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50B1 - Laundry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50B1
KR101923450B1 KR1020120092445A KR20120092445A KR101923450B1 KR 101923450 B1 KR101923450 B1 KR 101923450B1 KR 1020120092445 A KR1020120092445 A KR 1020120092445A KR 20120092445 A KR20120092445 A KR 20120092445A KR 101923450 B1 KR101923450 B1 KR 10192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awer
suspension unit
fixing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6802A (en
Inventor
손세열
김동원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50B1/en
Priority to CN201380028404.5A priority patent/CN104321481B/en
Priority to EP13181505.2A priority patent/EP2700743B1/en
Priority to US13/974,264 priority patent/US9580853B2/en
Priority to PCT/KR2013/007576 priority patent/WO2014030961A1/en
Publication of KR2014002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8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종래의 서스펜션 유닛보다 경제적이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된 서스펜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지지축, 강도보강축, 체결부,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서스펜션 유닛은 드로워와 터브에 각각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provide a suspension unit that is more economical than a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provided in a washing machine and that simplifies the assembling process. The suspension unit includes a support shaft, a strength reinforcing shaft, a fastening portion, And these suspension units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respectively formed on the drawer and the tub.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종래의 서스펜션 유닛에 비해 구조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가진 세탁장치의 서스펜션 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suspension unit of a washing machine having a structure superior to a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탁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로 구분할 수 있다. Generally, a washing machine can be classified into a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washing, a dryer that performs drying, and a combined washing machine that can perform drying and drying.

그런데, 전술한 세탁장치들은 사용자가 그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는 경우에 세탁장치의 도어의 높이가 낮아서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 투입해야하는 불편함을 수반한다. However, when the user inserts the laundry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e height of the door of the washing machine is low, which inconveniences the user to bend the user's waist.

따라서, 최근에는 세탁장치의 도어의 높이를 높이고자 상기 세탁장치의 하부에 별도의 하우징 등을 구비하는 제품들이 개발 또는 출시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products having separate housings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or released to raise the height of the door of the washing machine.

상기 하우징은 단순히 세탁에 필요한 세제류, 세탁물 또는 수리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세탁장치를 수용하여 유아용 세탁물, 신발 등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별도의 세탁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be used as a space for storing detergents, laundry, or repair tools required for washing, but may be a separate washing machine capable of washing a small amount of laundry such as infant laundry, shoes, . ≪ / RTI >

도 1은 드럼 타입 세탁장치 하부에 별도의 페데스탈 세탁장치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종래의 페데스탈 세탁장치의 서스펜션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shows a separate pedestal washing apparatus provided under the drum type washing apparatus,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suspension unit of a conventional pedestal washing apparatu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장치(1)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1캐비닛(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캐비닛(10)에 인접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로워(2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캐비닛(10) 및/또는 제2 캐비닛(2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1 and 2,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first cabinet 10 for washing laundry. In addition, a drawer 23 for washing laundry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cabinet 10. That is, the user can load laundry into the first cabinet 10 and / or the second cabinet 20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washing, drying, or refreshing.

상기 제1캐비닛(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을 세탁, 즉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 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1터브(미도시) 및/또는 제1드럼(1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cabinet 10 may include a first tub (not shown) and / or a first drum 11 for washing, washing, drying, or refreshing the laundry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드로워(23)도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2터브(21) 및/또는 제2드럼(2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드로워(2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2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는 드로워(23)를 잡아당겨 용이하게 드로워(23)을 개폐할 수 있다.The drawer 23 may also include a second tub 21 and / or a second drum 22 for receiving wash water therein, and may include a drawer 23 slidable forward have. That is, the drawer 23 is slidable forwar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rawer 23 by pulling the drawer 23.

한편, 드로워(23)의 세탁용량이 제1캐비닛(10)에 비하여 작은 경우에, 드로워(23)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장치는 상부에서 세탁물을 투입하는 일명 탑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의 페데스탈(pedestal)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드럼(22)은 제2터브(21)의 내측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washing capacity of the drawer 23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abinet 10, the washing machine installed in the drawer 23 is a top loading type ) Pedestal washing apparatuses. Therefore, the second drum 22 may be rotatably dispos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inside of the second tub 21. [

이러한 드로워(23) 내부에 구비되는 페데스탈 세탁장치 또한 일반적인 세탁장치와 마찬가지로 드럼(22)이 수용된 터브(21)를 지지하며, 상기 드럼(22)의 회전에 의한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스프링(32) 또는 댐퍼(미도시)와 같은 서스펜션 유닛(30)을 구비한다.The pedestal wash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drawer 23 also supports the tub 21 in which the drum 22 is housed and a spring 32 (not shown) for reducing vibrations due to rotation of the drum 22, Or a suspension unit 30 such as a damper (not shown).

다만, 제1캐비닛(10)에 위치한 통상적인 세탁장치에 비하여 페데스탈 세탁장치의 캐비닛(20)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페데스탈 세탁장치 내부에 서스펜션 유닛(30)을 설치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20 of the pedestal washing apparatus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located in the first cabinet 10,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of the suspension unit 30 in the pedestal washing apparatus do.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서스펜션 유닛(30)은 댐퍼 또는 스프링(32)으로 구현되므로 서스펜션 유닛(30)의 제작단가가 비싸서 세탁장치의 전반적인 제작비용이 증가하며, 이러한 스프링(32) 또는 댐퍼로 구현되는 서스펜션 유닛(30)은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공정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30 is implemented by a damper or a spring 32,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uspension unit 30 is expensive and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washing machine is increased. The suspension unit 30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requires a long assembly time.

따라서, 서스펜션 유닛의 구성요소의 유지, 보수 작업이 다소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Therefor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f the components of the suspension unit is somewhat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또는 댐퍼로 구현되는 종래의 서스펜션 유닛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동일한 성능을 확보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implemented with a spring or a damper, and to secure the same perform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서스펜션 유닛보다 제작비용 및 조립시간을 감소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assembly tim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세탁장치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서스펜션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spension unit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f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washing apparatus is narr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드로워와 터브에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진동을 감쇄하되, 상기 드로워와 터브의 진동을 상호 독립적으로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drawer accommodated in the cabinet and slidably forward; a tub installed in the drawer to receive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and a suspension unit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wer and the tub to reduce vibrations of the drawer and the tub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 washing machine.

바람직하게,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상기 드로워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진동을 상호 독립적으로 감쇄하는 두 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uspension unit includes a first fix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rawer, a second fix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a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ed portion and the second fixed portion, Two fastening portions provided respectively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fix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respectively and two cushion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for independently attenuating vibrations .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두 개의 체결부와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shaft to which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wo fastening portions are connected, and a strength reinforcement shaf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shaft and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support shaft.

바람직하게, 상기 강도보강축은 상기 지지축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강도보강축과 제1고정부 및 상기 강도보강축과 제2고정부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buff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절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uffer member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and a cut surface is formed at one side.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자유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탈거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portion includes a detachment prevention tab formed by bending at a free end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본 발명의 서스펜션 유닛은 기존의 서스펜션 유닛과 달리 스프링이 아닌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종래의 서스펜션 유닛보다 제조 단가가 낮으며 세탁장치에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suspen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shioning member rather than a spring, unlike the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and the assembling process is simplified in the washing apparatus.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서스펜션 유닛에서 비교적 단순한 방법으로 착탈 가능하여 종래의 서스펜션 유닛보다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can be detached and removed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in the suspension unit, which is easier to maintain and repair than the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또한, 강도보강부를 지지축에 구비하여 종래의 서스펜션 유닛에 비해 터브의 지지력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support shaft, the supporting force and the durability of the tub ar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도 1은 드럼 타입 세탁장치 하부에 별도의 페데스탈 세탁장치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페데스탈 세탁장치의 서스펜션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이 페데스탈 세탁기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이 페데스탈 세탁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이 장착된 페데스탈 세탁기의 상면도.
1 shows a separate pedestal washing device provided under the drum type washing device.
2 is a schematic view of a suspension unit of a conventional pedestal washing apparatu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edestal washing machine. FIG.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edestal washing machine. FIG.
6 is a top view of a pedestal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ic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here the terms used herein contradic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y shall be as defined herei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한편, 여기서 언급하는 세탁물에는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mentioned here may include not only clothes but also objects that can be worn by humans such as shoes, socks, gloves, hats, etc., and may include all objects capable of performing washing.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종래의 구성요소 및 부재번호는 이하 동일하게 설명한다.The conventional components and member number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Figs. 1 and 2 are hereinafter described in the same manner.

페데스탈 세탁장치 또한 일반적인 세탁장치와 마찬가지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0)과, 상기 캐비닛(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23)와, 상기 드로워(23)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1) 및 상기 터브(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2)을 포함한다.The pedestal washing apparatus also includes a cabinet 2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drawer 23 accommodated in the cabinet 20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And a drum (22) provided inside the tub (21)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21).

상기 터브(21) 내부에 구비된 드럼(22)의 회전에 따라, 이러한 드럼(22) 및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21)는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복합적인 방향 성분을 가지고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22 provided in the tub 21, the drum 22 and the tub 21 accommodating the drum can vibrate in various directions. For example, vibration occurs in a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mplex direction component.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이러한 페데스탈 세탁장치에 구비되어 진동을 감쇄시키는 서스펜션 유닛의 구조에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서스펜션 유닛은 이하 페데스탈 세탁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세탁장치에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structure of a suspension unit provided in such a pedestal washing apparatus to attenuate vibrations. However, the suspen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the suspension unit is fastened to the pedestal washing apparatu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the suspension unit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이 페데스탈 세탁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edestal washing machine.

이러한 서스펜션 유닛(100)은 상기 드로워(23)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25)와, 상기 터브(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24)와,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체결부(120)와, 상기 지지부(110)에 구비되어 진동을 감쇄하는 완충부재(130)를 포함한다.The suspens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25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rawer 23, a second fixing part 24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21, A first fixing part 25 and a second fixing part 24 which are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110 and which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And a cushioning member 130 provided on the support 110 for attenuating vibrations. As shown in FIG.

상기 제1고정부(25)는 상기 드로워(23)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24)는 상기 제1고정부(25)와 높이 차이를 가지고 상기 터브(21)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fixing part 25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rawer 23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has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first fixing part 25,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21)와 드로워(23)의 간격을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한다. 즉, 서스펜션 유닛(100)은 터브(21)와 드로워(23)가 소정 범위를 넘어서 서로 이격되거나, 또는 소정 범위를 넘어서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support part 11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to keep the gap between the tub 21 and the drawer 23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hat is, the suspension unit 100 can prevent the tub 21 and the drawer 23 from being apart from each other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or from approaching each other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바람직하게, 상기 드로워(23)에 터브(21)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 상기 제1고정부(25)는 드로워(23)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고정부(24)도 상기 터브(21)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25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awer 23 and the second fixing part 2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awer 23 in order to firmly support the tub 21 to the drawer 23. [ The tub 24 may also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1.

또한, 서스펜션 유닛(100)을 수직방향으로 구비하기 위해,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는 서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마주 보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그 사이에 구비되는 서스펜션 유닛(100)도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the suspension unit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may b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may b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suspension unit 100 provided therebetween also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의 지지부(110)는 상기 두 개의 체결부(120)와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지지축(111)과, 상기 지지축(111)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축(112)을 포함한다.The supporting part 110 of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shaft 111 to which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are connected to the two coupling parts 120, And a strength reinforcing shaft 11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upport shaft 111.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축(111)은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의 높이차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강성체(剛性體)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축(111)은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 구비되어 터브(21) 및 드로워(23) 간의 수직이동을 주로 제한한다.Preferably, the support shaft 111 is formed of a rigid body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24. The supporting shaft 11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to mainly restrict vertical movement between the tub 21 and the drawer 23. [

그러나, 상기 지지축(111)이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주로 터브(21) 및 드로워(23) 간의 수직이동을 제한한다는 것일 뿐, 상기 지지축(111)이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서 견고하게 위치한다면 수평이동 또한 제한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upport shaft 111 is fas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the vertical movement between the tub 21 and the drawer 23 is limited If the support shaft 111 is firml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24, the horizontal movement can be restricted.

상기 지지축(111)이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서 견고하게 위치하기 위한 구성은 후술한다.The structure for firmly positioning the support shaft 111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24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서스펜션 유닛(100)은 드럼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감쇄하는 기능을 하므로, 상기 지지축(111)은 페데스탈 세탁장치의 오랜 시간 사용에 따른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suspension unit 100 has a function of attenuating vibrations due to the driving of the drum, the supporting shaft 111 may be deformed by a long time use of the pedestal washing apparatus.

따라서, 상기 지지축(1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은 상기 지지축(111)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축(111)의 외주면에 소정길이의 강도보강축(112)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upport shaft 111,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shaft 111, A length reinforcing axis 112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 진동으로 인한 상기 지지축(111)의 변형은 고정되어 있는 지지축(111)의 양단 부근보다 중앙부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지지축(111)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지지축(111)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eformation of the support shaft 111 due to the vibration is more likely to occur at the center tha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fixed support shaft 111. Therefore, And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11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도보강축(112)은 상기 지지축(111)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중공부(112a)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축(11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더 높은 강도보강을 위해 상기 지지축(1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3,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112 may be formed in a manner such that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111 by forming a hollow portion 112a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111 However, it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support shaft 111 for higher strength reinforcement.

이러한 강도보강축(112)은 상기 지지축(1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ength reinforcement shaft 112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shaft 111.

한편, 상기 지지축(111)을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축(111)의 양단에는 체결부(120)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두 개의 체결부(120)는 상기 지지축(1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축(111) 양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각각의 체결부(120)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support shaft 111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fastening parts 12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111, respectively. The two fastening portions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shaft 111 or may have threaded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111 as shown in FIG. Can be screw-coupled.

한편,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는 각각의 자유단에 삽입부(25a, 24a)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may have inserting parts 25a and 24a at their respective free ends.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삽입부(25a, 24a)는 상기 지지축(111)의 지름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축(111)을 후술할 안착홈(25b, 24b)을 향해 측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삽입부(25a, 24a)의 폭 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에서 상기 지지축(11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25a and 24a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111. In this case, the support shaft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recesses 25b and 24b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oupling part 12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sertion parts 25a and 24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25 and 24 support the supporting shaft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축(111), 강도보강축(112) 및 체결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서스펜션 유닛(10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축(111)의 말단과 상기 강도보강축(112)의 말단 사이의 간격만큼의 수직운동이 발생한다.The suspension unit 100 is vertic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25 and 24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shaft 111,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112, and the coupling portion 120 are engaged, A vertical movement is genera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shaft 111 and the distal end of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112.

이러한 수직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술한 종래기술은 스프링을 압축하여 지지축(111) 외주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축(111)의 수직운동을 제한하였으나 스프링은 재료단가 및 제조단가가 비싸고,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에 체결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에 다소 시간이 걸리게 된다.In order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has limite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upport shaft 1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by compressing the spring and inserting the spring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11, Since the unit price is high and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the assembling process takes some time.

또한, 스프링이 진동을 감쇄하기는 하지만, 스프링의 일단에 진동이 전달되면 그 진동은 타단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터브(21)와 드로워(23)는 어느 하나가 진동하면 다른 하나도 그 진동에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When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one end of the spring,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spring. Therefore, when one of the tub 21 and the drawer 23 vibrat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receives the servic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서스펜션 유닛(100)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상기 강도보강축(112) 외에 완충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완충부재(130)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며, 재료 단가를 고려하여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problem of such a conventional suspension unit 100, and further includes a buffer member 130 in addition to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112. The cushioning member 13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be able to attenuate vibrations, and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cost.

이러한 완충부재(130)는 상기 지지축(111)의 말단과 상기 강도보강축(112)의 말단 사이의 간격만큼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지지축(111)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을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ushioning member 13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a distance between a distal end of the support shaft 111 and a distal end of the strength reinforcement shaft 112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nctions to firmly fix the suspension unit 100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24.

또한, 상기 완충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11)의 양단에 한 개씩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서 상기 지지축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양 방향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감쇄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완충부재(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터브(21) 또는 드로워(23)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세탁장치의 장기적 측면에서 본다면 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uffer member 13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111, so that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to the support shaft can be mutually independent It is preferable that two buffer members 130 are provided. In this case, the vibrations generated in the tub 21 or the drawer 23 do not mutually affect each other,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if viewed from the long-term side of the washing machin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축(111)에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완충부재(130)는 상기 지지축(111)의 지름과 대응되는 중공부(130b)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111)의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130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130b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111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shaft 111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111, .

그러나, 상기 완충부재(130)의 일측에 상기 지지축(111)의 지름보다 작은 간격을 가진 절단면(130a)이 상기 중공부(130b)로부터 외주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완충부재(130)가 상기 지지축(111)의 측방향에서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완충부재(130)가 파손되는 경우 손쉽게 교체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 cut surface 130a having an interval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uffer member 130 from the hollow portion 130b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is case, the buffer member 130 can be easily fast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 111, and the buffer member 130 can be easily replaced if the buffer member 130 is broken.

요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지지부(110)와 체결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후, 상기 완충부재(130)를 상기 강도보강축(112)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지지축(111)의 노출면에 체결하면, 본 발명의 서스펜션 유닛(100)은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서 견고하게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지지부(110)의 수직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are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coupling part 120 are engaged, When the cushioning member 130 is fasten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111 on which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112 is not formed, 1 between the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and thu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upporting part 110 is restricted.

이러한 완충부재(130)는 기존의 스프링과 달리, 일면이 모두 제1고정부(25) 또는 제2고정부(24)에 밀착되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서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Since the cushioning memb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ortion 25 or the second fixing portion 24, unlike the conventional spring, vibrations in all directions can be effectively attenuated.

한편, 드럼(22) 및 터브(21)의 진동은 모든 방향에서 다각적으로 발생하므로 지지축(111)이 전혀 회전 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힘에 의해 지지축(111)에 응력이 작용하여 세탁장치의 장기간 사용시 지지축(111)에 손상, 크랙(crack), 휨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축(111)은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에 미세하게 소정 각도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vibrations of the drum 22 and the tub 21 are generated in various directions in all directions, if the support shaft 111 is provided so as not to be able to rotate at all, stress acts on the support shaft 111 The support shaft 111 may be damaged, cracked, or warped during long-term use of the washing machin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shaft 111 is position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t a small angle to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at a small angl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포함한다.Therefor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ructure.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지지축(111)이 소정 각도로 미세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두 개의 체결부(120)는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와 접하는 부분이 곡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the two fastening portions 120 ar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ortion 25 and a second fixing portion 24 so that the support shaft 111 can be fine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ing portion is subjected to a curved surface treatment.

한편, 상기 곡면처리된 체결부(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에는 상기 체결부(120)의 일부 면이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25b, 24b)이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are provided with a fixing part 120 so that a part of the coupling part 120 can be received and fixed so that the curved coupling part 120 can be fixed. Grooves 25b and 24b are formed, respectively.

결국, 상기 체결부(120)와,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에 구비된 안착홈(25b, 24b)의 형상에 의해 상기 지지축(111)이 소정 각도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support shaft 111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120 and the seating grooves 25b and 24b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Exercise becomes possible.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체결부(120) 및 안착홈(25b, 24b)은, 드럼(22)의 구동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여러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고려하여 반원구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art 120 and the seating grooves 25b and 24b have a semi-circular shape in consideration of vibrations generated in the driving of the drum 22 in various directions.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와 견고하게 체결되야 하므로, 비록 미세하지만 장기적인 서스펜션 유닛(100)의 회전운동은 상기 체결부(120)와 제1고정부(25) 또는 제2고정부(24)의 마찰이 발생하여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Since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firmly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25 and 24 as described above, 100 may cause friction between the coupling part 120 and the first fixing part 25 or the second fixing part 24, resulting in a problem of durability.

따라서, 이러한 내구성과 회전 운동에 의한 진동 감쇄 효과를 위해 상기 두 개의 체결부(120)와 제1고정부(25) 또는 제2고정부(24)의 접촉면 사이에는 밀착부재(1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for the durability and the vibration damping effect due to the rotational motion, a tight contact member 123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two fastening parts 120 and the first fixing part 25 or the second fixing part 24 .

이러한 밀착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Such a contact member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바람직하게, 서스펜션 유닛(100)과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24)의 결합작업을 고려한다면 상기 밀착부재(123)는 상기 체결부(120)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tightening member 123 is provided on the coupling part 120, considering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suspension unit 100 with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이 상기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24) 사이에 장착된 경우에는 드럼(22)을 수용한 터브(21)의 하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인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안착홈(25b, 24b)에 상기 체결부(120)가 안착한다면 서스펜션 유닛(100)이 상기 제1고정부(25)에서 고정된다. When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econd fixing part 24, the load of the tub 21 containing the drum 22 The suspension unit 10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25 when the coupling part 12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5b and 24b.

그러나, 상기 완충부재(130)가 상기 지지축(111)에 장착되기 전의 상황이거나, 수직방향으로 완충부재(130)가 수용할 수 없는 진동이 발생하거나, 또는 세탁장치의 이동 중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서스펜션 유닛(100)이 상기 제1고정부(25)의 안착홈(25b)을 이탈하여 제1고정부(25)와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hock absorber 130 is in a state before the cushioning member 130 is mounted on the support shaft 111, vibration that can not be accommodated in the cushioning member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The suspension unit 100 can be disengaged from the first fixing part 25 by moving away from the seating groove 25b of the first fixing part 25. [

이러한 경우, 페데스탈 세탁기의 터브(21), 드럼(22) 및 드럼의 하측에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 등이 드로워(23)의 바닥면과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ub 21 of the pedestal washing machine, the drum 22,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provided under the drum may collid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23 and be damaged.

따라서, 본 발명은 제1고정부(25)의 자유단에 절곡되어 형성된 탈거방지턱(2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25) 자유단에는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탈거방지턱(26)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achment preventing jaw 26 formed by being bent at the free end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5. [ Specifically, the free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25 may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ng jaw 26 that is vertically bent upward.

이러한 탈거방지턱(26)은 서스펜션 유닛(100)의 지지축(111)이 측면 방향에서 상기 안착홈(25b, 24b)을 향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25) 자유단에 형성된 삽입부(25a, 24a)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achment preventing jaw 2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5b formed in the free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25 so that the support shaft 111 of the suspension unit 100 can be fastened from the side direction toward the seating groove 25b, (25a, 24a) are extended.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mounting position of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100)은 터브(21)의 진동을 감쇄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터브(21)의 수직방향 및/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 서스펜션 유닛(100)은 상기 터브(21)의 외주를 따라 적어도 세 군데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서스펜션 유닛(100)이 터브(21)의 외주를 따라 두 군데 이하로 구비되면, 요잉(yaw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suspens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tub 21. [ In order to attenuat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 or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ub 21, the suspension unit 100 may be provided at at least three position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 21. [ This is because, if the suspension unit 100 is provided at two or les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 21, a yawing phenomenon may occur.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이 장착된 페데스탈 세탁기의 상면도이다.6 is a top view of a pedestal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suspen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서스펜션 유닛(100)은 드로워(23) 전면에 구비되는 제1서스펜션 유닛(100a)과, 상기 드로워(23)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제2서스펜션 유닛(100b) 및 제3서스펜션 유닛(100c)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유닛(100)은 상기 드로워(23)의 모서리 네 군데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6, the suspens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suspension unit 100a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23, a second suspension unit 100b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drawer 23, And a third suspension unit 100c. In addition, the suspension unit 100 may be installed at four corners of the drawer 23,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터브(2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스펜션 유닛(100a)과 제2서스펜션(100b) 유닛 간의 각도는, 상기 제1서스펜션 유닛(100a)과 제3서스펜션 유닛(100c) 간의 각도와 동일하게 하여 안정적인 진동 감쇄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spension unit 100a and the second suspension unit 100b is set such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spension unit 100a and the third suspension unit 100c, So that a stable vibration damping effect can be realized.

바람직하게, 상기 드로워(23)에 구비된 제1고정부(25)는 드로워(23)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형의 드로워(23)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21)는 원형이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부(25) 및 서스펜션 유닛(100)이 측면에 구비된다면 터브(21) 및 드럼(22)의 체적이 작아지는 단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part 25 provided on the drawer 23 is formed at an edge of the drawer 23. Since the tub 21 accommodated in the rectangular drawer 23 is circular, the volume of the tub 21 and the drum 22 can be increased if the first fixing part 25 and the suspension unit 100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Is reduced.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its equivalent range.

20: 제2캐비닛 21: 터브
23: 드로워 24: 제2고정부
24a, 25a: 삽입홈 25: 제1고정부
24b, 25b: 안착부 26: 탈거방지턱
100: 서스펜션 유닛 110: 지지부
111: 지지축 112: 강도보강축
123:밀착부재 120: 체결부
130: 완충부재
20: second cabinet 21: tub
23: drawer 24: second fixing portion
24a, 25a: insertion groove 25: first fixing portion
24b, 25b: seat part 26:
100: Suspension unit 110: Support
111: support shaft 112: strength reinforcement shaft
123: tight contact member 120:
130: buffer member

Claims (26)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로워와 터브에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진동을 감쇄하되, 상기 드로워와 터브의 진동을 상호 독립적으로 감쇄하는 서스펜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상기 드로워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진동을 상호 독립적으로 감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drawer accommodated in the cabinet and slidable forward;
A tub provided in the drawer to receive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a suspension unit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wer and the tub to damp vibrations and to damp vibrations of the drawer and the tub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suspension uni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rawer,
A second fixing par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Two fasten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respectively,
And at least two cushioning membe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for independently damping vibratio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면에 수직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높이 차이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와 드로워의 간격을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ortion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awer,
Wherein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verticall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tub and the draw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부 면이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formed of,
Wherein a seating groove is formed to allow a part of the coupling portion to be received and fix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상기 안착홈은,
상호 접하는 면이 반원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seating groove are formed,
Wherein the mutually contacting surfaces ar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상기 체결부 사이의 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과 상기 두 개의 체결부의 접촉면 사이에 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tighten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ating groove a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two fastening portions so as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seating groove and the fasten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ightening member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rg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체결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두 개의 체결부와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support shaft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wo fastening portions; And
And a strength reinforcing shaft having a hollow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shaft and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upport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두 개의 체결부와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support shaft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wo fastening portions; And
And a strength reinforcing shaf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ing shaft and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upporting shaft.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축은 상기 지지축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두 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도보강축과 제1고정부 및 상기 강도보강축과 제2고정부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shaft,
Wherein the cushioning member is formed of two pieces,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between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절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and a cut surface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자유단에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insertion parts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자유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탈거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comprises:
And a detachment preventing jaw formed at a free end so as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상기 터브의 외주를 따라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hree suspension units ar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드로워 전면에 구비되는 제1서스펜션 유닛과, 상기 드로워 후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제2서스펜션 유닛 및 제3서스펜션 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uspension unit comprises a first suspension uni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rawer, and a second suspension unit and a third suspension unit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rear corner of the draw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스펜션 유닛과 제2서스펜션 유닛 간의 각도는, 상기 제1서스펜션 유닛과 제3서스펜션 유닛 간의 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spension unit and the second suspension unit is equal to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spension unit and the third suspension unit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tub.
세탁물을 수용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로워와 터브에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진동을 감쇄하되, 상기 드로워와 터브의 진동을 상호 독립적으로 감쇄하는 서스펜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상기 드로워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진동을 상호 독립적으로 감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A first cabinet for accommodating laundry;
A second cabin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binet;
A draw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binet and slidably installed forward;
A tub provided in the drawer to receive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a suspension unit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wer and the tub to damp vibrations and to damp vibrations of the drawer and the tub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suspension uni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rawer,
A second fixing par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Two fasten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respectively,
And at least two cushioning member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for independently damping vibrations.
삭제delet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두 개의 체결부와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support portion
A support shaft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wo fastening portions; And
And a strength reinforcing shaf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ing shaft and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upporting shaf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축은 상기 지지축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강도보강축과 제1고정부 및 상기 강도보강축과 제2고정부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trength reinforcing shaf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shaft,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trength reinforcing axis,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axis,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절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and a cut surface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체결부가 제1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자유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탈거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comprises:
And a detachment preventing jaw formed at a free end so as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상기 터브의 외주를 따라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at least three suspension units ar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
KR1020120092445A 2012-08-23 2012-08-23 Laundry machine KR101923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445A KR101923450B1 (en) 2012-08-23 2012-08-23 Laundry machine
CN201380028404.5A CN104321481B (en) 2012-08-23 2013-08-23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the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using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EP13181505.2A EP2700743B1 (en) 2012-08-23 2013-08-23 Auxiliary washing machine
US13/974,264 US9580853B2 (en) 2012-08-23 2013-08-23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PCT/KR2013/007576 WO2014030961A1 (en) 2012-08-23 2013-08-23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445A KR101923450B1 (en) 2012-08-23 2012-08-23 Laundry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802A KR20140026802A (en) 2014-03-06
KR101923450B1 true KR101923450B1 (en) 2018-11-29

Family

ID=5064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445A KR101923450B1 (en) 2012-08-23 2012-08-23 Laundry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801A1 (en)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ing treatm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656B1 (en) * 2018-04-18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laundr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801A1 (en)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ing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802A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546B1 (en) Washing mahcine
US934091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suspension system
US10023988B2 (en) Washing machine
US8234889B2 (en) Laundry machine
US20100139331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748526B1 (en) Washing machine with damper-supporter
US20160024705A1 (en) Non-cylindrical damping element suspension
WO2008085012A2 (en) Laundry machine
KR20080104762A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US20160010261A1 (en) Washing machine
US10526742B2 (en) Washing machine
US9487900B2 (en) Washing machine
KR101923450B1 (en) Laundry machine
US8113603B2 (en) Laundry machine
KR101596104B1 (en)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using the frame for reducing vibration
US7428954B2 (en) Dampe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50054163A (en) Suspension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TW200827507A (en) Pedestal and product comprising the same
US9915018B2 (en) Washing machine
JP2006204497A (en) Washing machine
KR20210056316A (en)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KR101752410B1 (en) laundry machine
US10253442B2 (en)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KR101854824B1 (en) Mini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858229B1 (en) Suspension and mini drum type washing machine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