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738B1 - Sole structure of shoe - Google Patents

Sole structure of sho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738B1
KR102425738B1 KR1020200148024A KR20200148024A KR102425738B1 KR 102425738 B1 KR102425738 B1 KR 102425738B1 KR 1020200148024 A KR1020200148024 A KR 1020200148024A KR 20200148024 A KR20200148024 A KR 20200148024A KR 102425738 B1 KR102425738 B1 KR 10242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flange portion
region
sole reg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1727A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김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호 filed Critical 김중호
Priority to KR102020014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7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6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7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7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Abstract

신발의 밑창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신발의 밑창 구조는, 베이스 바디,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플랜지부 및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제1 플랜지부와 연결되는 제2 플랜지부가 구비된 아웃솔; 아웃솔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앞쪽 발바닥 영역과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뒤쪽 발바닥 영역이 구비된 미드솔; 및 미드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패드 부재를 포함하고, 앞쪽 발바닥 영역의 베이스 바디의 폭 길이는 뒤쪽 발바닥 영역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연장 폭 길이를 갖고, 연장 폭 길이는 사용자의 측저근막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ole structure of a shoe is disclosed. The sole structure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dy, a first flang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a second flang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portion equipped outsole; a midsol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and having a front sole region in which a first flange portion is provided and a rear sole region in which a second flange portion is provided; and a pad member provided on the midsole, wherein the width length of the base body of the front sole region has an extended width length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rear sole region, and the extended width length is provided in the user's lateral plantar fascia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Description

신발의 밑창 구조{SOLE STRUCTURE OF SHOE}SOLE STRUCTURE OF SHOE

본 발명은, 밑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의 밑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e structure of a shoe that can be worn comfortably by stably supporting a user's sole.

무릎 관절은 인간이 네 발로 지탱해야하는 몸의 무게를 두발로 지탱하고도 쓰러지지 않고 직립 및 보행이 가능하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부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조금씩 움직이며 체중이 무릎관절의 중심을 벗어나지 않도록 조절해 주는 부위이다.The knee joint is a part that balances the weight of the body that a human needs to support on all fours and allows for upright and walking without falling down even with two feet. Therefore, it moves little by little even when we are not conscious of it, and it is a part that controls the weight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center of the knee joint.

하지만, 무릅 관절은 지속적으로 체중을 받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퇴행성 변화가 가장 잘 발생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퇴행성 변화 또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릎 관절 질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However, the knee joint is also the area most prone to degenerative changes with age because it continuously receives weight. The types of knee joint diseases caused by such degenerative changes or external shocks are as follows.

과격한 운동 또는 과체중, 외상 등에 의해서 무릎에 있는 반월상 연골에 균열이 발생하는 반월상 연골손상, 강한 충격 또는 과도한 관절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무릎 인대손상, 젊은 여성에게 자주 발생하는 슬개골 연골 연화증, 무릎 관절에 있는 점액낭에 염증이 생기는 점액낭염 등이 무릎관절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다.Meniscal damage caused by cracks in the meniscus in the knee due to excessive exercise, overweight, or trauma, knee ligament damage caused by strong impact or excessive joint rotation Bursitis, an inflammation of the bursa in the knee joint, is a frequent disease of the knee joint.

관절염의 치료는 통증경감, 관절유연성 증가를 목적으로 하지만 원천적인 발병의 원인을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완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지속적인 물리치료, 약물요법, 체중감소 등을 통해 통증 및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한 관절염은 수술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일예로서, 무릎관절 전치환술은 심각한 관절염이 있는 무릎관절을 제거하고 새로운 관절을 이식한다. 무릎 관절염 환자는 통증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치료를 지속적으로 장시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치료의 번거로움과 그 비용부담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통증의 고통을 감수하며 생활한다.Although the treatment of arthritis aims to relieve pain and increase joint flexibil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ure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original cause of the disease. If symptoms are mild, pain and symptoms can be relieved through continuous physical therapy, drug therapy, and weight loss, and arthritis with severe symptoms can be alleviated through surgery. As an example, total knee arthroplasty removes a knee joint with severe arthritis and implants a new joint. Knee arthritis patients need to receive these treatments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in order to be freed from pain. However, due to the cumbersome treatment and cost burden, many people do not receive proper treatment and live with pain and suffering.

인체가 양발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체의 무게 중심선이 양발 사이의 가운데를 지나기 때문에 무릎관절의 바깥쪽보다 안쪽에 더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보행중의 한발지지 시는 지면 반력선이 발중심과 골반중심을 지나기 때문에 몸무게에 의한 지면반력이 무릎의 중심으로부터 몸의 내측으로 편향되어 작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양발지지 시보다 더 큰 압축하중이 무릎 내측에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회내운동으로 인해 정강이와 대퇴가 무릎의 안쪽으로 회전함으로써 내측 무릎관절면에 하중이 가중되는 동작이 보행 중에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기계적인 현상이 누적되면 40대 이후부터는 하지 근력강화운동을 하지 않으면 점차적으로 O자 다리 형태로 변형되며, 발목의 배측굴곡 관절가동범위도 줄어들어 보속과 보폭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human body supports both feet, a greater load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knee joint than the outside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passes through the middle between the feet. In addition, when one foot is supported while walk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is deflected to the inside of the body from the center of the knee and acts because the ground reaction force lin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oot and the center of the pelvis. Therefore, a larger compressive load acts on the inside of the knee than when supporting both feet. Due to this pronation movement, the shin and femur rotate inward of the knee, so that the load on the medial knee joint surface is increased repeatedly during walking. If these mechanical phenomena are accumulated, after the age of 40, if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s are not performed, the leg i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n O-shaped leg, and the dorsiflexion joint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is also reduced, resulting in decreased stride length and stride length.

이러한 무릎 관절 질환 발생빈도는 전체 인구의 12%, 60세 이상의 60%, 75세 이상의 80% 가량이 무릎 관절 질환을 앓고있다.The incidence of such knee joint disease is 12% of the total population, 60% over 60 years old, and about 80% over 75 years old suffer from knee joint disease.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출산과 무릎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생활패턴 및 매월 월경의 생리적인 변화 등으로 인해 남자들보다 무릎관절염의 발생연령이 낮고 그 빈도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 65세를 전후로 다리가 O자 다리로 휘어져 안짱 걸음을 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omen, the incidence of knee arthritis is lower and the frequency is higher than that of men due to childbirth, a lifestyle that uses the knee joint a lot, and physiological changes every month. It bends and walks unsteadily.

전술한 질환이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정형제화의 안창이나 신발 밑창의 바깥면에 쇄기를 덧대줌으로써 신발을 신고 지면에 발을 디디면 안창과 밑창의 기울기에 따라 발과 다리 자체가 안쪽으로 쏠리게 하고 무릎 관절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유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eases or problems, when you put your foot on the ground while wearing shoes by adding a claw to the insole of orthopedic shoes or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shoe, the foot and the leg itself will lean inwar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insole and the sole, and the knee A method of inducing a rotational force that moves the joint inward is use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보행시 신발 밑창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발이 내측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전단력이 발생하고,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 무릎과 발목에 과도한 힘을 주게 되어 오히려 발의 안쪽 부위와 무릎에 강한 하중이 작용하여 더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method, a shear force is generated because the foot slides inwar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sole of the shoe during walking, and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knee and ankle to prevent the foot from slipping, and rather a strong load on the inner part of the foot and the knee. There is a problem that is made worse by this action.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49077호(원종칠) 2019. 11. 20.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49077 (Jongchil Won) 2019. 11. 2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의 밑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 structure of a shoe that can be worn comfortably by stably supporting the sole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연결되는 제2 플랜지부가 구비된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앞쪽 발바닥 영역과 상기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뒤쪽 발바닥 영역이 구비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패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의 폭 길이는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연장 폭 길이를 갖고, 상기 연장 폭 길이는 사용자의 측저근막 방향으로 마련되는 신발의 밑창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body, a first flang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a second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portion Outsole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a midsole disposed on the outsole and having a front sole area in which the first flange part is provided and a rear sole area in which the second flange part is provided; and a pad member provided on the midsole, wherein the width length of the base body in the front sole region has an extended width length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rear sole region, and the extended width length is the user's side bottom A sole structure of the shoe provided in the fascia direction may be provided.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바닥 방향으로 함몰된 경계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flange portion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flange portion, and a boundary portion recessed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base body may be provided in a region in which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contact each other.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며 줄무늬 형상을 갖는 제1 무늬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과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 사이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며 격자무늬 형상을 갖는 제2 무늬부; 및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제3 무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sole may include: a first pattern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body of the front sole region and having a stripe shape; a second pattern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body between the front sole region and the rear sole region and having a grid pattern shape; and a third pattern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body of the rear sole region.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에서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까지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딱딱한 경질 재질로 마련되는 경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dsole may include a base portion provided from the front sole region to the rear sole region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 elastic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user's foot so as to be disposed in the front sole region; and a hardening par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to be disposed in the rear sole area and made of a hard material harder than the base part.

상기 경화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탄성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hardening part may be provid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se part and the elastic par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앞쪽 발바닥 영역의 베이스 바디의 폭 길이는 뒤쪽 발바닥 영역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연장 폭 길이를 갖고, 연장 폭 길이는 사용자의 측저근막 방향으로 마련됨과 아울러 아웃솔이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length of the base body of the front sole region has an extended width length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rear sole region, and the extended width length is provided in the user's lateral plantar fascia direction, and the outsole is the first plan By providing the branch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the user's sole can be stably supported and worn comfort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밑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웃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미드솔의 측면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ole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ole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
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4 .
7 is a side view of the midsole shown in FIG. 2 ;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밑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웃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미드솔의 측면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sole of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sole shown in FIG. 1,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 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4 ,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midsole shown in FIG. 2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밑창 구조(1)는, 아웃솔(100)과, 아웃솔(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드솔(200)과, 미드솔(200)의 상부에 마련되는 패드 부재(3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ole structure 1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utsole 100 , a midsole 200 disposed on the outsole 100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idsole 200 . The provided pad member 300 is provided.

아웃솔(100)은, 땅바닥에 직접 닿은 부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플랜지부(120)와,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제1 플랜지부(120)와 연결되는 제2 플랜지부(130)를 포함한다.The outsole 100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s shown in FIG. 3 , the base body 110 and the first flange part 120 provided to protrude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 and a second flange portion 130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and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portion 120 .

아웃솔(100)의 베이스 바디(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발바닥 영역의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되며 줄무늬 형상을 갖는 제1 무늬부(150)와, 앞쪽 발바닥 영역과 뒤쪽 발바닥 영역 사이의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되며 격자무늬 형상을 갖는 제2 무늬부(160)와, 뒤쪽 발바닥 영역의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되는 제3 무늬부(170)를 포함한다.The base body 110 of the outsole 100, as shown in FIG. 4, is provided on the base body 110 of the front sole region and has a first pattern portion 150 having a stripe shape, the front sole region and the rear It includes a second pattern portion 160 provided on the base body 110 between the sole regions and having a grid pattern shape, and a third pattern portion 170 provided on the base body 110 of the rear sole region.

본 실시 예에서 제1 무늬부(150)가 마련된 영역의 베이스 바디(110)의 세로폭 길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무늬부(170)가 마련된 영역의 베이스 바디(110)의 세로폭 길이(L1) 보다 일정 길이 예를 들어 L2의 길이만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베이스 바디(110)의 앞쪽 발바닥 영역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 방향인 사용자의 측저근막 방향으로 일정 길이(L2)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양 무릎 사이가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틀어진 사용자의 발을 다시 정상 범위로 잡아주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vertical width of the base body 110 in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pattern portion 150 is provided is, as shown in FIG. 4 , the base body 110 in the region in which the third pattern portion 170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to be longer than the vertical width length L1, for example, by a length of L2.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 the front sole area of the base body 110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L2 in the user's lateral plantar fascia direction, which is the upper left direction.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guide the user's feet twisted outwar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knees is back to the normal rang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플랜지부(120)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110)의 영역의 높이(h2)는 제2 플랜지부(130)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110)의 영역 즉 뒤쪽 발바닥 영역의 높이(h1) 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앞쪽 발바닥을 베이스 바디(110)의 앞쪽 발바닥 영역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h2 of the area of the base body 110 provided with the first flange portion 120 is the area of the base body 110 provided with the second flange portion 130 , that is, the height of the rear sole area. It may be provided lower than (h1). In this case, the user's front sol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ole region of the base body 110,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hock applied to the user's heel can be buffered.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플랜지부(120)의 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랜지부(130)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고, 제1 플랜지부(120)와 제2 플랜지부(130)가 접하는 영역에는 베이스 바디(110)의 바닥 방향으로 함몰된 경계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first flange part 120 is provid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flange part 130 , as shown in FIG. 2 , and the first flange part 120 and the second flange part A boundary portion 140 recessed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base body 110 may be provided in the region where 130 contacts.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무늬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무늬부(160)는 사각형 격자 구조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무늬부(170)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attern portion 150, as shown in FIG. 4, may have a wave pattern shape, the second pattern portion 160 may have a rectangular grid structure shape, and the third pattern The portion 170 may have the shape shown in FIG. 4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10)의 저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부(180)와 돌출부(190)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a plurality of grooves 180 and protrusions 190 ar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ase body 110 in this embodiment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본 실시 예에서 아웃솔(100)은 PVC, EVA 또는 고무(RB)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sole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PVC, EVA, or rubber (RB).

미드솔(200)은, 쿠션을 위해 아웃솔(10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발바닥 영역에서 뒤쪽 발바닥 영역까지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10)의 상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210)와, 앞쪽 발바닥 영역에 배치되도록 베이스부(2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220)와, 뒤쪽 발바닥 영역에 배치되도록 베이스부(210)의 저면부에 마련되며 베이스부(210)보다 딱딱한 경질 재질로 마련되는 경화부(230)를 포함한다.The midsole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100 for cushioning. As shown in FIG. 2 , the midsole 200 is provided from the front sole area to the rear sole area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 The part 210, the elastic part 22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210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user's foot so as to be disposed in the front sole reg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210 to be arranged in the rear sole region It is provided on the part and includes a hardening part 230 made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base part 210 .

미드솔(200)의 베이스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20)가 상부에 결합되는 발바닥부(211)와, 경화부(230)가 저면부에 결합되는 뒤꿈치부(212)를 포함하고, 양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210 of the midsole 200 is, as shown in FIG. 7 , the sole portion 211 to which the elastic portion 2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to which the hardening portion 230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12 , both of which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or similar thickness.

본 실시 예에서 경화부(230)의 두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 및 탄성부(220)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hardening part 230 may be provid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es of the base part 210 and the elastic part 220, as shown in FIG. 7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10), 탄성부(220) 및 경화부(230)를 종이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se part 210, the elastic part 220, and the hardening part 23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including paper.

패드 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가죽이나 천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pad memb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midsole 200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leather or cloth.

본 실시 예에서 패드 부재(300)는 미드솔(200)의 상면부에 박음질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d member 300 may be stit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쪽 발바닥 영역의 베이스 바디의 폭 길이는 뒤쪽 발바닥 영역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연장 폭 길이를 갖고, 연장 폭 길이는 사용자의 측저근막 방향으로 마련됨과 아울러 아웃솔이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length of the base body of the front sole region has an extended width length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rear sole region, and the extended width length is provided in the user's lateral plantar fascia direction and the outsole is By providing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ole of the user's sole and wear it comfortab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신발의 밑창 구조
100 : 아웃솔 110 : 베이스 바디
120 : 제1 플랜지부 130 : 제2 플랜지부
140 : 경계부 150 : 제1 무늬부
160 : 제2 무늬부 170 : 제3 무늬부
180 : 홈부 190 : 돌출부
200 : 미드솔 210 : 베이스부
211 : 발바닥부 212 : 뒤꿈치부
220 : 탄성부 230 : 경화부
300 : 패드 부재
1: structure of the sole of the shoe
100: outsole 110: base body
120: first flange portion 130: second flange portion
140: border 150: first pattern portion
160: second pattern portion 170: third pattern portion
180: groove 190: protrusion
200: midsole 210: base part
211: sole 212: heel
220: elastic part 230: hardening part
300: no pad

Claims (5)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연결되는 제2 플랜지부가 구비된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앞쪽 발바닥 영역과 상기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뒤쪽 발바닥 영역이 구비된 미드솔; 및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마련되는 패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의 폭 길이는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의 폭 길이보다 연장된 연장 폭 길이를 갖고,
상기 연장 폭 길이는 사용자의 측저근막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바닥 방향으로 함몰된 경계부가 마련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며 줄무늬 형상을 갖는 제1 무늬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과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 사이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며 격자무늬 형상을 갖는 제2 무늬부; 및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제3 무늬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에서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까지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앞쪽 발바닥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뒤쪽 발바닥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딱딱한 경질 재질로 마련되는 경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탄성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된 상기 베이스 바디의 영역의 높이(h2)는 상기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된 상기 베이스 바디의 영역의 높이(h1) 보다 낮게 마련되는 신발의 밑창 구조.
an outsole having a base body, a first flang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a second flang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portion;
a midsole disposed on the outsole and having a front sole area in which the first flange part is provided and a rear sole area in which the second flange part is provided; and
It includes a pad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sole,
The width length of the base body of the front sole region has an extended width length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length of the rear sole region,
The extended width and length are provided in the user's lateral plantar fascia direction,
The height of the first flange portion is provid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flange portion, and a boundary portion recessed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base body is provided in an area in which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contact,
The outsole may include: a first pattern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body of the front sole region and having a stripe shape; a second pattern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body between the front sole region and the rear sole region and having a grid pattern shape; and a third pattern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body of the rear sole region,
The midsole may include a base portion provided from the front sole region to the rear sole region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 elastic par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user's foot so as to be disposed in the front sole region; and a hardening par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to be disposed in the rear sole area and made of a hard material harder than the base part,
The thickness of the hardening part is provid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se part and the elastic part,
The height h2 of the region of the base body provided with the first flange por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h1 of the region of the base body provided with the second flang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48024A 2020-11-06 2020-11-06 Sole structure of shoe KR102425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024A KR102425738B1 (en) 2020-11-06 2020-11-06 Sole structure of sho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024A KR102425738B1 (en) 2020-11-06 2020-11-06 Sole structure of sho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727A KR20220061727A (en) 2022-05-13
KR102425738B1 true KR102425738B1 (en) 2022-07-27

Family

ID=8158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024A KR102425738B1 (en) 2020-11-06 2020-11-06 Sole structure of sho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73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179Y1 (en) * 2003-09-03 2003-12-03 이재환 Bottom peice of shoe for air circulation
KR102123523B1 (en) * 2018-09-27 2020-06-16 (주) 보스산업 Sole for pain relie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357A (en) * 1981-06-01 1983-08-16 Stride Rite International, Ltd. Outsole
CN206744693U (en) * 2017-01-25 2017-12-15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Footwear sole construction
KR20170015862A (en) * 2017-01-31 2017-02-09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Light weight shoes
KR102049077B1 (en) 2019-04-04 2019-11-26 원종칠 Shoes insole for correcting unblanced posture of the bod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179Y1 (en) * 2003-09-03 2003-12-03 이재환 Bottom peice of shoe for air circulation
KR102123523B1 (en) * 2018-09-27 2020-06-16 (주) 보스산업 Sole for pain relie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727A (en)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1807B1 (en)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JP3942027B2 (en) Footwear sole
US5826351A (en) Shoe sole and shoe and sandal including the sole
KR101287391B1 (en) Shoe insole
US10678209B2 (en) Adjustable height sole
EP2816925B1 (en) Shoe with instep elastic insertion and insole with depressions
US10362811B2 (en) Sock with support assemblage
KR20210018435A (en) Shoe insole
US11576441B2 (en) Sock with support assemblage
US6238359B1 (en) Corrective shin splint insole
KR102425738B1 (en) Sole structure of shoe
KR20230170565A (en) Footwear
KR200428361Y1 (en) Multifunction shoe sole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US20230000203A1 (en) Footwear
KR101920227B1 (en) Shoe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thereof
KR100813803B1 (en) Multifunction sole
KR102595608B1 (en) Insole for footwear
CN218635428U (en) Foot-protecting and keeping-right shoes
KR102130147B1 (en) Functional insole
KR102338412B1 (en) Pads f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f the sole, insole including the same
JP5190574B2 (en) Insole for footwear
KR100928712B1 (en) Arch corrected shoes
KR20060035524A (en) Health rocking shoes.
KR101050949B1 (en) Functional footwear for degenerative knee 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