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343B1 -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 Google Patents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343B1
KR102003343B1 KR1020170066361A KR20170066361A KR102003343B1 KR 102003343 B1 KR102003343 B1 KR 102003343B1 KR 1020170066361 A KR1020170066361 A KR 1020170066361A KR 20170066361 A KR20170066361 A KR 20170066361A KR 102003343 B1 KR102003343 B1 KR 10200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slip
incision groove
groove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0644A (en
Inventor
황영순
양기은
손오수
박재현
임희철
황현석
Original Assignee
(주)보스산업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스산업,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주)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7006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43B1/en
Publication of KR2018013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은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바닥면 전방부가 상방을 향해 상승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물결무늬 형상의 미끄럼 방지 보조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다각 평면 형상을 이루면서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 돌출되되, 상기 다각 평면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다각 평면을 동일하게 구획하는 제 1 절개홈 및 상기 제1 절개홈과 단차를 이루면서 상기 제 1 절개홈이 절개하는 구역을 일부 확장하도록 형성되되, 제 1 절개홈의 절개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절개홈의 절개 폭보다 절개 폭이 넓고 절개 깊이가 제 1 절개홈의 절개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절개홈보다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절개홈을 포함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가 돌출된 두께보다 얇은 돌출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간극에 배치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front portion of a bottom surface rising upward and having a wavy pattern of anti-slip assistant port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incision groove formed along an imaginary extension lin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polygonal plane and dividing the polygonal plane into the same, Wherein the first incision groove is formed to extend a part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the incision length being shorter than the incision leng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the incision width larger than the incision wid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Wherein the first incision groove is formed to be shallower than the incision depth,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a second non-slip pa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non-slip part and having a protruding thickness smaller than a protruded thickness of the first non-slip part, the second non-slip part being disposed in the gap of the first non-slip part.

Description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본 발명은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신발의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솔에 특정구조를 부여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어 낙상 사고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sole of a shoe for preventing a fall accid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sole capable of reducing a fall accident rate by providing a specific structure to an outsole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낙상 사고란 갑작스럽게 넘어져서 근골격계에 상처를 입는 사고를 말하며, 이는 주로 노인들에게 많이 발생하지만, 건물의 미관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대리석, 타일 등에 의해 젊은 층의 낙상 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Falling accident is an accident that falls abruptly and causes injury to the musculoskeletal system. It occurs mainly in the elderly, but falls frequently occur in young people due to marble and tiles installed to creat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building.

또한, 낙상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빈혈이나 심장질환 등에 의한 신체적 요인, 음주나 개인의 활동량 저하로 인한 행동적 요인 및 건물내 또는 외부 도로 환경에 의한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factors causing the fall can be classified into physical factors such as anemia or heart disease, behavioral factors due to drunkenness or de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aused by the inside or outside road environment.

그 중에서, 성별과 연령을 불문하고 증가하는 낙상 사고의 요인으로서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러한 낙상 사고의 환경적 요인을 통제할 수 있도록 여러 기능성 신발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environmental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fall injury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and various functional shoes are used to control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uch fall acciden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발의 구조는 크게 발등과 관절을 보호하는 갑피, 밑바닥을 보호하는 밑창으로 구성되며, 밑창은 다시 인솔, 미드솔, 아웃솔로 구성된다. 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shoe is composed of an upper which protects the foot and joints, and a sole which protects the bottom. The sole is made up of insole, midsole and outsole.

그 중, 아웃솔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낙상 방지를 위해서는 아웃솔의 마찰력에 대한 요구도가 필수적이다.Among them, in the case of outsol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order to prevent falls, a demand for the friction force of the outsole is essential.

또한, 아웃솔은 보행시, 일정치 않은 지면상태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노면에 습기가 많은 경우와 지면의 계면에 수분이나 유분이 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지면과 아웃솔과의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미끄럼 방지기능이 더욱 요구된다.In addition, the outsole should be able to cope with the uneven ground state properly when walking,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outsole is reduced especially when there is moisture on the road surface and when moisture or oil film forms on the ground surface , A slip prevention function is further required.

특히, 상술하였던 환경적 요인에 의한 낙상 사고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미끄럼 방지 기능이 일반적인 신발의 아웃솔에 공통적으로 요구되어, 지면과의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아웃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tendency that the fall accident rate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is increasing, a slip prevention function is commonly required for outsole of a general shoe, and various researches on outsole that can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are being conducted.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2010-0103139호(2010.10.21 출원일)의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구조는 지면 착지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의 지면에 대한 마찰력을 극대화 시켜 미끄럼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다.Typically, the anti-slip shoe sole structure of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103139 (filed on October 21, 2010)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minimizes the occurrence of slippage by maximiz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efore and after landing Technology.

그러나, 이는 지면의 계면에 형성될 수 있는 수막 또는 유막에 의해 아웃솔의 마찰계수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has a problem that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outsole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the water film or the oil film that can be formed at the interface of the paper surface.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2009-0078951호(2009.08.25 출원일)의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경우 별도의 스파이크 부재를 아웃솔 바닥면에 결속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아웃솔 제조공정에 있어 각기 다른 물성을 가지는 부재를 따로 결합시켜야 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hoe sole for anti-slip of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78951 (filed on August 25, 2009) fil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re is disclosed a technique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by binding a separate spike member to the bottom surface of an outs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reduced because a process of separately joining memb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in the outsole manufacturing process is add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면의 계면에 형성될 수 있는 수막이나 유막을 분해하면서, 아웃솔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웃솔 전체를 이루는 소재를 동일 소재로 사용하여 아웃솔 제조시 생산 효율성의 감소를 초래하지 않고 마찰계수가 우수한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gripping force of an outsole while resolving a water film or oil film, And to provide a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 which has excellent frictional coefficient without causing a decrease in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manufacture of outsole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whole material of the outsole.

제시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은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바닥면 전방부가 상방을 향해 상승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물결무늬 형상의 미끄럼 방지 보조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다각 평면 형상을 이루면서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 돌출되되, 상기 다각 평면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다각 평면을 동일하게 구획하는 제 1 절개홈 및 상기 제1 절개홈과 단차를 이루면서 상기 제 1 절개홈이 절개하는 구역을 일부 확장하도록 형성되되, 제 1 절개홈의 절개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절개홈의 절개 폭보다 절개 폭이 넓고 절개 깊이가 제 1 절개홈의 절개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절개홈보다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절개홈을 포함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가 돌출된 두께보다 얇은 돌출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간극에 배치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s, which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shape in which a front part of a floor surface rises upward, and a wavy-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have a gap therebetween and having an imaginary extension lin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polygonal plane, Wherein the first incision groove is formed to have a step with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to partially extend the incision area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the incision width being shorter than the incision leng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the depth of the incision is shallower than the incision dep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a second slip prevention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have a protruding thickness smaller than the protruded thickness of the first non-slip portion,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 second slip prevention portion and a second slip prevention portion, And a prevention part.

또한,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다각 평면 중심이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non-slip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uch that centers of the polygonal planes are equally spaced.

본 발명은 단차를 가지면서 특정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끄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지면의 계면에 형성되는 유막 또는 수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 감소를 방지하여 우수한 마찰계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ortions having stepped portions and having a specific structure so as to prevent a decrease in frictional force caused by an oil film or a water film formed at the interface of the paper surface, do.

또한, 미끄럼 방지부 돌출 높이를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지면에서 발바닥까지의 충격력 이동경로를 늘릴수 있으므로 우수한 완충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non-slidable portion has a different projection height, the impact force travel path from the ground to the sole can be increased,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buffering effect.

아울러, 아웃솔의 소재를 단일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성형단계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outsole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molding step,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S 구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이 지면에 접촉하기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S of Fig. 1 enlarg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fall-prevention functional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cts the ground.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examples for the purpose of more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에 대해 더욱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며, 상기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은 몸체(100), 제 1 미끄럼 방지부(110), 제 2 미끄럼 방지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와 제 2 미끄럼 방지부(120)가 몸체(100)의 바닥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1, a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first non-skid portion 110, a second skid portion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non-slip parts 110 and second non-slip parts 1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재질로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높은 고무소재를 사용하며, 지면과 마찰시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재의 사용은 한정적이지 않다. As the material of the body 100, a rubber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is used, and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can be used when friction with the ground, and the use of the material is not limited.

또한, 몸체(100)에 구비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와 제 2 미끄럼 방지부(120)은 몸체와 동일 소재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을 제작시 별도의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성형하여 제조 가능하다.The first non-skid portion 110 and the second non-skid portion 120 provided on the body 10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so that a separate process is added to the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molded article efficiently.

특히,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형태는 다각 평면 형상으로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복수개의 제 1 미끄럼 방지부(110) 각각의 중심점이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110 is formed in a polygonal planar shape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central points of the plurality of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s 110 are arranged .

그리고, 복수개의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다각 평면 형상이 각각 다를 수 있으며, 상기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이 적용되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마찰계수의 조절을 위해 크기와 개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nonslip parts 110 may have different polygonal plan shapes, and the size and number of the first nonslip parts 110 may be adjusted to control the fri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type of shoe to which the fallout preventing functional outsole is applied.

아울러, 복수개의 제 1 미끄럼 방지부(110)가 등간격으로 배치될 때, 각각의 제 1 미끄럼 방지부(110)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간극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때 발생하는 간극에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120)가 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first non-slip prevention portions 110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each of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ortions 110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so as to have a gap, The non-slip portion 120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그리고, 상기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은 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물결무늬 패턴을 포함한 미끄럼 방지 보조부(13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 방지 보조부(130)의 패턴의 형태는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이 적용되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The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 may further include a non-skid auxiliary part 130 including a wavy patter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The shape of the non-skid auxiliary part 130 may be a functional outsol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shoe to which it is applied.

또한, 몸체(100)의 형태는 사용자가 장애물에 의한 걸림에 따른 낙상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전방부 바닥면이 지면과 일정각도 이격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의 전방부가 상승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서부터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의 전방 바닥부까지의 거리가 최소 20mm이상 이격되어야 한다.The shape of the body 100 may be such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such that the front portion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urface by a certain angle so that the user is not subject to a fall accident caused by the obstacle. And more particularly, a distance of at least 20 mm from the ground to the front bottom of the fall-resistant functional outsole.

다음으로,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와 제 2 미끄럼 방지부(120)를 더욱 상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110 and the second non-slip prevention par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의 S구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전체적인 구조는 다각 평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다각 평면 중심에서 외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을 따라 절개되는 제 1 절개홈(111)이 형성되며, 제 1 절개홈(111)에 의해 상기 다각 평면의 면적을 동일하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한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S of FIG. 1,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110 is cut along a virtual extension lin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polygonal plane, The first incision groove 111 is formed and the area of the polygonal plane is equally divided by the first incision groove 111. [

또한, 상기 제 1 절개홈(111)이 형성된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에 추가적으로 제 2 절개홈(112)이 형성되는데, 제 2 절개홈(112)은 상기 제 1 절개홈(111)과 같이 다각 평면 중심에서 외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을 따라 형성되되, 제 1 절개홈(111)에 의해 절개된 구역을 다시 제 2 절개홈(112)에 의해 절개된 구역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econd cutout groove 112 is formed in the first non-skid portion 110 formed with the first cutout groove 111, and the second cutout groove 112 is formed in the first cutout 111 Is formed along an imaginary extension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olygonal plane to the outermost direction so that the area incised by the first incision groove 111 can again be expanded by the second incision groove 112 .

이때, 도 1 에 기재된 1점 쇄선은 절개 폭 방향을 의미하며, 2점 쇄선은 절개 길이 방향을 의미하는데, 제 2 절개홈(112)은 상기 제 1 절개홈(111)의 절개폭보다 넓으며, 제 1 미끄럼 방지부(110)를 절개하는 제 2 절개홈(112)의 절개 길이와 절개 깊이가 상기 제 1 절개홈(111)보다 짧고,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1 denotes the incision width direction, and the two-dot chain line denotes the incision length direction,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112 is wider than the incision wid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111 , And the cut length and the cutting depth of the second cutout groove (112) for cutting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110) are shorter than the first cutout groove (111) and shallow.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미끄럼 방지부(110)가 복수개 배치될 때에 간극이 발생 되도록 각기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간극에 제 2 미끄럼 방지부(120)가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s 110 are arranged, the first non-slip parts 12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generate a gap,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2 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알아보도록 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ti-slip portion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먼저,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단면을 살펴보면, 제 1 절개홈(111)과 단차를 이루도록 제 2 절개홈이 형성된다.First,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non-slip portion 110 is formed, and a second cut groove is formed to form a step with the first cut groove 111.

또한, 복수개의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간극에 형성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20)가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 2 미끄럼 방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돌출 높이보다 낮은 돌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non-slip prevention part 120 formed on the gap of the plurality of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s 110 may be formed to improve the grounding force with the ground, and the second n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heigh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is formed to have a protruding height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nonslip parts 110.

특히, 제 1 미끄럼 방지부(110)가 사용자가 지면방향으로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하로 압축변형 되어 돌출 높이가 줄어든 이후에,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120)가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에서 돌출시키도록 한다.In particular, after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110 is compressed and deformed upward an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the second non-slip part 120 contacts the ground, (Not shown).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변형을 통한 미끄럼 방지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Next, the non-slip prevention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non-slip portion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a는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이 지면에 접촉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4A shows a state before the fall-prevention functional outso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Fig. 4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ll-preventing functional outs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특히, 이러한 단차를 이루는 절개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110)가 유, 수막(W)이 형성된 지면과 맞닿게 될 때, 사용자가 지면방향으로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절개홈(112)이 확장되어 유, 수막(W)을 구성하는 유, 수분 등을 흡입하며, 이후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제 1 절개홈(111)을 통하여 수분 등이 배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지면의 계면에 형성되는 유, 수막(W)을 파괴하여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의 마찰계수를 향상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irst nonslip parts 11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per surface formed with the oil film W by forming the cutout grooves forming the stepped sections, The grooves 112 are expanded to suck oil, water,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oil and water film W.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reafter, water or the like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incision groove 111, The water and water film W formed at the interface of the paper surface is destroyed to improv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fallout preventing functional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slipping.

또한, 상술한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와 제 2 미끄럼 방지부(120)의 돌출 높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지면에서 발바닥까지의 충격력 이동경로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완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Further, by making the projecting heights of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110 and the second non-slip prevention part 120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mpact force path from the ground to the sole, have.

정리하면, 본 발명의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은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100)에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와 제 2 미끄럼 방지부(120)에 의해 상기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의 마찰계수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제 1 미끄럼 방지부(110)의 단차를 가지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유, 수막(W)이 형성된 지면에서 우수한 접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non-slip part 110 and a second non-slip part 12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dy 100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restoring for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s and to maintain a good grounding force on the ground where the oil film W is forme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having the step of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110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의 전방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각도 상승시킨 구조를 적용하여 걸림으로 인한 낙상 방지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fall-preventing functional outsole is raised at a certain angle from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falling due to the engagem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providing a functional outsole for preventing falls, and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one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

10 :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
100 : 몸체
110 : 제 1 미끄럼 방지부
111 : 제 1 절개홈
112 : 제 2 절개홈
120 : 제 2 미끄럼 방지부
130 : 미끄럼 보조 방지부
W : 수막 또는 유막
10: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100: Body
110: first anti-slip part
111: first incision groove
112: second incision groove
120: second anti-slip part
130: Slip assistant prevention part
W: Water film or oil film

Claims (2)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바닥면 전방부가 상방을 향해 상승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물결무늬 형상의 미끄럼 방지 보조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다각 평면 형상을 이루면서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 돌출되되, 상기 다각 평면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다각 평면을 적어도 세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구역이 상호 동일 면적을 가지도록 구획하는 제 1 절개홈 및 상기 제1 절개홈과 단차를 이루면서 상기 제 1 절개홈이 절개하는 적어도 세 개의 구역을 일부 확장하도록 형성되되, 제 1 절개홈의 절개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제 1 절개홈의 절개 폭보다 절개 폭이 넓고 절개 깊이가 제 1 절개홈의 절개 깊이보다 얕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절개홈보다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개홈과 제 2 절개홈의 폭이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가 돌출된 두께보다 얇은 돌출 두께를 가지도록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간극에 배치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
A body which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hich has a shape in which a front portion of a bottom surface is raised upward and a non-slip assistant portion of a wavy pattern is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have a gap and having a gap extending along an imaginary extension lin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polygonal plane and dividing the polygonal plane into at least three zones, A first incision notch that has a same area as the first incision, and at least three regions that are stepped with the first incision but that are cut by the first incision,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than the first incision groove, the incision depth being shorter than the incision wid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the incision depth being shallower than the incision dep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A first non-slip portion provided so that a width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are deformable; And
And a second non-slip pa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non-slip part so as to have a protruding thickness thinner than the protruded thickness, the second non-slip part being disposed in the gap of the first non-slip par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다각 평면 중심이 등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용 기능성 아웃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ti-
Wherein the center of the polygonal planes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equally spaced.
KR1020170066361A 2017-05-29 2017-05-29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KR102003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61A KR102003343B1 (en) 2017-05-29 2017-05-29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61A KR102003343B1 (en) 2017-05-29 2017-05-29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644A KR20180130644A (en) 2018-12-10
KR102003343B1 true KR102003343B1 (en) 2019-07-25

Family

ID=6467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61A KR102003343B1 (en) 2017-05-29 2017-05-29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3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968Y1 (en) * 2019-08-20 2020-07-09 김진우 Outsole for sho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14Y1 (en) * 2015-02-25 2015-10-15 김용범 Special Shoes outsole
US20170119091A1 (en) 2015-10-30 2017-05-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Pressure mapped midsoles,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5003U (en) * 1989-03-03 1990-09-14
KR101644454B1 (en) * 2014-10-30 2016-08-01 이영경 Outsole having the function of absorbing impact and protecting from foreign matter and nonslip
US9635903B2 (en) * 2015-08-14 2017-05-02 Nike, Inc. Sole structure having auxetic structures and sip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14Y1 (en) * 2015-02-25 2015-10-15 김용범 Special Shoes outsole
US20170119091A1 (en) 2015-10-30 2017-05-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Pressure mapped midsoles,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644A (en)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8361A1 (en) Independently movable sole structure
KR102523380B1 (en) Sole structure of flexible shoe
JP5965130B2 (en) Outer tread pattern
EP3231309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vertical grooves
US20200315293A1 (en) Footwear outsole with resistance elements
US8333024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dancing
WO2010038266A1 (en) Sole of sports shoes exhibiting good running efficiency
JP6688326B2 (en) Sole structure and shoes using it
CN113749352B (en) Flexible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2003343B1 (en) Functional outsole for fall prevention
WO2015059527A1 (en) A shoe heel cup protection device
JP5747218B2 (en) Anti-slip sole and mold for molding the sole
KR101838296B1 (en) Footwear for fishing
JP3451205B2 (en) Slip-resistant soles
KR101822652B1 (en) Footwear for fishing
JPH0622481B2 (en) Shoe sole
KR101879876B1 (en) Shoes and shoe bottom for fishing
JP3114395U (en) Shoe outsole structure with slip resistance
EP3883419B1 (en) Slip-resistant footwear tread including wide dispersion channels
JP3553041B2 (en) Slip-resistant soles
JP2007275225A (en) Nonslip shoe outsole
JP3924385B2 (en) Anti-slip structure of shoe sole
KR102062802B1 (en) A Sneaker shoes with improved cushioning
JP2002282008A (en) Outsole and shoes equipped with the same
CN220236187U (en) Anti-slip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