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065B1 -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 Google Patents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065B1
KR101977065B1 KR1020170111956A KR20170111956A KR101977065B1 KR 101977065 B1 KR101977065 B1 KR 101977065B1 KR 1020170111956 A KR1020170111956 A KR 1020170111956A KR 20170111956 A KR20170111956 A KR 20170111956A KR 101977065 B1 KR101977065 B1 KR 10197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one growth
fusion implant
porous structure
verteb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5375A (en
Inventor
김정성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65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97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e.g. balloon; devices for inserting or filling such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002/3092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having an open-celled or open-pore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삽입해 넣을 수 있도록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골이식편이 삽입되는 골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골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골삽입홀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를 감싸는 보호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림 상에는 복수 개의 골생성홀이 구성되어,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고자 할 때, 수술 과정에서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에 수술기구 등이 걸리거나, 수술기구 등에 의해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문제를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골이식편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골이식편이 삽입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사전에 계획된 척추 뼈 사이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복수 개의 골생성홀을 통해 환자의 자가 골 생장을 촉진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ous bone growth portion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 space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wherein the bone growth portion includes an inner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a b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ertebral fusion fusion implan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ne insertion hole, the bone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on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Wherein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protection rib to insert a bone graft through the bone insertion hole, a surgical instrument is provided on an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in the surgical procedure, Or the damaged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by the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is bent or broken. The implan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when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with the bone graft is seat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vertebrae previously planned, And to a spin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promotes bone growth.

Description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0001] Description [0002]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삽입해 넣을 수 있도록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골이식편이 삽입되는 골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골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골삽입홀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를 감싸는 보호림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림 상에는 복수 개의 골생성홀이 구성되어,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고자 할 때, 수술 과정에서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에 수술기구 등이 걸리거나, 수술기구 등에 의해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문제를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골이식편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골이식편이 삽입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사전에 계획된 척추 뼈 사이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복수 개의 골생성홀을 통해 환자의 자가 골 생장을 촉진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ous bone growth portion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 space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wherein the bone growth portion includes an inner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a b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ertebral fusion fusion implan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ne insertion hole, the bone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on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Wherein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protection rib to insert a bone graft through the bone insertion hole, a surgical instrument is provided on an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in the surgical procedure, Or the damaged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by the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is bent or broken. The implan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when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with the bone graft is seat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vertebrae previously planned, And to a spin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promotes bone growth.

척추는 신체 몸통의 종축을 이루는 것으로, 7개의 목뼈(Cervical Vertebra), 12개의 등뼈(Thoracic Vertebra), 5개의 허리뼈(Lumbar Vertebra), 5개의 엉치뼈(Sacrum), 4개의 꼬리뼈(Coccyx)로 구성되는 척추 뼈와; 추간판이라고도 불리며 척추 뼈와 척추 뼈를 이어주는 원반 형태의 연골 구조물인 척추디스크로; 이루어진다.The vertebrae, which form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consist of seven cervical vertebra, twelve spines (Thoracic Vertebra), five lumbar vertebra, five sacrum, and four coccyx A vertebrae bone configured; A spinal disc, a disc-shaped cartilage structure that connects vertebrae and vertebrae; .

일반적으로 척추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에서 몸의 하중과 충격을 흡수시켜 주고, 스프링처럼 충격을 분산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척추 뼈가 이탈되지 않도록 붙잡아 주고, 척추 신경이 압축 당하지 않도록 두 척추 뼈를 분리시켜 척추 관절공의 범위를 원만히 해주며, 척추 뼈 각각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In general, the spinal discs absorb the load and shock of the body between the vertebrae, and serve as a buffer to disperse the shock like a spring. The vertebrae hold the vertebrae in such a way that they are not separated, and the vertebrae are separated To smooth the range of spinal articulation, and to smooth the movement of each of the spine bones.

이러한 사람의 척추디스크는 보통 섬유륜과 수핵의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물풍선 속의 물이 수핵이라면, 상기 섬유륜은 물을 담고 있는 고무풍선에 해당한다.The spinal disc of this person is usually composed of a fibrous ring and a nucleus pulposus. If the water in the water balloon is a nucleus, the fibrous ring corresponds to a rubber balloon containing water.

만일 퇴행성 디스크 질병에 걸리게 되면, 섬유륜의 움직임이나 수핵을 담는 능력이 약해지게 되어, 척추디스크의 수분 함유량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 골증식체(Osteophyte) 형성, 디스크 탈출증(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및 신경 루트 압박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If degenerative disc disease is present, the movement of the fibrous ring or its ability to hold the nucleus is weakened, reducing the water content of the spinal disc and causing spinal stenosis, osteophyte formation, disc prolapse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and nerve root compression may occur.

이러한 척추디스크와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손상된 인체의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본체 사이의 공간을 척추체 유합 보형재로 대체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는 사람의 신체에 인공디스크를 이식하는 것으로,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 본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의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As a method for treating such diseases associated with the spinal disc, a method is used in which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vertebral bodies is replaced with a vertebral body with a vertebral body after removal of the intervertebral disc of the injured body. This implies that artificial discs are implanted in a person's body so that the original distance between the two adjacent vertebral bodies, the original height of the intervertebral disc, is restored to restore function of the vertebrae.

상기 척추체 유합 보형재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의 높이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적당한 두께와 인체 해부학적인 형상(Anatomic Type)을 가지며, 내측에 홀이 형성되어 골이식편(Bone Graft)을 삽입해 뼈의 생장을 용이하게 하고, 삽입도구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구를 갖는 형태를 가진다.The spinal fusion material has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anatomical shape to restore the original height of the intervertebral disc, and a hol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to insert a bone graft to allow bone growth And has a mounting hole for mounting to the insertion tool.

수술시 상기 척추체 유합 보형재를 삽입하는 방향에 따라서 후방추체유합술(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횡추간공추체간유합술(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요추부전방추체유합술(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요추부측방추체간유합술(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등으로 구분된다.The posterior interbody fusion (PLIF),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and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vertebral body. ), And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도 1은 종래 기술인 척추체 유합 보형재(90)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17/0216036 A1(2017.08.03)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공지된 척추체 유합 보형재(90)의 경우 척추체 유합 보형재 전체를 3D 프린팅 기술 등을 활용해 다공성 재질의 환자 맞춤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척추체 유합 보형재 내측에 골이식편이 삽입될 수 있는 홀(91)을 구성한 특징이 있다.FIG. 1 is a view of a prior art vertebrae sheathing member 90, which is disclosed in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US 2017/0216036 Al (Jul. Referring to FIG. 1, in the known vertebral fusion splinting member 90, the entire vertebral fusion splinting member is made into a patient-customized porous material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or the like, The hole 91 is formed.

이러한 척추체 유합 보형재(90)는 수많은 공극이 척추체 유합 보형재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 환자의 자가골 생장을 크게 촉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vertebral body 90 has a large number of voids formed over the entire vertebral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enter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vertebrae and significantly promote the growth of the autogenous bone of the patient.

하지만 일반적으로 3D 프린팅 방식 등을 사용해 구성되는 척추체 유합 보형재(9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척추체 유합 보형재(90)를 통한 골 생장 효율은 높아질 수 있겠으나, 척추체 유합 보형재(90)의 표면이 거칠어져 척추 뼈 사이로 인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However,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vertebral fusion spliced member 90 constructed using the 3D printing method or the like, the efficiency of bone growth through the vertebral fusion splinting member 90 can be enhanced, but the spine fusion splint 90 ) Surface becomes rough and it is not easy to enter between the vertebrae.

또한 다수의 공극을 가지고 있는 척추체 유합 보형재(90)는 강도 발현이 어려워 척추 뼈 사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외력을 이기지 못한 다공성 부분이 깨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rtebral fusion splinting material 90 having a large number of voids may cause problems such as breaking or bending of the porous portion that does not win the external force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e because of difficulty in manifesting the strength.

뿐만 아니라, 척추체 유합 보형재(90)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홀(91) 주변이 거친 표면을 가짐에 따라 골이식편을 홀(91) 내부로 집어넣는 과정에서 홀(91) 주변의 다공성 부분이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수술의의 손이나 수술기구 등이 다공성 부분에 걸려 긁히는 등의 문제가 유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one graft into the hole 91, when the bone graf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9, The porosity around the hole 91 may be damaged, such as being bent or cracked, and the problem of scratching the porous portion of the surgical hand or surgical instrument may be caused.

따라서 환자의 골 생장을 촉진하는데 유리한 다공성 구조의 척추체 유합 보형재(90)를 구성하더라도, 최초로 척추 뼈 사이로 인입되는 척추체 유합 보형재(90)의 헤드 부분이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3D 프린팅 되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다공성 부분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으며, 다공성 척추체 유합 보형재 상에 마련된 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할 때 거친 표면을 가지는 삽입홀 주변에 수술의의 손이나 수술기구 등이 걸려 긁히지 않도록 하는 기술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Therefore, even if the vertebral body 90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s advantageously used to promote the bone growth of the patient, the head portion of the vertebral fusion spliced member 90, which is first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is easily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e strength of the porous part with relatively low strength by 3D printing, and when the bone graf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provided on the porous vertebral body,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hand or a surgical instrument from being caught and scratch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삽입해 넣을 수 있도록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골이식편이 삽입되는 골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골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골삽입홀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를 감싸는 보호림을 구성하여,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고자 할 때, 수술 과정에서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에 수술기구 등이 걸리거나, 수술기구 등에 의해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문제를 방지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ous bone growth unit having a porous bone growth unit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 space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bones, wherein the bone growth unit includes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so that a bone graft can be inserted into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a bone insertion hole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bone insertion hole and communicating with a bon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The bone insertion hole constitutes a protective sleeve that surrounds an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The surgical instrument is caught on the end of the bone growth part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in the operation procedure or the end of the bone growth part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by the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is bent or broke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problems of the vertebral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보호림을 구성하여,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3D 프린팅으로 출력되어 다소 거친 표면을 가지는 골성장부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otective cover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n end surface of a bone growth part exposed on a bone insertion hole and outputting the 3D printing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one graft through the bone insertion hole, To prevent the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having the porous structure from being exp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면을 덮는 보호림을 구성하여, 골삽입홀 상에 상기 보호림을 결합하더라도 골삽입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최소화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ve sleeve which is formed in a plate-like band shape and covers an end face of a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a bone insertion hole, so that even when the protection rib is coupled onto the bone insertion ho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loss of the impla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림 상에 보호림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골생성홀을 구성하여,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면을 형성하는 보호림으로 덮더라도 환자의 자가 골 생장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e formation hole that penetrates the other surface of a protected forest on one side of a protected forest so as to prevent the bone growth efficiency of the patient from being lowered even when the porous bone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forest, And to provide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림 상에 복수 개의 골생성홀을 구성하여,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고자 할 때, 수술 과정에서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에 수술기구 등이 걸리거나, 수술기구 등에 의해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문제를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골이식편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골이식편이 삽입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사전에 계획된 척추 뼈 사이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복수 개의 골생성홀을 통해 환자의 자가 골 생장을 촉진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e grafting method for a bone graft in which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are formed on a protection rib to insert a bone graft through a bone insertion hole, Or the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by the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while preventing the damage problem such as warping or break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promotes autogenous bone growth of a patient through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when a vertebral fusion implant is sea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previously designed vertebra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 뼈에 인접한 상하측부의 공극이 내측부의 공극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척추 뼈의 골 생장을 촉진하고 뼈의 성장을 관찰하기 위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상에 관통홀을 구성하는 것 없이도 내측부의 큰 공극을 통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내부의 뼈 성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e growth device in which the bone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djacent to the vertebrae are smaller than the pores of the medial portion of the vertebrae to facilitate bone growth of the vertebrae and observe the growth of the bon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enables observation of bone growth inside a vertebral fusion union through a large gap of the medial side without constituting a through hole in the vertebral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골성장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구성하여,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골성장부만으로는 환자의 뼈의 탄성계수에 근접한 강도를 가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를,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용이하게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뼈의 강도에 근접한 강도를 가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portion that supports the bone growth portion and which has difficulty in forming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strength close to the elastic modulus of the bone of a patient using only a bone growth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voi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having a strength close to the strength of bone of a patient by allowing the strength to be easily adjusted through the fram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골성장부는,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이웃하는 척추 뼈와 접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수술 후 환자의 흉터를 최소화하고자 최소 침습으로 이루어지는 수술과정에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골성장부의 헤드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과, 골성장부의 바디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2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방사선이 조사되었을 때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외주형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치확인이 보다 용이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e growth device including a head portion that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an end portion and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neighboring vertebra bone to minimize scarring A first support frame which facilitates the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in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 and which has a complementary shape to the contour of the head of the bone growth part and a second support frame having a contour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body part of the bone growth part, We have designed a frame to make uniform the overall strength of the unified vertebral implant and to recognize the outer shape of the united vertebral implant when the radiation is irradiat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지지프레임을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다소 거친 표면의 골성장부 대신, 상대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이 주변 조직에 닿아 마찰에 의한 저항이 적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e grafting device in which a first support frame is configur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one growth portion and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relatively smooth surface is contacted with surrounding tissu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by making the resistance sm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성장부의 헤드부 팁을 덮는 인입면을 제1지지프레임 상에 추가로 구성하여,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헤드부의 팁 부분은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최초 진입하는 부분인바, 해당 부분의 표면 마찰력을 줄이고 소정의 강도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 뼈 사이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용이한 삽입을 도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e grafting device in which a pulling surface for covering a head portion tip of a bone growth portion is additionally formed on a first support frame and a tip portion of the head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facilitates insertion of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between vertebrae bones by reducing the surface frictional force of the portion and allow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be develop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다수의 구멍을 가진 골성장부를 통해 뼈의 생장을 촉진해 빠른 시일 내에 이웃하는 척추 뼈가 유합되도록 하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하중은 밀도가 높은 하중지지프레임쪽으로 집중되어 하중지지프레임이 이를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골성장부의 깨짐, 변형 등을 방지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ad supporting frame for supporting a load applied to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one growth part to promote bone growth through a bone growth part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load applied to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is concentrated toward the dense load supporting frame so that the load supporting frame can bear the burden on the load supporting frame to prevent cracking and deformation of the relatively weakly formed bone growing part, And to provide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이웃하는 척추 뼈로부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받게 되는 하중을 골성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골성장부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that forms a first step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so that a load received by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from neighboring vertebrae And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is burdened, thereby preventing a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relatively small-rigidity bone growth part, and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하중지지프레임의 내측부분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전측 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하여, 뼈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확대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n inner portion of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is curved in a forward direction of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단턱을 형성하며 제2지지프레임과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2하중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이웃하는 척추 뼈로부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받게 되는 하중을 골성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과 제2하중지지프레임이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골성장부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1하중지지프레임만을 구성하였을 때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 load support frame that forms a second step and connects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load received by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from the adjacent vertebrae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ortion The exposed first load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share one another so that the load is prevented from concentrating into the relatively small rigidity of the bony growth portion and more stable than when only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is constructed And to provide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삽입해 넣을 수 있도록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골이식편이 삽입되는 골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골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골삽입홀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를 감싸는 보호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ous bone growth device including a porous bone growth part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 space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wherein the bone growth part includes a bone graf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a b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for communicating with the bon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호림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rib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an end face of the bone growth part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호림은, 판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rib is formed in a plate-like band shape to cover the end surface of the bone growth part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호림은, 보호림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골생성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on forest further includes a bone forma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otection forest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골생성홀은, 상기 보호림의 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are formed along the surface of the protection ri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 뼈에 인접한 상하측부의 공극이 내측부의 공극보다 작도록 하여, 상하측부의 공극을 통해 척추 뼈의 유합을 촉진시키고, 내측부의 공극을 통해 척추 뼈의 유합 촉진 및 뼈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growth portion promotes the fusion of the vertebrae through the void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the void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djacent to the vertebrae being smaller than the voids in the medial portion, So that the fusion of the vertebrae and the growth of the bone can be observed through the pores of the medial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는, 상기 골성장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강도를 발현하는 프레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further includes a frame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bone growth portion and expressing the strength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이웃하는 척추 뼈와 접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골성장부의 헤드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과, 골성장부의 바디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ny growt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ony growth unit comprises: a head portion that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end portion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 body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head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fram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body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다공성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y growth portion to enable easy insertion of the porous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into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골성장부의 헤드부 팁을 덮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초기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인입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es a lead-in surface that covers the head portion tip of the bone growth portion and facilitates initial insertion of the vertebral fusion fusion implant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art further includes a load supporting frame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and supports a load applied to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중지지프레임은, 제1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supporting frame includes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forming a first step and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은,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부분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전측을 향해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oad bearing frame is formed such that an inner po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is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중지지프레임은, 제2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2하중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supporting frame forms a second step, and the second load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the engaging part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a support frame.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삽입해 넣을 수 있도록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골이식편이 삽입되는 골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골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골삽입홀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를 감싸는 보호림을 구성하여,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고자 할 때, 수술 과정에서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에 수술기구 등이 걸리거나, 수술기구 등에 의해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문제를 방지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graft comprising a porous bone growth portion having a porous shape complementary to a space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bones, And a bon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ne insertion hole and communicating with a bon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wherein the bone insertion hole constitutes a protective sleeve that surrounds an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When a bone graft is to be inserted, a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is caught on the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in the surgical procedure, or the end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by the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is bent or broke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un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which prevents the problem.

본 발명은,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보호림을 구성하여,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3D 프린팅으로 출력되어 다소 거친 표면을 가지는 골성장부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otector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n end surface of a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a bone insertion hole and outputting 3D printing in a process of inserting a bone graft through a bone insertion hole,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growth portion is not exposed, resulting in an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un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본 발명은, 판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골삽입홀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면을 덮는 보호림은 구성하여, 골삽입홀 상에 상기 보호림을 결합하더라도 골삽입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최소화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ve sleeve which is formed in a plate-like band shape and covers an end face of a bone growth part exposed on a bone insertion hole, so that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one insertion hole is minimized even when the protection rib is engag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 And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본 발명은, 보호림 상에 보호림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골생성홀을 구성하여,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면을 형성하는 보호림으로 덮더라도 환자의 자가 골 생장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structure having a porous structure which constitutes a bone formation hole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on one side of a protective forest on a protective forest so that the porous bone growth unit is not deteriorated in self- And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본 발명은, 보호림 상에 복수 개의 골생성홀을 구성하여, 골삽입홀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고자 할 때, 수술 과정에서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에 수술기구 등이 걸리거나, 수술기구 등에 의해 골삽입홀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문제를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골이식편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골이식편이 삽입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사전에 계획된 척추 뼈 사이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복수 개의 골생성홀을 통해 환자의 자가 골 생장을 촉진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grafting method for forming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on a protection rib and inserting a bone graft through a bone insertion hole, The implan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while preventing the end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by the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from being damaged or cracked due to breakage or the like and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the bone graft insert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un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promotes the autogenous bone growth of a patient through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when the implant is sea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previously designed vertebrae.

본 발명은,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 뼈에 인접한 상하측부의 공극이 내측부의 공극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척추 뼈의 골 생장을 촉진하고 뼈의 성장을 관찰하기 위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상에 관통홀을 구성하는 것 없이도 내측부의 큰 공극을 통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내부의 뼈 성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growth portion is constituted such that the void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djacent to the vertebrae are smaller than the voids in the medial portion so as to facilitate the bone growth of the vertebrae and to observe the growth of the bone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fusion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enables observation of bone growth inside a vertebral fusion implant through a large gap of the medial side without constituting the implant.

본 발명은, 상기 골성장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구성하여,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골성장부만으로는 환자의 뼈의 탄성계수에 근접한 강도를 가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를, 상기 프레임부를 통해 용이하게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뼈의 강도에 근접한 강도를 가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ne growth portion and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strength close to the elastic modulus of a patient bone with only a bone growth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voids are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un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having a strength close to the strength of a bone of a patient by allowing the strength to be adjusted.

본 발명은, 상기 골성장부는,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이웃하는 척추 뼈와 접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수술 후 환자의 흉터를 최소화하고자 최소 침습으로 이루어지는 수술과정에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골성장부의 헤드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과, 골성장부의 바디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2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방사선이 조사되었을 때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외주형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치확인이 보다 용이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growth portion includes a head portion that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end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head portion and contacts the neighboring vertebrae so as to minimize the scarring of the patient after the operation,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head of the bone growth part and a second support fram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body part of the bone growth p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fusion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allows easy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implant by making it possible to uniformly control the strength of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and to recognize the outer shape of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when irradiated. .

본 발명은, 제1지지프레임을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다소 거친 표면의 골성장부 대신, 상대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이 주변 조직에 닿아 마찰에 의한 저항이 적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support frame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ortion so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relatively smooth sur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surrounding tissues to reduce the resistance due to friction Thereby providing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본 발명은, 골성장부의 헤드부 팁을 덮는 인입면을 제1지지프레임 상에 추가로 구성하여,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헤드부의 팁 부분은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최초 진입하는 부분인바, 해당 부분의 표면 마찰력을 줄이고 소정의 강도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 뼈 사이로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용이한 삽입을 도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ead portion for covering the head portion tip of the bone growth portion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tip portion of the head portion which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end portion is a portion which first enters the space between vertebrae bone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that facilitates insertion of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between vertebrae bones by reducing the surface friction of the vertebra and allow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be developed.

본 발명은,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다수의 구멍을 가진 골성장부를 통해 뼈의 생장을 촉진해 빠른 시일 내에 이웃하는 척추 뼈가 유합되도록 하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하중은 밀도가 높은 하중지지프레임쪽으로 집중되어 하중지지프레임이 이를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골성장부의 깨짐, 변형 등을 방지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ad supporting frame for supporting a load applied to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one growth part to promote bone growth through a bone growth part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load applied to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is concentrated toward the dense load supporting frame so that the load supporting frame can bear the load, thereby preventing the fracture and deformation of the relatively weakly formed bone growing part. The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l fusion implant is derived.

본 발명은, 제1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이웃하는 척추 뼈로부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받게 되는 하중을 골성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골성장부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that forms a first step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so that a load received by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from the neighboring vertebra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exposed to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is burdened, thereby preventing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relatively small-rigid bony growth portion.

본 발명은, 제1하중지지프레임의 내측부분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전측 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하여, 뼈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확대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vertebra unified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n inner portion of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is curv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an enlarged portion capable of confirming the growth of the bone is enlarged .

본 발명은, 제2단턱을 형성하며 제2지지프레임과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2하중지지프레임을 구성하여, 이웃하는 척추 뼈로부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받게 되는 하중을 골성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과 제2하중지지프레임이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골성장부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1하중지지프레임만을 구성하였을 때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that forms a second step and connects a second support frame and a coupling portion, wherein a load received by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from a neighboring vertebrae is divided into a first The load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are shared so as to prevent the load from concentrating on the relatively small rigidity of the bone growth part and also to support the load more stably than when only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is constitut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인 척추체 유합 보형재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서 보호림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를 후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op view or a bottom view of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the porous structure of FIG. 2;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rib in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the porous structure of FIG. 2; FIG.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 6 is a rear view of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the porous structure of FIG. 2; FIG.
7 is a use stat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및 이동은 각 도면에 화살표로 표현된 방향에 따라 정의되며, 필요에 따라 본문 내에서 별도로 정의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herein, And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nd the movement of each component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in each drawing, and are defined separately in the text as necess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관한 사시도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는 골성장부(10), 프레임부(30), 결합부(50)를 포함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ne growth part 10, (30), and an engaging portion (50).

상기 골성장부(10)는,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다.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는 디스크가 제거된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이 되어 고정되는바, 이격되는 현상 없이 척추 뼈 사이에서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된 위치상의 척추 뼈 사이의 내측공간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ne growth part 10 has a porous structure, preferably a porous structur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 spatial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The vertebral fusion implants (1) with a porous structure ar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paces between the vertebrae where the discs are removed, and the inner side between the vertebrae in the fixed position so as to be fixed between the vertebra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shape of the space.

탄성계수(Young's Modulus, Elastic Modulus)란, 탄성 한도 안에서 응력과 변형은 정비례(Hook의 법칙)하는바, 이때의 비례정수를 가리킨다. 따라서 탄성계수가 크다는 것은 변형이 작다는 것이고, 변형이 작다는 것은 재료의 강도가 강하다는 것이 된다. 반대로, 탄성계수가 작다는 것은 변형이 많다는 것이고, 변형이 많다는 것은 재료의 강도가 약하다는 것이다.The Young's Modulus (Elastic Modulus) is a direct proportion (Hook's law) of stress and strain in the elastic limit, and indicates the proportional constant at this time. Therefore, the large elastic modulus means that the deformation is small, and the small deformation means that the material has a high strength. On the contrary, a small elastic modulus means that there is a lot of deformation, and a lot of deformation means that the material has a weak strength.

환자의 뼈의 탄성계수에 비해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척추 뼈 사이에 삽입될 경우, 강도가 강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에 의해 환자의 골 밀도가 감소되는 응력방패현상(Stress Shielding), 뼈가 침강하는 현상(Sinking Down) 등이 일어날 수 있는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탄성계수는, 환자의 뼈의 탄성계수에 근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When a vertebral union implant (1) with a porous structure with a great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at of a patient's bone is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a vertebral union implant with a strong porous structure (1) Stress shielding with reduced density and sinking down can occur.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with a porous structure is determined by the elastic modulus of the patient's bon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m to be close to each other.

상기 골성장부(10)는, 후술할 프레임부(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방사선이 투과되는 다공성의 구성을 말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프레임부(30)는 방사선이 불투과 되고, 상기 골성장부(10)는 후술할 공극(10a)을 통해 방사선이 투과되는바, 방사선의 투과 및 불투과 부위가 명확히 구별되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위치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골성장부(10)는, 공극(10a)과 메쉬(10b)로 구성된다.The bone growth portion 10 refers to a porous structure that can be supported by a frame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permeable to radia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radiation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frame portion 30, and the bone growth portion 10 is irradiated with the radiation through the gap 10a to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and non-transmission regions of the radiation are clearly distinguished, The posi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onfirmed. The bone growth portion 10 is composed of a cavity 10a and a mesh 10b.

상기 공극(10a)은, 조사된 방사선이 그대로 투과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상기 골성장부(10)의 비어있는 공간들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상기 공극(10a)은 골성장부(10)의 임의의 위치상에 무질서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형태로 질서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극(10a)의 형태와 관련하여 이를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방사선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The void 10a is a concept collectively referred to as vacant spaces of the bone growth part 10 having a porous structure through which the irradiated radiation is transmitted as it is. The cavity 10a may be configured to be randomly formed on any position of the bone growth part 10, but it may be structured in a predetermined form, preferably. The shape of the gap 10a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and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it allows radiation to pass therethrough as it is.

상기 메쉬(10b)는, 상기 공극(10a)을 형성하며 골성장부(1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구성을 말하고, 상기 공극(10a)은 이러한 메쉬(10b)를 통해 마련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골성장부(10)는 상기 공극(10a)을 통해 방사선이 투과되는데, 상기 메쉬(10b)도 방사선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구성할 경우, 상기 공극(10a)과 메쉬(10b)의 구분이 불분명해 지는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10b)는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sh 10b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bone growth part 10 by forming the gap 10a and the gap 10a is provided through the mesh 10b. When the mesh 10b is also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adiation transmittance, the gap between the gap 10a and the mesh 10b is unclear As a result, preferably, the mesh 10b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radiation.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는 후술할 프레임부(30)의 구성없이 상기 골성장부(10)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골성장부(10)만으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구성할 경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전체적으로 공극(10a)을 형성하게 되는바, 공극(10a)을 통해 뼈가 생장되면서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결합을 더욱 촉진할 수 있게 된다.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may be constituted by only the bone growth part 10 without the structure of the frame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formed of only the bone growth portion 10,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forms the void 10a as a whole, The bone can be grown to further promote the bonding between the adjacent vertebrae.

다만 골성장부(10)만으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구성할 때 뼈의 생장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지만,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 자체의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는 후술할 프레임부(30)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프레임부(30)를 설명할 때 논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상기 골성장부(10)는, 헤드부(11), 바디부(13), 보호림(15)을 포함한다.However, whe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s constructed by only the bone growth portion 10, the growth rate of the bone can be maximized, but the rigidity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tself is low. Such a problem will be solved through the frame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ame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bone growth portion 10 includes a head portion 11, a body portion 13, and a protection rib 15.

상기 헤드부(11)는,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골성장부(10) 상에서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부분을 말한다.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삽입하는 수술은 환자의 피부, 뼈 등의 주변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최소 침습의 수술 상황에서 척추 뼈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계획된 정위치 상에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삽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외측이 상기 골성장부(10)로 이루어지면서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경우, 마찰력으로 인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삽입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척추 뼈 사이로 최초로 삽입되는 골성장부(10)의 일단을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형성하여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삽입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head portion 11 refers to a portion that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end on the bone growth portion 10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between adjacent vertebrae.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with a porous structure is designed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surrounding tissues such as the skin and the bone of the patient. In suc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insert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on the bone. Particularly, when the outer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formed of the bone growth part 10 to form a rough surface,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insert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due to frictional force . Therefore, one end of the bone growth part 10 inserted first between the vertebrae bones can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reduced toward the end, so that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can be facilitated.

상기 바디부(13)는, 상기 헤드부(11)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이웃하는 척추 뼈와 접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바디부(13)는 전체적인 형상이 상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척추 뼈 사이 내측공간의 해부학적 형상에 기인한 것으로, 상기 바디부(13)은 형상은 환자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환자의 척추 뼈를 3차원 스캐닝을 하고 제품 모델링을 통해 3D 프린팅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3) refers to a configura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art (11) and in contact with the neighboring vertebrae. The body portion 13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body portion 13 is convex upward and downward. This is due to the anatomical shape of the medial space between the vertebrae of the patient, and the shape of the body part 13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 Such a shape can be realized by 3D scanning of the vertebrae of a patient and 3D printing through product modeling.

상기 헤드부(11)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삽입을 위한 기능을 가지는 반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정위치에 위치설정된 이후에는 상기 바디부(13)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바디부(13)는, 골삽입홀(131), 골삽입공간(133)을 포함한다.The head portion 11 has a function for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while the body portion 13 is inserted after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 The body portion 13 includes a bone insertion hole 131 and a bone insertion space 133.

상기 골삽입홀(131)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내측에 골이식편(Bone Graft)을 삽입해 넣을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일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골삽입공간(133)과 연통되는 구성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삽입홀(131)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상면 및/또는 하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bone insertion hole 1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so that a bone graf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he bone insertion hole 13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 or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상기 골삽입홀(131)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내용에 따르면 상기 골삽입홀(131)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골삽입홀(131)은 반드시 이러한 개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bone insertion hole 13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3, the bone insertion hole 131 is shown as having a lon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cept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상기 골삽입공간(133)은, 골이식편(Bone Graft)이 채워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내측 빈 공간을 가리킨다. 상기 골삽입공간(133)은 전술한 상기 골삽입홀(131)과 연통이 되는바, 수술의는 상기 골삽입홀(131)을 통해 골이식편(Bone Graft)을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상기 골삽입공간(133)에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The bone insertion space 133 refers to an inner hollow space of the vertebra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filled with a bone graft. The bone insertion space 133 communicates with the bone insertion hole 131. The surgeon inserts the bone graft through the bone insertion hole 131 into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Not shown).

상기 골삽입공간(133)은, 상기 골삽입홀(131)의 평면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연장형성함에 따라 내측 공간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골삽입홀(131)의 평면형상을 소정의 깊이까지는 유지하다가 그 크기가 확대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모든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bone insertion space 133 may be formed as an inner space by vertically extending while maintaining the planar shape of the bone insertion hole 131.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hape in which the shape is maintained up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size thereof is enlarged.

도 4는 도 2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서 보호림을 분해한 분해사시도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implant in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the porous structure of FIG. 2,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일면에 형성되어 골이식편이 삽입되는 골삽입공간(133)과 연통되는 상기 골삽입홀(131)을 통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넣으려고 할 경우, 3D 프린팅 되어 출력된 다소 거친 표면을 가지는 골성장부(10)로 인하여 골이식편 삽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골이식편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골성장부(10)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 손상을 입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골삽입홀(131) 상에 보호림(15)을 구성한 특징이 있다.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ebra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through the bone insertion hole 131 communicating with the bone insertion space 133 into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bone graft due to the bone growth portion 10 having a rough surface that is 3D printed and output.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one graft, the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may be damaged or broke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on ribs 15 are formed on the rib insertion holes 131.

상기 보호림(15)은, 골삽입홀(131)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10)의 단부를 감싸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골삽입홀(131)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10)의 단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림(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골삽입홀(131)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10)의 단부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골삽입홀(131)을 통해 골이식편을 삽입하고자 할 때, 수술 과정에서 골삽입홀(131)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10)의 단부에 수술기구 등이 걸리거나, 수술기구 등에 의해 골삽입홀(131) 상에서 노출된 골성장부(10)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호림(15)은, 골생성홀(151)을 포함한다.The protection rib 15 is configured to surround an end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and preferably covers the end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And may have a complementary shape to the end face. 4, the protection rib 15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end surface of the bone growth part 10, which is formed in a plate-like band shape and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When a bone graft is to be inserted through the bone insertion hole 131, a surgical instrument or the like is caught on the end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during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such as bending or breaking of the end of the bone growth part 10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The protection rib (15) includes a bone formation hole (151).

상기 골생성홀(151)은, 보호림(15)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다공성의 골성장부(10) 상에 관통 형성된 골삽입홀(131)에 상기 보호림(15)을 구성하여 그 표면을 매끄럽게 할 경우, 골이식편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 해질 수 있겠으나, 면을 형성한 부분만큼의 골성장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보호림(15) 상에 골생성홀(151)을 구성함으로써, 골생성홀(151)이 만드는 빈 공간을 통해 골 생장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이러한 상기 골생성홀(151)은 상기 보호림(15)의 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골생성홀(151)이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상기 보호림(15) 상에 배열되어 있으나, 상기 골생성홀(151)은 이러한 개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호림(15) 상에 다양한 형태로 임의의 위치 상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ne formation hole 151 is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of the protection rib 15. When the protective rib 15 is formed i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formed on the porous bone growth part 10 to smooth the surface thereof, insertion of the bone graft may be facilitated. However, A problem may arise in which the bone growth efficiency is reduced as much as the por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by forming the bone formation hole 151 on the protection rib 15,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bone growth through the void space formed by the bone formation hole 151. The bone formation hole 151 May be formed along the surface of the protection rib 15. 4, the bone formation holes 151 are regularly arranged on the protection ribs 15 at regular intervals, but the bone formation holes 151 are not limited to this concept, Or may be freely disposed in any position on the protection rib 15 in various forms.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구조의 척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골성장부(10)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이 경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강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성장부(10)는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면서, 이러한 골성장부(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전체적인 강도를 발현하는 프레임부(30)가 추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of the vertebral porous structure may be formed of only the bone growth portion 10, but in this case, the stiffness of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his weakening problem occurs.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bone growth part 10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a space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and to support the bone growth part 10, A frame portion 30 that exhibits the overall strength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can be added.

상기 프레임부(30)는, 상기 골성장부(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강도를 발현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는 공극(10a)과 메쉬(10b)로 구성된 상기 골성장부(10)만으로 구성되어 뼈의 생장 속도를 높일 수 있으나, 척추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견디기에는 충분한 강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골성장부(10)에 강도의 발현이 가능한 상기 프레임부(30)를 구성함으로써 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30)는, 소정의 강도 발현을 위한 생체 금속(티타늄, 티타늄합금, 코발트크롬, 마그네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rame portion 3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one growth portion 10 to express the strength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s composed of only the bone growth part 10 composed of the cavity 10a and the mesh 10b, and can increase the bone growth rate. However, May not have sufficient stiffness to bear the load. This problem is solved by constructing the frame portion 30 capable of manifesting the strength in the bone growth portion 10. Preferably, the frame portion 30 may be made of a biomaterial (titanium, titanium alloy, cobalt chrome, magnesium) for the purpose of exhibiting a predetermined strength.

상기 프레임부(30)는, 방사선이 불투과되는 비다공성으로 구성되어, 다공성 재질의 골성장부(10)가 방사선 조사시 상기 공극(10a)을 통해 방사선을 그대로 투과해 어디가 골성장부(10)인지 알 수 있게 하고, 방사선이 불투과되어 어둡게 나오는 부분은 프레임부(30)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위치확인이 보다 용이해 진다.The frame part 30 is made of a non-porous material such that the radiation is not penetrated. When the bone growth part 10 made of porous material is irradiated with radiation through the gap 10a, ), And the portion where the radiation is opaque and comes out dark can b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by the frame portion (30). This makes it easier to locate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with a porous structure.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30)는 상기 골성장부(10)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선형부재 또는 판상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선형부재란, 직선부재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곡선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부재를 통칭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형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30)를 구성할 경우, 완성된 프레임부(30)는 면을 형성하지 않고, 수술에 사용될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모서리들을 연결한 형태와 대략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상하, 좌우로 내외측이 연통된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빈 공간 상에는 상기 골성장부(10)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판상형부재란, 상기 선형부재와는 달리 상기 프레임부(30)가 면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프레임부(30)를 판상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외면을 매끈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고, 이 경우 다소 거친 표면의 골성장부(10)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척추 뼈 사이에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삽입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용이한 인입을 도모할 수 있다.The frame part 30 may hav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bone growth part 10, and may be formed of a linear member or a plate-like member. The linear member is not a straight member, but a concept including a curved member, and can be considered as a concept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 member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Therefore, when the frame part 30 is formed through the linear member, the finished frame part 30 does not form a surface, but forms a shape in which the corners of the vertebra unified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o be used for surgery are connected 4, it is possible to form an empty space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front, rear, top and bottom, left and right, and the bone growth part 10 can be filled on the empty space . The plate-like member means that the frame portion 30 forms a surface, unlike the linear member. When the frame portion 30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can be made smooth. In this case, the bone growth portion 10 of a somewhat rough surface has a porous structure (1) of the vertebral body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and the frictional force is reduced whe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bones, .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30)는 제1지지프레임(31), 제2지지프레임(33), 하중지지프레임(35)을 포함한다.The frame portion 30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31, a second support frame 33, and a load support frame 35.

상기 제1지지프레임(31)은, 상기 골성장부(10)의 헤드부(11)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골성장부(10)의 헤드부(11)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형상을 가지는 점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31) 역시,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support frame 31 refers to a configuration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head 11 of the bone growth unit 10. Since the head portion 11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has a shape that is reduced in size toward the end portion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can be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end portion.

상기 제1지지프레임(31)은, 상기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골성장부(10)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31)의 외측을 감싸 제1지지프레임(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거친 표면의 골성장부(10) 대신, 상대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31)을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upport frame 31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and the bone growth part 10 may surround the first support frame 31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frame 31. [ The frame 31 may be configur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in order to easily insert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nto the spac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bones, as shown in Fig. 5, a relatively smooth surface 10 instead of the roughly- The first support frame 31 having the first support frame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unit 10.

골성장부(10)의 헤드부(11)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면 골 생장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는 있으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척추 뼈 사이로 삽입할 때 3D 프린팅 되어 다소 거친 표면의 골성장부(10)에 의해 척추 뼈가 긁히면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인입을 어렵게 할 수 있기에, 제1지지프레임(31)을 구성하여 이를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인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exposing the entire head 11 of the bone growth part 10 to the outside may be effective on the aspect of bone growth, whe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3D printing is performed, Since the vertebra bone is scratched by the bone growth part 10 on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difficult. Therefore, by constituting the first support frame 31 and exposing it to the outside, The implanta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structure can be facilitated.

상기 제1지지프레임(31)을 골성장부(10)의 헤드부(11)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선형부재로 구성할 때,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헤드부(11)의 팁 부분은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최초 진입하는 부분으로, 해당 부분이 용이하게 인입되어야 척추 뼈 사이를 자연스럽게 벌리면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가 들어갈 수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성장부(10)의 헤드부(11)의 팁을 덮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초기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인입면(311)을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upport frame 31 is formed of a linear member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11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the tip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1, As shown in FIG. 4, when the bone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nes, the porous portion of the bone can be inserted into the bone growth portion 10 ) To cover the tip of the head 11 of the vertebral body and to facilitate the initial insertion of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은, 상기 골성장부(10)의 바디부(13)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말한다. 상보적인 형상이란, 동일한 형상뿐만 아니라 대략 동일한 형상까지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은, 상기 바디부(13)를 지지하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강도를 발현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골성장부(10)의 내측에서 상기 골성장부(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일 부분은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이 되고 다른 부분은 골성장부(10)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모든 개념을 포함한다.The second support frame 33 has a configuration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body part 13 of the bone growth part 10. The complementary shape is preferably a broad concept including not only the same shape but also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The second support frame 33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ody portion 13 and to express the strength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he second support frame 33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as shown in FIG. 5. On the other hand, in the bone growth part 10,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part 10, one pa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and the other part may be located inside the bone growth part 10 .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이 골성장부(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경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척추 뼈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척추 뼈와 골성장부(10)가 접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면서, 골 생장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다만, 다공성의 골성장부(10)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강성은 떨어지게 된다.When the second support frame 33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bone growth part 10, when the vertebra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the vertebra bone and the bone growth part 10) is relatively increased, and bone growth can be further promoted. However, since the porous bone growth portion 10 has a relatively low rigidity, the overall rigidity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lowered.

따라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을 골성장부(10)의 내측에 위치시킬 것인가, 아니면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시킬 것인가는, 골 생장의 촉진에 초점을 맞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구성할 것인지, 강성 확보에 초점을 맞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구성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refore, whether to allow the second support frame 33 to be positioned inside the bone growth part 10 or outside the bone growth part 10 has a porous structure with a focus on promoting bone growth I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o construct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or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with a porous structure focused on securing rigidity.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은,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다공성 구조의 척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하중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의 형태에 관해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판상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선형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The load supporting frame 35 supports the load applied to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to form a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of a porous structure 1) is improved. The shape of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but may be a plate-like shape, a linear member, or the like.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은 다공성 구조의 상기 골성장부(10)에 비해 밀도가 높게 구성되며, 이러한 밀도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쪽으로 힘이 쏠리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골성장부(10)로 힘이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이 전담할 수 있도록 하여, 다공성의 골성장부(10)를 구성하더라도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전체적인 강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load supporting frame 35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density than the bone growing part 10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the force is directed toward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having a relatively high density due to the difference in density. This phenomenon prevents a force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relatively weakly-biased bone growth part 10, so that the force acting o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entirely exerted by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So that the overall rigidity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can be enhanced even when the porous bone growth portion 10 is constituted.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하중 저항력은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의 크기, 두께, 구성재료 등이 바뀜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환자의 경우는 척추 뼈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보통에 비해 클 수 있는바,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의 두께 등을 크게 하여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반대로 체중이 적게 나가는 환자의 경우는 척추 뼈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보통에 비해 작을 수 있기에,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의 두께 등을 작게 하여 소정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 강성은 확보하면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경량화시킴에 따라 비용적인 측면 등에서 이점을 얻을 수도 있다.The load resistive forc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may vary as the size, thickness, constituent material, etc. of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are changed. Therefore, in the case of a patient having a large body weight,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vertebrae bone can be larger than usual, and the rigidity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Since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vertebrae can be smaller than that in the normal case, the thickness of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can be made small, so that the vertebral body fusion with a predetermined porous structure Implant (1) While maintaining the stiffness and light weight of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with a porous structure,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이러한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은, 제1하중지지프레임(351) 및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을 포함한다.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includes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nd a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353.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과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은 하중지지프레임(35)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이를 구분하기 위해 다르게 명명되는 것이며, 전술한 하중지지프레임(35)의 설명은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과 제2하중지지프레임(353) 각각에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nd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353 are named differently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ositions of the load supporting frames 35. The description of the load supporting frames 35 Are equally applied to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nd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353, respectively.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은, 제1단턱(S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31)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을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제1지지프레임(31)과 제2지지프레임(33)의 사이에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을 구성하여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이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이 하중을 전적으로 부담하도록 한다. 이로써 척추 뼈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맞닿는 부분에서 골성장부(10)의 비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이 하중을 지지하여, 외력으로 인한 골성장부(10)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forms a first step S1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ing frame 31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33. [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frame 31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33 so that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ing part 10 So that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can bear the load entirely. As a result, the ratio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at the portion where the vertebra bone and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increased. The first load support frame 351 supports the lo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wth portion 10 from being deformed or the like.

상기 제1단턱(S1)은, 확경되는 측의 제1지지프레임(31)의 단부를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은 확경되는 측의 제1지지프레임(31)의 단부와 일치하는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즉, 상기 제1지지프레임(31)은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은 골성장부(10)의 내측에 위치할 경우 형성된다. The first step S1 connects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31 on the side to be enlarged by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33 is connected to the side The first support frame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An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에 골이식편(B)을 넣어 척추 뼈 사이에 삽입하게 되면, 골성장부(10)가 척추 뼈와 접촉하면서도, 척추 뼈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에 하중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골성장부(10)의 하중에 의한 변형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When the bone graft (B) is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of the vertebral body with the porous structur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vertebra bone is relatively denser The load can be concentrated on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having a high height, an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deformation due to the load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occurs.

상기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은, 제2단턱(S2)을 형성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31)과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조작에 사용되는 수술기구가 연결되는 결합부(50)를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353 forms a second step S2 and connects the second supporting frame 31 and the surgical instrument used for operating the vertebral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단일의 제1하중지지프레임(351)만을 구성하여 척추 뼈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부담하고자 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에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only a singl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to bear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vertebra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same to the vertebra unifying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having a lon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ad can not be efficiently supported.

그리하여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에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제1하중지지프레임(351)과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을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efficiently suppor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vertebra unified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nd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351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he support frame 353 can be formed.

복수 개의 하중지지프레임(35)은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과 제2하중지지프레임(353) 각각으로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하중지지프레임(35)의 개수에 관하여는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oad supporting frames 35 allow the load to be distributed to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nd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353, respectively. The load of the vertebra unifying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safety of the apparatus. The number of the load supporting frames 35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척추 뼈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 및 상기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으로 쏠리도록 하여 골성장부(10)의 변형 등을 방지하는 것인바,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을 구성함에 따라 제1지지프레임(31)과 제2지지프레임(33) 사이에 소정 높이의 제1단턱(S1)뿐만 아니라,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을 구성함에 따라 제2지지프레임(33)과 결합부(50) 사이에도 소정 높이의 제2단턱(S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vertebrae is tilted to the first load support frame 351 and the second load support frame 353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one growth unit 10, The frame 351 constitutes the first load frame 353 as well as the first step S1 having the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3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3, A second step S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may also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frame 33 and the engaging portion 50. [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척추 뼈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골성장부(10)에 직접적인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과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bones,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nd the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353 So that the load can be concentrated.

수술의가 의도한 척추 뼈(S) 사이의 정위치에 골이식편(B)을 포함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삽입이 되면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 및 상기 제2하중지지프레임(353)이 척추 뼈(S)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부담하게 되고, 상기 골성장부(10)는 척추 뼈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게 되어, 하중에 의한 변형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된다. 그러면서 상기 골성장부(10)는 척추 뼈와 접하게 되는바, 척추 뼈의 유합은 촉진될 수 있다.Whe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the bone graft B is inserted in the correct position between the vertebrae S intended for the surgeon, the first load support frame 351 and the second load support The frame 353 is burdened with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vertebrae S and the bone growth part 10 does not directly receiv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vertebrae so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deformation due to the load do. The bone growth part 10 is in contact with the vertebrae so that the fusion of the vertebrae can be promoted.

도 5를 참고하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에서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의 내측부를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전측 방향을 향해 곡률지게 형성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351)을 통한 골성장부(10)의 보호 효과를 유지하면서, 뼈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넓어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로부터 환자의 뼈 성장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이루는 골성장부(10)는 그 위치에 따라 공극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골성장부(10)의 외측면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삽입된 이웃하는 척추 뼈와 모두 접촉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상측면과 하측면만이 척추 뼈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와 척추 뼈가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골 생장의 촉진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수 있다. 즉, 척추 뼈와 접하게 되는 상측부와 하측부의 골성장부(10)의 공극(10a)의 크기를 내측부의 골성장부(10)의 공극(10a)의 크기보다 더 작게 구성하고, 척추 뼈와 접하지 않는 내측부의 골성장부(10)의 공극(10a)의 크기는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의 골성장부(10)의 공극(10a)의 크기보다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다. 공극(10a) 크기의 변화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상면과 하면만이 척추 뼈와 접한다는 점에서, 수직적 변화에 맞춰져 있다. 이러한 수직적 변화는 골성장부(10)를 상측부, 내측부, 하측부로 구분 짓게 하며, 상측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상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까지의 일정 영역을, 하측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하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까지의 일정 영역을, 내측부는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i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he inner side of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is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have.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portion for confirming the growth of the bone is widened while maintaining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through the first load supporting frame 351.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bone growth of the patient from the vertebra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the bone growth portion 10 constituting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may have different sizes of pores have. The outer surface of the bone growth part 10 is not in contact with all of the adjacent vertebra bones into which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inserted.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bony growth part 10 has a porous structure, Only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vertebrae. Therefore, the promotion of bone growth may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area where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with a porous structure meets the vertebrae. That is, the size of the gap 10a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contacting the vertebrae is mad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gap 10a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of the medial portion, The size of the void 10a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in the medial side which does not abu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ap 10a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i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cavity 10a is adjusted to a vertical change in that on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contact the vertebra bone. The vertical change causes the bone growth part 10 to be divided into an upper part, a medial part and a lower part. The upper part of the bone growth part 10 has a certain area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o a predetermined depth, It can be seen that the medial portion refers to a portion exclud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to a predetermined depth.

도 5에 도시된 내용에 의하면, 상측부와 내측부의 경계, 하측부와 내측부의 경계가 공극(10a)의 차이를 통해 확연히 구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상측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골성장부(10)의 공극(10a)을 키워가고,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하측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골성장부(10)의 공극(10a)을 키워감으로써, 자연스럽게 공극(10a)의 변화를 줄 수도 있는 등의 개념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골성장부(10)의 내측부의 공극(10a)의 크기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 내부의 뼈 성장을 관찰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5,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the inner side portions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inner side portion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difference of the voids 10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e cavity 10a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is gradually advan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The cavity 10a of the bone growth part 10 can be naturally raised to change the gap 10a naturally. Also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cavity 10a in the inner side of the bone growth part 10 is preferably large enough to observe the bone growth inside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상기 결합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33)의 단부에 결합되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조작에 사용되는 수술기구가 연결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결합부(50)의 형태와 관련하여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환자의 척추 뼈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할 수술기구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가 있다. 상기 결합부(50)는 외부에 노출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50)가, 척추 뼈 사이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삽입을 위해 수술기구(P)와 결합하여 외력을 받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상기 골성장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upling portion 50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3 and is connected to a surgical instrument used for operating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concept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50 but may be variously determined in relation to a surgical instrument to be used for inserting a vertebral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between vertebrae of a patient There is a number. The coupling part 50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art 50 includes a vertebra fusion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between vertebrae bones The bone grafting unit 10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unit 10 in that the bone grafting unit 10 is configured to receive an external force in combination with the surgical instrument P for insertion of the bone graft.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공성 구조의 척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는, 상기 골삽입홀(131)에 형성된 보호림(15)을 통해 골이식편을 골삽입공간(133)으로 용이하게 삽입한 뒤, 수술기구(P)에 상기 결합부(50)가 연결되어 수술의의 조작에 의해 계획했던 척추 사이의 정위치 상에 삽입될 수 있다.7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vertebra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having a porous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into the bone insertion space 133 through the protective rib 15 formed i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The engaging portion 50 is connected to the surgical instrument P and can be inserted in the correct position between the vertebrae planned by the operation of the surgeon.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기 전에 환자의 골 생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골이식편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내측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골이식편이 들어가게 되는 통로인 상기 골삽입홀(131)이 3D 프린팅 되어 출력됨으로써 다공성 골성장부(10)의 단부가 그대로 노출되어 거친 표면의 내주면을 형성하게 되는바, 상기 골삽입홀(131)에 골이식편을 집어넣을 때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다공성의 골성장부(10)가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 손상될 우려가 있고, 골성장부(10)의 거친 표면에 의해 수술의의 손이나 기타 다른 수술기구 등이 긁히는 등의 문제를, 상기 골삽입홀(131) 상에 노출된 골성장부(10)의 단부를 감싸는 보호림(15)을 구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one graft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so as to promote the bone growth of the patient before inserting the vertebral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nto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e, Since the end of the porous bone growth part 10 is exposed as it is by 3D printing and outputting the bone insertion hole 131,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ugh surface is formed. When the bone graft is inserted into the bone insertion hole 131,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rous bone growth portion 10 having a weak strength may be damaged, such as being bent or cracked, and the problem of scratching the hands of the surgeon or other surgical instruments due to the rough surface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by constructing the protection rib 15 which surrounds the end of the bone growth part 10 exposed on the bone insertion hole 131.

상기 보호림(15)을 통해, 수술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기 이전에, 보다 용이하게 골이식편을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 내측의 골삽입공간으로 집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매끈한 표면을 구성함에 따라 골성장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보호림(15) 상에는 보호림(15)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골생성홀(151)을 구성하여, 상기 골생성홀(151)을 통한 골성장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Prior to inserting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into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e, the surgeon can more easily move the bone graft through the protective forest 15 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bone insertion spac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low bone growth efficiency due to the smooth surface structure, a plurality of bone formation holes 151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on rib 15 to penetrate the other side are formed on the protection rib 15, The bone growth efficiency through the generation holes 151 can be increased.

또한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를 환자의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해당 공간으로 최초로 인입되는 골성장부(10)의 헤드부(11) 팁 부분이 용이하게 척추 뼈 사이를 비집고 들어갈 수 있도록, 거친 표면의 골성장부(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한 바, 이를 감싸는 인입면(311)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31) 상에 구성되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용이한 삽입을 도모할 수 있다.Also,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nto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e of the patient, the tip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1 of the bone growth portion 10,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bone growth portion 10 of the rough surfa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entrance surface 311 surrounding the bone growth portion 10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31 to have a porous structure So that easy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can be achieved.

이때 상기 프레임부(30)는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고, 상기 골성장부(10)는 상기 공극(10a)을 통해 방사선을 통과시키는바, 골성장부(10)와 프레임부(30)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게 하면서 수술의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radiation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frame part 30, and the bone growth part 10 passes radiation through the gap 10a, thereby distinguishing the bone growth part 10 from the frame part 30 The present posi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of the surgeon can be grasped accurately.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가 수술의가 의도했던 위치상에 정확히 안착되면,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는 척추 뼈 사이에서 이웃하는 척추 뼈의 완전한 골유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척추 뼈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하중지지프레임(35)이 상기 하중을 지지하게 되고,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골성장부(10)로의 하중 쏠림은 방지된다.Whe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s accurately placed on the position intended by the surgeo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vertebral body until the complete vertebral bone union of the adjacent vertebrae between the vertebrae It receives a load transmitted from the vertebrae. At this time, the load supporting frame 35 supports the load, and the load is prevented from leaning to the bone growth part 10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having a relatively low rigidity.

따라서 하중으로 인한 골성장부(10)의 깨짐, 변형 등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와 접하는 이웃하는 척추 뼈가 완전한 골유합을 이룰 때까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1)의 최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acture and deformation of the bone growth part 10 due to the load, so that until the vertebral bones adjacent to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1 having a porous structure are completely united,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having a porou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initial state of the battery 1.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1: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10: 골성장부 11: 헤드부
13: 바디부 15: 보호림
30: 프레임부 31: 제1지지프레임
33: 제2지지프레임 35: 하중지지프레임
50: 결합부
1: Spinal fusion with porous structure Implant
10: bone growth part 11: head part
13: Body part 15: Protected forest
30: frame part 31: first support frame
33: second supporting frame 35: load supporting frame
50:

Claims (14)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의 골성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에 골이식편을 삽입해 넣을 수 있도록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골이식편이 삽입되는 골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골삽입홀과, 상기 골삽입홀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정 높이까지 상기 골삽입공간이 형성된 상기 골성장부의 내주면을 감싸는 보호림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림은, 상기 골성장부의 내주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판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며, 보호림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골생성홀을 포함하여, 상기 골삽입홀에 의해 노출된 골성장부의 내주면을 감싸 그 손상을 방지하면서 골 생장 효율을 높이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And a porous bone growth portion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a spatial shape between neighboring vertebrae,
The bone growth portion includes a bon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ertebral fusion fusion implant to insert a bone graft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fusion fusion implant, the bone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on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bone graft is inserted, And a protective rib surround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growth portion,
Wherein the protective rib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growth portion and is formed in a plate-like band shape, and includes a bone forma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protection rib, A spinal fusion implant with a porous structure that wraps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to increase its bone growth efficiency while preventing da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생성홀은, 상기 보호림의 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ne formation holes are formed along the surface of the protuber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 뼈에 인접한 상하측부의 공극이 내측부의 공극보다 작도록 하여, 상하측부의 공극을 통해 척추 뼈의 유합을 촉진시키고, 내측부의 공극을 통해 척추 뼈의 유합 촉진 및 뼈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ne growth part promotes the fusion of the vertebra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es so that the voids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djacent to the vertebrae are smaller than the voids in the medial side and promotes fusion of the vertebrae through the pores of the medial side, The implant has a porous structure that allows the surgeon to observe the implant.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는, 상기 골성장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강도를 발현하는 프레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6,
Wherein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further comprises a frame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bone growth portion and expressing the strength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성장부는,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이웃하는 척추 뼈와 접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골성장부의 헤드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과, 골성장부의 바디부의 윤곽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ne growth portion includes a head portion that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an end portion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and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neighboring vertebra bone,
Wherein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head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frame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tour of the body portion of the bone growth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척추 뼈 사이의 공간으로 다공성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support fram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ortion to enable easy insertion of the porous vertebral fusion implant into a space between vertebrae bon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골성장부의 헤드부 팁을 덮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초기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인입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es a leading surface that covers the head tip of the bone growth portion to facilitate initial insertion of the vertebral fusion un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골성장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ram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load supporting fram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ne growth portion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프레임은, 제1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하중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oad supporting frame comprises a first load supporting frame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to form a first ste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중지지프레임은,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내측부분이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의 전측을 향해 곡률지게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load bearing frame is formed such that an inner portion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is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rtebral body fusion impla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프레임은, 제2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된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2하중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 척추체 유합 임플란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oad supporting frame forms a second step and includes a second load supporting frame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nd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frame.
KR1020170111956A 2017-09-01 2017-09-01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KR101977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56A KR101977065B1 (en) 2017-09-01 2017-09-01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56A KR101977065B1 (en) 2017-09-01 2017-09-01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75A KR20190025375A (en) 2019-03-11
KR101977065B1 true KR101977065B1 (en) 2019-05-13

Family

ID=6575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956A KR101977065B1 (en) 2017-09-01 2017-09-01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0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160B1 (en) * 2021-08-26 2023-11-08 주식회사 코렌텍 Intervertebral Body Fusion Prosthesis With Porous Structure of Shell Ty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0878A1 (en) 2015-02-13 2016-08-18 Eit Emerging Implant Technologies Gmbh Spinal implants with engineered cellular structure and internal imaging markers
WO2017106780A1 (en) * 2015-12-16 2017-06-22 Nuvasive, Inc. Porous spinal fusion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11403C (en) * 2008-02-01 2016-08-09 Synthes Usa, Llc Porous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and methods
KR20150000249A (en) * 2013-06-24 2015-01-02 (주)메디쎄이 Porous vertebral interbody fusion c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0878A1 (en) 2015-02-13 2016-08-18 Eit Emerging Implant Technologies Gmbh Spinal implants with engineered cellular structure and internal imaging markers
WO2017106780A1 (en) * 2015-12-16 2017-06-22 Nuvasive, Inc. Porous spinal fusion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75A (en)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952B1 (en) Spinal Cage of Porous Structure Improved Load Resistance
KR102136714B1 (en)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with Improved Fixing Part
KR101839299B1 (en) Spinal Cage of Porous Structure
US6736850B2 (en) Vertebral pseudo arthrosis device and method
US6245108B1 (en) Spinal fusion implant
AU2004268673B8 (en) Multipiece allograft implant
US10271958B2 (en) Interbody spacer
US6143033A (en) Allogenic intervertebral implant
JP4594738B2 (en) Intervertebral implant
US9468535B2 (en) Interbody spacer
KR102226568B1 (en) Porous Spinal Cage with Minimized Solid Part
KR102196502B1 (en) Cervical Stand-Alone Cage with Porous Structure
KR101977065B1 (en)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of Porous Structure
KR102168608B1 (en) Porous Cervical Vertebra Cage to Promote Bone Fusion
JP2022549608A (en) Spinal implant with surface projections
CN109009579A (en) A kind of round bar shape XLIF Invasive lumbar fusion device
KR102385810B1 (en) Intervertebral body fusion device
KR101009937B1 (en) Intervertebral implant
CN111631844A (en) Double-skin elastic fixation fusion c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