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356B1 - 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356B1
KR101647356B1 KR1020140040030A KR20140040030A KR101647356B1 KR 101647356 B1 KR101647356 B1 KR 101647356B1 KR 1020140040030 A KR1020140040030 A KR 1020140040030A KR 20140040030 A KR20140040030 A KR 20140040030A KR 101647356 B1 KR101647356 B1 KR 10164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polymer matrix
siloxane
monom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5279A (en
Inventor
김정우
에스 박 사이먼
타브흐바즈 매지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356B1/en
Publication of KR2015011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Abstract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가 개시된다.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는 이산화탄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감지체를 구비하고, 감지체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부피가 변화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는 이산화탄소의 존재여부 및 농도를 상온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is disclosed.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has a sensing element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due to interaction with carbon dioxide. The sensing element includes a polymer matrix in which the volume changes in response to carbon dioxide, and carbon nanotubes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Such 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 the presence an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t room temperature.

Description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carbon dioxide using a polymer-carbon nanotube composite,

본 발명은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에 따른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저항 변화를 기초로 이산화탄소를 탐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carbon dioxide using a polymer-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can detect carbon dioxide based on a resistance change of a polymer-carbon nanotube composite according to reaction with carbon dioxide.

최근 가스 센서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의 지하 저장소에서의 누출을 감지하거나 거대 곡물 창고에서의 이산화탄소에 의한 곡물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필요로 하고, 현재 다양한 센서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gas sensors and the like. In particular,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carbon dioxide is needed to detect leaks in the underground storage of carbon dioxide or prevent grain corruption due to carbon dioxide in a large grain warehouse, and various sensors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at present.

현재 세라믹이 고온, 다습, 반응성 혹은 부식성 분위기 등의 가혹한 조건에서 가장 신뢰성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실용화된 가스센서 중 세라믹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세라믹 센서는 약 200 내지 450℃의 고온에서 그 성능을 발휘하고 그 부피가 커서 사용에 있어 많은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Since ceramics are the most reliable materials in harsh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reactive or corrosive atmosphere, ceramic sensors among practical gas sensors are most widely used. However, the ceramic sensor exhibits its performance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200 to 450 DEG C, and its volume is so large tha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its use and power consumption is high.

이에 최근 상온에서 이산화탄소의 감지가 가능하고, 박막 형태의 소형, 저전력 가스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researches on small size and low power gas sensor which can detect carbon dioxide at room temperature and are in the form of thin film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본 발명의 목적은 실록산 중합체 매트릭스와 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 물질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정확하게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carbon dioxide at room temperature using a composite material of a siloxane polymer matrix and a carbon nanot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는 이산화탄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감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체는 상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부피가 변화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body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due to interaction with carbon dioxide. The sensing element includes a polymer matrix which changes its volume by reacting with the carbon dioxide, and carbon nanotubes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감지체와 상기 감지체의 저항변화를 측정하는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which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sensing body and a circuit for measuring resistance change of the sensing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비닐메틸실록산(Vinylmethylsiloxane), 옥틸메틸실록산(Octylmethylsiloxane) 및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실록산 중합체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록산 중합체 화합물은 3 내지 5%의 상기 비닐메틸실록산, 35 내지 40%의 상기 옥틸메틸실록산 및 55 내지 62%의 상기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lymer matrix may be comprised of polysiloxane or polystyrene. For example, the polymer matrix may be composed of a siloxane polymer compound including vinyl methyl siloxane, octyl methyl siloxane, and dimethyl siloxane. In this case, the siloxane polymer compound may comprise from 3 to 5% of the vinyl methyl siloxane, from 35 to 40% of the octyl methyl siloxane and from 55 to 62% of the dimethyl siloxa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상기 감지체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XX 내지 YY 부피%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rbon nanotubes may include multi-wall carbon nanotubes. 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may be XX to YY% by volume based on the total volume of the sensing elem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는 10 내지 30㎛의 두께의 박막(thin lay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body may have a thin layer 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30 탆.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실록산 중합체 화합물이 용해된 고분자 용액 및 상기 고분자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을 상기 기판 상에 도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접촉하는 감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substrate, forming a polymer solution in which the siloxane polymer compound is dissolved, Forming a nanocomposite solution containing nanotubes, and applying the nanocomposite solution onto the substrate to form a sensing body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에 비닐메틸실록산, 옥틸메틸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중합체 화합물을 용해하여 상기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용액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고 초음파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3 내지 5%의 비닐메틸실록산, 35 내지 40%의 옥틸메틸실록산 및 55 내지 62%의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eparing the nanocomposite solu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compound including vinylmethylsiloxane, octylmethylsiloxane, and dimethylsiloxane in a solvent to prepare the polymer solution, Adding nanotubes and ultrasonic agitation. In this case, the polymeric compound may comprise from 3 to 5% of vinyl methyl siloxane, from 35 to 40% of octyl methyl siloxane and from 55 to 62% of dimethyl siloxa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은 스프레이 프린팅의 방법으로 상기 기판 상에 도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nanocomposite solution may be applied on the substrate by a method of spray printing.

본 발명에 따르면, 실록산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의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의 존재여부 및 농도를 상온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싼 재료인 실록산 고분자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박막형태로 감지체를 형성하므로 싸고 소형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an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ed at room temperature through the siloxane polymer matrix and the carbon nanotubes dispersed therein. Also, since a silane polymer matrix is used as a relatively inexpensive material to form a sensing body in a thin film form, a cheap and compact carbon dioxide sens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감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arbon dioxid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sensing carbon dioxide using 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arbon dioxid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1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 1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감지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arbon dioxide detec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0 and a second electrode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and 120 (Not shown).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 120)은 상기 감지체(130)의 저항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외부 회로(140)와 상기 감지체(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 120)은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 120)의 소재는 상기 감지체(130)와 상기 외부회로(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0, 120)은 지지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지지기판으로는 공지의 가스 센서에 적용되는 지지기판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and 120 function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xternal circuit 140 and the sensing member 130, which can measure resistance change of the sensing member 130.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and 1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and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and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element 130 and the external circuit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and 120 may be formed on a support substrate (not shown), in which case the support substrate applied to a known gas sensor is not limited Can be used.

상기 감지체(130)는 고분자 매트릭스(131)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체(130)는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을 통해 전기적 저항이 변화할 수 있다. The sensing element 130 may include a polymer matrix 131 and carbon nanotubes 132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Such a sensing element 130 may change electrical resistance through reaction with carbon dioxide.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는 상온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될 수 있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량체를 하나 또는 2 이상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mer matrix 131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capable of expanding in volume by reacting with carbon dioxide at room temperature. In one embodiment, the polymer matrix 131 may be formed of polysiloxane, polystyrene (PS), or the like. For example, the polymer matrix 131 may be formed of polysiloxane. The polysiloxane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monomers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32217475-pat00001
Figure 11201403221747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들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In the above formula (1), R 1 and R 2 represent a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whic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폴리실록산은 다른 고분자 물질보다 다공성이므로 이산화탄소의 침투하기 용이하고, 고무 구조를 갖고 있어서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에 의해 가역적으로 부피의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며, 소수성(hydrophobic) 특성 및 높은 내부식성을 가지므로 대기중의 수증기나 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리실록산은 값싸고 제조가 용이하며 비독성인 장점이 있다. Since polysiloxane is more porous than other polymeric materials, it is easy to penetrate carbon dioxide and has a rubber structure. Thus, it is possible to reversibly expand and shrink the volume by reaction with carbon dioxide, and has a hydrophobic property and a high corrosion resistance, Which is not affected by water vapor or water. In addition, polysiloxanes are cheap, easy to manufacture and non-toxi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는 가교된 폴리실록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교된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경우, 감지체(130)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분자 매트릭스의 디웨팅(dewetting)을 방지하여 감지체(130)의 견고성(robustness)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1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matrix 131 may be formed of a crosslinked polysiloxane. When the crosslinked polysiloxane is used, not only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sensing element 130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dewetting of the polymer matrix can be prevented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the sensing element 130, As a result, the life span of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100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는 디메틸실록산 단량체와 함께 경화 또는 가교 프로세스 동안 가교(cross-linking) 가능한 탄화수소 측쇄기(side group)을 구비하는 제1 실록산 단량체 및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 측쇄기를 구비하는 제2 실록산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교 가능한 탄화수소 측쇄기는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등일 수 있고, 상기 탄소수 8 이상의 탄화수소 측쇄기는 옥틸기(octyl group), 페닐기(phenyl group) 등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 측쇄기를 포함하는 경우, 감지체(131)의 온도 안정성 및 감지 감도(sensing sensitivity)를 향상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lymer matrix 131 comprises a first siloxane monomer having a hydrocarbon side group that is cross-linkable with the dimethyl siloxane monomer during the curing or crosslinking process, and a hydrocarbon side chain group having at least 6 carbon atoms And the second siloxane monomer. The crosslinkable hydrocarbon side chain group may be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or the like, and the hydrocarbon side chain group having a carbon number of 8 or more may be an octyl group, a phenyl group, or the like. When the hydrocarbon side chain group having 6 or more carbon atoms is contained, the temperature stability and sensing sensitivity of the sensing body 131 can be improved.

일 예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는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 단량체, 비닐메틸실록산(Vinylmethylsiloxane) 단량체 및 옥틸메틸실록산(Octylmethylsiloxane) 단량체를 포함하는 실록산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는 약 3 내지 5%의 비닐메틸실록산, 약 35 내지 40%의 옥틸메틸실록산 및 약 55 내지 62%의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삼원 중합체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lymer matrix 131 may be formed of a siloxane polymer comprising a dimethylsiloxane monomer, a vinylmethylsiloxane monomer, and an octylmethylsiloxane monomer. For example, the polymer matrix 131 may be formed of a terpolymer compound comprising about 3 to 5% vinyl methyl siloxane, about 35 to 40% octyl methyl siloxane, and about 55 to 62% dimethyl siloxane .

상기 탄소나노튜브(132)는 상기 감지체(130)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소나노튜브(132)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ed carbon nanotubes)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체(130)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132)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에 퍼콜레이션 임계치(percolation threshold) 이상의 농도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소나노튜브(132)는 상기 감지체(130)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약 3 내지 10 질량%의 농도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132)의 함량이 3 질량% 미만인 경우, 상기 감지체(130)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할 수 없고, 상기 탄소나노튜브(132)의 함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감지체(130)의 취성(brittleness)이 증가하여 상기 감지체(130) 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소나노튜브(132)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에 약 3 내지 4 질량%의 농도로 분산될 수 있다. The carbon nanotubes 132 impart electrical conductivity to the sensing element 130. In one embodiment, the carbon nanotubes 132 may be multi wall carbon nanotubes. In order to impart electrical conductivity to the sensing body 130, the carbon nanotubes 132 may b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a percolation threshold. For example, the carbon nanotubes 132 may b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at a concentration of about 3 to 1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sensing element 130. When the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132 is less than 3 mass%, it is impossible to impart electrical conductivity to the sensing body 130. When the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132 exceeds 10 mass% The brittleness of the sensing element 130 is increased and a crack may be generated in the sensing element 130. Preferably, the carbon nanotubes 132 may b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at a concentration of about 3 to 4% by mass.

상기 탄소나노튜브(132)는 카본 블랙 등의 다른 탄소계 물질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 및 큰 종횡비를 가지므로, 다른 탄소계 물질보다 퍼콜레이션 임계치(percolation threshold)에 도달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에 카본나노튜브(132)를 분산시켜 감지체(130)를 형성하는 경우, 카본 블랙 등의 다른 탄소계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에 적은 양의 탄소나노튜브(132)를 분산시키더라도 이산화탄소를 높은 감도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체(130)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체(130)의 취성(brittlene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Since the carbon nanotubes 132 have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larger aspect ratio than other 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carbon black, the concentration of carbon nanotubes to reach a percolation threshold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arbon- . Therefore, when the carbon nanotubes 132 ar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matrix 131 is more likely to be dispersed than other 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dioxide can be detected with a high sensitivity even when a small amount of carbon nanotubes 132 are dispersed in the carbon nanotubes 132. This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ensing body 130 and reduce the brittleness of the sensing body 130 .

또한 탄소나노튜브(132)는 관형 형상을 가지므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고, 그 결과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에 카본나노튜브(132)를 분산시켜 감지체(130)를 형성하는 경우, 감지체(130)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carbon nanotubes 132 ar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and the carbon nanotubes 132 ar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130 can be improved in rigidity and stability.

상기 감지체(130)는 약 10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체(130)의 두께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 이산화탄소가 상기 감지체(130)의 내부까지 침투하기 어려워 이산화탄소에 대한 감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감지체(130)의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 상기 감지체(130)를 제조하는 공정이 어려워지고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13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감지체(130)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체(130)는 약 20 ㎛의 두께의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nsing element 13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10 to 30 [mu] m. If the thickness of the sensing element 130 is more than 30 탆, carbon dioxide may hardly penetrate into the sensing element 130,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er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ing element 130 to carbon dioxide.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 탆,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nsing body 130 becomes difficult, and a part of the carbon nanotubes 132 dispersed therei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lowering the stability of the sensing body 130 Lt; / RTI > For example, the sensing element 130 may be formed as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μ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130)는 하기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element 130 may be 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먼저, 상기 감지체(130)를 형성하기 위한 나노복합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은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과 같은 용매에 비닐메틸실록산, 옥틸메틸실록산 및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중합체 화합물을 용해한 후,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특정 비율로 첨가하고 일정시간 동안 초음파 교반하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된 나노복합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화합물은 약 3 내지 5%의 비닐메틸실록산, 약 35 내지 40%의 옥틸메틸실록산 및 약 55 내지 62%의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a nanocomposite solution for forming the sensing body 130 may be prepared. The nanocomposite solu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a polymer compound including vinylmethylsiloxane, octylmethylsiloxane, and dimethylsiloxane in a solvent such as chloroform, add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a specific ratio, It is possible to produce a nanocomposite solution in whic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re uniformly dispersed. The polymeric compound may comprise about 3 to 5% of vinyl methyl siloxane, about 35 to 40% of octyl methyl siloxane, and about 55 to 62% of dimethyl siloxane.

이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을 제1 및 제2 전극이 형성된 지지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약 10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 박막 구조의 감지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은 스프레이 프린팅 방법으로 상기 지지기판 상에 도포될 수 있다. Next, the nanocomposite solution is coated on a support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and dried to form a sensing body having a thin film 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to 30 mu m. As an example, the nanocomposite solution may be applied on the support substrate by a spray printing method.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절연성 고분자 매트릭스(131)와 이의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132)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체(130)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감지체(130) 내부에는 전도성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그 결과 상기 감지체(130)는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갖게 된다. 탄소나노튜브(132)가 분산된 고분자 매트릭스(131)로 이루어진 감지체(130)의 내부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접촉에 의한 전자 이동 경로 및 양자 역학에 따른 터널링 효과, 즉, 전자 호핑(electron hopping)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 이동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분자 매트릭스(131)가 상온에서 이산화탄소와 상호작용하여 그 부피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들(132) 사이의 접촉 수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13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여 상기 감지체(130) 전체의 전기적 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132)는 표면적이 크고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므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131)를 침투한 이산화탄소와 상온에서 상호작용하여 전기적 저항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온에서 반데르발스 인력(van der Waals attraction force)에 의해 탄소나노튜브(132) 표면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는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비전도성 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감지체(130)가 이산화탄소에 노출된 경우 감지체(130) 전체의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When the sensing element 130 is formed using the insulating polymer matrix 131 and the carbon nanotubes 132 dispersed in the insulating polymer matrix 131, a conductive network is formed in the sensing element 130 , So that the sensing element 130 has a relatively low resistance. A tunneling effect according to an electron mobility path and quantum mechanics due to contact between carbon nanotubes, that is, an electron hopping (electromagnetism) phenomenon in the inside of the sensing element 130 composed of the polymer matrix 131 in which the carbon nanotubes 132 are dispersed, ) Is formed. Accordingly, when the polymer matrix 131 interacts with carbon dioxide at room temperature to increase its volume, not only the number of contacts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132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131 decreases, but also the number of carbon nanotubes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second electrode 132 increases, and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entire sensing element 130 increases. Also, since the carbon nanotubes 132 have a large surface area and a high surface energy, the carbon nanotubes 132 may interact with the carbon dioxide penetrating the polymer matrix 131 at room temperature to change electrical resistance. For example, carbon dioxid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tubes 132 by a van der Waals attraction force at room temperature can form a nonconduct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tubes, The resistance of the entire sensing element 130 may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100)는 이러한 감지체(130)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이산화탄소의 존재여부 및 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산화탄소를 상온에서 빠르고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다.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resence or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by measuring the resistance change of the sensing body 130, and as a result, can quickly and reliably detect carbon dioxide at room temperatur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감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그래프는 비닐메틸실록산(Vinylmethylsiloxane), 옥틸메틸실록산(Octylmethylsiloxane) 및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의 실록산 중합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20㎛ 두께의 감지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의 측정은 이산화탄소 분리막이 설치되어 수분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된 밀폐된 챔버 공간 내에서 상용화된 적외선(IR) 센서와 함께 수행되었다. 도 2의 그래프에서, 첫 번째 저항 변화 피크가 나타나는 100초 부근의 시간에서 적외선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2500ppm이었고, 100초와 200초 사이의 구간에서 적외선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500ppm이었다. 2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sensing carbon dioxide using 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graph of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a 20 mu m thick multi-walled carbon nanotube dispersed in a polymer matrix composed of a siloxane polymer compound of vinyl methyl siloxane, octyl methyl siloxane and dimethyl siloxane, This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using 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including lag. The abov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with a commercialized infrared (IR) sensor in a closed chamber space with a carbon dioxide separator installed and minimally affected by moisture. In the graph of FIG. 2,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infrared sensor was about 2500 ppm at the time of about 100 seconds when the first resistance change peak appeared,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infrared sensor at the interval between 100 seconds and 200 seconds was 500 ppm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탐지 장치는 고농도 및 저농도의 이산화탄소에 대해 모두 고감도로 탐지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gas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ll of the high concentration and low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ith high sensitivity.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는 실록산 고분자 매트릭스와 이의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감지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탐지하므로, 이산화탄소의 존재여부 및 농도를 상온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carbon dioxide using a siloxane polymer matrix and a sensing element including carbon nanotubes dispersed therein, so that the presence an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an be detected quickly and accurately at room temperatu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이산화탄 탐지 장치 110, 120: 전극
130: 감지체 131: 고분자 매트릭스
132: 탄소나노튜브 140: 외부회로
100: Dioxide detection device 110, 120: Electrode
130: Sensing element 131: Polymer matrix
132: Carbon nanotubes 140: External circuit

Claims (14)

이산화탄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감지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는,
상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부피가 변화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디메틸실록산 단량체, 상기 디메틸실록산 단량체와 가교 가능한 비닐기 또는 알릴기를 구비하는 제1 실록산 단량체 및 옥틸기 또는 페닐기를 포함하는 제2 실록산 단량체의 중합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1. A carbon dioxide detection device including a sensing body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due to interaction with carbon dioxide, the sensing body comprising:
A polymer matrix which changes its volume by reacting with carbon dioxide;
And a carbon nanotub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Wherein the polymer matrix is formed of a polymer of a dimethyl siloxane monomer, a first siloxane monomer having a vinyl group or an allyl group crosslinkable with the dimethyl siloxane monomer, and a second siloxane monomer containing an octyl group or a phenyl group.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감지체와 상기 감지체의 저항변화를 측정하는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sensing body and a circuit for measuring resistance change of the sens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matrix is comprised of polysilox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가교된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matrix is comprised of a crosslinked polysiloxa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록산 단량체는 비닐메틸실록산(Vinylmethylsiloxane)이고, 상기 제2 실록산 단량체는 옥틸메틸실록산(Octylmethylsilo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iloxane monomer is vinyl methyl siloxane and the second siloxane monomer is octyl methyl siloxa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3 내지 5%의 상기 비닐메틸실록산, 35 내지 40%의 상기 옥틸메틸실록산 및 잔부의 상기 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삼원 중합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lymer matrix is formed of a terpolymer comprising from 3 to 5% of the vinyl methyl siloxane, from 35 to 40% of the octyl methyl siloxane and the balance of the dimethyl silox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includ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상기 감지체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ent of the carbon nanotubes is 3 to 1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sensing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는 10 내지 30㎛의 두께의 박막(thin layer)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body has a thin layer structur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30 占 퐉.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실록산 중합체 화합물이 용해된 고분자 용액 및 상기 고분자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을 상기 기판 상에 도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접촉하는 감지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용매에 3 내지 5%의 비닐메틸실록산 단량체, 35 내지 40%의 옥틸메틸실록산 단량체 및 잔부의 디메틸실록산 단량체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고 초음파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의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n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reparing a nanocomposite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solution in which a siloxane polymer compound is dissolved and carbon nanotubes uniformly dispersed in the polymer solution; And
Applying the nanocomposite solution onto the substrate to form a sensing body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e step of preparing the nanocomposite solution comprises:
Mixing the solvent with 3 to 5% vinylmethylsiloxane monomer, 35 to 40% octylmethylsiloxane monomer and the remainder dimethylsiloxane monomer; And
And adding the multi-walled carbon nanotube to the mixed solution and ultrasonic agit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용액은 스프레이 프린팅의 방법으로 상기 기판 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탐지 장치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anocomposite solution is applied on the substrate by spray printing. ≪ RTI ID = 0.0 > 8. < / RTI >
KR1020140040030A 2014-04-03 2014-04-03 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 KR101647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30A KR101647356B1 (en) 2014-04-03 2014-04-03 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30A KR101647356B1 (en) 2014-04-03 2014-04-03 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279A KR20150115279A (en) 2015-10-14
KR101647356B1 true KR101647356B1 (en) 2016-08-10

Family

ID=5435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030A KR101647356B1 (en) 2014-04-03 2014-04-03 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3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921B1 (en) * 2017-06-23 2020-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early detecting carbonization during drying process of organic materials
KR102576519B1 (en) * 2018-05-21 2023-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manufacturing nanocomposite sensor and nanocomposite
WO2024014446A1 (en) * 2022-07-15 2024-01-1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Smell measurement device, sensor ele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286A (en) * 2007-05-04 2008-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Carbon nanotube based-volatile organic compound sensor
KR101104207B1 (en) * 2009-06-30 2012-01-09 한국이엔에쓰 주식회사 carbon-nano-tube gas sensor for detecting ethan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123559A (en) * 2010-05-07 2011-11-15 (주)와이즈산전 Carbon nano tube gas sens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izhong Wang., "Passive wireless surface acoustic wave CO2 sensor with carbon nanotube polymer nanocomposite", University of Pittsburgh Swanson school of engineering 학위 논문, 2013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279A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jeeb et al. Organic thin‐film capacitive and resistive humidity sensors: a focus review
Su et al. Humidity sensors based on TiO2 nanoparticles/polypyrrole composite thin films
McGovern et al. Micro-humidity sensors based on a processable polyaniline blend
Yoo et al. Novel resistive-type humidity sensor based on multiwall carbon nanotube/polyimide composite films
KR101850618B1 (en)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e et al. A resistive-type sensor based on flexibl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polyacrylic acid composite films
Mallya et al. Conducting polymer–carbon black nanocomposite sensor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correlating sensor response by molecular dynamics
EP2745102B1 (en) Chemical sensor based on highly organized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networks
Vaghela et al. Biopolymer-polyaniline composite for a wide range ammonia gas sensor
Su et al. In situ synthesized composite thin films of MWCNTs/PMMA doped with KOH as a resistive humidity sensor
Zhang et al. Flexible sensing fibers based on polyaniline-coated polyurethane for chloroform vapor detection
KR101647356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gas using carbon polymer-nanotube composite
Hajian et al.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based on fluorinated graphene
Korotcenkov Handbook of Humidity Measurement, Volume 3: Sensing Materials and Technologies
US9285349B2 (en) Analyte detecto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Kanaparthi et al. Solvent-free fabrication of paper based all-carbon disposable multifunctional sensors and passive electronic circuits
Çiğil et al. Photo-crosslinked thiol-ene based hybrid polymeric sensor for humidity detection
Sahiner Conductive polymer containing graphene aerogel composites as sensor for CO2
Su et al. Electrical and humidity sensing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SiO2-poly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ate) composite material
Dias et al. Characterization of a carbon xerogel-based sensor for detection of acetone, ethanol, and methanol vapors
US8551310B2 (en) Method for making a nano-composite gas sensor
Harsányi Polymeric sensing films: new horizons in sensorics?
Ogurtsov et al. The Impact of Interfacial Interactions on Structural, Electronic, and Sensing Properties of Poly (3‐methylthiophene) in Core‐Shell Nanocomposites. Application for Chemical Warfare Agent Simulants Detection
US10720262B2 (en) Polymer absorption sensor having low cross-sensitivity
Zhang et al. A flexible calligraphy-integrated in situ humidity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