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144B1 -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 Google Patents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144B1
KR102281144B1 KR1020190107367A KR20190107367A KR102281144B1 KR 102281144 B1 KR102281144 B1 KR 102281144B1 KR 1020190107367 A KR1020190107367 A KR 1020190107367A KR 20190107367 A KR20190107367 A KR 20190107367A KR 102281144 B1 KR102281144 B1 KR 10228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terial
unit
lesion
sliding part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6502A (en
Inventor
박경택
위진홍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144B1/en
Publication of KR2021002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8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것으로,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iomaterial unit.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lesion for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during a surgical operation, and includes: a biomaterial in the form of a patch; a magnetic material that generates an external magnet and attractive forc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iomaterial, the hole for suturing being formed; and a suture for separably coupling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biomaterial to the biomaterial through a hole in the magnetic material and sutured to the biomaterial.

Description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본 발명은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그 바이오소재를 병소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a medical biomaterial unit that can be smoothly attached to the lesion for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and the biomaterial to a desired location of the lesion It relates to an applicator for attaching biomaterials that can be accurately and quickly attached to

현대의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바이오소재(biomaterials)중에서, 전 외과 영역에 많이 사용되는 hemostatic agent인 Tachosil®은 매우 강력한 지혈 및 조직 밀봉력이 있으나, 많은 외과 의사들, 특히 최소 침습적 외과 수술 집도의들은 Tachosil®(이하 '타코실'이라 함)을 부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Among biocompatible biomaterials used in modern surgical operations, Tachosil®, a hemostatic agent widely used in all surgical fields, has very strong hemostasis and tissue sealing properties, but many surgeons, especially those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Many people are having trouble attaching Tachosil® (hereafter referred to as 'Tachosil').

즉, 수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소 침습적 수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최소 침습적 수술이란 복강경, 흉강경 또는 로봇의 도움으로 작은 수술 절개 창을 통하여 수술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도모하는 수술 방법이다.In other words, due to the development of surgical technology,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widely used.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performed through a small surgical incision window with the help of laparoscopy, thoracoscopic surgery or a robot to reduce pain and promote rapid recovery after surgery. surgical method.

최소 침습적 수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hemostatic agents인 타코실은 출혈의 지혈, 봉합선의 보강, 이식 혈관의 밀봉, 부인과 수술의 장기 문합, 비뇨기과 수술의 요관 문합, 신장 부착 그리고 드러난 폐 표면, 폐 및 기관지 스테이플 선의 공기 누출 밀봉에 사용된다.Tacosil, an essential hemostatic agent used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used for hemostasis of bleeding, reinforcement of sutures, sealing of graft vessels, organ anastomosis in gynecological surgery, ureteral anastomosis in urology surgery, renal attachment, and exposed lung surface, lung and bronchial staples. Used to seal air leaks in lines.

고식적인 개흉술과 개복술의 경우는 광범위 수술 절개 창을 통하여 수술하기 때문에 집도의의 손 및 다양한 수술 기구를 이용할 수 있어서 Tachosil®을 도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최소 침습적 수술의 경우는 수술자의 손이 들어갈 수 없고 큰 기구는 통과할 수 없는 아주 작은 수술장을 통하여 수술이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thoracotomy and laparotomy, sin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wide surgical incision window, there is no difficulty in applying Tachosil® because the surgeon's hands and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can be used. However, in the case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very small operating room where the operator's hand cannot enter and large instruments cannot pass.

상기 타코실은 최소 침습적 수술 시 주로 그라스퍼 등의 수술용 집게로 집어서 이송하게 되는데, 약한 구조로 인하여 쉽게 부서지기도 한다. Tachosil®은 완전 부착이 이루어지기까지 3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여 중력에 거스르는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에, 기구로 전체 면을 고르게 눌러 펴 발라주듯이 붙여주어야 한다.The tacosil is mainly picked up and transported with surgical forceps such as Grasper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but is easily broken due to its weak structure. Tachosil® takes more than 3 minutes for complete adhesion, so if it is attached to a position against gravity, apply it evenly by pressing the entire surface with an instrument.

이 때, 타코실은, 집게에 수시로 들러 붙어 고르게 눌러주기가 힘들고, 집게 등을 회수할 때 일부분이 붙어 버려서 원치 않게 병소에 부착되지 않고 분리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은, 타코실의 성분명인 fibrin sealant patch에서 알 수 있듯이, 접착력이 우수하여 우수한 지혈 능력을 가지지만 기구에도 잘 달라 붙는 특성에 기인한다.At this time, the tacos seal often sticks to the tongs, making it difficult to press evenly, and when the tongs are recovered, a part is attached and discarded, so it is often separated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lesion undesirably. As can be seen from the fibrin sealant patch, which is the component name of Tacosil, this disadvantage is due to the excellent adhesion and hemostatic ability due to its excellent adhesion, but it also adheres well to the instrument.

또한, 우리 몸의 흉강, 복강은 타원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최소 침습적 개흉술은 주로 측와위(decubitus)의 자세로 환자가 수술대에 눕혀지게 되며, 최소 침습적 개복술은 바로 눕거나 측와위로 이루어지게 된다. 수술 중에 발생하는 출혈 병소 또는 공기 누출 병소 등이 모두 바른 평면의 기저 위치라면 중력을 이용하여 병소 위에 biomaterials를 도포하고 완전 부착까지 기다리면 되겠으나, 대부분의 수술 상황에서는 굴곡진 부위나 장기에 가려진 좁은 부위, 중력을 거스르는 부위에 병소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도포하기도 쉽지 않고, 어렵게 도포한 후에도 완전 부착이 되기까지 일정 시간 동안 골고루 펴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조작 중에 떨어져 버리거나 뭉쳐지는 등의 어려움이 항상 발생한다.In addition, the chest cavity and abdominal cavity of our body consist of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In minimally invasive thoracotomy, the patient is usually placed on the operating table in a decubitus position, and in minimally invasive laparotomy, the patient lies straight down or in a lateral position. If all bleeding lesions or air leak lesions occurring during surgery are in a flat base position, apply biomaterials on the lesion using gravity and wait for complete attachment. However, in most surgical situations, curved or narrow areas covered by organs , It is not easy to apply due to the presence of a lesion in a part that resists gravity, and even after applying it with difficulty, it must be spread eve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til it is fully adhered, so difficulties such as falling off or clumping during operation always occur.

즉, 상기 타코실은,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병소에 완전히 부착되기 전까지 거즈(A)와 기구(B)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시술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누르기 위해 사용하는 거즈(A) 또는 기구(B)에 들러 붙는 성질 때문에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That is, the tacosil, as shown well in FIG. 1, causes discomfort to the operator because it has to be continuously pressed by gauze (A) and instrument (B) until it is completely attached to the lesion, and the gauze used to press Due to the property of adhering to (A) or the device (B), it caused a problem that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could not be smoothly perform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10-1937052호 발명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경우 바이오소재와 자석 유닛이 점착층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자석 유닛의 바이오소재에 대한 분리가 원활하지 않은 개선점이 있었고, 어플리케이터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자석 유닛을 흡착한 상태에서 그 흡입력을 제거한 후 자석의 척력으로 바이오소재를 병소에 부착시키는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공기 흡입 구조 설계의 어려움 등이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로 지적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ion of registration number 10-1937052 appli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developed, but in the case of such a medical biomaterial unit, the biomaterial and the magnet unit are combined by an adhesive layer, so that the magnet unit There was an improvement that the separation of the biomaterial was not smooth, and the method of attaching the biomaterial to the lesion with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 after removing the suction force in the state that the applicator sucked air and adsorbed the magnetic unit was applied, so air intake Difficulties in structural design were pointed out as problems to be improv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762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876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3705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93705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혈이나 밀봉이 요구되는 병소에 신속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여, 시술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바이오소재와 그 바이오소재를 병소까지 운반하여 주기 위한 운반수단 간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rapid and accurate attachment to a lesion requiring hemostasis or sealing,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or's convenience and providing high-quality medical ca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biomaterial unit that enables the provision of services and enables rapid and accurate separation between the biomaterial and the transport means for transporting the biomaterial to the le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오소재를 병소에 신속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하고 구조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that allows the biomaterial to be quickly and accurately attached to the lesion and to achieve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것으로,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tached to the lesion for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during a surgical operation, comprising: a biomaterial in the form of a patch; a magnetic material that generates an external magnet and attractive forc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iomaterial, the hole for suturing being formed; and a suture for separably coupling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biomaterial to the biomaterial through a hole in the magnetic material and sutured to the biomaterial.

상기 봉합사는 생체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ture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ioabsorption.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자성체를 수용시키기 위한 포켓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합사에 의해 상기 자성체에 봉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포셉(forceps)에 의한 파지를 원활하게 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필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a pocket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gnetic body is formed, a cover part that is sutured to the magnetic body by the suture thread, and a cover part extending from the cover part to be gripped by forcep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lm having a gripper for smoothing the .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동력을 인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작동바;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위치결정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ving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described above to the lesion side, the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 sliding part which is installed movably in the through hol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o apply power to the sliding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an operation bar having a manip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sliding unit; a positioning pin that is selectively caught in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of the sliding part and is elastically pressed by a spring; and the sliding part is coupled to a position facing the biomaterial unit to generate attractive force in the magnetic body of the biomaterial unit to move the biomaterial unit to the lesion, and after movement, the attractive force according to the retreating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and a magnet separated from the biomaterial unit by releas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작동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록킹편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레버측 스프링에 의해 상기 일측이 타측에 대해 탄성 가압되는 회전레버;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 및 상기 작동바를 자성체와 자석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And, the biomaterial attachment appl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ving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described above to the lesion side, the main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 operation bar which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main body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includes a sliding part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therein;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one side has a locking piece that is selectively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of the slid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enable a user's operation, and the one side by a lever side spring a rotary lever that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other side; The sliding part is coupled to a position facing the biomaterial unit to generate attractive force in the magnetic body of the biomaterial unit to move the biomaterial unit to the lesion, and release the attractive force according to the retreating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after movement a magnet separated from the biomaterial unit by and a body-side spring installed in the body to elastically press the operation b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 are separa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지혈이나 밀봉시 사용되는 타코실과 같은 바이오소재에, 자성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이오소재를 자석(자성체와 인력 작용)이 탑재된 어플리케이터(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지혈이나 밀봉이 요구되는 병소 측에 접근시킨 이후 상기 자성체와 자석 간의 인력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거쳐 병소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바이오소재가 바이오소재 운반수단(어플리케이터)에 들러 붙지 않고 신속ㆍ정확하게 병소에 부착될 수 있게 하여, 바이오소재의 손상 없이 지혈 등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이 시술자의 편리성 및 시술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a magnetic material is separably coupled to a biomaterial such as a tacosyl used for hemostasis or sealing, so that the biomaterial is an applicator equipped with a magnet (magnetic and attractive force) After approaching the lesion side requiring hemostasis or sealing using an (auxiliary device), the biomaterial can be attached to the lesion through a process of releasing the attraction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 so that the biomaterial is a biomaterial transport means (applicator)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the precision of the procedure, such as allowing it to be quickly and accurately attached to the lesion without adhering to the lesion, so that hemostasis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smoothly without damage to the biomaterial. .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자성체와 자석 간의 인력 작용 및 인력 해제를 통해, 바이오소재의 병소까지의 접근 및 바이오소재와 그 바이오소재의 운반수단 간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이룰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achieve the approach to the lesion of the biomaterial and the separation between the biomaterial and the transportation means of the biomaterial through the attraction action and release of the attraction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provision of quality medical service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바이오소재 부착 유닛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인 자성체와 필름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바이오소재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blems of the biomaterial attachment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gnetic material and a film, which are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VI-VI of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material attachment process using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order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iques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of course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quivalent inven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s mean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will also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인 자성체와 필름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gnetic material and a film, which are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것으로,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1)와 자성체(2)와 봉합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lesion for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during surgical operation, and includes a biomaterial 1 in the form of a patch and It consists of a magnetic body (2) and a suture (3).

상기 바이오소재(1)는, 외과적 수술 중 병소(A)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A)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작고 얇은 두께를 가진 패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이오소재(1)는, 예컨대 Tachosil®(이하 '타코실'이라 함)과 같이, 인체 내부의 조직이나 기관에 들러 붙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iomaterial (1) is attached to the lesion (A) for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A) during a surgical operation,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patch having a relatively small and thin thickness. The biomaterial 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adhere to tissues or organs inside the human body, such as, for example, Tachosi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cosil').

상기 자성체(2)는 외부 자석(400)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컨대 플렉시블한 성질과 자성을 갖도록 고무 자석(400)이 채용될 수 있고, 봉합용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The magnetic body 2 generates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external magnet 40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iomaterial 1, for example, a rubber magnet 400 may be employed to have flexible properties and magnetism, A hole 21 for sealing is formed.

상기 봉합용 구멍(21)은 봉합사(3)의 관통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바이오소재(1)와 자성체(2)를 봉합사(3)를 이용하여 결속시켜 줄 수 있게 한다. The suture hole 21 allows the suture 3 to pass through, so that the biomaterial 1 and the magnetic body 2 can be bound using the suture 3 .

상기 봉합사(3)는 상기 자성체(2)와 바이오소재(1)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2)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1)에 봉합됨으로써 자성체(2)와 바이오소재(1)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봉합사(3)는 시술 후 일정시간이 지나고 나면 인체 내에 잔류하지 않고 소멸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ture 3 is for separably coupling the magnetic body 2 and the biomaterial 1, penetrates the hole of the magnetic body 2 and is sutured to the biomaterial 1, so that the magnetic body 2 and It enables binding between the biomaterials (1). The suture 3 is preferably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so that it can disappear without remaining in the human bod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procedur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지혈이나 밀봉시 사용되는 타코실과 같은 바이오소재(1)에, 자성체(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이오소재(1)를 자석(400)(자성체(2)와 인력 작용)이 탑재된 어플리케이터(보조기구; 도 7 참조)를 이용하여 지혈이나 밀봉이 요구되는 병소 측에 접근시킨 이후 상기 자성체(2)와 자석(400) 간의 인력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거쳐 병소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바이오소재(1)가 바이오소재(1) 운반수단(어플리케이터)에 들러 붙지 않고 신속ㆍ정확하게 병소에 부착될 수 있게 하여, 바이오소재(1)의 손상 없이 지혈 등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이 시술자의 편리성 및 시술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The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gnetic body 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iomaterial 1 such as tacosil used for hemostasis or sealing, so that the biomaterial ( 1) using an applicator (auxiliary device; see FIG. 7) equipped with a magnet 400 (attractive action with the magnetic body 2) is used to approach the lesion side requiring hemostasis or sealing, and then the magnetic body 2 and the magnet (400) As it becomes possible to attach to the lesion through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human attraction, the biomaterial 1 does not adhere to the biomaterial 1 transport means (applicator) and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attached to the lesion. ,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the precision of the operation, such as allowing hemostasis to be carried out quickly and smoothly without damage to the biomaterial (1).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자성체(2)와 자석(400) 간의 인력 작용 및 인력 해제를 통해, 바이오소재(1)의 병소까지의 접근 및 바이오소재(1)와 그 바이오소재(1)의 운반수단 간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이룰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And,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ttraction action between the magnetic body 2 and the magnet 400 and the attraction release, the approach to the lesion of the biomaterial 1 and the biomaterial (1)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achieve the separation between the biomaterial (1) and the means of transport of the biomaterial (1),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provision of quality medical services.

본 실시예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체(2)를 수용시키는 필름(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a film 4 made of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and accommodating the magnetic body 2 .

상기 필름(4)은, 상기 자성체(2)를 수용시키기 위한 포켓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합사(3)에 의해 상기 자성체(2)에 봉합되는 커버부(41)와 상기 커버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포셉(forceps)에 의한 파지를 원활하게 하는 파지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m (4) has a pocket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gnetic body (2) and is sealed to the magnetic body (2) by the suture (3) from the cover part (41) and the cover part (41). It is preferably formed to include a gripping portion 42 that is formed to facilitate gripping by forceps.

상기 필름(4)은, 봉합사(3)를 이용한 자성체(2)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자성체(2)의 봉합용 구멍(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필름측 구멍(41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m 4 has a film side hole 41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hole 21 of the magnetic body 2 so that the coupling with the magnetic body 2 using the suture 3 can be smoothly mad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자성체(2)를 생체 적합성 소재인 필름(4)의 커버부(41)에 의해 폐쇄시켜서 그 자성체(2)의 생체 내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그 커버부(4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파지부(42)를 이용하여 자성체(2)를 바이오소재(1)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있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magnetic body 2 is closed by the cover part 41 of the film 4, which is a biocompatible material,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body 2 on the living body can be minimized, and the The magnetic body 2 is mor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biomaterial 1 by using the gripping part 4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over part 41 .

이하에서는 상기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킨 후 부착시켜 주기 위한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도 4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for attaching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to the les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바이오소재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omaterial attachment process using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와 작동바(200)와 위치결정핀(300)과 자석(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biomaterial attachment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ving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described above to the lesion side, and the body 100 and the operation bar 200 and the position It consists of a crystal pin 300 and a magnet 400 .

상기 본체(10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body 100, as well shown in FIG. 5, is formed to extend long in one direction,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상기 작동바(200)는, 상기 본체(100)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210)와,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딩부(210)에 연결되는 조작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bar 200 includes a sliding part 210 that is relatively movab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main body 100 and a sliding part 210 that can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 and a manipulation unit 220 connected to the sliding unit 210 .

상기 슬라이딩부(21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210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10)에 동력을 인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부(210)에 연결된다. The sliding part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10a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operation part 220 is the sliding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 In order to apply power to the 210 ,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liding part 210 .

상기 위치결정핀(300)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걸림홈(210a)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스프링(310)에 의해 탄성 가압된다.The positioning pin 300 is selectively caught in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210a of the sliding part 210 as shown in FIG. 6 , and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spring 310 .

상기 자석(400)은,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2)와 인력을 방생시키는 것으로, 그 자성체(2)와의 인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된다.The magnet 400 is to generate attraction with the magnetic body 2 of the medical biomaterial unit described above, and the biomaterial unit of the sliding part 210 so that the attraction action with the magnetic body 2 can be smoothly made. coupled to the position facing the

이러한 자석(400)은, 도 7의 (a) 및 (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2)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도 7 (b)의 점선으로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일 수 있게 한다. This magnet 400, as well shown in FIGS. 7 (a) and (b), generates an attractive force in the magnetic body 2 of the bio-material unit to move the bio-material unit to the lesion, and , As well shown by the dotted line of FIG. 7 ( b ), the applic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biomaterial unit by releasing the attractive force according to the retreating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210 after movement to be placed on

이후 일정시간 동안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병소 측으로 눌러 줌으로써 바이오소재를 병소에 완전 부착시킨 다음, 도 7의 (c)와 같이 본 실시예를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게 과정을 거쳐, 바이오소재의 병소에 대한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After that, the biomaterial is completely attached to the lesion by pressing the applic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o the lesion sid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the embodiment is separated from the biomaterial unit as shown in FIG. Attachment to the lesion is made.

한편, 도 7의 (c)와 같이 바이오소재 유닛이 병소에 부착된 이후에 도 7의 (d)와 같이 봉합사(3)를 커팅한 후 필름(4)의 파지부(42)를 기구로 잡아당기면, 바이오소재(1)만 병소에 잔류하게 되고, 자성체(2)는 필름(4)과 함께 제거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biomaterial unit is attached to the lesion as shown in FIG. 7(c), the suture 3 is cut as shown in FIG. 7(d), and then the holding part 42 of the film 4 is held with a tool. When pulled, only the biomaterial 1 remains in the lesion, and the magnetic body 2 is removed together with the film 4 .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1)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의료용 바이오 소재 유닛을 자력을 이용하여 미리 결합하여 제품화하거나 사용 직전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도 바이오소재(1)를 병소까지 원활하게 운반시킬 수 있게 하고, 바이오소재(1)의 병소에 대한 부착 시 젖은 거즈나 면봉 등의 추가 기구 및 술기가 요구되지 않게 하여, 수술 시야 확보 용이성 및 손상 없는 바이오소재(1)의 정확한 위치를 통해 요구되는 지혈 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The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biomateri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 biomaterial unit for medical use by pre-combining it using magnetic force to commercialize it or combine it immediately before use, so that eve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biomaterial unit can be used. It enables the material (1) to be transported smoothly to the lesion, and when the biomaterial (1) is attached to the lesion, additional instruments and techniques such as wet gauze or cotton swabs are not required, so that the surgical field of view is easy to secure and the biomaterial without damag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required hemostatic action through the precise position of the material (1).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어플리케이터를 한 손으로 조작하여 바이오소재의 운반을 가능한 것에 더하여 사용하고 있는 손을 이용하여 바이오소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자성체와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원터치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is embodiment includes a one-touch separation means that allows the biomaterial to be separated from the magnetic material in a one-touch manner using the hand being used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transporting the biomaterial by operating the applicator with one hand.

즉, 상기 원터치 분리수단은, 본체(5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700)와 그 회전레버(700)의 일측을 타측에 대해 가압시키는 레버측 스프링(800)과, 작동바(600)를 자성체와 자석(65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500)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프링(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one-touch separation means includes a rotation lever 700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500 , a lever side spring 800 for pressing one side of the rotation lever 700 against the other side, and an operation bar 600 . ) to be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 650 are separated, and a body-side spring 900 installed in the body 500 is included.

상기 회전레버(700)의 일측은, 상기 작동바(600)의 슬라이딩부(610)에 마련된 걸림홈(610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록킹편(710)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500)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One side of the rotary lever 7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710 that is selectively caught in the engaging groove 610a provided in the sliding part 610 of the operation bar 600,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500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nable user manipulation.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의 (b)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레버(700)의 타측을 누르면, 회전레버(700)의 일측에 마련된 록킹편(710)의 슬라이딩부(610)의 걸림홈(610a)에 대한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본체측 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바(600)가 병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자석(650)과 자성체 간의 인력이 해제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lever 700, as shown in FIG. 8 (b) in the state as shown in (a) of FIG. 8, the lock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ry lever 700 While the locking state for the locking groove 610a of the sliding part 610 of the piece 710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bar 600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es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ody side spring 900, The attraction between the magnet 650 and the magnetic body is releas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바이오소재 유닛의 운반 및 운반 이후 바이오소재만을 잔류시키고 나머지 유닛은 바이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행위를, 한 손만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only the biomaterial remains after the transport and transport of the biomaterial unit using the applicator and the remain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bi-material by enabling only one han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advantages can be expected.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and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only clearly show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clearly shown.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바이오소재 2:자성체
21:봉합용 구멍 3:봉합사
4:필름 41:커버부
41a:필름측 구멍 42:파지부
100:본체 200:작동바
210:슬라이딩부 210a:걸림홈
220:조작부 300:위치결정핀
310:스프링 400:자석
1: Bio material 2: Magnetic material
21: hole for suturing 3: suture
4: film 41: cover part
41a: film side hole 42: grip part
100: body 200: operation bar
210: sliding part 210a: locking groove
220: operation unit 300: positioning pin
310: spring 400: magnet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바이오소재 유닛(여기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은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와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봉합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동력을 인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작동바;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위치결정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A biomaterial unit attached to the lesion for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during surgical operation (here, the biomaterial unit generates a biomaterial in the form of a patch and an external magnet and attractive forc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iomaterial As to be, for separably combining the magnetic body with the suturing hole formed therein and the magnetic body and the biomaterial, including a suture that penetrates the suturing hole of the magnetic body and is sutured to the biomaterial), the lesion In order to move to the side,
a body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 sliding part which is installed movably in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sliding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to apply power to the sliding part , On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an operation bar having a manip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sliding unit; a positioning pin that is selectively caught in any one of the locking grooves of the sliding part and is elastically pressed by a spring; and the sliding part is coupled to a position facing the biomaterial unit to generate attractive force in the magnetic body of the biomaterial unit to move the biomaterial unit to the lesion, and after movement, the attractive force according to the retreating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An applicator for attaching a biomaterial comprising a; a magnet separated from the biomaterial unit by release.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바이오소재 유닛(여기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은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와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봉합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작동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록킹편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레버측 스프링에 의해 상기 일측이 타측에 대해 탄성 가압되는 회전레버;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 및 상기 작동바를 자성체와 자석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A biomaterial unit attached to the lesion for hemostasis or sealing of the lesion during surgical operation (here, the biomaterial unit generates a biomaterial in the form of a patch and an external magnet and attractive forc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iomaterial As to be, for separably combining the magnetic body with the suturing hole formed therein and the magnetic body and the biomaterial, including a suture that penetrates the suturing hole of the magnetic body and is sutured to the biomaterial), the lesion In order to move to the side,
a body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 operation bar which is installed in the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includes a sliding part having a locking groove;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one side has a locking piece that is selectively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of the slid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enable a user's operation, and the one side by a lever side spring a rotary lever that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other side; The sliding part is coupled to a position facing the biomaterial unit to generate attractive force in the magnetic body of the biomaterial unit to move the biomaterial unit to the lesion, and release the attractive force according to the retreating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after movement a magnet separated from the biomaterial unit by and a body-side spring installed on the body to elastically press the operation b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 are separated.
KR1020190107367A 2019-08-30 2019-08-30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KR102281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67A KR102281144B1 (en) 2019-08-30 2019-08-30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67A KR102281144B1 (en) 2019-08-30 2019-08-30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02A KR20210026502A (en) 2021-03-10
KR102281144B1 true KR102281144B1 (en) 2021-07-22

Family

ID=7514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367A KR102281144B1 (en) 2019-08-30 2019-08-30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1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52B1 (en) * 2017-09-29 2019-0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l biomaterials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s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7286B1 (en) * 2003-07-17 2010-09-29 Gunze Limited Stitching reinforcement material for automatic stitching device
KR20150054499A (en) * 2013-11-12 2015-05-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Hanger of linger for medical treating
KR101587627B1 (en) 2014-07-01 2016-01-2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Medical bandage
KR101801027B1 (en) * 2015-11-20 2017-11-27 박익로 Electro-surg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52B1 (en) * 2017-09-29 2019-0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dical biomaterials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s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02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505B2 (en) Applicator for surgical stapler buttress
US8197506B2 (en) Wound closing device
EP3508141B1 (en) Surgical stapler comprising a fluid penetrable buttress assembly
US7696399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and method of application
US9549736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EP3135215A1 (en) Surgical stapler buttress applicator with end effector actuated release mechanism
US109125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and positioning of surgical implants
JP2001501102A (en) Surgical gripper
US20100249498A1 (en) Endoscopic Apparatus for Manipulating Tissue
US20070219582A1 (en) Device for manipulation and placement of flexible implants
JP2008516697A (en) Extraluminal sealant applicator and method
JP2002504832A (en)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to be mounted on fingerti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U2006211147A1 (en) Surgical fastener buttress materials
JP2008504053A (en) Liquid tight puncture occlusion device for anatomical structures
JP2022078266A (en) Surgical end effector adjunct attachment
KR102281144B1 (en) 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JP2004167214A (en) Blood vessel holder
WO2018121170A1 (en) Anastomotic stoma reinforc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0092455A1 (en) Device for closing surgical wounds
EP2419028B1 (en) Surgical device
KR101937052B1 (en) Medical biomaterials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s unit
JP3949187B2 (en) Equipment used for endoscopes and laparoscopes
KR102383542B1 (en) Kidney parenchyma binding structure, kidney parenchyma binding device, applier providing the kidney parenchyma binding structure and kidney renorrhaphy kit comprising the same
US20190380821A1 (en) Cooling Tower
JP7483719B2 (en) Surgical Stapler Buttress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