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009B1 - Test equipment of converter - Google Patents

Test equipment of co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009B1
KR101691009B1 KR1020140162969A KR20140162969A KR101691009B1 KR 101691009 B1 KR101691009 B1 KR 101691009B1 KR 1020140162969 A KR1020140162969 A KR 1020140162969A KR 20140162969 A KR20140162969 A KR 20140162969A KR 101691009 B1 KR101691009 B1 KR 10169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sion
unit
power
conversion modu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0513A (en
Inventor
박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00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2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operating from a resonant DC source, i.e. the DC input voltage varies periodically, e.g. resonant DC-link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02P29/67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motor temperature by back electromotive force [back-EMF] evalu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02P6/182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using back-emf in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AFE 타입 전력변환장치 및 DFE 타입 전력변환장치로 가변 되면서 사용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력변환장치는 교류전원과 계통 사이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에서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에 제공하는 제1 전력변환모듈 및 제2 전력변환모듈, 제2 전력변환모듈의 출력단과 제2 전력변환모듈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순환배선을 포함하되, 제1 전력변환모듈은 제1 직류링크부를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은 제2 직류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류링크부와 상기 제2 직류링크부는 병렬로 연결되며, 계통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면, 역기전력의 일부는 제1 직류링크부와 제2 직류링크부에 저장되고, 나머지는 제2 전력변환모듈의 출력단과 순환배선을 통하여 제2 전력변환모듈의 입력단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that can be used while being variable in an A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 D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s needed.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and a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which are connected between the AC power source and the system and convert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source to provide the power to the system, Wherein 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first DC link portion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second DC link portion, and the first DC link portion and the second DC link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system, a part o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stored in the first DC link part and the second DC link part, and the other par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and the second power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onversion module.

Description

전력변환장치{Test equipment of converter}≪ Desc / Clms Page number 1 > Test equipment of converter &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AFE 타입 전력변환장치 및 DFE 타입 전력변환장치로 사용되는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ed as an A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 D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s needed.

전력변환장치는 해양설비 및 선박의 모터 등의 부하를 구동시키는데 있어서, 그 쓰임의 용도, 목적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토폴로지로 구성된다. 전력변환 장치는 크게 전력을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DFE(Diode Front End) 시스템 토폴로지와, 전력을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AFE(Active Front End) 시스템 토폴로지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AFE(Active Front End) 시스템 토폴로지는 부하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회생시킬 뿐만 아니라,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어방식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topologie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use in driving loads such as offshore installations and marine motors. The power conversion device can be divided into a DFE (Diode Front End) system topology that transmits power in one direction and an Active Front End (AFE) system topology that transmits power in both directions. Here, the Active Front End (AFE) system topology not only regenerate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load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current, but the control method is complicated.

반면, DFE(Diode Front End) 시스템 토폴로지는 제어방식이 간단하고 높은 정류 신뢰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부하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회생시킬 수 없고, 이러한 전류를 소비시키기 위한 제동저항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FE (Diode Front End) system topology has advantages of simple control method and high rectifying reliability, it can not regenerat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load and requires a braking resistor for consuming the current have.

따라서, 현재에는 AFE 시스템 토폴로지와 DFE 시스템 토폴로지의 장점만을 결합한 전력변환 토폴로지가 활발하게 개발 및 연구되고 있다.Therefore, power conversion topology combining the merits of AFE system topology and DFE system topology is actively developed and studied.

그러나 진행된 연구 및 개발 대부분의 전력변환 토폴로지, 일 예로 미국등록특허 US 7,508,147 B2는 구성요소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스위치간의 스위칭 손실이 크게 되면서 전력변환의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advanced power conversion topologies, such as the US Patent No. 7,508,147 B2,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mponents are complicated and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is not high due to a large switching loss between the semiconductor switches.

미국등록특허 US 7, 508, 147 B2 (2009. 03. 24)US registered patent US 7, 508, 147 B2 (Mar. 24, 2009)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소에는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사용되다가 필요 시, A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nversion device that is used as a power conversion device of a DFE type and is converted into an AFE type power conversion device when necessa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변환장치는 교류전원과 계통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에서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에 제공하는 제1 전력변환모듈 및 제2 전력변환모듈,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순환배선을 포함하되,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including a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and a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connected between an AC power source and a system, for converting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source and providing the power to the system, And a circulation wiring for connecting an output end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and an input end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상기 제1 전력변환모듈은 제1 직류링크부를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은 제2 직류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류링크부와 상기 제2 직류링크부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계통에서 역기전력이 발생 되면, 상기 역기전력의 일부는 상기 제1 직류링크부와 상기 제2 직류링크부에 저장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출력단과 상기 순환배선을 통하여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입력단으로 공급된다.Wherein 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first DC link portion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second DC link portion, the first DC link portion and the second DC link portion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A part o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stored in the first DC link part and the second DC link part and the rest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and the circulating wiring, .

상기 제1 전력변환모듈은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1 컨버터부와, 상기 제1 컨버터부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1 직류링크부, 및 상기 제1 직류링크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교류로 변환하는 제1 전력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은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2 컨버터부와, 상기 제2 컨버터부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2 직류링크부, 및 상기 제2 직류링크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교류로 변환하는 제2 전력변환부를 포함하여, 상기 역기전력은 상기 제1 전력변환부, 상기 제1 직류링크부 및 상기 제2 직류링크부, 상기 제2 전력변환부, 상기 순환배선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출력단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first converter unit for rectifying an AC voltage, a first DC link un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verter unit, and a second DC link unit connected to the first DC link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second converter unit for rectifying an AC voltage, the second DC link un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onverter unit, and the second DC link un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onverter unit, And a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stored electric energy into AC, wherei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y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the first DC link unit, the second DC link unit,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And may be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상기 제1 컨버터부와 상기 제2 컨버터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다이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다이오드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원은 한 쌍의 다이오드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nverter unit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include a plurality of diode units including a pair of diodes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diode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AC power source is connected between a pair of diodes Can be supplied.

상기 제1 전력변환부와 상기 제2 전력변환부는 각각 반도체 스위치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인버터부 및 제2 인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버터부 및 상기 제2 인버터부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인버터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each include a first inverter unit and a second inverter unit that are composed of a semiconductor switch and a diode and convert a DC voltage to an AC voltage, In the inverter unit, a plurality of inverters for converting the DC voltage into the AC voltage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상기 인버터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반도체 스위치에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반도체 세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세트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계통은 상기 한 쌍의 반도체 스위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verter includes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set portion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 pair of semiconductor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in series, wherei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set portion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system is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semiconductor switches Lt; / RTI >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과 상기 계통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switch unit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and the system to control a current flow.

상기 순환배선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switch unit for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irculating wiring.

상기 순환배선에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lating wiring.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평소에 제어 방식이 간편한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사용되다가 계통으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할 때, A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변환 가능하도록 하여, 역기전력을 회생에너지로 재사용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a DFE type, which is usually a simple control method, and is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an A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when a back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from the system, so that a back electromotive force can be reused as a regenerative energy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의 전력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의 제1 컨버터부 및 제2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인버터부 및 제2 인버터부가 구동되는 PWM 방식에 대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계통부가 정격 속도로 작동될 때, 도 1의 전력변환장치가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계통부가 감속되어 작동될 때, 도 1의 전력변환장치가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가 A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구동되어 계통부로부터 유입되는 회생전류를 궤환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a waveform of a voltage output from a power line of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waveform of a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converter section and the second converter section of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waveforms of the PWM method in which the first inverter unit and the second inverter unit are driven.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1 is driven by a D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when the system section is operated at a rated spee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1 is driven by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the DFE type when the system section is operated at a reduced spee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1 is driven by an AFE-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to feed back a regenerative current flowing from the system section.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can be mad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전력변환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voltages output from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력변환장치의 전력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의 제1 컨버터부 및 제2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인버터부 및 제2 인버터부가 구동되는 PWM 방식에 대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waveform of a voltage output from a power line of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waveform of a PWM method in which a first inverter unit and a second inverter unit are driven. FIG. 4 is a view showing waveforms of voltages output from the first converter unit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of the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변환장치(1)는 필요에 따라, DFE 타입 전력변환장치 및 AFE 타입 전력변환장치로 신속하게 변환되면서 DFE 타입 전력변환장치의 장점 및 AFE 타입 전력변환장치의 장점을 살려 전력을 변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전력변환장치(1)는 교류전원(10)으로부터 입력받아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20)에 제공하며, 교류전원(10)과 계통 사이에 연결되는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인 제1 전력변환모듈(30)과 제2 전력변환모듈(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전력변환모듈(30) 및 제2 전력변환모듈(40)은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컨버터부(30a, 40a), 정류된 전압을 저장하는 직류링크부(30b, 40b) 및 저장된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교류전류를 출력하는 전력변환모듈(30c, 40c)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전력변환모듈(40)은 제2 전력변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다시 입력단으로 궤환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배선(50)을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계통에서 역기전력 발생 때, DFE 타입의 제1 전력변환모듈(30) 및 제2 전력변환모듈(40)은 역기전력을 제2 전력변환모듈(40)의 입력단으로 궤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quickly converted into a D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n A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Type power conversion device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power conversion can be. Such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1 receives input from an AC power source 10 and converts the power to provide the system 20 with a first power conversion function which is a DFE type power conver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AC power source 10 and the system, Module 30 and a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30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include converter sections 30a and 40a for rectifying an AC voltage, DC link sections 30b and 40b for storing a rectified voltage, And power conversion modules 30c and 40c for outputting an alternating current by using the power conversion modules 30c and 40c. In particular,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further includes a circulating wiring 50 that allows the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to be fed back to the input terminal. Accordingly, when the counter-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system, the DFE-typ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30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can feed back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

이하, 전력변환장치(1)의 각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는 전류에 대한 파형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veforms of the currents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power inverter 1 and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교류전원(10)은 서로 다른 위상 즉, 각각의 위상 차가 120도가 되는 R상, S상, 및 T상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3상 전원(three-phase power source)이 될 수 있다. 교류전원(10)의 각 상의 전압은 일정한 크기에 대응되는 교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더욱이, 교류전원(10)은 일측에 텔타(Δ) 결선 된 1차권선, 타측에 델타(Δ)결선 2차권선 및 와이(Y)결선된 3차권선을 가지는 12펄스 변압기 즉, 3권선 변압기가 될 수 있다.The AC power source 10 may be a three-phase power source capable of outputting voltages on R phase, S phase, and T phase in which different phases, that is, phase differences of 120 degrees, are output. The voltage of each phase of the AC power source 10 can form an AC corresponding to a certain magnitude. Furthermore, the AC power source 10 is a 12-pulse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winding connected to one side by a?, A delta (?) Secondary wind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a tertiary winding connected to a Y (Y) .

이러한 2차권선 및 3차권선에는 각각 제1 전력변환모듈(30) 및 제2 전력변환모듈(4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30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ary winding and the tertiary winding.

이러한, 제1 전력변환모듈(30) 및 제2 전력변환모듈(40)은 모두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또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력변환모듈(30)은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1 컨버터부(30a), 제1 컨버터부(30a)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직류링크부(30b), 제1 직류링크부(30b)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전력변환부(30c)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 전력변환모듈(40)은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2 컨버터부(40a), 제2 컨버터부(40a)에 병렬로 연결되고, 제1 직류링크부(40a)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직류링크부(40b) 그리고 제2 직류링크부(40b)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전력변환부(40c) 및 출력단과 입력단을 서로 연결하는 순환배선(50)을 포함한다.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30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may convert AC power to DC power or DC power to AC power. 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30 includes a first converter unit 30a for rectifying an AC voltage, a first DC link unit 30b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converter unit 30a, And a first power conversion unit 30c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30b.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ter unit 40a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40a that rectify the AC voltage and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C link unit 40a. A first power conversion unit 40c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DC link unit 40b and the second DC link unit 40b, and a circulation line 50 connecting the output stage and the input stage.

여기서, 제1 컨버터부(30a) 및 제2 컨버터부(40a)는 교류전원(10)으로부터 입력 받은 교류전압을 정류한다. 제1 컨버터부(30a)는 a다이오드(Da), b다이오드(Db)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부(301a), 제2 다이오드부(302a) 및 제3 다이오드부(303a)로 구성되며, 제2 컨버터부(40a)는 c 다이오드(Dc), d다이오드(Dd)가 직렬로 연결되는 제4 다이오드부(404a), 제5 다이오드부(405a) 및 제6 다이오드부(406a)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다이오드부(301a) 및 제4 다이오드부(404a)는 3상 전원의 R상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부(302a) 및 제5 다이오드부(405a)는 S상에 연결되며, 제3 다이오드부(303a) 및 제6 다이오드부(406a)는 T상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다이오드부(301a) 내지 제3 다이오드부(303a) 그리고 제4 다이오드부(404a) 내지 제6 다이오드부(406a)는 하나의 교류전원(1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한 쌍의 다이오드 즉, a다이오드(Da)와 b다이오드(Db) 그리고 c다이오드(Dc)와 d다이오드(Dd)가 직렬로 연결되면서 형성된 접점에는 각 상의 연결선이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verter section 30a and the second converter section 40a rectify the AC voltage input from the AC power source 10. The first converter unit 30a includes a first diode unit 301a, a second diode unit 302a, and a third diode unit 303a, to which a diode Da, a diode bb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40a includes a fourth diode unit 404a, a fifth diode unit 405a and a sixth diode unit 406a in which a c diode Dc, a d diode Dd are connected in series, do. Here, the first diode unit 301a and the fourth diode unit 404a are connected to the R phase of the three-phase power source, the second diode unit 302a and the fifth diode unit 405a are connected to the S phase, The third diode portion 303a and the sixth diode portion 406a may be connected to T-phase. The first diode unit 301a to the third diode unit 303a and the fourth diode unit 404a to the sixth diode unit 406a may be connected to one AC power source 10 in parallel. Furthermore, a connection line of each phase can be connected to a contact formed by connecting a pair of diodes, that is, a diode (Da) and a diode b (Db) and a diode c (Dc) and a diode dd (Dd) in series.

이를 통해, 제1 컨버터부(30a) 및 제2 컨버터부(40a)는 교류전원(10)으로부터 인가되는 R상, S상 및 T상의 교류전압을 맥동전압으로 정류한다.Accordingly, the first converter unit 30a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40a rectify the R, S, and T AC voltages applied from the AC power source 10 to the ripple voltage.

제1 직류링크부(30b) 및 제2 직류링크부(40b)는 제1 컨버터부(30a) 및 제2 컨버터부(40a)에서 정류된 맥류에 해당하는 전기 에너지 즉 전위를 저장하며, 제1 컨버터부(30a) 및 제2 컨버터부(40a)에서 인가되는 맥동 전류로 인한 전압 변동을 억제하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제1 직류링크부(30b) 및 제2 직류링크부(40b)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킬 때, 직류에 가까운 파형으로 출력하여, 제1 전력변환부(30c) 및 제2 전력변환부(40c)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The first DC link unit 30b and the second DC link unit 40b store the electric energy corresponding to the pulsating current rectified in the first converter unit 30a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40a,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voltage fluctuation due to the ripple current applied from the converter section 30a and the second converter section 40a. The first DC link unit 30b and the second DC link unit 40b output a waveform close to DC when the stored electric energy is discharged, And a constant voltage is applied to the capacitor 40c.

제1 전력변환부(30c) 및 제2 전력변환부(40c)는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T12)로 구성되어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인버터부(31c) 및 제2 인버터부(41c)를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인버터부(31c)및 제2 인버터부(41c)는 각각 제1 직류링크부(30b) 및 제2 직류링크부(40b)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직류링크부(30c)및 제2 직류링크부(40c)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크기와 주파수로 합성시켜 교류 전압으로 출력한다. 제1 전력변환부(30c) 및 제2 전력변환부(40c)는 입력된 신호 즉,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T12) 그리고 이러한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T12)에 역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 내지 D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converting unit 30c and the second power converting unit 40c include a first inverter unit 31c and a second inverter unit 41c which are composed of semiconductor switches T1 to T12 and convert a DC voltage to an AC voltage, Respectively. The first inverter unit 31c and the second inverter unit 41c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C link unit 30b and the second DC link unit 40b to form the first DC link unit 30c and the second DC link unit 40b, 2 link unit 40c at a desired size and frequency, and outputs the resultant signal as an AC voltage.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30c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40c include semiconductor switches T1 to T12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input signal, that is, voltages or currents, and semiconductor switches T1 to T12, And diodes Dl to D12 connected in anti-parallel to the diode Dl.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인버터부(31c)는 는 제1 반도체 스위치(T1)와 제2 반도체 스위치(T2)에 제1 다이오드(D1)와 제2 다이오드(D2)가 역병렬로 연결된 제1 반도체 세트부(301c), 제3 반도체 스위치(T3)와 제4 반도체 스위치(T4) 한 쌍이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3 반도체 스위치(T3) 및 제4 반도체 스위치(T4)에 제3 다이오드(D3)와 제4 다이오드(D4)가 역병렬로 연결된 제2 반도체 세트부(302c) 및 제5 반도체 스위치(T5)와 제6 반도체 스위치(T6) 한 쌍이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5 반도체 스위치(T5) 및 제6 반도체 스위치(T6)에 제5 다이오드(D5)와 제6 다이오드(D6)가 역병렬로 연결된 제3 반도체 세트부(303c)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나의 인버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inverter unit 31c includes a first diode D1 and a second diode D2 connected in reverse parallel to the first semiconductor switch T1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switch T2. The third semiconductor switch T3 and the fourth semiconductor switch T4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third semiconductor switch T3 and the fourth semiconductor switch T4 are connected in series, A second semiconductor set 302c and a pair of a fifth semiconductor switch T5 and a sixth semiconductor switch T6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the diode D3 and the fourth diode D4 are connected in anti- A third semiconductor set part 303c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fth diode D5 and the sixth diode D6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miconductor switch T5 and the sixth semiconductor switch T6, And inverter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그리고, 제2 인버터부(41c)는 제7 반도체 스위치(T7)와 제8 반도체 스위치(T8)에 제7 다이오드(D7)와 제8 다이오드(D8)가 역병렬로 연결된 제4 반도체 세트부(404c), 제9 반도체 스위치(T9)와 제10 반도체 스위치(T10) 한 쌍이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9 반도체 스위치(T9) 및 제10 반도체 스위치(T10)에 제9 다이오드(D9)와 제10 다이오드(D10)가 역병렬로 연결된 제5 반도체 세트부(405c) 및 제11 반도체 스위치(T11)와 제12 반도체 스위치(T12) 한 쌍이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11 반도체 스위치(T11) 및 제12 반도체 스위치(T12)에 제11 다이오드(D11)와 제12 다이오드(D12)가 역병렬로 연결된 제6 반도체 세트부(406c)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나의 인버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verter unit 41c is connected to the seventh semiconductor switch T7 and the eighth semiconductor switch T8 through a fourth semiconductor set part (eighth diode D7) and an eighth diode D8 connected in anti- A ninth semiconductor switch T9 and a tenth semiconductor switch T1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each of the ninth semiconductor switch T9 and the tenth semiconductor switch T10 is connected to a ninth diode D9, A fifth semiconductor set 405c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ode D10 and a pair of twelfth semiconductor switches T11 and T12 connected in series and each of the eleventh semiconductor switches T11, One inverter, which is formed by connecting a twelfth semiconductor switch T12 with a sixth semiconductor set portion 406c connected in parallel with an eleventh diode D11 and a twelfth diode D12 connected in anti-parallel, is connected in parallel .

이러한 제1 전력변환부(30c) 및 제2 전력변환부(40c)는 계통(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력변환부(40c)의 출력단에는 제2 전력변환부(40c)와 계통(20)간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부(61) 및 순환배선(50)상에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부(6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30c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40c may be connected to the system 20, respectively. A first switch portion 6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urrent between the second power conversion portion 40c and the system 20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portion 40c and a current flow The second switch unit 62 may be provided.

제1 스위치부(61)는 온(on)/오프(off)로 작동되면서, 제2 전력변환부(40c)와 계통부(20)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 제2 스위치부(62)는 온(on)/오프(off)로 작동되면서, 제2 전력변환부(52)로부터 순환배선(50)으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2 스위치부(62)와 순환배선(50) 사이에는 인덕터(70)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2 전력변환부(5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정현파에 가깝게 변형 시킬 수 있다.The first switch unit 61 is controlled to be on / off to control the flow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40c and the system unit 20, and the second switch unit 62 control the flow of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econd power conversion section 52 to the circulating wiring 50 while being operated on / off. Furthermore, an inductor 70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cond switch unit 62 and the circulating wiring 50, so that the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power converting unit 52 can be transformed to a sinusoidal wave.

여기서, 순환배선(50)는 제2 전력변환부(52)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다시 제2 전력변환부(52)의 입력단으로 궤환 시킬 수 있는 전력선이다. 이러한 전력선은 단선이 될 수 있으며, 그 굵기는 계통(20)으로부터 발생 되는 역기전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력선이 안정적으로 전기를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계통(20)의 최대부하전류의 1.25배 이상의 허용전류를 도통 시킬 수 있는 굵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계통(20)은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및 모터 등을 포함하며,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계통이 될 수 있다.Here, the circulating wiring 50 is a power line capable of feeding back the current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ting section 52 back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ting section 52. Such a power line may be broken and the thickness of the power line may vary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from the system 20. In order to allow the power line to stably f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such that a permissible current of 1.25 times or more can be conducted. Here, the system 20 includes a resistor, a capacitor, an inductor, a motor, and the like, and may be a power system generating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이러한 제1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제12 반도체 스위치(T12) 그리고 제1 스위치부(61) 및 제2 스위치부(62)는 서로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제12 반도체 스위치(T12) 및 제1 스위치부(61) 및 제2 스위치부(62)는 회로 상에서 전류 패스(current path)를 형성하는 다양한 반도체 스위치 즉, IGBT, IEGT, MOSFET, ICGT, GCT, SGCT 및 GTO 가운데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구동이 간편하고, 고전압 및 대전류에서 효율이 높은 IGBT를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T12) 및 제1 스위치(61) 및 제2 스위치(62)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특히,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T12)인 IGBT는 게이트, 이미터 및 컬렉터 단자를 가진다. 게이트 단자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어기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제12 반도체 스위치(T12)에 설치되는 제어기는 PWM 제어기가 될 수 있으며, PWM 제어기는 IGBT에서 기준신호(RW, 도4참조) 및 반송신호(CW, 도4 참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semiconductor switch T1 to the twelfth semiconductor switch T12 and the first switch portion 61 and the second switch portion 62 may be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the same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first semiconductor switch T1 to the twelfth semiconductor switch T12 and the first switch portion 61 and the second switch portion 62 are connected to various semiconductor switches forming an electric current path on the circuit, IEGT, MOSFET, ICGT, GCT, SGCT and GTO. However, in this specification, an IGBT which is simple to drive and has high efficiency at high voltage and large curr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emiconductor switches T1 to T12, the first switch 61 and the second switch 62. [ In particular, IGBTs, which are semiconductor switches T1 to T12, have gate, emitter and collector terminals. A gat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ler (not shown). Particularly,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first to twelfth semiconductor switches T12 to T12 may be a PWM controller, and the PWM controller may control the reference signal RW (see FIG. 4) and the carrier signal CW 4) can be output.

이 때, IGBT는 일정한 주기의 반송신호(CW)와 출력 전압의 기준신호(RW)의 대소를 비교에 하여 작동(on) 또는 비작동(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평균적으로 기준신호(RW)와 같은 값을 가지는 구형파 전압을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IGBT compares the carrier signal CW of a predetermined period with the reference signal RW of the output voltage and turns on or off, And outputs a square wave voltage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square wave voltage.

이에, 제1 반도체 세트부(301c) 내지 제6 반도체 세트부(406c)는 다이오드(D1 내지 D12)의 정류 및 반도체 스위치(T1 내지 T12)의 온(on)/오프(off)의 작동을 통해 제1 전력변환부(30c) 및 제2 전력변환부(40c)의 출력 전류가 특정한 값이 되도록 직류링크부(30b, 40b)로부터 전압을 합성할 수 있다.Thus, the first semiconductor set 301c to the sixth semiconductor set 406c are turned on through the rectification of the diodes D1 to D12 and the on / off operations of the semiconductor switches T1 to T12 It is possible to synthesize the voltages from the DC link sections 30b and 40b such that the output currents of the first power conversion section 30c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section 40c have specific values.

제1 전력변환부(30c) 및 제2 전력변환부(40c)는 합성된 전압을 통해 출력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제1 직류링크부(30b) 및 제2 직류링크부(40b)로부터 계통(20)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그리고 계통(20)로부터 제1 직류링크부(30b) 및 제2 직류링크부(40b)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converting unit 30c and the second power converting unit 40c adjust the output currents through the synthesized voltage so that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DC link unit 30b and the second DC link unit 40b to the system 20 ) And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ystem 2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C link part 30b and the second DC link part 40b can be controlled.

이하,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전력변환장치가(1)가 계통 상황에 따라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에서 A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가변 되어 작동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7,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is in a state in which (1) is varied from the DFE type power converter to the AFE type power converter according to the system condition .

도 5는 계통(20)이 정격 속도로 작동될 때, 도 1의 전력변환장치가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계통부가 감속되어 작동될 때, 도 1의 전력변환장치가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전력변환장치가 A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구동되어 계통으로부터 유입되는 회생전류를 궤환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1 is driven by a D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when the system 20 is operated at a rated speed, Fig.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Fig. 1 is driven by an A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to feed back the regenerative current flowing in from the system Fig.

전력변환장치(1)는 평소에 전력이 교류전원(10)으로부터 계통(20)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D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1 can be driven by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of the DFE type so that power can flow normally from the AC power supply 10 to the system 20. [

이 때, 계통(20)가 정격속도로 구동될 때, 교류전원(10)과 연결된 제1 컨버터부(30a) 및 제2 컨버터부(40a)는 계통(20)에서 필요로 하는 정격전류를 50%씩 균등하게 교류전원(15)으로부터 정류하여, 각각의 컨버터부(30a, 40a)에 연결된 직류링크부(30b, 40b) 및 전력변환부(30c, 40c)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계통(20)은 정격속도로 구동될 때, 계통(20) 정격속도의 50%에 해당하는 전류를 제1 컨버터부(30a), 제1 직류링크부(30b) 및 제1 전력변환부(30c)로부터 공급받고, 나머지 정격속도의 50%에 해당하는 전류를 제2 컨버터부(40a), 제2 직류링크부(40b) 및 제2 전력변환부(40c)로부터 공급받는다.The first converter unit 30a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40a connected to the AC power supply 10 supply the rated current required by the system 20 to 50 % From the AC power source 15 and transmits them to the DC link units 30b and 40b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s 30c and 40c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verter units 30a and 40a. Thus, when the system 20 is driven at the rated speed, a current corresponding to 50% of the rated speed of the system 20 is supplied to the first converter unit 30a, the first DC link unit 30b, And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50% of the remaining rated speed is supplied from the second converter section 40a, the second DC link section 40b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section 40c.

계통(20)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의 일부가 제2 컨버터부(40a)로부터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스위치부(61)는 항상 온(on)상태가 되고, 제2 스위치부(62)는 오프(off)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황에 따라 계통(20)을 감속시켜야 하거나, 계통(20)에서 많은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제1 전력변환부(30c) 및 제2 전력변환부(40c)의 제어 및 제1 스위치부(61)를 오프(off) 상태로 하여 계통(20)으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unit 61 is always turned on so that a part of the current required by the system 20 can flow smoothly from the second converter unit 40a and the second switch unit 62 is always turned on, Can be turned off. On the other hand, when the system 20 is to be decelera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when a large current is not required in the system 20, the control of the first power conversion section 30c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section 40c,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to the system 20 can be controlled by turning off the switch unit 61. [

일 예로, 계통(20)이 정격속도의 50%의 속도로 구동될 때, 제1 스위치부(61)를 오프(off)상태로 하여, 계통(20)에서 제2 전력변환부(40c)로부터는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도록 하고, 오직 제1 전력변환부(30c)에서 만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system 20 is driven at a speed of 50% of the rated speed, the first switch unit 6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40c So that the current can be supplied only to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30c.

이와 같이, 계통(20)이 정격속도 구동되거나 정격속도 이하로 구동될 때, 교류전원(10)에 연결된 각각의 컨버터부(30a, 40a), 직류링크부(30b, 40b) 및 전력변환부(30c, 40c)는 각각 DFE 타입의 전력변환모듈로 구동되어 계통(2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Thus, when the system 20 is driven at a rated speed or below a rated speed, each of the converter units 30a and 40a, the DC link units 30b and 40b connected to the AC power supply 10,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30c, and 40c are each driven by a power conversion module of the DFE type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system 20.

한편, 계통(20)이 정격속도로 구동되다가 정격 이하의 속도로 구동되거나 정지하게 될 때, 계통(20)은 일정크기의 교류전력인 역기전력(1점 쇄선 참조)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제1 스위치부(61)는 오프(off)상태가 되고, 제2 스위치부(62)는 온(on)상태가 되면서, 각각 DFE 타입으로 구동되는 전력변환모듈이 하나의 A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 토폴로지로 변동되게 된다. 이를 통해, 역기전력은 제1 전력변환부(30c), 제1 직류링크부(30b), 제2 직류링크부(40b) 그리고, 제2 전력변환부(40c)를 차례대로 거쳐 교류전류로 변환되고 순환배선(50)을 통해 제2 전력변환부(40c)의 입력단으로 궤환 된다. 즉, 전력변환장치(1)는 계통부(20)에서 역기전력을 형성할 때, DFE 타입의 전력변화장치 토폴로지에서 AFE 타입의 전력변환장치의 토폴로지가 바뀌게 되면서, 계통(20)에서 발생된 역기전력을 회생전류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ystem 20 is driven at a rated speed and then driven or stopped at a speed lower than the rated speed, the system 20 generates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see the one-dot chain line) At this time, the first switch unit 61 is turned off, the second switch unit 62 is turned on, and the power conversion module driven by the DFE type is turned on by one AFE type Power converter topology. Thus,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converted into an alternating current through the first power converting unit 30c, the first DC link unit 30b, the second DC link unit 40b, and the second power converting unit 40c in order And is fed back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section 40c through the circulating wiring 50. [ That is, when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1 forms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n the system section 20, the topology of the AFE type power conversion apparatus is changed in the DFE type power converter topology, and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system 20 is changed And can be reused as a regenerative curren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전력변환장치 10: 교류전원
20: 계통 30: 제1 전력변환모듈
30a: 제1 컨버터부 30b: 제1 직류링크부
30c: 제1 전력변환부 31c: 제1 인버터부
40: 제2 전력변환모듈 40a: 제2 컨버터부
40b: 제2 직류링크부 40c: 제2 전력변환부
41c: 제2 인버터부 50: 순환배선
61: 제1 스위치부 62: 제2 스위치부
70: 인덕터 T: 반도체 스위치
D: 다이오드
1: Power converter 10: AC power source
20: system 30: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30a: first converter section 30b: first DC link section
30c: first power converting section 31c: first inverter section
40: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40a: second converter section
40b: second DC link section 40c: second power conversion section
41c: second inverter section 50: circulating wiring
61: first switch unit 62: second switch unit
70: Inductor T: Semiconductor switch
D: Diode

Claims (8)

교류전원과 계통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에서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에 제공하는 제1 전력변환모듈 및 제2 전력변환모듈; 및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출력단과 입력단을 연결하는 순환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력변환모듈은 제1 직류링크부를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은 제2 직류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류링크부와 상기 제2 직류링크부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계통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역기전력의 일부는 상기 제1 직류링크부와 상기 제2 직류링크부에 저장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전력변환 모듈의 출력단과 상기 순환배선을 통하여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입력단으로 공급되되,
상기 제1 전력변환모듈은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1 컨버터부와, 상기 제1 컨버터부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1 직류링크부, 및 상기 제1 직류링크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교류로 변환하는 제1 전력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은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제2 컨버터부와, 상기 제2 컨버터부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제2 직류링크부, 및 상기 제2 직류링크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교류로 변환하는 제2 전력변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컨버터부와 상기 제2 컨버터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다이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다이오드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원은 한 쌍의 다이오드 사이로 공급되는 전력변환장치.
A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and a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connected between the AC power source and the system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source and providing the power to the system; And
And a circulation wiring for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Wherein 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first DC link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second DC link unit, the first DC link unit and the second DC link unit are connected in parallel,
Wherein when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system, a part o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stored in the first DC link part and the second DC link part,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and the second power To the input of the conversion module,
The first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first converter unit for rectifying an AC voltage, a first DC link un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verter unit, and a second DC link unit connected to the first DC link unit, And a first power conversion unit,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es a second converter unit for rectifying the AC voltage, the second DC link un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onverter unit, and the second DC link unit converting the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second DC link unit into AC And a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Wherein the first converter unit and the second converter unit include a plurality of diode units including a pair of diodes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diode unit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AC power source is connected between a pair of diodes A power conversion device to be suppli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은 상기 제1 전력변환부, 상기 제1 직류링크부 및 상기 제2 직류링크부, 상기 제2 전력변환부, 상기 순환배선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의 출력단으로 공급되는 전력변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passes through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the first DC link unit, the second DC link unit,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circulating wiring in order,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Conversion devic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변환부와 상기 제2 전력변환부는, 각각 반도체 스위치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인버터부 및 제2 인버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버터부 및 상기 제2 인버터부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인버터가 병렬로 연결되는 전력변환장치.The power conver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unit each include a first inverter unit and a second inverter unit, each of which comprises a semiconductor switch and a diode and converts a DC voltage to an AC voltage, Wherein the first inverter unit and the second inverter uni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inverters for converting the direct current voltage into the alternating voltag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반도체 스위치에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반도체 세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반도체 세트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계통은 상기 한 쌍의 반도체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변환장치.5.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verter includes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set portion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 pair of semiconductor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wherei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set portion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power converter connected between a pair of semiconductor switch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변환모듈과 상기 계통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witch section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odule and the system to control the flow of curr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선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witch section for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irculation wir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선에 직렬로 연결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8.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n induc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circulating wiring.
KR1020140162969A 2014-11-20 2014-11-20 Test equipment of converter KR101691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69A KR101691009B1 (en) 2014-11-20 2014-11-20 Test equipment of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69A KR101691009B1 (en) 2014-11-20 2014-11-20 Test equipment of co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13A KR20160060513A (en) 2016-05-30
KR101691009B1 true KR101691009B1 (en) 2016-12-29

Family

ID=5712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969A KR101691009B1 (en) 2014-11-20 2014-11-20 Test equipment of co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0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892B1 (en) * 2016-09-30 2018-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power control
KR101887864B1 (en) * 2017-03-30 2018-09-06 태영토탈시스템주식회사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motors
KR102587260B1 (en) * 2022-08-19 2023-10-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C-DC Solid-State Transformer by Using Synchronous Switched Capacitor Conver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4549A (en) 2008-11-17 2010-06-03 Toshiba Corp Movable bod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8147B2 (en) 2005-05-19 2009-03-2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Variable-frequency drive with regeneration capability
KR20080016123A (en) * 2006-08-17 2008-02-21 배연수 Parallel boost bilateral control switch inverter
KR20080024671A (en) * 2006-09-14 2008-03-19 배연수 Parallel boost invert and/or parallel boost convert and magnet circuit of rotator duality generating pow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4549A (en) 2008-11-17 2010-06-03 Toshiba Corp Movab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13A (en)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7881B2 (en) Frequency converter
US9036379B2 (en) Power converter based on H-bridges
US9654036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method
CN108352777B (en) Medium voltage hybrid multilevel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dium voltage hybrid multilevel converter
US7026783B2 (en) Drive system
US20130343089A1 (en) Scalable-voltage current-link power electronic system for multi-phase ac or dc loads
EP2833537A2 (en) Multilevel converter system
US9203323B2 (en) Very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P2830210B1 (en) Generator excitation apparatus and power conversion system
KR100970566B1 (en) H-bridge type multi-level converter with power regeneration capability
JP6421882B2 (en) Power converter
KR101691009B1 (en) Test equipment of converter
EP2843822B1 (en) Inverter with power cell of dual structure
WO2013151542A1 (en) Multilevel converter
KR101662178B1 (en) Test equipment of converter
KR20160054769A (en) Test equipment of converter
US20150249400A1 (en) Converter
JP2017135918A (en) Inverter device, dynamo-electric motor driving device, and dynamo-electric motor driving system
EP2662969A1 (en) Multi-phase multi-level converter
JP6146284B2 (en) Power converter
EP3591825A1 (en) Hybrid flyback converter
KR101722748B1 (en) Test equipment of bidirectional converter
KR102269005B1 (en) Generator system
CN111279597A (en) Control of delta-connected converters
JP7234596B2 (en) power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