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131B1 - Dressing - Google Patents

Dre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131B1
KR102028131B1 KR1020180081842A KR20180081842A KR102028131B1 KR 102028131 B1 KR102028131 B1 KR 102028131B1 KR 1020180081842 A KR1020180081842 A KR 1020180081842A KR 20180081842 A KR20180081842 A KR 20180081842A KR 102028131 B1 KR102028131 B1 KR 10202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ound
dressing agent
support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주식회사 나노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주식회사 나노셀바이오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102018008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131B1/en
Priority to PCT/KR2019/008707 priority patent/WO20200136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1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F13/01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04Non-adhesive dressings
    • A61F13/00021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0029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04Non-adhesive dressings
    • A61F13/00034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a property
    • A61F13/00042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8Accessories for dressings specially adapted for application or removal of fluid, e.g. irrigation or drainage of wounds, under-pressure wound-therapy
    • A61F13/01042
    • A61F13/0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ssing preparation comprising: an absorption layer absorbing an effusion generated from a wound; an upper lay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absorption layer; a lower lay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bsorption layer to be in contact with the wound; and a penetration unit penetrating the lower layer, the absorption layer and the upper layer. The dressing preparation is rapidly and easily converted between a wet state and a dry state, can prevent the wound part from festering or swelling due to the effusion generated from the wound and can stably maintain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effusion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dressing preparation even in the long term use.

Description

드레싱제 {Dressing}Dressing Agent {Dressing}

본 발명은, 드레싱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발생한 삼출액을 습윤 상태와 건조 상태 사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제품의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처 부위를 음압을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경우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드레싱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ssing agent, and specifically, the exudates generated can be quickly controlled between a wet state and a dry state, can easily maintain the shape of a product, and deform when a wound is treated using negative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ssing agen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minimize the problem.

인간은 여러 가지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도 그 중 하나이다.Humans are composed of various tissues, and skin is one of them.

피부는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조절, 세균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보호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피부가 화상이나 각종 외상에 의해서 결손이 일어나게 되면 그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생명 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Skin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external stimuli, prevents water loss, and has important life protection functions such as body temperature control and bacterial invasion prevention. When the skin is damaged due to burns or various traumas, its protective action is lost, resulting in impaired function, and various side effects due to water loss and bacterial infection from the outside make it difficult or secondary to treat the affected area. Additional side effects such as phosphorus dysfunction or damage are caused. In severe cases, it may also affect life extension.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다. 이러한 상처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인 창상으로 나타난다. 창상에는 찰과상, 타박상, 열상, 칼날에 의한 절창, 자창, 할창, 총창, 폭창, 교창 등이 있다. 이러한 상처에서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xpedite the healing of wounds and to minimize secondary side effects. These wounds appear as wounds in which tissue continuity is destroyed by external pressure. Wounds include abrasions, bruises, lacerations, cuts made by blades, spear, spear, mules, wide windows and school windows. In these wounds, the following occurs: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상처로의 박테리아의 침입은, 전형적으로 환자의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염증을 유발한다 즉, 호중구 과립성 백혈구를 비롯한 백혈구 세포를 염증원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이것이 병원균과 싸우는 동안, 이러한 호중구 또한 세포를 손상시키는 염증성 사이토킨 및 효소를 방출한다. 특히, 호중구가 마이엘로페록시다제(myeloperoxidase)로 지칭되는 효소를 생성하고, 이는 다시 대사작용되어 박테리아를 죽이는 반응성 산소 종을 생성한다. 대등하게, 이러한 효소 및 반응성 산소 등은 상처 주변의 주변부("상처주변부(periwound)"로 지칭됨)에서 세포를 손상시켜, 이로써, 치료를 촉진하는, DNA, 지질, 단백질, 세포외 기질 및 사이토킨을 손상시킴으로써 세포 증식 및 상처 봉합을 방해한다. 호중구가 급성 상처에 비해 만성 상처에서 보다 길게 잔류하기 때문에, 이는 보다 높은 수준의 염증의 원인이 된다. 게다가, 만성 상처의 지속되는 염증상은 고 농도의 MMP(matrix metalloproteases)를 갖는 삼출액(상처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을 원인으로 한다. 과도한 MMP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열화를 유발한다. 상처를 손상시키는 것 외에, 삼출액은 여기에 노출되는 상처주변부 조직도 손상시킨다. 특히, 상처로부터 유출되어 상처주변부 영역을 향하는 삼출액은 당뇨증과 같은 근원적인 병인을 경험하는 환자에 의해 이미 면역반응-저하된 연약한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은 상처주변부 피부를 저하시키고, 이것을 쇠약하게 하여 다시 상처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처주변부 영역으로 유동된 삼출액은, 상처 크기를 증가시키고 그의 치유를 연장시킬 가능성을 비롯한 다수의 합병증을 유발할 것이다.Invasion of bacteria from external sources into the wound typically causes inflammation that activates the patient's immune response, ie, causes leukocyte cells, including neutrophil granular leukocytes, to migrate towards the inflammatory source. While it fights pathogens, these neutrophils also release inflammatory cytokines and enzymes that damage cells. In particular, neutrophils produce an enzyme called myeloperoxidase, which in turn produces a reactive oxygen species that is metabolized to kill bacteria. Equivalently, such enzymes, reactive oxygen and the like damage cells at the periphery of the wound (called "periwound"), thereby facilitating treatment, such as DNA, lipids, proteins, extracellular matrix and cytokines. Impair cell proliferation and wound closure. Since neutrophils remain longer in chronic wounds than acute wounds, this causes higher levels of inflammation. In addition, the persistent inflammatory phase of chronic wounds is caused by an effusion (fluid flowing out of the woun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matrix metalloproteases (MMP). Excessive MMPs cause deterior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In addition to damaging the wound, exudate also damages the tissue surrounding the wound that is exposed to it. In particular, effusion from the wound and towards the periphery of the wound may damage the delicate skin, which has already been immune-reduced by patients experiencing underlying etiology such as diabetes. This damage degrades the skin around the wound, causing it to weaken and become a wound again. Thus, the effusion that flows into the periphery region of the wound will cause a number of complications,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wound size and prolonging its healing.

통상적인 상처 치료는, 상처를 드레싱제로 덮어서, 추가의 오염 및 감염을 예방하고, 수분을 유지하고, 삼출액을 흡수하는 것을 포함한다. 삼출액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처 치유에 유리한 생화학적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상처 중 삼출액이 과량이거나 상처주변부 영역에서의 그의 존재는 조직의 열화를 용이하게 하고, 삼출액은 추가로 박테리아를 위한 성장 배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삼출액의 점조도는, 상처의 유형, 및 치유 단계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삼출액은 물기가 많거나, 극도로 점도가 있거나, 다소의 경우, 이들 중간일 수 있다. 게다가, 상처의 크기는, 그의 치유에 따라, 상당히 변할 수도 있다.Conventional wound treatments include covering the wound with a dressing agent to prevent further contamination and infection, to retain moisture, and to absorb exudates. Even if the exudate contains biochemical compounds that are beneficial for wound healing as described above, the exudate in the wound is excessive or its presence in the periphery of the wound facilitates tissue deterioration, and the exudate further provides growth medium for bacteria. Can act as The consistency of the effusion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wound and the stage of healing. For example, the effluent may be watery, extremely viscous, or in some cases, intermediat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wound may vary considerably, depending on its healing.

그리고, 상처와의 접촉면에서 적당한 습기의 유지 능력, 상처에 발생하는 삼출액의 흡수 능력, 상처에 대한 부착과 제거의 용이성, 외부와의 가스ㆍ수증기 전달 능력, 외부로부터의 단열성, 박테리아의 침입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독성 여부, 경제성 등에 대한 것이 드레싱제를 선택하는 요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And the ability to maintain adequate moisture at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wound, the ability to absorb exudates that occur in the wound, the ease of attachment and removal to the wound, the ability to transfer gases and vapors to the outside, the insulation from the outside, and the invasion of bacteria. Defense, defense against the human body, whether to be toxic to the human body, economical, etc. may be a requirement to choose a dressing agent.

또한, 이러한 상처 치유를 하는 방법 중에 상처 조직 부위에 감압(negative pressure)을 적용하면 조직 부위에서 새로운 조직의 성장을 증가시키고 촉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치료(의학계에서는 종종 "음압 상처 요법(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감압 요법(reduced pressure therapy)" 또는 "진공 요법(vacuum therapy)"이라고 함)은, 더 빠른 치료를 유도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압 상처 요법은 비싸고, 장비 등이 복잡하여 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applying such negative pressure to the wound tissue site during the wound healing method can increase and promote the growth of new tissue at the tissue site. It is known that such treatment (sometimes called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reduced pressure therapy" or "vacuum therapy" in the medical community) can lead to faster treatment. However, such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has a problem that it is expensive, and equipment and the like are difficult to apply universally.

여기서 드레싱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피부의 짓무름이나 불림을 예방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압 상처 요법에 사용되는 드레싱제는 음압이 작용하여도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dressing agent is us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asily discharge the exudates generated from the wound to prevent skin sores and swelling, and to maintain a constant form without deformation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essing agent used in the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oes not cause deformation such as crushing even when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참고 문헌][references]

공개특허공보 : 제10-2010-0052542호 (2010.05.19. 공개)Publication No. 10-2010-0052542 (published May 19, 2010)

공개특허공보 : 제10-2006-0059385호 (2006.06.02. 공개)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59385 (Published June 2,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습윤 상태 및 건조한 상태간의 전환이 빠르고 용이하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으로 인해 상처 부위가 짓물리거나 불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essing agent which is quick and easy to switch between wet and dry conditions and prevents the phenomenon of biting or soaking of the wound site due to exudates from the woun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사용 시에도 드레싱제의 변형을 예방하여 삼출액의 흡수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essing agent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absorption capacity of the exudate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dressing agent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출액의 발생량 변화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음압 하에서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essing agent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ope with changes in the amount of exudates generated and in which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under negative pressu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도 통하고 필요로 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액을 상처 부위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드레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one through-hole can be simply and conveniently inject the liquid containing the necessary antibiotics to the wound site through the air, can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with a simple structure To provide a multipurpose dress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과; 상처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상부층을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bsorbent layer absorbing the exudates generated in the wound; An upper lay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absorber layer; An underlayer bo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absorbent layer in contact with the wound; It is achieved by the dressing agent comprising a; through-through portion formed through the lower layer, the absorbent layer and the upper layer.

또한, 상기 상부층과 상기 하부층은 각각 관통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preferably includes pores formed through, respectively.

또한,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지지부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sorbent layer preferably includes a support coupled to the through-hole penetrating the absorbent layer to support the absorbent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 또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대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hollow pipe shape or a rod shape in which the hollow is not formed.

또한,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 가능하게 마련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ck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be able to absorb the effluent is detachable.

또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은을 함유한 알지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further comprises a lower absorption lay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layer in contact with the wound,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preferably comprises an alginate containing silver.

또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피부 또는 연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완화 가능하게 베타글루칸 또는 알로에 성분을 포함하는 제제를 도포 또는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absorption lay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layer to be in contact with the wound site,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comprises a formulation comprising a beta glucan or aloe component to promote the regeneration of the skin or soft tissues and relieve inflamma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or coat.

또한, 상기 드레싱제를 상처 부위를 덮어 상처 부위와 상기 드레싱제에 진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드레싱제를 지지 가능하게 상기 상부층 또는 상기 하부층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vacuum on the wound site and the dressing agent by covering the wound site with the dressing agen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upper layer or the lower layer to support the dressing agent.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거나,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나머지 층과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관통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enetrating portion may penetrate the absorber layer,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or one of the absorber layer,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may pass through the rest of the lay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지지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ent layer for absorbing the exudates generated in the wound; And an upper lay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absorbent layer, wherein the absorbent layer is also achieved by a dress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through-hole penetrating the absorbent layer to support the absorbent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 가능한 기공을 구비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hollow pipe shape, and the hollow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detachable with a wick having pores capable of absorbing effluent and generating air flow.

본 발명에 따르면, 습윤 상태 및 건조한 상태간의 전환이 빠르고 용이하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으로 인해 상처 부위가 짓물리거나 불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essing agent which is quick and easy to switch between a wet state and a dry state, and prevents a phenomenon in which the wound site is bitten or called due to the exudates generated in the wound.

또한, 장시간 사용 시에도 드레싱제의 변형을 예방하여 삼출액의 흡수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essing agent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absorption ability of the exudate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dressing agent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또한, 삼출액의 발생량 변화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음압 하에서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conveniently cope with changes in the amount of exudate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essing agent that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under negative pressure.

또한,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도 통하고 필요로 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액을 상처 부위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a single through-hole through the air and the liquid containing the necessary antibiotics can be injected simply and conveniently to the wound site, to provide a multi-purpose dressing agent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in a simple structure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드레싱제의 작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단면도,
도 5는 음압 하에서 드레싱제가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essing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ressing agent,
4a to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essing ag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dressing agent is used under negative pressure.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ressing ag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드레싱제의 작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음압 하에서 드레싱제가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essing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essing agent, Figure 4a to 4c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essing ag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dressing agent is used under negative pressure.

드레싱제(100)는, 상처를 빠르게 치유할 수 있도록 상처 부위를 덮어 씌우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110)과; 상기 흡수층(110)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130)과; 상처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110)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층(150)과; 상기 하부층(150), 상기 흡수층(110) 및 상기 상부층(130)을 관통 형성된 관통부(1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레싱제(4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공(160)과, 지지부(180)와, 보조흡수층(4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dressing agent 1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wound so that the wound can be quickly healed,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bsorbent layer 110 absorbing the exudates generated from the wound; An upper layer 13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absorbing layer 110; A lower layer 15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bsorbent layer 110 to be in contact with the wound; And a through part 170 formed through the lower layer 150, the absorbing layer 110, and the upper layer 130. In addition, the dressing agent 400, as shown in Figure 4b, more preferably comprises a pore 160, the support 180, and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드레싱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처 치유를 빠르게 하도록 도와주고, 드레싱제(100)는 교체될 수 있으므로 교체 시에 통증이 감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빠른 치료를 위해서는 흡수층(110)에 과도하게 흡수한 삼출액을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삼출액의 과도한 수분은 피부의 불림을 포함하는 연화나 짓무름을 유발할 수 있고, 이러한 연화나 짓무름은 피부의 일체성을 저하시키고 상처주변부 영역(도 3의 'P' 참조)의 피부를 물리적 공격 또는 감염에 취약하게 하고 상처의 상피재생화 과정을 더디게 한다. 물론, 수분이 흡수층(110)에 적절한 정도 보유되어 있는 것도 상처 치유에 효과가 있다.The dressing agent 100 helps to speed up the wound heal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 dressing agent 100 may be replaced, so it is desirable to reduce pain upon replacement. For rapid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quickly discharge the exudates excessively absorbed in the absorbent layer 110 to the outside. Because, excessive moisture in the exudate can cause softening or soreness, including the soaking of the skin, such softening or soreness lowers the integrity of the skin and physically attack the skin in the area around the wound (see 'P' in Figure 3) Or susceptible to infection and slows the process of epithelial regeneration of the wound. Of course, it is also effective in wound healing that moisture is retained in the absorbent layer 110 to an appropriate degree.

흡수층(110)은, 약간의 탄력성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구비되어 상처에서 유출되는 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는 공지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층(110)은, 예를 들면, 푹신한 폴리우레탄 쿠션을 갖는 폼 제제, 젤라틴,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겔 제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흡수층(110)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하이드로겔 제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폼보다 얇지만 반창고보단 두껍고 말랑말랑한 재질로 삼출액과 결합해 콜로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처에서 삼출액이 많은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로이드겔로 된 흡수층(110)으로만 삼출액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도 4b와 같이 하측에 보조흡수층(410)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만, 흡수층(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bsorption layer 110 is preferably made of a known material tha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certain elasticity and having a certain thickness to absorb the effusion flowing out of the wound. Absorption layer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foam formulation having a fluffy polyurethane cushion, a hydrocolloid or hydrogel formulation consisting of gelatin, carboxymethylcellulose, pectin, but the absorption lay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silver hydrocolloid or hydrogel formulations. In other words, it is thinner than foam but thicker and softer than bandage, and can be combined with effusion to form colloid.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effusion in the wound, as described below, the sorbent may not be absorbed only by the absorbent layer 110 made of a colloidal gel. However, the absorbing layer 110 may be selected from a variety of known materials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흡수층(1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흡수관통부(170), 흡수지지부(180)가 구비되어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absorber layer 110 includes an absorbent through part 170 and an absorbent support part 180 that penetrate up and down.

상부층(130)은, 흡수층(110)을 보호하고 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병균이 침입을 하지 못하도록 코팅 처리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으로 인해 상부층(130)은 수분이나 공기 등의 통과가 용이하지 못하다.The upper layer 130 is preferably coated to protect the absorber layer 110, prevent excessive evaporation of moisture, and prevent invasion of germs from the outside. Due to this coating, the upper layer 130 may not easily pass through moisture or ai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층(130)에는 다수의 기공(160)이 상부층(130)의 판면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관통되어 있고, 다수의 기공(160)은 흡수층(110)의 상측으로 이동한 삼출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되어 삼출액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층(13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관통부(173)와 상부지지부(183)가 각각 관통되어 결합 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lurality of pores 160 are evenly penetr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130, the plurality of pores 160 ar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absorber layer 110. Can be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effluent to the outside to promote the evaporation of the effluent. In addition, the upper layer 130 is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through portion 173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183, respective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하부층(150)은, 흡수층(110)의 하부에 결합 되어 드레싱제(100)를 피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피부의 조직에 손상이 없도록 하거나 건조한 상태에서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코팅 처리되는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으로 인하여 하부층(150)에서는 수분이나 공기의 통과가 용이하지 않다.The lower layer 150 may be bo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sorbent layer 110 to be coated to prevent damage to the tissue of the skin or prevent sticking to the skin in a dry state when the dressing agent 100 is separated from the skin. . Due to this coating, the passage of moisture or air in the lower layer 150 is not eas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층(150)에는 다수의 기공(160)이 하부층(150)의 판면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관통되어 있고, 다수의 기공(160)은 상처에서 흡수층(110)으로 수분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어 삼출액의 이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층(13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관통부(175)와 하부지지부(185)가 각각 관통되어 결합 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pores 160 are uniformly dispos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lower layer 150 in the lower layer 150, and the plurality of pores 160 have moisture from the wound to the absorbing layer 110. It can be a moving passage to promote the movement of the exudate. In addition, the lower through portion 175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185 are respectively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upper layer 130 as described below.

관통부(170)는 상부층(130), 흡수층(110) 및 하부층(150)을 모두 관통하며 드레싱제(100)의 판면에 가능하면 규칙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170)는 흡수관통부(171), 상부관통부(173) 및 하부관통부(175)가 상하로 연결되어 있다.The penetrating portion 170 penetrates all of the upper layer 130, the absorbing layer 110, and the lower layer 150, and is preferab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late surface of the dressing agent 100 if possible. In the through part 170, the absorption through part 171, the upper through part 173, and the lower through part 175 are connected up and down.

관통부(170)는 하부층(150), 흡수층(110) 및 상부층(130)을 관통하고 외부 공기가 간접적으로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통로가 되기도 하고 관통부(170)의 원통형 벽으로 유출되는 삼출액,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즉, 이러한 관통부(170)가 형성되어 외기와 하부층(150), 흡수층(110) 및 상부층(130)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이나 삼출액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에서 전열면적을 증대시켜 열전달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처럼 증발이 이루어지는 면적으로 최대화하여 증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penetrating portion 170 penetrates the lower layer 150, the absorbing layer 110, and the upper layer 130, and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may contact the skin indirectly, and the effusion solution flows out into the cylindrical wall of the penetrating portion 170. It also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mois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through part 170 may be formed to maximize the area contacted with the outside air and the lower layer 150, the absorbing layer 110, and the upper layer 130, thereby promoting evaporation of moisture or exudates. Just as the heat transfer area is increased in the heat exchanger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ect,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increased by maximizing the area where the evaporation takes place.

여기서, 관통부(170)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상부층(130), 하부층(150) 및 흡수층(110)이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관통된 것이 아니고, 흡수층(110)과 상부층(130)이나 흡수층(110)과 하부층(150)에만 구비(도 4c의 '770a' 및 '770b' 참조)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완전하게 관통이 되지 않아 외부 공기, 병균 등이 상처부위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170)의 관통된 홀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중앙영역은 크게 테두리 영역은 중앙영역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하거나 크고 작은 홀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70, the upper layer 130, the lower layer 150 and the absorber layer 110 is not integrally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needed, the absorber layer 110 and the upper layer 130 or the absorber layer. It is provided only on the 110 and the lower layer 150 (see '770a' and '770b' of Figure 4c) is not completely penetr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an prevent the outside air, germs, etc. directly contact the wound site. . In addition, the size of the penetrated hol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7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enter area is large and the border area is smaller than the center area, or vice versa.

한편, 관통부(170)는 의사, 간호사를 포함하는 드레싱제(100) 사용자가 피부나 상처에 주사를 통해 예를 들면 항생제, 줄기세포, 세척액 등을 주입하는 통로로도 활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netrating portion 170 may be used as a passage for injecting antibiotics, stem cells, washing solution, etc. through injection to the skin or wound, the user of the dressing agent 100, including doctors, nurses.

다른 한편, 관통부(170)가 중공(中孔)인 경우 가운데가 비어 있으므로 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공기의 유동이 흡수층(110)보다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흡수층(110)의 통기도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통기도를 갖는 심지(미도시)를 중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중공에 심지를 결합하여 삼출액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공기가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액을 주입하는 경우 심지를 분리하고 지지부(170)의 중공에 주사기를 삽입하여 원하는 액을 주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enetrating portion 170 is hollow, the center is empty, so the air permeability can be absorbed and the flow of air is the same as or higher than that of the absorbent layer 110, which can occur faster than the absorbent layer 110. It is preferable to detachably attach the wick (not shown) having high air permeability to the hollow. By this structure, the wick is coupled to the hollow as needed to absorb the effluent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can be moved quickly. When the user injects the liquid as needed, the wick is separated and the syring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support 170. To inject the desired liquid.

지지부(18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가능하면 상부층(130), 흡수층(110) 및 하부층(150)의 판면에 동일한 위치에 규칙적으로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80)는 상부지지부(183), 하부지지부(185) 및 흡수지지부(181)로 구분되나 일체인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unit 18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but if possible, is coupled to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same position on the plate surface of the upper layer 130, the absorbing layer 110, and the lower layer 150 at regular intervals. It is desirable to be. The support part 180 is divided into an upper support part 183, a lower support part 185, and an absorbent support part 181, but is preferably formed in one piece.

다만, 지지부(180)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상부지지부(183), 하부지지부(185) 및 흡수지지부(181)가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관통된 것이 아니고, 흡수지지부(181)와 상부지지부(183)나 흡수지지부(181)와 하부지지부(185)에만 구비(도 4c의 '780' 참조)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완전하게 관통이 되지 않아 외부 공기, 병균 등이 상처부위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80)의 관통된 홀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중앙영역은 적게 테두리 영역은 중앙영역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하거나 크고 작은 홀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180 is that the upper support unit 183, the lower support unit 185, and the absorbent support unit 181 are not integrally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necessary, and the absorption support unit 181 and the upper support unit ( 183) or only the absorption support 181 and the lower support 185 (see '780' in Figure 4c) is not completely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outside air, germs, etc. directly contact the wound area Can b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penetrated hole of the support unit 180 may be smaller than the center area as necessary, so that the edge area may be larger than the center area, or vice versa, and the holes may be irregularly arranged.

이러한 지지부(18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것(180)도 있고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가운데가 비어 있지 않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지지부(180)의 단면을 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80)는 쿠션을 갖는 흡수층(110)보다 다소 상하 방향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80)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실리콘, PE, PP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180 may have a hollow pipe shape 180 as shown in FIG. 4A and may be provided in a rod shape in which the center of the polygon including the circle is not empty. Of course,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18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circle. The support unit 180 preferably has a strength that can resist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the absorbent layer 110 having a cushion. The material of the support unit 180 may include plastic and may include, for example, silicon, PE, and PP.

이러한 지지부(180)가 상부층(130)과 하부층(150)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드레싱제(100)는 전체적으로 삼출액이 과다하게 흡수되더라도 쳐지지 않고 두께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이렇게 흡수층(110)의 두께 내지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무수한 기공을 갖는 흡수층(110)의 미세한 기공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고 원래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기공의 크기가 변하지 않으므로 삼출액은 줄어들지 않은 기공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흡수된 삼출액은 줄어들지 않은 기공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Since the support 180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upper layer 130 and the lower layer 150, the dressing agent 100 does not sag even if the exudant is excessively absorbed as a whole, and a change in thickness does not occur. That is, since the thickness or structure of the absorbent layer 110 can be kept constant, the size of the fine pores of the absorbent layer 110 having a myriad of pores can be maintained without reducing the size thereof. Thus, since the pore size does not change, the effluent is more effectively absorbed through the pores that are not reduced, and the absorbed effluent can be easily and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es that are not reduced.

이러한 지지부(180)에 의해 상부층(130)에 가까운 흡수층(110)은 하부층(150)에 가까운 흡수층(110)보다 건조하게 되고 이러한 수분의 차이는 인해 흡수층(110) 내부에서 모세관 현상을 더욱 촉진시켜 삼출액이 과다하게 발생하더라도 삼출액 내지 수분의 증발 또는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sorber layer 110 closer to the upper layer 130 is dried by the support 180 than the absorber layer 110 close to the lower layer 150, and the difference in moisture causes the capillary phenomenon to be further promoted inside the absorbent layer 110. Even if the exudates are excessively generated, evaporation or discharge of the exudates to the water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지지부(180)가 중공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주사액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약제 등을 주사기 등을 지지부(180)를 통해 액이나 약제를 주입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80) 내부의 공간은 피부 내지 상처 측으로 공기의 유동이 일어나는 통로가 되어 수분 내지 삼출액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180 is hollow, as described above, the drug or the like may be injected through the support 180 with a syringe or the like in various forms including an injection solutio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space inside the support 18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to the skin or the wound side, thereby facilitating evaporation of the water to the exudates.

아울러, 지지부(180)도 중공(中孔)인 경우 가운데가 비어 있으므로 삼출액을 흡수할 수 있으면서 공기의 유동이 흡수층(110)보다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흡수층(110)의 통기도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통기도를 갖는 심지(미도시)를 중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art 180 is also hollow in the middl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absorbent layer 110 may be the same as or higher than that of the absorbent layer 110, which may absorb the exudates while the flow of air may occur faster than the absorbent layer 110. It is preferable to detachably attach the wick (not shown) to the hollow.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100)의 작용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3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dressing ag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의사, 간호사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밀봉되고 멸균된 상태로 드레싱제(100)를 내부에 수용한 미도시된 포장지로부터 드레싱제(100)를 꺼내어 환자의 상처(도 3a의 'W' 참조) 및 상처주변부(도 3a의 'P' 참조)를 덮는다.A user, including a doctor and a nurse, removes the dressing agent 100 from a not-shown wrapping paper in which the dressing agent 100 is accommodated therein in a sealed and sterilized state (see 'W' in FIG. 3A) and a wound. Cover the periphery (see 'P' in FIG. 3A).

그런 다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통기성을 갖는 밴드나 붕대(도 3a의 'support' 참조)로 드레싱제(100)가 상처 부위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드레싱제(100)를 상처 부위에 고정시킨다.Then, the user fixes the dressing agent 100 to the wound site with a breathable band or bandage (see 'support' in FIG. 3A) as necessary so that the dressing agent 100 does not flow at the wound site.

이렇게 상처 및 상처주변부에 고정된 드레싱제(100)을 사용하는 동안, 삼출액(도 3a의 'EX' 참조)은, 상처의 특징 및 삼출액의 점조도를 비롯한, 다양한 인자들에 좌우되는 유속으로 상처(W) 밖으로 흘러나온다. 삼출액(EX)이 상처로부터 배출되어, 이들 중 일부가 상처(W) 상부에 고인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높은 농도의 MMP를 갖는 과량의 삼출액의 축적은, 상처 및 상처주변부 피부 둘 다에서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열화를 유발한다. 그러나, 과량의 삼출액은 흡수층(110)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기공(160), 관통부(170) 및 중공을 갖는 지지부(180)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하여 상처에서 외부로 수증기(도 3a의 'V' 참조)가 빠르게 이동하고 공기의 유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부층(130) 및 흡수층(110)의 상부에서 수분(증발되는 삼출액 또는 삼출액 중의 수분만을 의미함)이 빠르게 수증기(도 3a의 'V' 참조)로 되어 외부로 증발 내지 확산된다. 이에, 삼출액은 모세관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층(110)의 습윤 영역으로부터 건조 영역으로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다. 즉, 이러한 기공(160), 관통부(170) 등을 갖는 드레싱제(100)의 특성으로 인해 삼출액이 빠르게 건조되어 과량의 삼출액이 흡수층(110)에 존재하지 않아 상처주변부 피부의 짓물림이나 수분이 오래 머물려 피부가 불려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병균의 추가적인 생성 등을 방지할 수 있다.While using the dressing agent 100 fixed to the wound and the periphery of the wound, the exudate (see 'EX' in FIG. 3A) is wound at a flow rate that depends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und and the consistency of the exudate. W) It flows out. Exudates EX are discharged from the wound, some of which accumulate on the wound W. As discussed above, the accumulation of excess exudate with high concentrations of MMPs causes deterior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in both wounds and peri-cutaneous skin. However, the excess exudates move to the absorbent layer 110 and at the same time water vapor passes from the woun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of the pores 160, the penetrating portion 170 and the support 180 having the hollow ('V in FIG. 3A). As the air moves rapidly and the flow of air occurs, moisture (meaning only water in evaporate or exudates evaporated) rapidly at the top of the upper layer 130 and the absorber layer 110 ('V' in FIG. 3A). Evaporation or diffusion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exudates may quickly move from the wet area to the dry area of the absorbent layer 110 due to capillary action. That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essing agent 100 having such pores 160, the penetrating portion 170, etc., the exudant dries quickly, and the excess exudant does not exist in the absorbent layer 110, so that the skin around the wound is jammed or moisturized. This long stay prevents the skin from swelling and prevents the further generation of germs that can be caused by excessive moisture.

또한, 필요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싱제(100)의 기공(160), 관통부(170) 등이 과도한 경우 공기가 통하지 않은 랩이나 밴드를 포함하는 기밀부재(195)로 드레싱제(100)의 일부분(도 3b의 전체 길이인 'L' 중 2개소의 'L1' 부분 참조)의 기공(160), 관통부(170)를 막아서 배출되는 수분의 량을 제한하여 사용할 수 있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밀부재(195)는 공기가 통하지 않고 소독된 랩 형상으로 예를 들면 OP SITE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as shown in FIG. 3B, when the pores 160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70 of the dressing agent 100 are excessive, the dressing agent 195 includes an airtight member 195 including a wrap or a band through which air does not pass.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y blocking the pores 160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70 of a part of the portion 100 (refer to the 'L1' portion of two places of 'L' in FIG. 3B) can be used by limiting the amount More preferred. Here, the airtight member 195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 SITE product in a wrap shape sterilized without passing air.

즉,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제(100)는 필요에 따라 삼출물을 급속하게 증발시켜 건조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기밀부재(195)를 사용하여 드레싱제(100)를 습윤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드레싱제(100)를 이용하여 기밀부재(195)의 부착 여부에 따라 건조 드레싱제(100)와 습윤 드레싱제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상처의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로의 전환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고 보다 빨리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dressing ag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keep the dried out by rapidly evaporating the exudate if necessary, or wet the dressing agent 100 using the airtight member 195 as necessary. You can also keep it. Therefore, depending on whether the airtight member 195 is attached by using one dressing agent 100, the function of the dry dressing agent 100 and the wet dressing agent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wound into a dry state and wet state can heal the wound more effectively and heal the wound more quick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300, 4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150)이 없거나, 보조흡수층(41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Dressing agents 300 and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a and 4b, there is no lower layer 150, or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It features.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300)는, 특별하게 피부와 분리시 피부 조직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매우 적은 량의 삼출액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하부층(150)을 생략하고 흡수층(110)이 바로 피부와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e dressing agen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does not cause damage to skin tissue when separated from the skin, or a very small amount of exudate is generated when the lower layer ( 150 is omitted and the absorbing layer 1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물론 이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층(110) 하부에 보조흡수층(41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as described below,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may be further included below the absorption layer 110.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부(180, 380)는 일부는 중공이 없는 막대 형상의 지지부(380)이고 일부는 중공이 있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180)일 수도 있다. 미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300)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관통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s 180 and 38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rod-shaped support part 380 without a hollow part and a pipe-shaped support part 180 with a hollow part. Although not shown, the through part (not show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dressing age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제(400)는, 하부층(150)의 하측에 보조흡수층(41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Next, the dressing agent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B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auxiliary absorbing layer 410 is provided below the lower layer 150.

여기서, 사용되는 보조흡수층(410)은, 예를 들면, 알지네이트(Alginate)를 포함하고, 특히, 보조흡수층(410)은 은(Ag)을 함유한 알지네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지네이트는 해양 생물 가운데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갈조류의 세포막과 세포막간 물질을 구성하는 천연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에 접촉하는 알지네이트는 친수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상처부분에서 발생 되는 혈액이나 삼출물을 흡수하며, 상처면과의 점착성 및 습윤환경을 잘 유지시켜 주어 상피화를 가속시키고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의 생성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to be used includes, for example, alginate (Alginate),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is an alginate containing silver (Ag). Alginate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natural material constituting the cell membrane and the intercellular membrane of the brown algae which is the most distributed among marine life. In addition, alginate in contact with the skin has excellent hydrophilicity and biocompatibility, absorbs blood or exudate from the wound area, maintains adhesion and moist environment with the wound surface, accelerates epithelialization and granulation tissue. It is desirable because it can help to promote the formation of.

즉, 상처에서 과다한 삼출액에 발생하는 경우 하부층(150)의 하측(미도시하였지만 하부층(150)이 없는 경우 흡수층(110)의 하측)에 보조흡수층(410)이 위치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case of excessive exudates from the w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layer 150 (not shown, but the lower side of the absorbing layer 110 in the absence of the lower layer 150)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

또한, 보조흡수층(410)의 다른 실시예로는 피부 또는 연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완화 가능하게 베타글루칸 및/또는 알로에 성분을 포함하는 제제가 도포 또는 코팅되어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is preferably a structure that is coated or coated with a formulation containing beta glucan and / or aloe components to promote the regeneration of the skin or soft tissues and relieve inflammation.

이렇게 보조흡수층(410)에 많이 흡수된 삼출액은 기공(160), 관통부(170), 중공의 지지부(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드레싱제(100)에 과다한 삼출액이 그대로 존재하지 않아 피부의 짓무름이나 불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The exudates absorbed much in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4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es 160, the penetrating portion 170, the hollow support 180, so that the excess exudates do not exist in the dressing agent 100 as it is. This can help prevent skin sores and soreness.

도 4c는 전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드레싱제(700)로, 관통부(170, 770a, 770b)와 지지부(180, 780)가 전체적으로 관통되지 않은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처부위로 직접 외부 공기가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병균 등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4C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dressing agent 700 as described above, in which the through parts 170, 770a, and 770b and the support parts 180 and 780 are not entirely penetrated. By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woun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germ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드레싱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 상처 요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판 상의 드레싱제(100)가 음압 하에서 예를 들면 판 형상이 휘거나 찌그러지지 않도록 드레싱제(100)의 상측 및 하측을 보강하는 지지부재(5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드레싱제(500)는, 튜브(531), 진공발생기(533) 및 일방향밸브(535)를 구비하여 진공을 발생, 유지시키는 진공발생부(530)와 기밀커버(5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essing agent 50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s shown in FIG. 5. In this case, the dressing agent 100 on the plate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550 for reinforc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ressing agent 100 so as not to bend or bend, for example, under plate pressure. The dressing agent 500 further includes a tube 531, a vacuum generator 533, and a one-way valve 535 that further includes a vacuum generator 530 and an airtight cover 510 for generating and maintaining a vacuum. It is preferable.

다시 말하면, 지지부재(550)는 드레싱제(100)에 음압이 작용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드레싱제(100)가 판 형상으로 수평으로 유지하여 가능하면 드레싱제(100)가 상처측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상부층(130)의 상측 및 하부층(150)의 하측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550)는, 예를 들면, 비 연신성을 갖는 메쉬를 포함하고, 메쉬의 재질은 금속,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support member 550 is not deformed even if a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dressing agent 100 and the dressing agent 100 is horizontally maintain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dressing agent 100 is not bent toward the wound side if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ide of the 130 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layer 150 are supported. The support member 550 includes, for example, a non-extensible mesh, and the material of the mesh preferably includes one of metal, nylon, and polyester.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처에 드레싱제(100)를 활용하여 음압을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드레싱제(100)의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아 드레싱제(100) 본연의 흡수 능력과 삼출액의 통과 능력을 유지시킬 수 있어 과도한 삼출액의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통상의 음압 치료보다 더 빠른 상처 치유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By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applies the negative pressure by using the dressing agent 100 on the wound, it does not cause the deformation of the dressing agent 100 more effectively, so that the dressing agent 100 has its natural absorp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pass through the exudates. It is possible to keep the excess exudates more effectively. This effect of course allows for faster wound healing than conventional negative pressure treatment.

이러한 구성을 갖는 드레싱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 상측에 스펀지 등을 놓고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제(100)를 놓고 피부와 접촉시킨다. 그런 후 공기가 통하지 않게 기밀을 유지하는 랩을 포함하는 기밀커버(510)를 드레싱제(100) 위에 덮어 씌우고 피부에 접착시킨다. 기밀커버(510)에는 상처 부위의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튜브(531)가 결합되어 있고 튜브(531)의 단부측에는 상처 및 드레싱제(100) 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처측에 음압을 형성시키는 진공발생기(533)가 있으며, 진공발생기(533)로 생성된 진공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일방향밸브(535)가 튜브(531)의 중류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처 내지 드레싱제(100) 측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압이 작용하더라도 지지부(180) 및 지지부재(550)에 의하여 드레싱제(10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드레싱제(100)는 음압 하에서도 상압과 동일하게 전술한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In the dressing agent 5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a sponge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wound and the dressing ag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thereon and contacted with the skin. Thereafter, an airtight cover 510 including a wrap that keeps airtight through air is covered on the dressing agent 100 and adhered to the skin. The airtight cover 510 is coupled to the tube 531 which i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wound site, the negative pressure on the wound side by discharging air from the wound and dressing agent 100 side to the outside of the end of the tube 531 There is a vacuum generator (533) to form a, one-way valve (535) for maintaining a constant vacuum generated by the vacuum generator 533 is coupled to the midstream side of the tube (531). By this structure, the user can easily form a vacuum on the wound or the dressing agent 100 side. Even if such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e deformation of the dressing agent 100 may be prevented by the support unit 180 and the support member 550, so that the dressing agent 100 may maintain the above-described effects in the same manner as the normal pressure even under negative pressure. .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습윤 상태 및 건조한 상태간의 전환이 빠르고 용이하며 상처에서 발생하는 삼출액으로 인해 상처 부위가 짓물리거나 불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essing agent which is quick and easy to switch between a wet state and a dry state and prevents a phenomenon in which a wound site is bitten or called due to the exudates generated in the wound.

또한, 장시간 사용 시에도 드레싱제의 변형을 예방하여 삼출액의 흡수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essing agent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absorption ability of the exudate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dressing agent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또한, 삼출액의 발생량 변화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음압 하에서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conveniently cope with changes in the amount of exudate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essing agent that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under negative pressure.

또한,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공기도 통하고 필요로 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액을 상처 부위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고, 심플한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드레싱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a single through-hole through the air and the liquid containing the necessary antibiotics can be injected simply and conveniently to the wound site, to provide a multi-purpose dressing agent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in a simple structure Can be.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Whil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erei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100 : 드레싱제 110 : 흡수층
130 : 상부층 150 : 하부층
160 : 기공 170 : 관통부
171, 173, 175 : 흡수관통부, 상부관통부, 하부관통부
180, 380 : 지지부
181, 183, 185 : 흡수지지부, 상부지지부, 하부지지부
195 : 기밀부재 410 : 보조흡수층
510 : 기밀커버 530 : 진공발생부
531 : 튜브 533 : 진공발생기
535 : 일방향밸브 550 : 지지부재
100 dressing agent 110 absorbent layer
130: upper layer 150: lower layer
160: pore 170: through part
171, 173, 175: absorption through portion, upper through portion, lower through portion
180, 380: support part
181, 183, 185: absorption support, upper support, lower support
195: airtight member 410: auxiliary absorption layer
510: air tight cover 530: vacuum generating unit
531: tube 533: vacuum generator
535: one-way valve 550: support member

Claims (12)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과;
상처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 상기 흡수층 및 상기 상부층을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 가능한 기공을 구비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An absorbent layer absorbing the exudates generated in the wound;
An upper lay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absorber layer;
An underlayer bo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absorbent layer in contact with the wound;
And a through part formed through the lower layer, the absorbing layer, and the upper layer.
The absorbent layer includes a hollow pipe-shaped support part coupled to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absorbent layer to support the absorbent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Dress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ck having a pore capable of absorbing the effluent and generating the flow of air in the hollow of the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과 상기 하부층은 각각 관통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re dressing agents,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mprises a through-formed por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대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is a dress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d-shaped hollow is not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은을 함유한 알지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ary absorption lay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layer in contact with the wound,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comprises a dressing agent containing alginate containing silver.
제1항에 있어서,
상처 부위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부층의 하측에 결합된 보조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흡수층은 피부 또는 연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완화 가능하게 베타글루칸 또는 알로에 성분을 포함하는 제제를 도포 또는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ary absorption lay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layer in contact with the wound,
The auxiliary absorption layer is a dress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to apply or coat the formulation comprising a beta glucan or aloe component to promote the regeneration of the skin or soft tissues and relieve inflam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거나, 상기 흡수층,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나머지 층과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 part is a dress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ing the absorption layer,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any one of the absorber layer,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devi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remaining layer.
상처 치료용 드레싱제에 있어서,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액을 흡수하는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흡수층에는 상기 흡수층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 가능하게 상기 흡수층을 관통한 관통홀에 결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가 포함되되,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는 삼출액을 흡수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 가능한 기공을 구비한 심지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In the dressing for wound treatment,
An absorbent layer absorbing the exudates generated in the wound;
Including; an upper lay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absorber layer;
The absorbent layer includes a hollow pipe-shaped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absorbent layer to support the absorbent layer in a vertical direction.
Dress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ck having a pore capable of absorbing the effluent and generating the flow of air in the hollow of the support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대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is a dressing ag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d-shaped hollow is not formed.
삭제delete
KR1020180081842A 2018-07-13 2018-07-13 Dressing KR1020281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42A KR102028131B1 (en) 2018-07-13 2018-07-13 Dressing
PCT/KR2019/008707 WO2020013674A1 (en) 2018-07-13 2019-07-15 Dre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42A KR102028131B1 (en) 2018-07-13 2018-07-13 Dres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131B1 true KR102028131B1 (en) 2019-10-02

Family

ID=6842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842A KR102028131B1 (en) 2018-07-13 2018-07-13 Dress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131B1 (en)
WO (1) WO202001367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150A (en) * 2022-05-26 2023-01-31 山东大学齐鲁医院 Medical dressing with repair matrix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385A (en)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바이오폴 Wound dressing
KR200422370Y1 (en) * 2006-05-16 2006-07-25 강정열 Wound Dressing
KR20070114158A (en) * 2005-02-15 2007-11-29 빌헬름 플라이쉬만 Wound treatment device
JP2009515873A (en) * 2005-11-14 2009-04-16 ダエウォ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ustained release film preparation for wound treatment containing epidermal growth factor
KR101202875B1 (en) * 2012-09-24 2012-11-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Hydrophilic polyurethane foam dressing containing mesh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433762B2 (en) * 2010-06-01 2014-03-05 株式会社瑞光 Top sheet for wound dressing and wound dressing
JP2014168573A (en) * 2013-03-04 2014-09-18 Nitto Denko Corp Film dressing with sweating visual recognition function and through hole
WO2017079174A1 (en) * 2015-11-03 2017-05-11 Kci Licensing,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ulating negative pressure in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5036B2 (en) * 2006-05-11 2009-11-10 Kalypto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JP6176851B2 (en) * 2014-01-14 2017-08-0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therapeutic resin shee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385A (en)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바이오폴 Wound dressing
KR20070114158A (en) * 2005-02-15 2007-11-29 빌헬름 플라이쉬만 Wound treatment device
JP2009515873A (en) * 2005-11-14 2009-04-16 ダエウォ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ustained release film preparation for wound treatment containing epidermal growth factor
KR200422370Y1 (en) * 2006-05-16 2006-07-25 강정열 Wound Dressing
JP5433762B2 (en) * 2010-06-01 2014-03-05 株式会社瑞光 Top sheet for wound dressing and wound dressing
KR101202875B1 (en) * 2012-09-24 2012-11-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Hydrophilic polyurethane foam dressing containing mesh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4168573A (en) * 2013-03-04 2014-09-18 Nitto Denko Corp Film dressing with sweating visual recognition function and through hole
WO2017079174A1 (en) * 2015-11-03 2017-05-11 Kci Licensing,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ulating negative pressure in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150A (en) * 2022-05-26 2023-01-31 山东大学齐鲁医院 Medical dressing with repair matri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674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bagi et al. Principles of wound dressings: a review
Hanna et al. A review of wound healing and wound dressing products
ES2915475T3 (en) wound dressing
Subrahmanyam Honey dressing versus boiled potato peel in the treatment of burns: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Lionelli et al. Wound dressings
Bryan Moist wound healing: a concept that changed our practice
Morin et al. Interactive dressings and topical agents
Agarwal et al. Polymeric materials for chronic wound and burn dressings
Thomas A structured approach to the selection of dressings
EA010316B1 (en) Wound dressing based on microbial-derived cellulose, use thereof and kit containing thereof
EP0601835A1 (en) Pharmaceutical product
KR102361867B1 (en) wound dressing
WO2016029602A1 (en) Total absorption dressing for viscous exudate and blood
Han Interactive wound dressings
KR102028131B1 (en) Dressing
Jacobsen Update on wound dressings: indications and best use
Augustine et al. Role of wound dressings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and acute diabetic wounds
US20230405178A1 (en) Antimicrobial compression wrap
Carter Hydropolymer dressings in the management of wound exudate
Thomas A guide to dressing selection
ES2683044T3 (en) Dressings for conductive wounds and use procedures
Foutsizoglou A practical guide to the most commonly used dressings in wound care
Rizani Modern Wound Dressing for Wound Infection: An Overview
RU2247580C2 (en) Layered material with prolonged therapeutical effect for treating wounds, burns, and bedsores as well as for providing first medical aid
JP2021530260A (en) Wound hea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