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571B1 - Gate driving circuit - Google Patents

Gate driv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571B1
KR101849571B1 KR1020110066276A KR20110066276A KR101849571B1 KR 101849571 B1 KR101849571 B1 KR 101849571B1 KR 1020110066276 A KR1020110066276 A KR 1020110066276A KR 20110066276 A KR20110066276 A KR 20110066276A KR 101849571 B1 KR101849571 B1 KR 101849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witching element
stage
turn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6390A (en
Inventor
장용호
최승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TW10110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TWI475536B/en
Priority to CN201210042764.8A priority patent/CN102651207B/en
Priority to US13/402,017 priority patent/US8604858B2/en
Publication of KR2012009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3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2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semiconductor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19Reducing feedthrough effects in active matrix panels, i.e. voltage changes on the scan electrode influencing the pixel voltage due to capacitive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트 노드의 전압으로부터 전하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스테이지로부터의 출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게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을 출력하는 제 1 클럭발생기;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하이구간이 일정 부분 중첩하는 m*n개(m은 자연수)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위상순으로 배열하고 이들을 n개씩 묶어 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갖는 m개의 그룹을 생성하고, 각 그룹의 k번째의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하도록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출력하는 제 2 클럭발생기; 상기 제 1 클럭발생기로부터의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상기 제 2 클럭발생기로부터의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공급받아 다수의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drive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te drive circuit capable of stabilizing an output from a stage by preventing leakage of charge from a voltage of a set node, wherein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A first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clock pulse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first clock generator; (M is a natural number)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and having a high-level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rranging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in phase order, grouping them into n units, And a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s having a kth phase sequence of each group is generated 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having a kth phase sequence among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 second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m * n output clock pulses so as to be located within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a shift register for receiving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m * n output clock pulses from the second clock generator and sequentially outputting a plurality of scan pulses .

Description

게이트 구동회로{GATE DRIVING CIRCUIT}[0001] GATE DRIVING CIRCUIT [0002]

본 발명은 게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트 노드의 전압으로부터 전하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스테이지로부터의 출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게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drive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te drive circuit capable of stabilizing an output from a stage by preventing leakage of a charge from a voltage of a set node.

쉬프트 레지스터는 다수의 스캔펄스들을 차례로 출력하여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의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이를 위해 이 쉬프트 레지스터는 내부에 다수의 스위칭소자들을 포함하는 바, 이 스위칭소자는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oxide transistor)가 사용될 수 있다.The shift register sequentially outputs a plurality of scan pulses to sequentially drive gate lines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this purpose, the shift register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therein, and an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may be used as the switching element.

도 1은 종래의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온도에 따른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간의 관계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gate voltage and a drain current according to a temperature of a convention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N타입의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가 쉬프트 레지스터에 사용될 경우, 이의 문턱전압이 양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증가할수록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기간에 턴-오프되어야 할 N타입의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가 높은 온도에서 정상적으로 턴-오프되지 않아 누설 전류를 발생시키게되며, 이 누설 전류로 인해 세트 노드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이 정상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When an N-type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is used in a shift register, it is preferable that its threshold voltage has a positive value. However, as shown in FIG. 1,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shifts in the negative direction. As a result, the N-type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to be turned off in the output period of the shift register The leakage current does not normally turn on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voltage of the set node is lowered due to the leakage current and the output of the shift register is not normally generated.

도 2는 종래의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의 변화에 따른 세트 노드의 전압 및 스캔펄스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voltage and scan pulse voltage of a set node according to a change in threshold voltage of a convention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1일 경우 이의 누설 전류에 의해 세트 노드의 전압이 빠른 속도로 하강하게 되어 출력, 즉 스캔펄스의 전압 역시 빠른 속도로 하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is -1, the voltage of the set node is lowered rapidly due to the leakage current of the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so that the output, that is, the voltage of the scan pulse, It can be seen that it is descending.

또한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3일 경우 이의 누설 전류가 더 증가하여 세트 노드의 전압이 상승조차 되지 않고, 이로 인해 스캔펄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2B,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is -3, the leakage current of the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voltage of the set node is not even raised. As a result, no scan pulse is generated at all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출력을 담당하는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클럭펄스와 세트 노드의 충/방전을 담당하는 스위칭소자들에 공급되는 클럭펄스가 서로 다른 형태의 파형을 갖도록 하여 세트 노드로부터의 누설 전류를 방지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게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lock pulse supplied to a pull- So that a leakage current from the set node can be prevented, thereby generating a normally generated gate drive circuit.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구동회로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을 출력하는 제 1 클럭발생기;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하이구간이 일정 부분 중첩하는 m*n개(m은 자연수)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위상순으로 배열하고 이들을 n개씩 묶어 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갖는 m개의 그룹을 생성하고, 각 그룹의 k번째의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하도록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출력하는 제 2 클럭발생기; 상기 제 1 클럭발생기로부터의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상기 제 2 클럭발생기로부터의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공급받아 다수의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te driving circuit comprising: a first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M is a natural number)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and having a high-level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rranging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in phase order, grouping them into n units, And a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s having a kth phase sequence of each group is generated 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having a kth phase sequence among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 second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m * n output clock pulses so as to be located within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a shift register for receiving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m * n output clock pulses from the second clock generator and sequentially outputting a plurality of scan pulses .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은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다수의 임펄스들을 포함하며; j번째(j는 m과 같거나 작은 자연수) 그룹에 속하며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에 포함된 임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임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nd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includes a plurality of impulses periodically generated; the rising edge of the impulse included in the output clock pulse belonging to the group j (j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smaller than m) and having the kth phase order is within the high interval of the impulse of the output controlling clock pulse having the kth phase order .

m*n번째 출력용 클럭펄스는 더미 임펄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 임펄스는 첫 번째 출력용 클럭펄스보다 앞선 위상을 갖는 스타트 펄스와 동일한 출력 타이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 * nth output clock pulse further comprises a dummy impulse; And the dummy impulse has the same output timing as a start pulse having a phase prior to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이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of each row section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oltage of each row section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은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클럭펄스와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each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does not overlap with at least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와 제 1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2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1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start transmission lines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nd the set node to each other; And a second switching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et node and a first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first discharge vol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device; And a pull-up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output terminals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in turn-on state;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section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n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상기 q는 1 및 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q is one of 1 and 2.

상기 p번째 스테이지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The p-th stage is connected to the 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charge voltage at the turn- 3 switching device;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Further compris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상기 p번째 스테이지는, p+r번째(r은 자연수)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와 상기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6 스위칭소자; 상기 p+r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7 스위칭소자; 및, 상기 p-s번째(s는 자연수)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8 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 + r) th (r is a natural number) stage, 5 switching devices; A sixth switching device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urned on; A seven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 + rth stag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to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when turned on; And an eigh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sth (s is a natural number) stag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set node when turned on, . ≪ / RTI >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이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of the high section of each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tage of the high section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p번째 스테이지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공통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공통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공통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6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The p-th stag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 device;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common node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second discharging voltage upon turning on;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nod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when turned on; A six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Further compris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p번째 스테이지는, p-r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와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 및,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연결된 출력용클럭전송라인과 상기 리세트 노드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rth stage and connects the set node with a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charging voltage when turning on;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to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second discharge voltage;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device; And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reset node.

p번째 스테이지는, p-s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와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풀업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st stage and connects the set node with a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charging voltage when turning on;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Further compris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And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p번째 스테이지는,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풀업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to the turn- A third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ing element;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urned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Further compris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And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전송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풀업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harging voltag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to the reset node when the first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s, 4 switching devices;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Further compris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And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전송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제 2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harging voltag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to the reset node when the first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s, 4 switching devices;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nd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he turn-on is turned on; And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의 하이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igh sections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상기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two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are equal to each other.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start transmission lines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nd the set node to each other;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n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출력용클럭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start transmission lines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nd the set node to each other;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output clock lin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upon turning on;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n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start transmission lines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nd the set node to each other;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device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harging voltage from a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connects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n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공통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공통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공통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6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으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start transmission lines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nd the set node to each other;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common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common node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second discharging voltage upon turning on;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nod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when turned on; A six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 thir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ing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smaller than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n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로우전압이 출력용 클럭펄스의 로우전압(스캔펄스의 로우전압에 대응됨)보다 작으며, 또한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게 설정되므로, 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가 로우전압으로 유지되는 기간에 제 1 및 제 2 스위칭소자를 통해 누설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의 출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 voltage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low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low voltage of the scan pulse)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smaller than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 The current leak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can be minimized in a period in which the pulse is held at the low voltage. Therefore, the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can be stabilized.

도 1은 종래의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온도에 따른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간의 관계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의 변화에 따른 세트 노드의 전압 및 스캔펄스 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쉬프트 레지스터의 상세 구성도
도 7 내지 도 17은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4의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 및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8에서의 제 1 출력용 클럭펄스에 대한 정이소 클럭펄스 및 반이소 클럭펄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8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 리세트 노드,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11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 리세트 노드,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도 13 및 도 14의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10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 리세트 노드,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도 12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 리세트 노드,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16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 리세트 노드,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도 17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 리세트 노드,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7은 도 8의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도 27의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도 27의 변형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도 10의 변형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
1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gate voltage and a drain curr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a convention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2 is a graph showing a voltage and a scan pulse voltage of a set node according to a change in threshold voltage of a convention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3 is a view showing a gate driv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iming chart of clock pulses for output control and output clock pul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timing chart of clock pulses for output control and output clock pul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hift register of FIG.
Figs. 7 to 17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stages according to the first to eleventh embodiments
18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and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of FIG. 4
FIG. 19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positive clock pulses and semi-iso clock pulses for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in FIG. 18
FIG. 20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voltages of set nodes, reset nodes, scan pulses, and output clock puls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8
FIG. 21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voltages of set nodes, reset nodes, scan pulses, and output clock puls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11
22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nd output clock pulses supplied to the stages of Figs. 13 and 14
23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the reset node,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10
24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voltages of set nodes, reset nodes, scan pulses, and output clock pulse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12
FIG. 25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the reset node,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16
FIG. 26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a voltage of a set node, a reset node, a scan pulse, and an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17
Fig. 2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structure of Fig. 8
2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structure of Fig. 27
29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structure of Fig. 27
30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structure of Fig. 1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럭발생기(CG1), 제 2 클럭발생기(CG2) 및 쉬프트 레지스터(SR)를 포함한다.The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lock generator CG1, a second clock generator CG2 and a shift register SR, as shown in Fig.

제 1 클럭발생기(CG1)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들을 출력한다. 이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된다.The first clock generator CG1 outputs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 having different phases.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제 2 클럭발생기(CG2)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CLK)들을 출력한다. 특히 이 제 2 클럭발생기(CG2)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하이구간이 일정 부분 중첩하는 m*n개(m은 자연수)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생성하고, 이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위상순으로 배열하고 이들을 m개씩 묶어 m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갖는 n개의 그룹을 생성한다. 그리고 각 그룹의 k번째의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하도록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출력한다. 이 m*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된다.The second clock generator CG2 outputs m * n output clock pulses CLK having different phases. Particularly, the second clock generator CG2 generates m * n (m is a natural number)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and having a high-level section overlapping each other, and output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s phase And group them into m to generate n groups having m output clock pulses. And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s having the kth phase order of each group is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having the kth phase sequence out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m * n output clock pulses Lt; / RTI > These m *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여기서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은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다수의 임펄스들을 포함한다. j번째(j는 n과 같거나 작은 자연수) 그룹에 속하며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에 포함된 첫 번째 임펄스의 라이징에지는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임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한다.Wherein each of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nd m * n output clock pulses includes a plurality of impulses generated periodically. Within the high interval of the impulse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belonging to the group j (j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n) and having a kth phase order that is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impulse included in the output clock pulse having the kth phase order Located.

m*n번째 출력용 클럭펄스는 더미 임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더미 임펄스는 첫 번째 출력용 클럭펄스보다 앞선 위상을 갖는 스타트 펄스와 동일한 출력 타이밍을 갖는다.The m * nth output clock pulse may further include a dummy impulse, which has the same output timing as a start pulse having a phase earlier than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은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보다 작다.the voltage of each row interval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smaller than the voltage of each row interval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은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클럭펄스와 중첩하지 않는다.each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does not overlap with at least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쉬프트 레지스터(SR)는 제 1 클럭발생기(CG1)로부터의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상기 제 2 클럭발생기(CG2)로부터의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공급받아 h개(h는 2이상의 자연수)의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The shift register SR is supplied with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CG1 and m * n output clock pulses from the second clock generator CG2, And sequentially outputs scan pulses of a predetermined number (e.g., a natural number).

여기서, 제 1 클럭발생기(CG1)로부터 출력된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과 제 2 클럭발생기(CG2)로부터 출력된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output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CG1 and the output clock pulses output from the second clock generator CG2 will now be described.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timing chart of clock pulses for output control and output clock pul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4종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을 포함하고 있으며,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4종의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4는 n이 4이고, m이 1이고, 그리고 j가 1일 때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nclude four kinds of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having different phases. The output clock pulses include four kinds of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4 shows waveforms of clock pulses for output control and output clock pulses when n = 4, m = 1, and j =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의 하이구간은 1/3씩 중첩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은 각각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다수의 임펄스들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high sections of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overlap each other by a third.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each include a plurality of impulses which are generated periodically.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은 각각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다수의 임펄스들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의 하이구간은 서로 중첩하거나 또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는 그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는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이 나타나 있다. 이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은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된다.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include a plurality of impulses generated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respectively. The high sections of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may or may not overlap with each other. In Fig. 4,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in which the high period does not overlap are shown.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ar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lines.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은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1 내지 CLK4)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다. 이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은 제 1 내지 제 4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된다.The voltage of each row interval of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oltage of each row interval of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ar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lin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의 라이징에지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 제 2 출력용 클럭펄스(CLK2)의 라이징에지는 제 2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2)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 제 3 출력용 클럭펄스(CLK3)의 라이징에지는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4)의 라이징에지는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 4,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s located in the high period of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The rising edge of the second output clock pulse CLK2 is located in the high period of the secon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2). The rising edge of the third output clock pulse CLK3 is located in the high period of the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3).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output clock pulse CLK4 is located in the high period of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의 하이구간은 제 1 내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내지 i-CLK3)와 중첩하는 반면,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 2 출력용 클럭펄스(CLK2)의 하이구간은 제 2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2 내지 i-CLK4)와 중첩하는 반면,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 3 출력용 클럭펄스(CLK3)의 하이구간은 제 3, 제 4 및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 i-CLK4, i-CLK1)와 중첩하는 반면, 제 2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2)와 중첩하지 않는다.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4)의 하이구간은 제 4, 제 1 및 제 2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 i-CLK1, i-CLK2)와 중첩하는 반면,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와 중첩하지 않는다.The high period of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overlaps with the first to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3, but does not overlap with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 The high period of the second output clock pulse CLK2 overlaps with the second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2 to i-CLK4, bu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 The high period of the third output clock pulse CLK3 overlaps with the third, fourth and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3, i-CLK4, i-CLK1 while the secon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 -CLK2). The high period of the fourth output clock pulse CLK4 overlaps with the fourth, first and second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4, i-CLK1, i-CLK2 while the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 -CLK3).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의 라이징에지를 포함하는 하이구간을 갖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를 정이소(iso) 클럭펄스라고 정의할 때,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의 하이구간과 중첩되지 않는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를 이 정이소 클럭펄스에 대응되는 반이소(iso) 클럭펄스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따르면,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각각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클럭펄스이며, 제 2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2)와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가 각각 제 2 출력용 클럭펄스(CLK2)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클럭펄스이며,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와 제 2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2)가 각각 제 3 출력용 클럭펄스(CLK3)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클럭펄스이며, 그리고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가 각각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4)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클럭펄스이다.When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having the high period including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s defined as the iso clock pulse,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4) for the fourth output control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high period of the clock signal CLK4 can be defined as a half-iso clock pulse corresponding to the small clock pulse. 4,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are the small and semi-iso clock pulses for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The secon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2) and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re the small and half isochronous clock pulses for the second output clock pulse CLK2, and the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3) and the secon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2) are positive and negative quasi clock pulses for the third output clock pulse CLK3, respectively,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 And the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3) are positive and negative quasi clock pulses for the fourth output clock pulse (CLK4), respectively.

서로 대응되는 정이소 클럭펄스와 반이소 클럭펄스는 서로 중첩하거나 또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관계를 갖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는 서로 중첩되거나 또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The clock pulses and the semi-iso clock pulses, which correspond to each other, may overlap each other or not overlap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quadrature rela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They may not overlap.

한편, 도 4에서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4)에 포함된 임펄스들 중 가장 처음에 발생되는 임펄스는 더미 임펄스이다. 이 더미 임펄스는 스타트 펄스와 동기된다.Meanwhile, in FIG. 4, the first impulse generated among the impulses included in the fourth output clock pulse CLK4 is a dummy impulse. This dummy impulse is synchronized with the start pulse.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timing chart of clock pulses for output control and output clock pul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6)의 하이구간은 1/3씩 중첩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6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6)은 각각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다수의 임펄스들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high sections of the first through sixth output clock pulses CLK1 through CLK6 overlap one another by one third. The first to six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6 each include a plurality of impulses periodically generated.

제 1 내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3)은 각각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다수의 임펄스들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3)의 하이구간은 서로 중첩하거나 또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는 그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는 제 1 내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3)이 나타나 있다.The first to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3) include a plurality of impulses generated cyclically or non-periodically, respectively. The high periods of the first to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3) may or may not overlap with each other. 5 shows the first to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3) in which the high period does not overlap.

제 1 내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내지 i-CLK3)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로우전압)은 제 1 내지 제 6 출력용 클럭펄스(CLK1 내지 CLK6)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로우전압)보다 작다.The voltage (low voltage) in each row section of the first to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3 is a voltage (low voltage) of each low section of the first to six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6 Voltag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3종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6종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5는 n이 3이고, m이 2이고, 그리고 j가 2일 때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nclude three types of output control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and the output clock pulses include six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5 shows waveforms of output clock pulses and output clock pulses when n is 3, m is 2, and j is 2.

출력용 클럭펄스들과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m: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바, 도 5에는 출력용 클럭펄스들과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이 2:1의 관계를 갖는 예가 나타나 있다.The output clock pulses and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can have a relationship of m: 1, and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clock pulses and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have a 2: 1 relationship.

첫 번째 그룹에는 제 1 내지 제 3 출력용 클럭펄스(CLK3)들이 포함되며, 두 번째 그룹에는 제 4 내지 제 6 출력용 클럭펄스들이 포함된다. 각 그룹내에서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라이징에지는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그룹내에서 첫 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의 라이징에지 및 두 번째 그룹내에서 첫 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4)의 라이징에지는 첫 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의 라이징에지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의 첫 번째 임펄스의 하이구간에 위치하며,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4)의 라이징에지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의 두 번째 임펄스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The first group includes the first to third output clock pulses CLK3, and the second group includes the fourth to sixth output clock pulses.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s having the kth phase order in each group is located 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having the kth phase order. For example,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having the first phase order in the first group and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output clock pulse CLK4 having the first phase order in the second group (I-CLK1)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having the first phase sequence. Specifically, the rising edge of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s located in a high section of the first impulse of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rising edge of the fourth output clock pulse CLK4 1 < / RTI >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및 제 5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 각각은 제 2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2)의 하이구간에 위치하며, 그리고 제 3 및 제 6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 각각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의 하이구간에 위치한다.In the same manner, each rising edge of the second and fifth output clock pulses is located in a high period of the secon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2), and each rising edge of the third and sixth output clock pulses is 3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3).

도 5에서의 제 1 내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3)도 상술된 바와 같이 정이소 클럭펄스 및 반이소 클럭펄스로 정의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3) in Fig. 5 can also be defined as positive clock pulses and semi-iso clock pulses as described above.

즉,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와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가 각각 제 1 및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4)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클럭펄스이며, 제 2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2)와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가 각각 제 2 및 제 5 출력용 클럭펄스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클럭펄스이며, 제 3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3)와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가 각각 제 3 및 제 6 출력용 클럭펄스에 대한 정이소 및 반이소 클럭펄스이다.That is,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3) are the small and semi-iso clock pulses for the first and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4) 2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2) and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re the small and half isochronous clock pulses for the second and fifth output clock pulses, respectively, and the third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3 and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re the small and half-iso clock pulses for the third and sixth output clock pulses, respectively.

한편, 도 5에서 제 6 출력용 클럭펄스(CLK6)에 포함된 임펄스들 중 가장 처음에 발생되는 임펄스는 더미 임펄스이다. 이 더미 임펄스는 스타트 펄스와 동기된다.In FIG. 5, the impulse generated at the beginning of the impulses included in the sixth output clock pulse CLK6 is a dummy impulse. This dummy impulse is synchronized with the start pulse.

도 1의 쉬프트 레지스터(SR)에는 도 4 및 도 5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이 인가될 수 있다.4 and 5 may be applied to the shift register SR of FIG. 1, for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nd output clock pulses.

도 6은 도 1의 쉬프트 레지스터(SR)의 상세 구성도이다.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hift register SR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쉬프트 레지스터(SR)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개의 스테이지들(ST1 내지STh)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스테이지들(ST1 내지STh+1)은 각각의 출력단자(OT)를 통해 한 프레임 기간동안 한 번의 스캔펄스(SP1 내지 SPh+1)를 출력한다. The shift register S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 stages ST1 to STh as shown in Fig. Here, each of the stages ST1 to STh + 1 outputs one scan pulse (SP1 to SPh + 1) for one frame period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OT.

각 스테이지(ST1 내지 STh)는 스캔펄스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접속된 게이트 라인을 구동시킨다. 아울러 각 스테이지(ST1 내지 STh+1)는 자신으로부터 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쉬프트 레지스터의 구성에 따라, 각 스테이지는 후단 뿐만 아니라 자신으로부터 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h번째 스테이지(STh)의 후단에는 이 h번째 스테이지로 스캔펄스를 공급하는 더미 스테이지가 더 구비된다. 쉬프트 레지스터의 구성에 따라, 이 더미 스테이지는 한 개가 아닌 다수가 될 수 있다.Each of the stages ST1 to STh drives a gate line connected thereto by using a scan pulse. In addition, each stage ST1 to STh + 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age located at the rear end from itself. Furth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hift register, each stage may control not only the rear stage but also the operation of the stage located at the preceding stage from the stage itself. At this time, a dummy stage for supplying a scan pulse to the h-th stage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stage of the h-th stage STh.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hift register, this dummy stage can be a plurality, not one.

스테이지들(ST1 내지 STh+1)은 첫 번째 스테이지(ST1)부터 h번째 스테이지(STh) 순서로 차례로 스캔펄스를 출력한다. 즉, 첫 번째 스테이지(ST1)가 첫 번째 스캔펄스(SP1)를 출력하고, 이어서 두 번째 스테이지(ST2)가 두 번째 스캔펄스(SP2)를 출력하고, 다음으로, 세 번째 스테이지(ST3)가 세 번째 스캔펄스(SP3)를 출력하고, ...., 마지막으로 h번째 스테이지(STh)가 h번째 스캔펄스(SPn)를 출력한다.The stages ST1 to STh + 1 sequentially output scan pulses in the order of the first stage ST1 to the hth stage STh. That is, the first stage ST1 outputs the first scan pulse SP1, the second stage ST2 outputs the second scan pulse SP2, and the third stage ST3 outputs the second scan pulse SP2. Th scan pulse SP3 and finally the h-th stage STh outputs the h-th scan pulse SPn.

더미 스테이지를 제외한 스테이지들(ST1 내지 STh)로부터 출력된 스캔펄스는 액정패널(도시되지 않음)의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들로부터 출력된 스캔펄스는 자신으로부터 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에만 공급되거나, 또는 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 및 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에 공급되거나, 또는 후단에 위치한 스테이지에만 공급된다.The scan pulses output from the stages ST1 to STh except for the dummy stage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gate lin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not shown), thereby sequentially scanning the gate lines. The scan pulse output from the stages is supplied only to the stage located at the previous stage from the stage itself, or to the stage located at the front stage and to the stage located at the rear stage, or to the stage located at the rear stage.

이러한 쉬프트 레지스터(SR)는 액정패널에 내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패널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비표시부를 갖는데,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SR)는 상기 비표시부에 내장된다.Such a shift register SR may be incorporat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That is, the liquid crystal panel has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portion surrounding the display portion, and the shift register SR is embedded in the non-display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SR)의 전체 스테이지(ST1 내지STh+1)는 상술된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출력용 클럭펄스들이 공급되는 바,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 및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이 공급되는 예가 나타나 있다.The entire stages ST1 to STh + 1 of the shift register S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supplied with the above-described clock pulses for output control and output clock pulses. As shown in FIG. 6,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and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are shown.

도 6에는 p번째 스테이지가 p-1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 및 p+2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를 공급받는 구조가 나타나 있는 바, 이러한 구조 대신에 p번째 스테이지가 p-2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 및 p+3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를 공급받는 구조도 가능하다. 6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p-th stage is supplied with a scan pulse from the (p-1) -th stage and a scan pulse from the (p + 2) -th stage. Instead of this structure, A scan pulse and a scan pulse from the p + 3 < th > stage may be supplied.

또한, 도 6에는 p번째 스테이지가 전단 스테이지와 후단 스테이지와 접속된 구조가 나타나 있는 바, 이러한 구조 대신에 p번째 스테이지가 전단 스테이지와 접속된 구조도 가능하다.6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p-th stage is connected to the front stage and the rear stage. Instead of this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the p-th stage is connected to the front stage is also possible.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each sta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7 내지 도 17은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 도면에서의 i-CLKa 및 i-CLKb는 서로 대응 관계를 갖는 정이소 클럭펄스 및 반이소 클럭펄스를 나타낸다. 즉, i-CLKa는 CLKc에 대한 정이소 클럭펄스를 의미하고, i-CLKb는 CLKc에 대한 반이소 클럭펄스를 의미한다.FIGS. 7 to 17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stages according to the first to eleventh embodiments, wherein i-CLKa and i-CLKb in the respective drawings denote a small clock pulse and a half- . That is, i-CLKa denotes a quasi-small clock pulse for CLKc, and i-CLKb denotes a half-isochronous pulse to CLKc.

도 7 내지 도 17의 스테이지에는 도 4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과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이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In the stages of FIGS. 7 to 17,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and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shown in FIG. 4 are supplied .

도 7을 통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스위칭소자(Tr1), 제 2 스위칭소자(Tr2) 및 풀업 스위칭소자(Pu)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p-th stage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Tr1, a second switching device Tr2, and a pullup switching device Pu.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Here, when the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emi-iso clock pulse, and transmits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when turned on Connect the first discharge power lines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2 스위칭소자(Tr2)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은 서로 중첩하거나 또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r2 may or may not overlap with each other.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할 수 있다.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q-th stage and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th stage may partially overlap.

도 8을 통해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4 스위칭소자(Tr1 내지 Tr4),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four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4,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emi-iso clock pulse, and transmits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when turned on Connect the first discharge power lines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VDD)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is turned on for charging for transmitting the turn-on charging voltage VDD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QB)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t the turn-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exclusive voltage VS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와 제 3 스위칭소자(Tr3)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는다.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1 방전용전압(VSS1) 보다 작거나 같다.Hereupo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The voltage of the low period of each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제 1 방전용전압(VSS1)은 제 2 방전용전압(VSS2)과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이때 제 1 방전용전압(VSS1)이 제 2 방전용전압(VSS2)보다 작거나 크다.The first discharge specific voltage VSS1 is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second discharge specific voltage VSS2. 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is smaller than or greater than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또는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이 모두 같을 수도 있으며, 또는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 중 어느 두 개가 서로 같을 수 있다.Or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be the same or any two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be the same.

제 1 방전용전압(VSS1)은 제 2 방전용전압(VSS2)과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다. 이때, 제 1 방전용전압(VSS1)이 제 2 방전용전압(VSS2)보다 작거나 크다.The first discharge specific voltage VSS1 is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second discharge specific voltage VSS2. 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is smaller than or greater than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9를 통해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8 스위칭소자(Tr1 내지 Tr8),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eigh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8,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emi-iso clock pulse, and transmits the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when turned on Connect the first discharge power lines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출력용 클럭펄스 대신에 상기 충전용전압(VDD) 또는 다른 출력용 클럭펄스(CLKc가 아닌 다른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될 수 있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power supply line for charge and the reset node QB for turn- . Here,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may be supplied with the charging voltage VDD or another output clock pulse (output clock pulse other than CLKc) in place of the output clock puls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5 스위칭소자(Tr5)는 p+2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제 5 스위칭소자(Tr5)는 p+2번째 스테이지 대신에 p+3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 + 2) -th stage, and the set-on node Q and the first power- Connect each other. Here, 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may receive a scan pulse from the (p + 3) -th stage instead of the (p + 2) -th stag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6 스위칭소자(Tr6)는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Connect the dedicated power lines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7 스위칭소자(Tr7)는 p+2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제 7 스위칭소자(Tr7)는 p+2번째 스테이지 대신에 p+3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seventh switching device Tr7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can pulse from the (p + 2) -th stag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t the turn- Connect the dedicated power lines to each other. Here, the seventh switching device Tr7 may receive scan pulses from the (p + 3) th stage instead of the (p + 2) th stag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8 스위칭소자(Tr8)는 p-1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원라인과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8 스위칭소자(Tr8)는 p-1번째 스테이지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으로부터의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다.The eighth switching device Tr8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1) -th stage, and the charg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t node Q are turned on do. Here, when the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e eighth switch Tr8 is supplied with the start pulse from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p-1) th stag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t the turn-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exclusive voltage VS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 그리고 충전용전압(VDD)은 모두 직류전압으로서,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은 충전용전압(VDD)보다 작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충전용전압(VDD)은 양의 값을 가지고, 방전용전압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first to third discharging voltage VSS3 and the charging voltage VDD are both DC voltages, and the first to third discharging voltages VSS3 are set to be smaller than the charging voltage VDD. For example, the charging voltage VDD may have a positive value, and the discharging voltage may have a negative value.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은 모두 동일한 전압값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들 중 제 1 방전용전압(VSS1)이 가장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또는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들 중 제 2 방전용전압(VSS2)이 가장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또는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들 중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가장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또는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들 중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가장 크게 설정하고,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가장 작게 설정하고, 그리고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제 1 방전용전압(VSS1)과 제 3 방전용전압(VSS3)의 사이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들 중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가장 크게 설정하고,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가장 작게 설정하고, 그리고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제 2 방전용전압(VSS2)과 제 3 방전용전압(VSS3)의 사이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들 중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가장 크게 설정하고,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가장 작게 설정하고, 그리고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제 3 방전용전압(VSS3)과 제 1 방전용전압(VSS1)의 사이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방전용전압(VSS1)과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서로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고, 제 2 방전용전압(VSS2)이 제 3 방전용전압(VSS3)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all have the same voltage value, or at least two of them may have different values. 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be the greatest or smallest, or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The two-discharge-specific voltage VSS2 may be the largest or the smallest, or the third discharge-specific voltage VSS3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be the largest or the smallest.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is set to be the largest and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is set to be the smallest, (VSS2) may be set to have a valu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and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Also,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is set to be the largest,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is set to be the smallest, The voltage VSS1 may be set to have a value between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and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Also,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is set to be the largest,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is set to be the smallest, (VSS2) may be set to have a value betwee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and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and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are set to the same value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is set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한편, 제 3 실시예에서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출력용 클럭펄스로 대신할 수도 있다. 이때 이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대체할 출력용 클럭펄스는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와 동일한 클럭펄스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may be replaced with an output clock pulse. At this time, the output clock pulse to replace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is the same clock pulse as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이 제 3 실시예에서,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하이전압)은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하이전압)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된다.In this third embodiment, the voltage (high voltage) in the high period of each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is the voltage of the high period of each of the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

또한,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은 각각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로우구간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Als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voltage of the low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respectively.

한편, 제 3 실시예의 구조에서 상기 제 5 내지 제 8 스위칭소자(Tr5 내지 Tr8)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fth to eighth switching elements Tr5 to Tr8 may be removed.

도 10을 통해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6 스위칭소자(Tr1 내지 Tr6),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10,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six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6,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half-iso clock pulse, and is turned on when the turn-on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Connect one dedicated power line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VDD)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공통 노드(CN)를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is turned on for charging for transmitting the turn-on charging voltage VDD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common node (CN)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공통 노드(CN)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The fourth node Tr4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5 스위칭소자(Tr5)는 공통 노드(CN)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node CN, and the power source line for charge and the reset node QB are turned on Connect.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6 스위칭소자(Tr6)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t the turn-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exclusive voltage VS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제 4 실시예에서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에서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first to third discharging voltages VSS3 in the fourth embodiment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to third discharging voltages VSS3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11을 통해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6 스위칭소자(Tr1 내지 Tr6),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1,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six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6,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이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는 상술된 제 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단 제 2 방전용전압(VSS2)과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동일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도 11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이 인가된다.The stag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almost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VSS2 and the third discharging voltage VSS3 are the same. That is, according to FIG. 11,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are applied.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은 상술된 제 2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이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12를 통해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4 스위칭소자(Tr4), 풀업 스위칭소자(Pu), 풀다운 스위칭소자(Pd), 그리고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12,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fourth switching devices Tr4, Pu, Pd, and a capacitor C, respectively.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half-iso clock pulse, and is turned on when the turn-on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Connect one dedicated power line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p-1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충전용전압(VDD)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and the charging voltage VDD are turned on Connect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s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t the turn-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exclusive voltage VS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커패시터(C)는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연결된 출력용클럭전송라인과 상기 리세트 노드(QB) 사이에 접속된다.The capacitor C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the reset node QB.

여기서 제 6 실시예에서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에서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in the sixth embodiment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한편, 제 6 실시예에서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출력용 클럭펄스로 대신할 수도 있다. 이때 이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대체할 출력용 클럭펄스는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와 동일한 클럭펄스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ixth embodiment,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may be replaced with an output clock pulse. At this time, the output clock pulse to replace the first discharge voltage VSS1 is the same clock pulse as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이 제 6 실시예에서,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은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된다.In this sixth embodiment, the voltage of the high period of each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set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voltage of the high period of each of the output clock pulses.

또한, 제 3 방전용전압(VSS3)은 각각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로우구간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Also,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voltage of the low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respectively.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13을 통해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5 스위칭소자(Tr5),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3,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fifth switching elements Tr5,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half-iso clock pulse, and is turned on when the turn-on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Connect one dedicated power line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p-1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충전용전압(VDD)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and the charging voltage VDD are turned on Connect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s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VDD)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is turned on for charging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QB)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5 스위칭소자(Tr5)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 이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 대신 상술된 제 3 방전용전원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in the turn- Connect the dedicated power lines to each other. This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third discharging power line instead of the second discharging power line.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2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 4 스위칭소자(Tr4)와 풀업 스위칭소자(Pu)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는다.Here,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은 상술된 제 2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이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2)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14를 통해 제 8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5 스위칭소자(Tr1 내지 Tr5),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4,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fif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5,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half-iso clock pulse, and is turned on when the turn-on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Connect one dedicated power line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discharge voltage VSS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VDD)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is turned on for charging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QB)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5 스위칭소자(Tr5)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ing power source Connect the lines toge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 이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 대신 상술된 제 3 방전용전원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4 스위칭소자(Tr4)와 풀업 스위칭소자(Pu)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는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in the turn- Connect the dedicated power lines to each other. This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third discharging power line instead of the second discharging power line.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2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Here,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은 상술된 제 2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이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15를 통해 제 9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4 스위칭소자(Tr1 내지 Tr4),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5,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four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4,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half-iso clock pulse, and is turned on when the turn-on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Connect one dedicated power line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VDD)에 따라 턴-온되어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voltage VD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to connect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QB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전송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f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s,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exclusive voltage VSS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3 방전용전압(VSS3)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at the turn-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exclusive voltage VS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제 4 스위칭소자(Tr4)와 풀업 스위칭소자(Pu)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는다.Here,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16을 통해 제 10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6 스위칭소자(Tr1 내지 Tr6),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6,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six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6,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half-iso clock pulse, and is turned on when the turn-on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Connect one dedicated power line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VDD)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공통 노드(CN)를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is turned on for charging for transmitting the turn-on charging voltage VDD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common node (CN)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공통 노드(CN)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The fourth node Tr4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5 스위칭소자(Tr5)는 공통 노드(CN)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node CN, and the power source line for charge and the reset node QB are turned on Connect.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6 스위칭소자(Tr6)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in the turn- Connect the dedicated power lines to each other.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은 상술된 제 2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이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방전용전압(VSS1, VSS2)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2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17을 통해 제 11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내지 제 5 스위칭소자(Tr1 내지 Tr5),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7, the p-th stage includes first through fifth switching elements Tr1 through Tr5,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1 스위칭소자(Tr1)는 정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세트 노드(Q)를 서로 연결한다. 이 p번째 스테이지가 스타트 펄스를 공급받는 첫 번째 스테이지일 경우, 이 제 1 스위칭소자(Tr1)는 p-1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 대신에 스타트전송라인에 접속된다. 이 스타트전송라인에는 스타트 펄스가 공급된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Tr1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clock pulse,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nd the set node Q Connect each other. When this p-th stage is the first stage to receive the start pulse, this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connect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instead of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1) -th stage. A start pulse is supplied to the start transmission line.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반이소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세트 노드(Q)와 제 1 방전용전압(VSS1)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half-iso clock pulse, and is turned on when the turn-on set node Q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Connect one dedicated power line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VDD)에 따라 턴-온되어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voltage VD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to connect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QB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4 스위칭소자(Tr4)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전송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f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s, and the turn-on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exclusive voltage VSS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제 5 스위칭소자(Tr5)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QB)와 제 2 방전용전압(VSS3)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reset node QB and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power VS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업 스위칭소자(Pu)는 세트 노드(Q)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를 서로 연결한다. 이 풀업 스위칭소자(Pu)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Q. When the turn-on state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T) to each other. The output clock line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output for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p번째 스테이지에 구비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리세트 노드(QB)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OT)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한다.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provided in the p-th stag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output terminal OT of the p-th stage in the turn- Connect the dedicated power lines to each other.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은 상술된 제 3 실시예의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1 내지 VSS3)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to VSS3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여기서 도 4의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1 내지 CLK4) 및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내지 i-CLK4)에 따른 도 9의 스테이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9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output-use clock pulses CLK1 to CLK4 and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도 9의 스테이지가 다섯 번째 스테이지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I-CLKa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이고, I-CLKb는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이고, CLKc는 제 1 클럭펄스이고, SP(p-1)은 네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이며, SP(p+1)은 여섯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모두 동일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자.Assume that the stage of FIG. 9 is the fifth stage. CLKa is the first clock pulse for i-CLK1, I-CLKb is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CLKc is the first clock pulse, SP (p-1) It is a scan pulse from the fourth stage, and SP (p + 1) is a scan pulse from the sixth stage.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3 have the same value.

먼저,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가 하이전압을 유지할 때 제 1 및 제 8 스위칭소자(Tr1, Tr8)는 턴-온된다. 그러면 턴-온된 제 1 스위칭소자(Tr1)를 통해 네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가 세트 노드(Q)에 공급되며, 턴-온된 제 8 스위칭소자(Tr8)를 통해 충전용전압(VDD)이 상기 세트 노드(Q)에 공급된다. 따라서 세트 노드(Q)가 충전되고, 이 충전된 세트 노드(Q)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업 스위칭소자(Pu) 및 제 4 스위칭소자(Tr4)가 턴-온된다. 그러면, 턴-온된 제 4 스위칭소자(Tr4)를 통해 제 2 방전용전원이 리세트 노드(QB)에 공급되어 리세트 노드(QB)가 방전되고, 이에 따라 이 방전된 리세트 노드(QB)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가 턴-오프된다.First, when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maintains the high voltage, the first and eighth switching elements Tr1 and Tr8 are turned on. Then, a scan pulse from the fourth stage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through the turned-on first switching element Tr1, and the charging voltage VDD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through the eighth switching element Tr8 turned on. And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Therefore, the set node Q is charged,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connected to the charged set node Q through the gate electrode are turned on. Then, the second discharging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reset node QB through the turned-on fourth switching device Tr4 to discharge the reset node QB, thereby discharging the discharged reset node QB. Down switching element Pd connected through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ff.

이어서,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가 하이전압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턴-온된 풀업 스위칭소자(Pu)를 통해 이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가 스캔펄스로서 출력된다. 이 스캔펄스는 출력단자(OT)를 통해 다섯 번째 게이트 라인, 네 번째 스테이지(네 번째 스테이지의 제 5 및 제 7 스위칭소자(Tr5, Tr7)) 및 여섯 번째 스테이지(여섯 번째 스테이지의 제 1 및 제 8 스위칭소자(Tr1, Tr8))에 공급된다. 다시 말하여, 하이전압의 스캔펄스가 출력단자(OT)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출력단자(OT)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제 6 스위칭소자(Tr6)가 턴-온되고, 이 턴-온된 제 6 스위칭소자(Tr6)를 통해 제 2 방전용전압(VSS2)이 리세트 노드(QB)에 공급된다.Then, when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maintains a high voltage,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s output as a scan pulse through the turn-on pull-up switching element Pu. The scan pulse is applied to the fifth gate lin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T, the fourth stage (the fifth and seventh switching elements Tr5 and Tr7 of the fourth stage) and the sixth stage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sixth stage, 8 switching elements Tr1 and Tr8). In other words, a high-voltage scan pulse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T. 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T through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n and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VSS2 is turned on via 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turned on. And is supplied to the reset node QB.

한편, 상기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에 의해 제 3 스위칭소자(Tr3)가 턴-온되며, 이 턴-온된 제 3 스위칭소자(Tr3)를 통해 충전용전압(VDD)이 리세트 노드(QB)에 공급된다. 이 리세트 노드(QB)는 제 4 및 제 6 스위칭소자(Tr6)에 의해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공급받고 있으므로, 이 충전용전압(VDD)에 관계없이 방전 상태로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is turned on by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and the charging voltage VDD is supplied to the reset node (Tr3) through the turned- QB. Since the reset node QB is supplied with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by the fourth and sixth switching elements Tr6, the discharge node QB is maintained in the discharge state regardless of the charging voltage VDD.

다음으로, 여섯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가 제 5 스위칭소자(Tr5)의 게이트전극 및 제 7 스위칭소자(Tr7)의 게이트전극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 5 및 제 7 스위칭소자(Tr5, Tr7)가 턴-온된다. 그러면, 턴-온된 제 5 스위칭소자(Tr5)를 통해 제 1 방전용전압(VSS1)이 세트 노드(Q)에 공급되어 이 세트 노드(Q)를 방전시킨다. 이에 따라 세트 노드(Q)가 방전되고 이 세트 노드(Q)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업 스위칭소자(Pu) 및 제 4 스위칭소자(Tr4)가 턴-오프된다. 한편, 턴-온된 제 7 스위칭소자(Tr7)를 통해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출력단자(OT)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이 출력단자(OT)가 방전되고, 이 방전된 출력단자(OT)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제 6 스위칭소자(Tr6)가 턴-오프된다.Next, a scan pulse from the sixth stage is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fifth switching device Tr5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seventh switching device Tr7. Thus, the fifth and seventh switching elements Tr5 and Tr7 are turned on. Then,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through the fifth switching element Tr5 turned on to discharge the set node Q. As a result, the set node Q is discharged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connected to the set node Q through the gate electrode are turned off. On the other hand,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T through the turned-on seventh switching device Tr7. As a result, the output terminal OT is discharged, and 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connected to the discharged output terminal OT through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ff.

한편, 상기 제 4 및 제 6 스위칭소자(Tr4, Tr6)가 턴-오프됨에 따라 리세트 노드(QB)는 턴-온된 제 3 스위칭소자(Tr3)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용전압(VDD)에 의해 충전된다. 즉, 상기 여섯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는 제 2 출력용 클럭펄스(CLK2)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이 제 2 출력용 클럭펄스(CLK2)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가 중첩되는 1/3 구간에 대응되는 기간동안 제 3 스위칭소자(Tr3)가 턴-온되면서 상기 리세트 노드(QB)가 충전되게 된다. 그러면, 이 충전된 리세트 노드(QB)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가 턴-온된다. 그러면 이 턴-온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통해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출력단자(OT)에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fourth and sixth switching elements Tr4 and Tr6 are turned off, the reset node QB is turned on by the charging voltage VDD supplied by the turned-on third switching element Tr3 Is charged. That is, the scan pulse from the sixth stage is generated by the second output clock pulse CLK2. The scan pulse from the sixth stage is generated by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2 and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is turned on during th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reset node QB, and the reset node QB is charged. Then,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connected to the charged reset node QB via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n. The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T through the turn-on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이후,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하이전압으로 유지되면 제 2 스위칭소자(Tr2)가 턴-온되고, 이 턴-온된 제 2 스위칭소자(Tr2)를 통해 제 1 방전용전압(VSS1)이 세트 노드(Q)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세트 노드(Q)가 방전된다.Thereafter, when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is maintained at a high voltage, 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is turned on,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VSS1)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Then, the set node Q is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로우전압이 출력용 클럭펄스의 로우전압(스캔펄스의 로우전압에 대응됨)보다 작으며, 또한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보다 작게 설정되므로, 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가 로우전압으로 유지되는 기간에 제 1 및 제 2 스위칭소자(Tr1, Tr2)를 통해 누설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 voltage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low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low voltage of the scan pulse)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smaller than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The leakage curren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Tr1 and Tr2 can be minimized while the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is maintained at the low voltage.

한편, 도 4의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1 내지 CLK4) 및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내지 i-CLK4)에 따른 도 10의 스테이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10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and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of FIG. 4 will be described below. same.

도 10의 스테이지가 다섯 번째 스테이지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I-CLKa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이고, I-CLKb는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이고, CLKc는 제 1 클럭펄스이고, SP(p-1)은 네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모두 동일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자.Assume that the stage of FIG. 10 is the fifth stage. CLKa is the first clock pulse for i-CLK1, I-CLKb is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CLKc is the first clock pulse, SP (p-1) It can be seen that the scan pulse is from the fourth stage.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VSS3 have the same value.

먼저,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가 하이전압을 유지할 때 제 1 스위칭소자(Tr1)는 턴-온된다. 그러면 턴-온된 제 1 스위칭소자(Tr1)를 통해 네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가 세트 노드(Q)에 공급된다. 따라서 세트 노드(Q)가 충전되고, 이 충전된 세트 노드(Q)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업 스위칭소자(Pu), 제 4 스위칭소자(Tr4) 및 제 6 스위칭소자(Tr6)가 턴-온된다. 그러면, 턴-온된 제 4 스위칭소자(Tr4)를 통해 제 2 방전용전압(VSS2)이 공통 노드(CN)에 공급되어 이 공통 노드(CN)가 방전된다. 따라서, 이 공통 노드(CN)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제 5 스위칭소자(Tr5)가 턴-오프된다. 한편, 턴-온된 제 6 스위칭소자(Tr6)를 통해 제 2 방전용전원이 리세트 노드(QB)에 공급되어 리세트 노드(QB)가 방전되고, 이에 따라 이 방전된 리세트 노드(QB)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다운 스위칭소자(Pd)가 턴-오프된다.First, when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maintains the high voltag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turned on. Then, the scan pulse from the fourth stage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through the turned-on first switching element Tr1.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and 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which are connected to the set node Q through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n. Then,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is supplied to the common node CN through the turned-on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and the common node CN is discharged. Therefore, the fifth switching element Tr5 connected to the common node CN through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ff.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ischarging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reset node QB through 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turned on to discharge the reset node QB, Down switching element Pd connected through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ff.

이어서,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가 하이전압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턴-온된 풀업 스위칭소자(Pu)를 통해 이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가 스캔펄스로서 출력된다. 이 스캔펄스는 출력단자(OT)를 통해 다섯 번째 게이트 라인 및 여섯 번째 스테이지(여섯 번째 스테이지의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에 의해 제 3 스위칭소자(Tr3)가 턴-온되며, 이 턴-온된 제 3 스위칭소자(Tr3)를 통해 충전용전압(VDD)이 공통 노드(CN)에 공급된다. 이 공통 노드(CN)는 제 4 스위칭소자(Tr4)에 의해 제 2 방전용전압(VSS2)을 공급받고 있으므로, 이 충전용전압(VDD)에 관계없이 방전 상태로 유지된다.Then, when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maintains a high voltage,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s output as a scan pulse through the turn-on pull-up switching element Pu. This scan pulse is supplied to the fifth gate line and the sixth stag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of the sixth stag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T.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is turned on by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and the charging voltage VDD is supplied to the common node CN via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turned on. . Since the common node CN is supplied with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by 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the common node CN is maintained in the discharge state regardless of the charging voltage VDD.

이어서,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하이전압으로 유지되면 제 2 스위칭소자(Tr2)가 턴-온되고, 이 턴-온된 제 2 스위칭소자(Tr2)를 통해 제 1 방전용전압(VSS1)이 세트 노드(Q)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세트 노드(Q)가 방전되고 이 세트 노드(Q)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업 스위칭소자(Pu), 제 4 스위칭소자(Tr4) 및 제 6 스위칭소자(Tr6)가 턴-오프된다. Then, when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is maintained at the high voltag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r2 is turned on and the first discharging voltage Tr2 is turned on via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r2 turned on. (VSS1) is supplied to the set node (Q). The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and the sixth switching element Tr6, which are connected to the set node Q through the gate electrode, are discharged, do.

한편, 상기 제 4 스위칭소자(Tr4)가 턴-오프됨에 따라 공통 노드(CN)는 턴-온된 제 3 스위칭소자(Tr3)에 의해 공급되는 충전용전압(VDD)에 의해 충전된다. 즉, 상기 여섯 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는 제 2 출력용 클럭펄스(CLK2)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이 제 2 출력용 클럭펄스(CLK2)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가 중첩되는 1/3 구간에 대응되는 기간동안 제 3 스위칭소자(Tr3)가 턴-온되면서 상기 공통 노드(CN)가 충전되게 된다. 따라서 이 공통 노드(CN)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제 5 스위칭소자(Tr5)가 턴-온되며, 이 턴-온된 제 5 스위칭소자(Tr5)를 통해 충전용전압(VDD)이 리세트 노드(QB)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리세트 노드(QB)가 충전되고, 이 충전된 리세트 노드(QB)에 게이트전극을 통해 접속된 풀업 스위칭소자(Pu)가 턴-온된다. 이 턴-온된 풀업 스위칭소자(Pu)를 통해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다섯 번째 게이트 라인 및 여섯 번째 스테이지(여섯 번째 스테이지의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fourth switching device Tr4 is turned off, the common node CN is charged by the charging voltage VDD supplied by the turned-on third switching device Tr3. That is, the scan pulse from the sixth stage is generated by the second output clock pulse CLK2. The scan pulse from the sixth stage is generated by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2 and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is turned on and the common node CN is charged. Therefore, the fifth switching element Tr5 connected to the common node CN through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n, and the charging voltage VDD is supplied to the reset node N5 through the fifth switching element Tr5, (QB). Then, the reset node QB is charged,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connected to the charged reset node QB via the gate electrode is turned on. The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is supplied to the fifth gate line and the sixth stag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of the sixth stage) through the turn-on pull-up switching element Pu.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로우전압이 출력용 클럭펄스의 로우전압(스캔펄스의 로우전압에 대응됨)보다 작으며, 또한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VSS3)보다 작게 설정되므로, 이 출력제어용 클럭펄스가 로우전압으로 유지되는 기간에 제 1 및 제 2 스위칭소자(Tr1, Tr2)를 통해 누설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 voltage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low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low voltage of the scan pulse)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smaller than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 VSS3, The leakage curren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Tr1 and Tr2 can be minimized while the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is maintained at the low voltage.

도 18은 도 4의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1 내지 CLK4) 및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 내지 i-CLK4)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8의 (a)는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CLK1 내지 CLK4)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8의 (b)는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내지 i-CLK4)를 나타내고 있다.FIG. 18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and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4 to i-CLK4) in FIG. 18A shows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and FIG. 18B shows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도 19는 도 18에서의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에 대한 정이소 클럭펄스 및 반이소 클럭펄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9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positive clock pulses and semi-iso clock pulses for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n FIG. 18; FIG.

도 20은 도 8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와 전단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SP(p-1))가 동시에 하이전압으로 유지되는 기간에 제 1 스위칭소자(Tr1)가 턴-온되어 세트 노드(Q)가 충전된다. 이때,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는 로우전압으로 유지되므로 제 2 스위칭소자(Tr2)는 턴-오프된다. 이후,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가 하이전압으로 천이하면 스캔펄스가 발생된다. 이후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하이전압으로 될 때 세트 노드(Q)가 방전된다.FIG. 20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Q,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is turned on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scan pulse (SP (p-1) So that the set node Q is charged. At this time, since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is held at the low voltag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r2 is turned off. Thereafter, when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transitions to a high voltage, a scan pulse is generated. Then, the set node Q is discharged when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becomes a high voltage.

문턱전압이 음(negative)인 회로는 세트 노드(Q)가 로우전압으로 유지되는 동안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에 의해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클럭 커플링에 의해 세트 노드(Q)의 전압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트 노드(Q)가 방전용전압에 의해 로우전압으로 유지될 때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 전하(noise charge)는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가 하이전압으로 유지되는 기간동안 전단 스테이지에 접속된 게이트 라인 및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통해 유출되게 된다. A circuit having a negative threshold voltage is supplied with a leakage current due to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while the set node Q is kept at a low voltage and therefore the voltage rise of the set node Q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charge generated by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when the set node Q is held at the low voltage by the discharge voltage is the first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1 ) Flows out through the gate line and the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connected to the front stage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high voltage is maintained.

도 21은 도 11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Q,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도 22는 도 13 및 도 14의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출력용 클럭펄스들(CLK1 내지 CLK4)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하이전압)은 25[V]이고, 로우구간의 전압(로우전압)은 -5[V]이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i-CLK1 내지 i-CLK4)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하이전압)은 20[V]이고, 로우구간의 전압(로우전압)은 -15[V]이다.FIG. 22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waveforms for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nd output clock pulses supplied to the stages of FIGS. 13 and 14. FIG. According to this, the voltage (high voltage) of the high section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output clock pulses CLK1 to CLK4 is 25 [V] and the voltage of the low section (low voltage) is -5 [V]. The high voltage (high voltage)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CLK1 to i-CLK4 is 20 [V] and the voltage of the low period (low voltage) is -15 [ V].

도 23은 도 10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3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Q,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도 24는 도 12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4의 (a)는 제 1 및 제 3 방전용전압(VSS1, VSS3)이 모두 -5[V]이고, 제 2 방전용전압(VSS2)이 -7[V]인 조건하에서의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4의 (b)는 제 1 및 제 3 방전용전압(VSS3)이 모두 -5[V]이고, 제 2 방전용전압(VSS2)이 -2[V]인 조건하에서의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Q,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Specifically, FIG. 24A shows a state where the first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VSS1 and VSS3 are both -5 V and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is -7 [V] FIG. 24B is a graph showing the voltage of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when the first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VSS3 are both -5 V, ,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econd discharge voltage VSS2 is -2 [V].

도 25는 도 16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5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Q,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도 26은 도 17의 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세트 노드(Q), 리세트 노드(QB), 스캔펄스 및 출력용 클럭펄스의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6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for the voltages of the set node Q, the reset node QB, the scan pulse, and the output clock puls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ge of Fig.

도 27은 도 8의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structure of FIG. 8. FIG.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스테이지는 제 2 스위칭소자(Tr2)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스위칭소자(Tr1), 제 3 스위칭소자(Tr3), 제 4 스위칭소자(Tr4),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트 노드(Q)는 전단 스테이지에 접속된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로우전압에 의해 방전된다.As shown in FIG. 27, the stage shown in FIG. 8 may not include 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27, the p-th stage includes a first switching device Tr1, a third switching device Tr3, a fourth switching device Tr4, a pull-up switching device Pu, and a pulldown switching device Pd). In this case, the set node Q is discharged by the low voltage from the gate line connected to the front stage.

도 27에 도시된 제 1 스위칭소자(Tr1), 제 3 스위칭소자(Tr3), 제 4 스위칭소자(Tr4), 풀업 스위칭소자(Pu) 및 풀다운 스위칭소자(Pd)는, 도 8에 도시된 제 1 스위칭소자(Tr1), 제 3 스위칭소자(Tr3), 제 4 스위칭소자(Tr4), 풀업 스위칭소자(Pu) 및 풀다운 스위칭소자(Pd)와 동일하다.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shown in Fig. 1 switching element Tr1, the third switching element Tr3,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Tr4,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the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이때,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할 수 있다.At this time,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q-th stage and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th stage may partially overlap.

한편, 도 27에서의 제 3 스위칭소자(Tr3)의 게이트전극에는 출력용 클럭펄스(CLKc) 대신 충전용전압(VDD)이 인가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voltage VDD may b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in FIG. 27 instead of the output clock pulse CLKc.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28은 도 27의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structure of FIG. 27; FIG.

도 27에 도시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접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shown in FIG. 27 may hav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ype shown in FIG.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출력용클럭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 이 제 3 스위칭소자(Tr3)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8,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When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is turned on, Nodes QB to each other.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respectively output to the first output The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이때,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할 수 있다.At this time,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q-th stage and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th stage may partially overlap.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29는 도 27의 변형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9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structure of Fig.

도 27에 도시된 제 3 스위칭소자(Tr3)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접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shown in FIG. 27 may hav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ype shown in FIG.

즉,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스위칭소자(Tr3)는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VDD)에 따라 턴-온되어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리세트 노드(QB)를 서로 연결한다. 이 제 3 스위칭소자(Tr3)에 접속된 출력용클럭라인에는 CLKc라는 출력용 클럭펄스가 공급되는 바, 이 CLKc가 제 1 출력용 클럭펄스(CLK1)일 때 i-CLKa 및 i-CLKb는 각각 제 1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1) 및 제 4 출력제어용 클럭펄스(i-CLK4)가 될 수 있다.29,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voltage VD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so that any one output clock line and the reset node QB Connect each other. CLKc is supplied to the output clock line connected to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When CLKc is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CLK1, i-CLKa and i-CLKb are respectively output to the first output The control clock pulse i-CLK1 and the fourth output control clock pulse i-CLK4.

한편, 도 29에서의 제 3 스위칭소자(Tr3)의 게이트전극에는 충전용전압(VDD) 대신 출력용 클럭펄스(CLKc)가 인가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clock pulse CLKc may b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in FIG. 29 instead of the charging voltage VDD.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도 30은 도 10의 변형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0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structure of FIG. 10; FIG.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스테이지는 제 2 스위칭소자(Tr2)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번째 스테이지는 제 1 스위칭소자(Tr1), 제 3 내지 제 6 스위칭소자(Tr3 내지 Tr6), 풀업 스위칭소자(Pu), 그리고 풀다운 스위칭소자(P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트 노드(Q)는 전단 스테이지에 접속된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로우전압에 의해 방전된다. 한편, 도 30에서의 제 3 스위칭소자(Tr3)의 드레인전극은 출력용클럭라인 대신에 충전용전원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0, the stage shown in FIG. 10 may not include the second switching device Tr2. 30, the p-th stage includes a first switching element Tr1, third to sixth switching elements Tr3 to Tr6, a pull-up switching element Pu, and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Pd. . In this case, the set node Q is discharged by the low voltage from the gate line connected to the front stage. On the other h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in Fig. 30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instead of the output clock line.

이때,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i-CLKa)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할 수 있다.At this time,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q-th stage and a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i-CLKa) supplied to the p-th stage may partially overlap.

한편, 도 30에서의 제 3 스위칭소자(Tr3)의 게이트전극에는 출력용 클럭펄스(CLKc) 대신 충전용전압(VDD)이 인가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voltage VDD may b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switching device Tr3 in FIG. 30 instead of the output clock pulse CLKc.

여기서, 풀업 스위칭소자(Pu)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Tr1)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Pu may be located within the high period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r1.

한편, 모든 실시예에서 두 개의 동일한 방전용전압들은 각각 개별적인 방전용전원라인을 통해 공급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한 하나의 방전용전원라인을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all embodiments, two identical discharge voltages may be supplied through separate discharge power lines, o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same discharge power lin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CLKe: e번째 출력용 클럭펄스 i-CLKf: f번째 출력제용 클럭펄스CLKe: clock pulse for e-th output i-CLKf: clock pulse for f-th output

Claims (22)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을 출력하는 제 1 클럭발생기;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하이구간이 일정 부분 중첩하는 m*n개(m은 자연수)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위상순으로 배열하고 이들을 n개씩 묶어 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갖는 m개의 그룹을 생성하고, 각 그룹의 k번째의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하도록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출력하는 제 2 클럭발생기;
상기 제 1 클럭발생기로부터의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상기 제 2 클럭발생기로부터의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을 공급받아 다수의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응답하여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세트 노드와 제 1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중 하나를 전송하는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2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1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A first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M is a natural number) output clock pulses having different phases and having a high-level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rranging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in phase order, grouping them into n units, And a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pulses having a kth phase sequence of each group is generated 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having a kth phase sequence among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 second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m * n output clock pulses so as to be located within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a shift register for receiving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from the first clock generator and m * n output clock pulses from the second clock generator and sequentially outputting a plurality of scan pulses,
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A first switching circuit that connects either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stage output terminal and the start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nd the set node in response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device;
A second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the set node to a first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first discharge voltage in response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nd a pull-up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the output clock line for transmitting one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in response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section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charge voltage;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and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및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은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다수의 임펄스들을 포함하며;
j번째(j는 m과 같거나 작은 자연수) 그룹에 속하며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용 클럭펄스에 포함된 임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k번째 위상순서를 갖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임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nd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includes a plurality of impulses periodically generated;
the rising edge of the impulse included in the output clock pulse belonging to the group j (j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smaller than m) and having the kth phase order is within the high interval of the impulse of the output controlling clock pulse having the kth phase order The gate drive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gate drive circuit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m*n번째 출력용 클럭펄스는 더미 임펄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 임펄스는 첫 번째 출력용 클럭펄스보다 앞선 위상을 갖는 스타트 펄스와 동일한 출력 타이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 * nth output clock pulse further comprises a dummy impulse;
Wherein the dummy impulse has the same output timing as a start pulse having a phase prior to the first output clock pul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이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의 각 로우구간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voltage of each row interval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voltage of each row interval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은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클럭펄스와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does not overlap with at least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는 1 및 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q is any one of 1 an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번째 스테이지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 < th >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Further comprising a device;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p번째 스테이지는,
p+r번째(r은 자연수)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와 상기 제 1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6 스위칭소자;
상기 p+r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7 스위칭소자; 및,
p-s번째(s는 자연수)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8 스위칭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 < th >
a fif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 + r) th (r is a natural number) stage and connects the set node and the first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urned on;
A sixth switching device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urned on;
A seven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 + rth stag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to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when turned on;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eighth switching element which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sth (s is a natural number) stag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set node at the time of turn-on And a gate drive circu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이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하이구간의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oltage of the high section of each of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tage of the high section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제 1 항에 있어서,
p번째 스테이지는,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공통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공통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공통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6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th stage,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common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common node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second discharging voltage upon turning on;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nod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when turned on;
A six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Further comprising a device;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항에 있어서,
p번째 스테이지는,
p-r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와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 및,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연결된 출력용클럭전송라인과 상기 리세트 노드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th stage,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r-th stage and connects the set node with a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charging voltage when turned on;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to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second discharge voltage;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reset node and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 connect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p번째 스테이지는,
p-s번째 스테이지로부터의 스캔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세트 노드와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풀업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th stage,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scan pulse from the psth stage and connects the set node with a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charging voltage when turned on;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Further comprising a device;
Wherein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항에 있어서,
p번째 스테이지는,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풀업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th stage,
A third switching power supply line connected between the reset node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second discharge voltage, the third switching power supply line being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device;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urned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Further comprising a device;
Wherein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전송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풀업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harging voltag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to the reset node when the first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s, 4 switching devices;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Further comprising a device;
Wherein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re supplied with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전송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스위칭소자와 제 2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harging voltag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ischarging voltage to the reset node when the first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transmission lines, 4 switching devices;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Further comprising a pull-down switching element for turning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and for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nd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urned on;
Wherein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의 하이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n high output control clock pulses do not overlap each other.
제 8, 9, 11, 12, 13, 14, 15 및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방전용전압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9, 11, 12, 13, 14, 15 and 16,
Wherein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voltages are equal to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nd the start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ts to the set node;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Device;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and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출력용클럭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nd the start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ts to the set node;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clock pulse for output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output clock line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upon turning on;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Device;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and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충전용전원라인으로부터의 충전용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nd the start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ts to the set node;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device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harging voltage from a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connects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reset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a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hat transmits a second discharge voltage when turning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Device;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and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스캔펄스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자신의 출력단자를 통해 스캔펄스를 출력하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은 n개의 출력제어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m*n개의 출력용 클럭펄스들은 m*n개의 출력용클럭라인들을 통해 전송되며;
p번째(p는 자연수) 스테이지는,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p-q번째(q는 p보다 작은 자연수) 스테이지의 출력단자 및 스타트 펄스를 전송하는 스타트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와 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과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풀업 스위칭소자;
어느 하나의 출력용클럭라인으로부터의 출력용 클럭펄스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충전용전원라인과 공통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3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공통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4 스위칭소자;
상기 공통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충전용전원라인과 리세트 노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 5 스위칭소자;
상기 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리세트 노드와 제 2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제 6 스위칭소자; 및,
상기 리세트 노드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시 상기 p번째 스테이지의 출력단자와 제 3 방전용전압을 전송하는 제 3 방전용전원라인을 서로 연결하는 풀다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중첩하지 않으며;
상기 n개의 출력제어용 클럭펄스들 각각의 로우구간의 전압이 제 2 및 제 3 방전용전압보다 작으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와 제 3 스위칭소자가 동일한 출력용 클럭펄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p-q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과 상기 p번째 스테이지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이 일부 중첩하며;
상기 풀업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용 클럭펄스의 라이징에지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에 공급되는 출력제어용 클럭펄스의 하이구간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ift registe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for sequentially outputting scan pulses;
Each of the stages outputs a scan pulse through its output terminal;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n output control clock lines;
The m * n output clock pulses are transmitted through m * n output clock lines;
The p-th (p is a natural number)
The output terminal of the pq-th stage (q is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p) and the start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start pulse ar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conn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ts to the set node;
A pull-up switching element which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 third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utput clock pulse from any one of the output clock lines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voltage at the turn-on time and the common node to each other;
A fourth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common node and a second discharging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second discharging voltage upon turning on;
A fif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node and connects the charging power supply line and the reset node when turned on;
A sixth switching element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set node and connects the reset node and the secon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to each other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nd a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a third discharge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th stage at the time of turn-on, wherein the third discharge power supply line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reset node, Device;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lock pulse and the high section of the output control clock puls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do not overlap;
The voltage of the low interval of each of the n output control clock pulses is smaller than the second and third discharge voltages;
Wherein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receive the same output clock pulse;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q stage and a high period of the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 stage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a rising edge of an output clock pulse supplied to the pull-up switching element is located within a high period of a clock pulse for output control su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KR1020110066276A 2011-02-22 2011-07-05 Gate driving circuit KR101849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05623A TWI475536B (en) 2011-02-22 2012-02-21 Gate driving circuit
CN201210042764.8A CN102651207B (en) 2011-02-22 2012-02-22 Gate driving circuit
US13/402,017 US8604858B2 (en) 2011-02-22 2012-02-22 Gate driv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738 2011-02-22
KR20110015738 201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90A KR20120096390A (en) 2012-08-30
KR101849571B1 true KR101849571B1 (en) 2018-05-31

Family

ID=4688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276A KR101849571B1 (en) 2011-02-22 2011-07-05 Gate driving circu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9571B1 (en)
TW (1) TWI47553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248B1 (en) 2012-09-28 2014-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hift register
KR101992908B1 (en) 2012-12-28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hift register
KR102089319B1 (en) * 2013-08-30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hift resister
KR102180072B1 (en) * 2014-05-02 2020-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hift register
TWI563482B (en) 2014-10-21 2016-12-21 Ind Tech Res Inst Driver circuit with device variation compens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68822B1 (en) * 2014-11-20 2020-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TWI563487B (en) * 2015-12-24 2016-12-21 Au Optronics Corp Shift register circuit
TWI612510B (en) * 2017-06-02 2018-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Shift register
TWI726564B (en) * 2019-12-31 2021-05-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Pixel array with gate driver and matrix sensor ar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6184B2 (en) 2003-01-15 2005-02-15 Agilent Technologies, Inc Clock divider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69B1 (en) * 2004-09-18 201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Drive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TWI404029B (en) * 2008-10-08 2013-08-01 Au Optronics Corp Gate driving circuit having a low leakage current control mechanism
TWI406218B (en) * 2009-01-09 2013-08-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High-reliability gate driving circu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6184B2 (en) 2003-01-15 2005-02-15 Agilent Technologies, Inc Clock divider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5536B (en) 2015-03-01
KR20120096390A (en) 2012-08-30
TW201239846A (en) 201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571B1 (en) Gate driving circuit
KR101920752B1 (en) Gate driving circuit
US10892028B2 (en) Shift registe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N110164352B (en) Shift register circuit, driving method thereof,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JP5079301B2 (en) Shift register circu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843267B2 (en) Shift register
KR101296645B1 (en) A shift register
JP4912186B2 (en) Shift register circu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63595B1 (en) Gate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912000B2 (en) Shift register circu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2651207B (en) Gate driving circuit
KR101419248B1 (en) Shift register
KR101756667B1 (en)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639217B2 (en) Scan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3933820A1 (en) Shift register unit, gate driving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230106558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1847983A1 (en) Scan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KR101568258B1 (en) A shift register
JP2007317344A (en) Shift register circuit and image display equipped therewith
KR20100096656A (en) Shift register
JP2008251094A (en) Shift register circu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the same
CN110782940B (en) Shift register unit, gate drive circuit,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20120011765A (en) Shift register
KR101908508B1 (en) Shift register
CN109671382B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