소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부착 방지층(40)은,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보호층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점착 시트(1B)의 파단 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 시트(1B)에 있어서, 박리층(30)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박리층을 적용할 수 있다.
부착 방지층(40)을 형성하는 부착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로서는, 종이, 수지 필름,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한 화합물 및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부착 방지층(4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시트가 부착 방지층을 갖는 경우, 점착 시트의 전체 두께는 부착 방지층을 포함하는 두께이다.
또한 예를 들어,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와 점착제층(20) 사이에 부착 방지층을 갖는 점착 시트여도 된다.
도 4에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와 점착제층(20) 사이에 부착 방지층(40)을 갖고, 점착제층의 제2 점착면(22) 위에 박리층(30)이 적층된, 점착 시트(1C)가 도시되어 있다. 점착 시트(1C)에 있어서, 부착 방지층(40)은, 점착제층(20)의 점착제가,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에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의도치 못한 개소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점착 시트(1C)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와 점착제층(20) 사이에 부착 방지층(40)을 가짐으로써, 점착력을 상기한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점착 시트(1C)의 파단 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 시트(1C)에 있어서, 박리층(30) 및 부착 방지층(40)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점착제층(20)보다도 점착성이 낮은 점착제층을 사용해도 된다.
점착 시트(1C)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2 면 위에도 박리층(30)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점착제층(20)의 점착제가, 카본 나노튜브 시트(10)를 통해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표면에 스며나온 점착 시트여도 된다. 점착제층(20)의 점착제가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표면에 스며나옴으로써, 양면 점착성의 시트가 된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2 시트면(12)에, 점착제층(20)과는 상이한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10)의 제2 시트면(12)에, 점착제층(20)의 점착제가 스며나오지 않는 구성이어도 되고, 스며나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점착 시트는, 용도에 따라, 편면 점착성 또는 양면 점착성으로 할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10)가, 게스트 화합물과 복합화된 시트인 경우, 게스트 화합물의 충전량을 조정하여 점착제의 스며나옴의 정도를 조정하고, 카본 나노튜브 시트(10) 표면의 태크를 제어함으로써도, 적절히, 점착 시트를 편면 점착성으로 제어하거나, 양면 점착성으로 설계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제작>
(카본 나노튜브 포레스트의 조제)
캐리어 가스로서 아르곤 가스, 탄소원으로서 아세틸렌을 사용한, 3개의 노를 구비하는 열 CVD 장치를 사용하여, 촉매 화학 기상 증착법에 의해, 분할된 6인치 실리콘 웨이퍼 위에 카본 나노튜브 포레스트를 형성했다. 카본 나노튜브 포레스트의 높이는 300㎛였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형성)
카본 나노튜브 포레스트의 단부를 비틀어, 핀셋으로 인출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생성시켰다.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2개의 평행한 지지 막대(구리 막대, 직경 2㎜)에 자기 점착성에 의해 걸고, 잉여부를 절단하여 2개의 지지 막대 사이에 덮여 있는 프리스탠딩(자립성)의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얻었다. 이것을, 박리층으로서의 박리 시트(두께 25㎛의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필름(AIRTECH사제, A4000W))의 면 위로 다시 옮겼다. 당해 박리층으로서의 박리 시트 위의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별도 준비한, 2개의 지지 막대 사이에 덮여 있는 프리스탠딩의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중첩했다. 이 수순(적층)을 반복하여, 5층의 카본 나노튜브 시트가 적층된 적층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얻었다. 적층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스프레이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분무한 후, 자연스럽게 휘발시켜, 적층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고밀도화 처리를 행했다. 고밀도화 처리된 적층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두께는 0.2㎛였다.
<점착제층의 제작>
아크릴산 2-에틸헥실 40질량부, 아세트산비닐 40질량부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20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액(중량 평균 분자량: 70만, 유리 전이 온도: -60℃, 농도: 40질량%) 100질량부(고형분비, 이하 동일함)에, 도요켐사제의 BHS8515의 1질량부를 가교제로서 첨가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도공액을 조제했다.
박리층으로서의 박리 시트(린텍 가부시끼가이샤제 SP-PET381031)의 한쪽의 면 위에 상기한 도공액을 도포하고, 나이프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8㎛의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점착 시트의 제조>
상기 적층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노출면(박리층으로서의 박리 시트와 인접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과, 상기 점착제층의 노출면(박리층으로서의 박리 시트와 인접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을 접합하여, 박리층을 갖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점착 시트의 박리층을 제외한 전체 두께는 8.2㎛였다.
[비교예 1]
<PMMA 필름의 제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알드리치·시그마사제, 중량 평균 분자량: 150,000)를 용매로서의 아세트산에틸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아세트산에틸과 톨루엔의 질량비가 50:50인 용매)에 용해시켜, 박리 시트로서의 도요보사제 PET50A-4100의 평활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 0.2㎛의 PMMA 필름을 얻었다.
<점착제층의 제작>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을 얻었다.
<점착 시트의 제조>
상기 PMMA 필름의 노출면(박리 시트와 인접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과, 상기 점착제층의 노출면을 접합한 후, PMMA 필름에 적층되어 있는 박리 시트를 제거함으로써 점착 시트를 얻었다. 점착 시트의 전체 두께는 8.2㎛였다.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의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점착 시트를 폭 24㎜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으로 하고, JIS Z0237:2009의 8의 시험 방법에 따라,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인출한 방향에 있어서 점착 시트를 인장하여, 신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91532866-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점착 시트는, 비교예 1의 점착 시트에 비하여, 전체 두께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강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곤포, 밀봉, 결속, 눈 메우기, 마스킹, 의장성의 부여, 소형의 물품에 내장되는 부품의 부착 및 피부의 창상흔의 은폐 등, 점착 시트로서의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9)

  1. 점착 시트이며,
    상기 점착 시트는,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아크릴계 점착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복수의 카본 나노튜브가 시트의 면 내의 일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정렬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점착 시트의 파단 신도가 10% 이상이고,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상온 액체의 물질의 증기 또는 입자에, 프리스탠딩의 카본 나노튜브 시트를 노출시키는 처리가 실시된 시트인,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파단 신도가, 다른 어느 층의 파단 신도보다도 큰,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전체 두께가 10㎛ 이하인,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이 인접하며, 또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상기 점착제층이 인접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 위에, 부착 방지층을 갖는, 점착 시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부착 방지층을 갖는, 점착 시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상기 카본 나노튜브가 평균 직경 1㎛ 이상 300㎛ 이하인 섬유상으로 집합된 구조를 갖는, 점착 시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는, 증착, CVD, 스퍼터 처리, 분자선 애피택시, 이온 플레이팅, 액체 침투, 전기 도금, 무전해 도금, 증기 분무, 에어로졸 분무 및 잉크젯 인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다른 화합물과 복합화된, 점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화된 카본 나노튜브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 시트와 상기 다른 화합물의 질량비는 0.5:99.5 내지 5:95인, 점착 시트.
  9. 삭제
KR1020177026478A 2015-02-23 2016-02-23 점착 시트 KR102499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9420P 2015-02-23 2015-02-23
US62/119,420 2015-02-23
PCT/JP2016/055128 WO2016136686A1 (ja) 2015-02-23 2016-02-23 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935A KR20170126935A (ko) 2017-11-20
KR102499456B1 true KR102499456B1 (ko) 2023-02-14

Family

ID=5678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478A KR102499456B1 (ko) 2015-02-23 2016-02-23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86637B2 (ko)
EP (1) EP3263331B1 (ko)
JP (1) JP6770503B2 (ko)
KR (1) KR102499456B1 (ko)
CN (1) CN107249881B (ko)
AU (1) AU2016224711B2 (ko)
TW (1) TWI732749B (ko)
WO (1) WO2016136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4229B2 (ja) 2015-09-14 2020-06-03 リンテック オブ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Lintec of America, Inc. 柔軟性シート、熱伝導部材、導電性部材、帯電防止部材、発熱体、電磁波遮蔽体、及び柔軟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WO2018042783A1 (ja) * 2016-08-31 2019-07-11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導電部材、導電性成形体、電気・電子関連部材、導電性組成物、および導電部材の製造方法
JP2021035770A (ja) * 2020-10-28 2021-03-04 リンテック オブ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Lintec of America, Inc. 接着剤と1つ又は複数のナノファイバーシートとを備える複数層複合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5771A (ja) * 2004-07-29 2006-02-09 Takiron Co Ltd 導電層転写シート
JP2008523254A (ja) * 2004-11-09 2008-07-03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キサス システム ナノファイバーのリボンおよびシートならびにナノファイバーの撚り糸および無撚り糸の製造および適用
JP2010116317A (ja) * 2008-11-14 2010-05-27 Qinghua Univ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3615B (zh) 2004-11-04 2014-12-01 Taiwan Semiconductor Mfg Co Ltd 以奈米管為基礎之具方向性導電黏著
US20120289112A1 (en) * 2006-03-31 2012-11-15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Carbon nanotube reinforced adhesive
JP2008169267A (ja) * 2007-01-10 2008-07-24 Sumitomo Electric Ind Ltd 放熱材とその製造方法
CN101239712B (zh) 2007-02-09 2010-05-26 清华大学 碳纳米管薄膜结构及其制备方法
CN101323759B (zh) 2007-06-15 2014-10-08 清华大学 导电胶带及其制造方法
CN101464764B (zh) 2007-12-21 2012-07-18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64765B (zh) 2007-12-21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及显示装置
JP4589439B2 (ja) * 2008-02-01 2010-12-01 ツィンファ ユニバーシティ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物の製造方法
WO2009107846A1 (ja) * 2008-02-29 2009-09-0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膜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20955B (zh) 2009-06-09 2012-09-19 清华大学 碳纳米管膜保护结构及其制备方法
JP5577089B2 (ja) 2009-12-25 2014-08-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構造体および粘着部材
WO2011106109A2 (en) * 2010-01-07 2011-09-01 University Of Hawaii Nanotape and nanocarpet materials
JP5758647B2 (ja) * 2011-02-17 2015-08-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5686436B2 (ja) 2011-03-31 2015-03-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5788731B2 (ja) * 2011-07-29 2015-10-0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高熱伝導性粘着テープ基材用二軸延伸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高熱伝導性粘着テープ
JP5818561B2 (ja) 2011-08-01 2015-11-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黒色箔状粘着剤および黒色粘着シート
KR101337958B1 (ko) * 2012-02-07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파 차폐용 복합재와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5771A (ja) * 2004-07-29 2006-02-09 Takiron Co Ltd 導電層転写シート
JP2008523254A (ja) * 2004-11-09 2008-07-03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キサス システム ナノファイバーのリボンおよびシートならびにナノファイバーの撚り糸および無撚り糸の製造および適用
JP2010116317A (ja) * 2008-11-14 2010-05-27 Qinghua Univ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6637B2 (en) 2019-05-14
AU2016224711A1 (en) 2017-09-28
US20180043665A1 (en) 2018-02-15
CN107249881A (zh) 2017-10-13
CN107249881B (zh) 2020-07-31
JPWO2016136686A1 (ja) 2017-11-30
EP3263331A4 (en) 2018-10-03
JP6770503B2 (ja) 2020-10-14
AU2016224711B2 (en) 2019-08-01
KR20170126935A (ko) 2017-11-20
EP3263331A1 (en) 2018-01-03
TWI732749B (zh) 2021-07-11
EP3263331B1 (en) 2022-03-30
WO2016136686A1 (ja) 2016-09-01
TW201704400A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456B1 (ko) 점착 시트
KR101318370B1 (ko) 박리 시트 및 점착체
JP6970022B2 (ja) 極薄バリア積層体及びデバイス
KR20150065684A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WO2015152346A1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14478A (ja) 粘着シート、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2017075307A (ja) セパレーター付き粘着テープおよびセパレーター
US20100215881A1 (en)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ed for electronic components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20220204816A1 (en) Waterproof Cover
WO2004092293A1 (ja) 粘着加工シート
JP2016190326A (ja)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8135432A (ja) 揮発性薬剤含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170446A1 (ja) 両面粘着シート
JP2015193688A (ja) 薬液処理用保護シート
KR102548028B1 (ko) 필름상 적층체, 및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
JP7091143B2 (ja) 剥離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ープ
KR102392846B1 (ko) 카본 나노튜브 시트의 개질 방법, 개질된 카본 나노튜브 시트,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점착 시트
WO2018139520A1 (ja) 極低温保管用ラベル、及び極低温保管用ラベルの使用方法
JP4378179B2 (ja)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体
JP4726417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22035313A (ja) 剥離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TW202144518A (zh) 附隔離件之黏著體
JP2002249738A (ja) 剥離ライナー付き加熱接着シート
JP2008049487A (ja) 化粧シート
WO2016068196A1 (ja)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