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578B1 -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 Google Patents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578B1
KR101025578B1 KR1020090005895A KR20090005895A KR101025578B1 KR 101025578 B1 KR101025578 B1 KR 101025578B1 KR 1020090005895 A KR1020090005895 A KR 1020090005895A KR 20090005895 A KR20090005895 A KR 20090005895A KR 101025578 B1 KR101025578 B1 KR 10102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ealthcare
emergency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6596A (en
Inventor
남승훈
김응환
김형환
류기원
김동억
안시훈
소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to KR102009000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578B1/en
Priority to PCT/KR2009/006798 priority patent/WO2010085033A2/en
Publication of KR2010008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지역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위치, 건강상태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치정보,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근거하여 응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users in a particular region continuously monitor the location, health status and exercise amount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health condition and exercise amount to monitor the emergency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can cope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러한 본 발명의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과, 다수의 라우터 노드들이 셀을 형성하는 유비쿼터스망으로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 영역을 형성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헬스케어 정보 및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고정 게이트웨이들과,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합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user's body measures the plurality of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 and then the first health 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information and their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transmitting user terminal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nd alerting a message about the location and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ubiquitous network forming a cell to form a ubiquitous network area, hav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and upon receipt of the information,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healthcare information And afte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Fixed gateways for transmitting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iometric signals, and exercise amount by receiving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and by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healthcare And a matching control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message to at least one adjacent manager terminal if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헬스, 케어, 유비쿼터스, 지그비, 위치, 긴급상황 Health, Care, Ubiquitous, Zigbee, Location, Emergency

Description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지역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위치, 건강상태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치정보,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근거하여 응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users in a particular region continuously monitor the location, health status and exercise amount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health condition and exercise amount to monitor the emergency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can cope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현재 세계적으로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헬스케어 사업들이 호황을 맞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의 다른 나라들과 다르지 않게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식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헬스케어 사업들이 부각 받고 있다.With the rapid aging of the world, various healthcare businesses are booming. Korea is aging rapidly, unlike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Accordingly, healthcare businesses are gain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care and food.

특히, 전자 및 IT분야에서도 다양한 고령 친화형 헬스케어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중 하나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기술이다.In particular, various age-friendly healthcar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in the electronic and IT fields, and one of these technologies is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technology.

통상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기술로는 모바일 헬스케어, 홈 헬스케어 등이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압, 맥박 및 피검사 등을 수행하고, 이를 전문기관(예: 병원)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Typically,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technologies include mobile healthcare and home healthcare. Mobile healthcare is to perform the user's blood pressure, pulse and blood test using a mobile device, and transmit it to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example, a hospital) to check the user's health anytime, anywhere.

그러나 모바일 헬스케어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고령자들은 모바일기기를 다루는데 서툴러 실질적으로 모바일기기를 직접 사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mobile healthcar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directly measure the biosignal using a mobile device. In addition, elderly people are poor in dealing with mobile devic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easure bio signals using mobile devices.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는 어디서나 맥박, 혈압 또는 피검사 등과 같이 하나의 특정 생체 신호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다양한 생체 신호들을 복합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헬스케어는 측정된 특정 생체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놓였을 경우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obile healthcare can measure only one specific biosignal such as pulse, blood pressure or blood test anywhe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biosignals cannot be measured in combinatio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mobile healthcar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tate by measuring a specific biosignal, and thus, when the user is plac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situation.

그리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7-62215"(이하 "선행특허"라 함)와 같은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폰 또는 PC에 전송하여 외부의 전문기관(예: 병원, 보건소)에 전송하고, 전문기관은 이를 저장, 관리하며, 관리 중 측정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 의해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119등에 응급구호 요청을 수행한다. And the home healthcare system, such a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622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the bio-signal data measured from the user's terminal to the mobile phone or PC using a wireless or wired network Transmit and transmit to external specialized institutions (e.g. hospitals, public health center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store and manage them, and if they are determined to be emergency by the biosignal data measured during management, they perform emergency rescue requests to 119, etc.

상기 선행특허의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에 비해 복합적인 생체 신호들을 측정하고,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상황 시 119 및 외부 보호자 등에 응급구호 요청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Compared to the mobile healthcare, the home healthcare system of the prior patent can measure complex biometric signals, measure exercise amount, determine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ly, and request emergency relief requests to 119 and external guardians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doing so, you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quickly to emergencies.

그러나 상기 홈 헬스케어 시스템의 경우 생체 신호들을 서로 다른 다수의 기기들로부터 수신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ome healthcare system needs to receive bio signals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device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us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또한,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홈 내에서 이동 중이거나 기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though the home healthcare system can identify the user, when the user is moving in the home or is not using the device, the user cannot know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또한,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생체 신호를 측정할 의지가 있고 생체 신호 측정 기기들의 사용에 능숙할 경우에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노령자이거나 의지가 없는 경우에는 효율성이 없고, 응급상황의 판단 및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home healthcare system can be useful only if the user is willing to measure the biosignal and is proficient in the use of the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and is inefficient if the user is elderly or unwilling, Judging and coping were difficult problems.

또한, 상기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단순히 생체 신호와 운동량만을 측정하고, 생체 신호에 대한 응급여부만을 판단하므로, 응급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home healthcare system simply measures the bio-signal and exercise amount, and determines only the emergency on the bio-sign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the emergency in advance.

또한, 종래 모바일 헬스케어는 단순히 생체신호만 측정할 뿐 생체신호에 따른 응급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모바일의 긴급구조(SOS) 키를 누르기 전까지는 사용자의 위치를 모름으로 사용자가 긴급구조 키를 누를 수 없는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응급상황 시 신속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긴급구조 키를 누른다고 할지라도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 종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센터는 셀 영역이 넓은 모바일 기지국들을 이용한 삼각 측정법에 의해 위치를 추정하므로 위치가 불명확하여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healthcare only measures the bio-signal only, when the user determines the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bio-signal until the user presses the mobile emergency rescue (SOS) key, the user may press the emergency rescue key In the absence of a situation, the user's location is unknown, so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in an emergency.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presses an emergency rescue key, when the user is indoors, the mobile center providing a conventional mobile healthcare service estimates the position by triangulation using mobile base stations with a large cell area, and thus the position is unclear. It wa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to an emergency.

그리고, 상기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으므로 응급상황 시 신속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home healthcare system cannot track the user's loc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in an emergenc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위치, 건강상태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치정보,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근거하여 응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monitor the location, health status and exercise amount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of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to prevent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health status and exercise amount, and to generate an emergency situation To provide a health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that can cope quickly with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따라 적절한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과, 다수의 라우터 노드들이 셀을 형성하는 유비쿼터스망으로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 영역을 형성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헬스케어 정보 및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고정 게이트웨이들과,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합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User terminals attached to a user's body to measure a plurality of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 and then transmit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information and the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displaying and alerting a message about the location and the emergency of the user terminal and a plurality of router nodes are connected to a ubiquitous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router nodes form a cell. And form a ubiquitous network area, hav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and upon receipt of the information, us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he healthcare information, and the ubiquitous network After measuring the location of the second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Receiving fixed gateways and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and storing / managing the location,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healthca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tching control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mergency and transmits the emergency message to at least one adjacent manager terminal.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형성하는 고정 게이트웨이는 지그비(Zigbee)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무선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gateway forming the ubiquitous network is a Zigbee wireless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Zigbee protocol.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유무선망으로 더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건강상태별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자들에 대한 건강상 태 및 운동량에 따른 식이요법/운동요법 및 건강 추이를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gistration control server further transmits the second health care information to the wired / wireless network, and manag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user terminals,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ercise therapy for each health condition, and diet therapy information. And a health care server that receives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and provides a diet / exercise therapy and a health trend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and the amount of exercise for the users of the user terminals through a websit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유비쿼터스망 내에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인 것을 한다.The manager terminal is a terminal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ixed gateway in the ubiquitous network.

상기 관리자 단말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ag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of a specialized organization that is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외부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위치 및 긴급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matching control server notifies the location and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of an external guardian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ving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MMS)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message may be notified by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헬스케어 서버에 연결되는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음성으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message may be notified by voice through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connected to the healthcare server.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헬스케어 측정부와, 상기 식별정보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식별정보와 생체 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생체 신호 측정 및 운동량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헬스케어 측정부를 제어하여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healthcare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nd output biometric signals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a storage unit storing the measured biometric signals and exercise amoun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bio signals and momentum information to the fixed gateway, and 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and momentum measurement event occurs, controlling the healthcare measurement unit to control the biosignals and momentum. And storing the measur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and generating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헬스케어 측정부는,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기와,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기와,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피도 온도 측정기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 측정기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기와,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lthcar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puls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pulse,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a bloo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skin, an external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n outside air, and an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It comprises a momentum measuring device to measure, and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 to meas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운동량 측정기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기와, 걸음의 숫자를 카운트하는 만보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includes an accelerometer for measuring a moving speed of the user and a pedome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steps.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측정된 운동량에 의해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상기 칼로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may calculate calories consumed by the measured exercise amount and store the calories in the storage unit, and then transmit the calorie information to the first health care information.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제2헬스케어 정보로부터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사용자 단말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ching control server is normal from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determine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transmits a guide message for the determined area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and display the guide message.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데이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아 상기 음성처리부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voice data, wherei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guide message as voice data, an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guide message. It receives and outputs the voice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상기 영역이 식당이고, 상기 안내 메시지가 식이요법에 대한 정보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ea is a restaur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message is an information message about the die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고정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정보 및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althcare service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rocess of attaching a user terminal to a user's body to measure a plurality of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 and then transmitting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information and their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fter the fixed gateway receives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its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nd the ubiquitous network, the second gateway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 second process of transmitting a message, and the registration control server receives the second health car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n emergency by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health care; And a third process of transmitting the emergency message to at least one adjacent manager terminal, wherein the manager terminal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emergency messag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step of warning by displaying the message about position and the emergency of the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손목형 사용자 단말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이에 따라 응급상황의 발생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inuously measuring the various bio-signals and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by using a wrist-type user terminal, thereby having an effect that can quick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quickly respond to emergencies b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using a ubiquitous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의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따른 운동요법/식이요법 등을 알려줌으로써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응급상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ck the user's location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and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of the tracked location to inform the user's health status and exercise therapy / di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ercise can continuously perform health care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다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와 정합제어 서버(300)와 관리자 단말(250, 6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 plurality of fixed gateways 210, a match control server 300, and manager terminals 250 and 600.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또는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의 헬스케어 측정 요청에 의한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및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등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생체 신호란 심박(맥박), 심전도, 전기전도도, 피부온도 및 실내/외부 온도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운동량은 가속도, 걸음 횟수 등에 의해 계산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항시 접속할 수 있도록 손목 시계형 등으 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이 계산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측정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측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응급구호 요청을 받아 호출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호출정보는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210)에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00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be worn on a user's body, and various user's various events occur when a healthcare measurement event occurs due to a healthcare measurement request from the user or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Vital signals and calorie consumption according to exercise amount and exercise amount are measured and stored. Here, the biosignal is used to include heart rate (pulse), electrocardiogram, electrical conductivity, skin temperature, and indoor / outdoor temperature. The momentum is calculated by acceleration, number of steps, and the lik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wrist watch type or the like so as to always be connected to the user's body. When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amount are calculated,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measured information, generates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emergency relief request from the user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call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may be independently transmitted or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measure and store its own location using the fixed gateways 210, or may receive and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fixed gateway 210.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좌표정보: 이하 "제1위치정보"라 함)를 가지고 있으며, 일정 반경을 가지는 셀 영역(201) 내의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다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은 무선으로 상호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망에 의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이 형성되고, 상기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은 실버타운, 병원 및 학교 등과 같은 장소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자신의 제1위치와 인접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의 제1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블라인드 노드인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계한다. 또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제1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실내에서는 셀 영역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 말(100)로부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제2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한 후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The fixed gateway 210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has a user terminal 100 in the cell area 201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ese fixed gateways 210 are wirelessly interconnected to form a ubiquitous network. The ubiquitous network region 202 is formed by the ubiquitous network, and the ubiquitous network region 202 may be formed at a place such as a silver town, a hospital, a school, or the like. The fixed gateway 21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which is a blind node,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xed gateways 210 adjacent to the first location thereof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do. In addition, the fixed gateway 210 may allow the user terminal 100 to transmi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to calculate its location. At least one fixed gateway 210 may be installed indoors in consideration of a cell area. The fixed gateway 210 receives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generates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matches it. The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측정 방법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를 알고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이용하여 삼각법에 의해 계산하는 방법과,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 인접한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각각의 위치정보와 사용자 단말(100)과의 수신신호전계강도를 수신 받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과,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커버하는 셀 반경이 작은 경우,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로 간주하는 방법 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uses the received signal field strength (RSSI) of a signal received from at least three fixed gateways 210 whose location is known by the user terminal 100. Method of calculation by trigonometric method, and the received signal of each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100 from at least two adjacent fixed gateway 210 adjacent the fixed gateway 210 has performe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Receiving electric field strength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if the cell radius covered by the fixed gateway 210 is small, the position of the fixed gateway 210 is considered a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How to do it.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들, 각 사용자들에 할당된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식별정보 및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예: 1층 화장실, 1번 방, 매점, 헬스클럽, 식당 등) 및 사용자별로 제2위치정보에 대한 건강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0) 센싱 제어, 생체 신호 또는 호출정보에 의한 응급상황 판단 및 응급상황에 따른 응급상황 경보 기능, 사용자 위치에 대한 건강정보 안내 및 유비쿼터스망 상의 에러 발생 시 에러 리포팅 기능을 수행한다.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about ea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ssigned to ea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xed gateway 210, and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 Example: 1st floor toilet, room 1, canteen, health club, restaurant, etc.) and user's health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 manages each user's location, vital signs and exercise amount,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sensing control,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by bio signals or call information, emergency situation war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health information guidance on user location, and error reporting function when an error occurs on the ubiquitous network.

구체적으로,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제어 명령들을 구비 하고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요청이 발생하면 해당 센서 제어 명령을 고정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한다.Specifically,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includes sensor control commands for measuring bio signals and exercise amou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and when a request is generated by an administrator, the corresponding sensor.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fixed gateway 210.

정합제어 서버(300)는 긴급상황 발생 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의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250 and 600)로 송신한다. 또한, 정합제어 서버(300)는 긴급상황 발생 시 긴급상황 메시지를 유무선망(55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700)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는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로 송신될 수도 있다.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specific contents of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manager terminals 250 and 600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dditio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may transmit the emergency message to the guardian terminal 700 of the us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550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emergency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또한, 정합제어 서버(300)는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을 벗어나는지를 검사하고, 벗어나는 경우 서버 관리자, 관리자 단말로 통보한다.In addition,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leaves the ubiquitous network area 202 by using the fixed gateways 210, and notifies the server manager and the manager terminal if the user terminal 100 leaves.

그리고 정합제어 서버(300)는 측정된 각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건강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헬스클럽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늘 운동량은 러닝머신을 4Km/H로 10분 동안 운동하세요" 등과 같은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식당인 경우 "오늘은 채소류를 드시고 육류를 드시지 마세요" 또는 "오늘의 식단은 무엇입니다" 등의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기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건강정보를 측정된 생체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해 생체 신호의 측정치들에 따른 건강정보 D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provides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location is a gym, a prompt message including a text message or a voice message such as "Exercise the exercise amount for 10 minutes at 4Km / H today" can be used. Eat vegetables today and do not eat meat "or" what is the diet of the day "such as a text message or a voic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registration control server 300 preferably includes a health information DB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biosignal to periodically update the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biosignal.

관리자 단말은 유비쿼터스망 영역(예: 실버타운) 내에 있는 관리자 단말(250)일 수도 있고, 유무선통신망(550)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지의 전문기관(예: 병원, 소방서(119), 경찰서)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유비쿼터스망 영역에 있는 관리자 단말(250)은 고정 게이트웨이(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PDA, 휴대폰 또는 콘솔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은 컴퓨터(601), 유선전화기(602) 등이 될 수 있다.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이 유선전화기(602)인 경우 ARS 시스템(500)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전송한다.The manager terminal may be a manager terminal 250 in a ubiquitous network area (eg, Silvertown), or a terminal of a remote specialized institution (eg, hospital, fire station 119, police station) conn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50. This can be The manager terminal 250 in the ubiquitous network area may be a PDA, a mobile phone, or a console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xed gateway 210. 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600 of the professional institution may be a computer 601, a wired telephone 602, or the like. When the manager terminal 600 of the professional institution is a wired telephone 602, the emergency message is converted into voice through the ARS system 500 and then transmitted.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헬스케어 서버(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헬스케어 서버(400)는 유비쿼터스망(202)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들에게 지급된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 식별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고,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해당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10)를 구비하며, 사용자별로 상기 헬스케어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추세, 위치추적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 경로, 사용자 감성 정보 및 사용자별 운동요법/식이요법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맞춤형 콘텐츠들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헬스케어 서버(400)는 상기한 데이터들을 등록된 사용자 및 사용자의 보호자가 유무선망(550)의 인터넷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ealthcare server 400. The healthcare server 400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about users living in the ubiquitous network 202 an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user terminals 100 paid to the users, and from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And a database 410 for storing the received healthcare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analyzing the healthcare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determine health trends, user behavioral paths according to location tracking, user emotional information, and exercise therapy / dietary for each user. Various customized contents such as therapy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410 and managed. In addition, the healthcare server 400 is configured to provide a website so that the registered user and the guardian of the user can view the data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f the wired / wireless network 550.

상기 설명에서는 정합제어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추적, 긴급상황 판단 및 건강정보 제공 등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헬스케어 서 버(400)가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 받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performs location tracking, emergency determination, and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escribed. However, the health care server 400 performs a second operation from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perform healthcar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구성 및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건물의 1개 층에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location measuring method of the fixed gateway 210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xed gateway 210 in one floor of the building. .

도 2에서 1번 내지 3번 방과 같은 작은 방에는 시스템 구축 비용을 고려하여 한 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는 방이란 특성 상 공간이 한정되어 방에서는 한눈에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한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위치가 사용자의 위치가 된다. 그러나 인접한 방에 설치된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2개의 방 모두로 판단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방에 설치된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자신이 설치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접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는 경우 인접한 고정 게이트웨이(210)에서의 신호전계강도보다 더 큰지를 판단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결정한다.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one fixed gateway 210 is installed in a small room such as the first to third rooms in consideration of the system construction cost. This is because a room is limited in space, so the user can be identified at a glance in the room.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fixed gateway 210 that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0 becomes the location of the user. However, the fixed gateway 210 installed in the adjacent room ma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determined as both rooms.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ixed gateway 210 installed in the room where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communicates with adjacent fixed gateways 210 to check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at the installed location. When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gnal field strength is greater than that of the adjacent fixed gateway 210,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determined.

그러나 4번 방과 같이 방이 커 화장실 등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3 개 이상의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필요하며, 각 고정 게이트웨이(210)들간의 수신신호전계강도를 이용하여 삼각 측정법에 의해 위치를 계산한다. 삼각 측정법은 유비쿼터스 영역 내의 운동장 및 산책로와 같은 넓은 외부 공간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복도, 계단 및 엘리베이터 등을 통해 이동 중인 경우에도 긴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복도(5), 엘리베이터(6) 및 계단(7) 등에도 고정 게이트웨이(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room is large, such as room 4, and there is a separate space such as a bathroom,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plurality of fixed gateways 210 to estimate the exact location. In this case, at least three or more fixed gateways 210 having received the signals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0 are required, and the positions are calculated by triangulation using the received signal field strengths between the fixed gateways 210. do. Triangulation is equally applicable to large exterior spaces such as playgrounds and trails within the ubiquitous region. In addition, since emergency situations may occur even when users are moving through corridors, stairs, and elevators, a fixed gateway 210 is installed in the corridors 5, elevators 6, and stairs 7 as shown in FIG. 2. It is desirable to.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of 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어부(110)와 제1저장부(120)와 제2저장부(130)와 입력부(140)와 표시부(150)와 헬스케어 측정부(160)와 무선통신부(170)와 음성 처리부(180)를 포함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first storage unit 120, a second storage unit 130, an input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a healthcare measurement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and a voice processing unit 180.

제1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The first storage unit 120 is composed of an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100 and an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 식별정보 및 측정된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저장한다.The second storage unit 130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measured biosignal and exercise amount information.

입력부(140)는 응급키, 헬스케어 측정키, 전원키 및 스크롤키 등과 같은 키들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린 키에 대한 키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The input unit 140 includes keys such as an emergency key, a healthcare measurement key, a power key, a scroll key, and the like, and outputs a key signal for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10.

표시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측정된 헬스케어 정보들을 표시하고,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안내메시지에 포함된 건강정보 및 사용자 단 말의 동작 모드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healthcare information measu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health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mode of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guid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do.

헬스케어 측정부(160)는 맥박 측정기(161), 심전도 측정기(166), 전기전도도(167) 측정기, 피부온도 측정기(163) 및 외부 온도 측정기(164) 등과 같은 생체 측정 수단과, 가속도 측정기(165) 및 걸음 횟수 측정기(만보기)(162) 등과 같은 운동량 측정기로 구성된다.The healthcare measuring unit 160 may include biometric means such as a pulse measuring instrument 161,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instrument 166, an electric conductivity 167 measuring instrument, a skin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163, an external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164, and an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 165), and a momentum meter such as a step count (pedometer) 162 and the like.

맥박 측정기(161)는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맥박 측정기(161)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피부와 닿은 부분, 특히 동맥이 있는 피부와 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lse measurer 161 measures a user's pulse and outputs the pulse to the controller 110. The pulse measuring device 161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art of the user terminal 100 worn on the user's body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particularly at a part of the arterial skin.

심전도 측정기(166) 및 전기전도도 측정기(167)는 사용자의 심전도 및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The ECG measuring instrument 166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measuring instrument 167 measure the electrocardiogram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user and output the electrocardiogram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to the controller 110.

피부온도 측정기(163)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The skin temperature measurer 163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and outpu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110.

외부온도 측정기(164)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실외 등의 실온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The external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64 measures the ambient environment of the user and measures the room temperature of the indoor, outdoor, etc.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10.

걸음 걸이 횟수 측정기(162: 또는 만보계라 함)는 사용자의 걸음 횟수를 카운팅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The step count measuring unit 162 (or pedometer) counts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and outputs the counted number of steps to the controller 110.

가속도 측정기(165)는 사용자의 순간 가속도에 의한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The acceleration measuring unit 165 measures the moving speed based on the instantaneous acceleration of the user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10.

무선통신부(170)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70)는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통신부(170)는 지그비 무선통신, UWB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저전력 및 낮은 제조 단가를 가지는 지그비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wirelessly transmits data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 preset protocol, converts a signal received according to the protocol into data, and outpu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1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fixed gateway 2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may be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such as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UWB wireless communication 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apply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having low power and low manufacturing cost. .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입력부(140)로부터 헬스케어 측정키의 눌림에 의한 키신호 또는 무선통신부(170)를 통한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의 센싱 명령에 의한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헬스케어 측정부(160)를 제어하여 생체신호 및 운동량을 측정한다. 상기 운동량은 걸음 걸이 횟수 측정기(162) 및 가속도 측정기(165)로부터 걸음걸이 횟수 및 이동속도 정보에 의해 계산된다. 생체신호들 및 운동량이 측정되면 제어부(10)는 측정된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healthcare measurement unit 160 when a healthcare measurement event is generated by a key signal caused by the pressing of the healthcare measurement key from the input unit 140 or a sensing command from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 To measure vital signs and momentum. The amount of exercise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steps and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from the number of steps measuring unit 162 and the acceleration measuring unit 165. When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amount are measured, the controller 10 generates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measured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djacen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It transmits to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fixed gateway 210.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로부터 응급키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하면 응급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호출정보를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응급키에 의한 키신호를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로 간주하고 헬스케어 측정부(160)를 통해 생체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여 호출정보와 함께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호출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the call information to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o inform the emergency state when the key signal for the emergency key from the input unit 140 is inpu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regards the key signal by the emergency key as a healthcare measurement event and measures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amount through the healthcare measurement unit 160 to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together with the call information. You can also send it. In other words, the first health care information includes call information and is transmitted.

또한 제어부(110)는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 입력하는 안내 메시지가 음성데이터인 경우 음성처리부(180)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으로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guidance message input from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is voice data, the controller 110 convert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voice processor 180 and outputs the voice through the speaker.

상기에서는 사용자 식별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무선주파수식별(Radio Frequency Identify: RFID) 태그를 구비하고, 고정 게이트웨이(210)에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기 위한 RFID 리더기를 구비하여 사용자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used for user identification. However,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storing user information, and the fixed gateway 210 includes an RFID reader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RFID tag.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readab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철차도이다.Figure 4 is a train diagram showing a health care service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100)은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헬스케어 측정부(160)를 통해 생체신호 및 운동량을 측정하고,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한다(S411) 상기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부(140)의 헬스케어 측정키 또는 응급키를 누르거나 정합 제어 서버(300)로부터 센싱 명령이 입력하는 경우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40)의 응급키를 누른 경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 메시지에는 상기 응급키에 대한 응급정보가 더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healthcare measurement event occurs, the manager terminal 100 measures the biosignal and exercise amount through the healthcare measurer 160, and inclu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iosignal and exercise amount information.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fixed gateway 210 adjacent to each other (S411). The healthcare measurement event includes a user pressing a healthcare measurement key or an emergency key of the input unit 140 of the user terminal 100. Or when a sensing command is input from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key of the input unit 140,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further includes emergency information for the emergency key.

제1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S413),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S415).The fixed gateway 210 receiving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measures its location (S413), generates a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and matches the control server 300. (S415).

정합제어 서버(300)는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헬스케어 정보로 부터 긴급상황인지 정상 상황인지를 판단한다(S417). 상기 긴급상황은 응급상황 및 지역 이탈 상황으로 구분되며, 응급상황은 상기 헬스케어 정보의 생체 신호 정보들의 분석에 의한 응급상황 및 사용자의 응급키 입력에 의한 응급상황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근거로 한 긴급상황은 하기 표 1과 같이 사용자 긴급상황에 따라 다수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s received,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or a normal situation from the healthcare information (S417). The emergency situation is classified in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an area departure condition, and an emergency situation is classified into an emergency situation by analyzing biosignal information of the healthcare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situation by an user's emergency key input. For example, the emergency based on the biosignal and the exercise amount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evels according to the user emergency as shown in Table 1 below.

사용자 응급 상황 구분User Emergency Segmentation 응급레벨Emergency level 근거 정보Evidence 1One 심장마비heart attack 1One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Pulse / body temperature / room temperature / momentum 22 사용자에 의한 호출Call by user 1One 호출정보Call Information 33 고열 발생High fever 22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Pulse / body temperature / room temperature / momentum 44 저체온Hypothermia 22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Pulse / body temperature / room temperature / momentum 55 맥박변화율Pulse rate 22 누적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 Cumulative Pulse / Body Temperature / Room Temperature / Momentum 66 체온변화율Body temperature change rate 22 누적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 Cumulative Pulse / Body Temperature / Room Temperature / Momentum 77 실내/실외에 오래 거주Long residence indoor / outdoor 33 위치정보/운동량Location information / momentum 88 대기온도 적정 범위 초과Atmospheric temperature exceeded 33 위치정보/실내온도Location information / room temperature 99 위치 이탈Dislocation 33 위치정보/운동량Location information / momentum 1010 야간 침소 이탈Night sleep exit 44 위치정보/운동량Location information / momentum

그리고 지역 이탈 상황은 사용자 영역 이탈과 유비쿼터스망 영역 이탈 상황으로 구분된다. 즉, 사용자 영역 이탈은 유비쿼터스망 영역 내에서 사용자에게 할당된 영역(예: 실버타운의 사용자 방)으로 정해진 시간대에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고, 유비쿼터스망 영역 이탈은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 예를 들면, 실버타운, 병원 등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다. 상기 지역 이탈 상황 판단은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한다. In addition, there are two types of out-of-region situations: out of user domain and out of ubiquitous network. That is, the user area deviation is a case where the user area within the ubiquitous network area is determined to be out of the us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s an area allocated to the user (for example, a user room in Silvertown). It is considered that 100 is out of the ubiquitous network area, for example, silver town, hospital, and the like. The region deviation situation determina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표 1과 사용자 응급 상황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응급처치 요령 정보를 포함한 긴급 안내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응급상황 레벨에 따라 관리자 단말(250) 및/또는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 및 헬스케어 서버(400)로 송신한다(S419, S421). 예를 들어, 심장마비 긴급상황이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250)과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 모두로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 호출이면 관리자 단말(250)로만 긴급 상황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에 송신 후, 관리자 단말(250)로부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수신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로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n emergency guide message including the first aid information that can be directly performed by the user for Table 1 and the user emergency situ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emergency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250 and / or the manager terminal 600 and the healthcare server 400 of the profess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level (S419, S421). For example, if a heart attack emergency situatio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to both the manager terminal 250 and the manager terminal 600 of a specialized institution, and if the user calls the emergency situation only to the manager terminal 250 Send the message. After the transmission to the emergency message, when the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50,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emergency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600 of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그러나 정상 상황이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S419, S421에서 위치정보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있는지를 검사한 후, 상기 위치에 대한 안내메시지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헬스케어 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안내 메시지는 식당, 헬스장 등의 위치에 대한 식이요법 및 건강요법 등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헬스케어 서버(400)는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건강상태정보를 갱신하며, 건강상태에 따른 식이요법 및 건강요법 등을 갱신한다.However, if the normal situatio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419, S421,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guide message for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if there is a guide message for the location The guid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healthcare server 400. The guide message may be a message such as a diet and health therapy for a location of a restaurant, a gym, or the like. The health care server 400 receiving the second health care information message updates the health stat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user by analyzing the second health care information, and updates the diet and health therapy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

또한,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긴급상황 메시지를 통보한다(S425).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는 SMS 메시지로 송신될 수도 있고, ARS(500)를 통한 음성 메시지로 송신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notifies the guardian of the user in which the emergency occurs, the emergency message (S425). The emergency message may be transmitted as an SMS message or a voice message through the ARS 50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정합제어 서버에서의 사용자 영역 이탈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 area deviation in a registration control server of 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임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임의의 사용자 단말(100)의 헬스케어정보, 즉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411).Referring to FIG. 5,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healthcar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an arbitrary fixed gateway 210 (S411).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로부터 위치정보를 검출하고(S413), 검출된 위치가 사용자 영역인지를 판단한다(S415). 상기 사용자 영역은 도 2에서의 사용자가 거주하는 방 등이 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s received,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S413),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location is the user area (S415). The user area may be a room where the user in FIG. 2 resides.

판단 결과, 검출된 위치가 사용자 영역이 아니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현재 시각이 취침시각인지를 판단하고(S417), 취침시간이면 해당 고정 게이트웨이(210)로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청한다(S419).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etected location is not the user area,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bedtime (S417), and when the bedtime is transmitte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xed gateway 210 at a shorter interval. To request (S419).

상기 위치정보 송신 후, 정합제어 서버(300)는 위치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421),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영역으로 돌아왔는지를 판단한다(S422).Afte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S421),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determines whether to return to the user area (S422).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영역으로 돌아오지 않았으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영역을 일정 시간 이상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고(S423), 일정 시간 벗어났으면 사용자 영역 이탈로 판단하고 긴급상황을 경보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user does not return to his or her own user area,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area is out of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423). Alarm.

도 6은 본 발명의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역 이탈 상황 판단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n out of area situation in a healthcar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정합제어 서버(300)는 임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임의의 사용자 단말(100)의 헬스케어정보, 즉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511).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first,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healthcar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an arbitrary fixed gateway 210 ( S511).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S513),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100), 즉 사용자가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515).When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is received,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S513), and the user terminal 100 that transmits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that is, the user has a ubiquitous network area 2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undary is at (S515).

판단 결과,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에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고정 게이트웨이(210)들로 송신한다(S517). 다시 말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 지역에 설치된 고정 게이트웨이(210)에 위치가 등록되어 있으면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청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user at the boundary of the ubiquitous network area 202,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t shorter intervals to the fixed gateway 210 (S517). ). In other words,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requests the user terminal 100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t shorter intervals when the location is registered in the fixed gateway 210 installed in the boundary area of the ubiquitous network area 202. .

상기 요청 후,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519, S521).After the request, the match control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100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519, S521).

상기 시간 내에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을 이탈한 것으로 추정하고,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경보를 발생한다(S523).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within the time, the matching control server 300 estimates that the user terminal 100 has left the ubiquitous network area 202, and determines an emergency situation to generate an emergency alert (S523). .

상기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에 있을 경우,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 상기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하였다. 이는 사용자 단말(100)이 헬스케어 측정을 수행하는 시간 간격이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FIG. 6, when the user is at the boundary of the ubiquitous network region 2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xed gateway 21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t shorter intervals, thereby leaving the region. This is to prevent the user terminal 100 from performing a healthcare measurement for a large time interval, thereby missing the user's location.

그러나 처음부터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헬스케어 정보와 별도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만으로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from the beginning, the fixed gateway 210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separately from the healthcar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leave, or may determine whether to leave using only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message.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의 바이오의료기기전략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 "
과제명 : [10032115, AI기반의 부착형/설치형 u-Health 시스템 개발]
"This work was supported by Grant No. 10032115 from the Strategic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ical preferred embodiment, bu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substitutions or additions in the art Anyone who has this can easily understand it.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change, replacement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biomedical device strategic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itle: [10032115, Development of AI-based u-Health System]
"This work was supported by Grant No. 10032115 from the Strategic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of 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Figure 4 is a procedure showing a healthcare service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정합제어 서버에서의 사용자 영역 이탈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 area deviation in a registration control server of 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정합제어 서버에서의 유비쿼터스망 영역 이탈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viation of a ubiquitous network area in a registration control server of 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Drawings]

100 : 사용자 단말 201: 셀 영역100: user terminal 201: cell area

202: 유비쿼터스망 영역 210 : 고정 게이트웨이202: ubiquitous network area 210: fixed gateway

250, 600: 관리자 단말 300: 정합제어 서버250 and 600: administrator terminal 300: matching control server

400: 헬스케어 서버400: healthcare server

Claims (26)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들과,User terminals attached to a user's body to measure a plurality of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of the user, and then transmit first health 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information and the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과,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nd alerting a message about the location and the emergency of the user terminal; 셀 영역을 가지는 노드로, 타 노드들과 상호 무선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을 형성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수신 시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 및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고정 게이트웨이들과,A node having a cell area,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with other nodes to form a ubiquitous network, ha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s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and receives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xed gateways for measu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using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and the ubiquitous network, and then transmitting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합제어서버를 포함하되,Receive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store / manag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amoun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healthcare,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f it includes a matching control server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message to at least one adjacent manager terminal, 사용자 단말은,The user terminal,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들 측정하는 생체 측정 수단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운동량 측정기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측정부와,A health care measurement unit including a biometric means for measuring the bio signals of the user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and an exercise amount measurer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an exercise amount;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asured bio-signals and exercise amount; 상기 식별정보와 생체 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biosignal,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to the fixed gateway; 생체 신호 측정 및 운동량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헬스케어 측정부를 제어하여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When the bio-signal measurement and exercise amount measurement event occurs, the healthcare measurement unit is controlled to measure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amount, store the measur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and generate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to gene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rough,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형성하는 고정 게이트웨이는 지그비(Zigbee)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무선 송수신기이고,The fixed gateway forming the ubiquitous network is a Zigbee wireless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Zigbee protocol,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유무선망으로 더 전송하고,The matching control server further transmits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상기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건강상태별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자들에 대한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따른 식이요법/운동요법 및 건강 추이를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더 포함하고,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user terminals, and a database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ercise therapy for each health condition and diet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s It further comprises a healthcare server that provides a diet / exercise therapy and health trends through the website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and the amount of exercise for the field,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유비쿼터스망 내에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고,The manager terminal is a terminal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ixed gateway in the ubiquitous network,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외부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위치 및 긴급상황을 통지하고,The matching control server notifies the location and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of the external guardian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로부터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사용자 단말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고,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ching control server is normal from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determine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and transmits a guide message for the determined area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the guide message,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대에 사용자 영역을 일정 시간 동안 벗어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비쿼터스망 영역의 경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계에 있으면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고정 게이트웨이로 요청하고, 일정 시간 이상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matching control server monitors whether the user terminal leaves the us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ealth car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en the user terminal leaves the us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end an emergency message,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at the boundary of the ubiquitous network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t shorter intervals to the fixed gateway if it is at the boundary.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requesting,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es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tuation mess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리자 단말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r terminal is a terminal of a specialized institution that is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message is 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multimedia message (MMS) is transmit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헬스케어 서버에 연결되는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음성으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messages are notified by voice through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connected to the healthcare serv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생체 측정 수단은,The biometric means,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기와,With pulse meter to measure pulse,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기와,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피도 온도 측정기와,Blood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kin,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 측정기와,With an external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 for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운동량에 의해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상기 칼로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alories consumed by the measured exercise amount and stores th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health care service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alorie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단말은,The user terminal,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더 구비하되,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voice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voice and output,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데이터로 전송하고,The matching control server transmits the guide message as voice data,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음성처리부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guidance message and outputs the voice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역이 식당이고, 상기 안내 메시지가 식이요법에 대한 정보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health service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wherein the area is a restaurant, and the guide message is an information message on a di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급상황 정보가 사용자의 긴급상황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classifi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degree of emergency of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비쿼터스망 영역이, 실버타운, 학교 또는 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The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the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ubiquitous network area, Silvertown, school or hospital. 사용자 단말이 생체 측정수단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을 측정하고 운동량 측정기에 의해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After the user terminal is attached to the user's body by the biometric means to measure the plurality of bio-signals of the user and the exercise amount by the exercise amount measuring device, the first terminal including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amount information and the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first process of transmitting healthcare information, 고정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정보 및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The fixed gateway receives the first healthcare information,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its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nd the ubiquitous network, and then supplies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 second process of transmitting,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The registration control server receives the second health car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n emergency based on the biosignals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health care, and if the emergency is at least adjacent to the emergency message. A third process of transmitting to one manager terminal;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고,And a fourth step of receiving, by the manager terminal, the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 message regarding the location and emergency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외부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위치 및 긴급상황을 통지하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하고,And a sixth process, wherein the matching control server notifies the guardian terminal of an external guardian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emergency occurred, via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emergency occurs.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측정된 운동량에 의해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여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상기 칼로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고,The user terminal calculates the calories consumed by the measured exercise amount and transmits the calorie information to the first health care information further, 상기 긴급상황 정보가 사용자의 긴급상황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고,The emergency information is classifi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emergency degree of the user,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대에 사용자 영역을 일정 시간 동안 벗어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비쿼터스망 영역의 경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계에 있으면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고정 게이트웨이로 요청하고, 일정 시간 이상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The matching control server monitors whether the user terminal leaves the us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ealth car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en the user terminal leaves the us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end an emergency message,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at the boundary of the ubiquitous network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ealthcar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t shorter intervals to the fixed gateway if it is at the boundary. Requesting,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and the health care service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삭제delete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The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situation is a health care service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by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multimedia message (MMS).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는 헬스케어 서버에 연결되는 자동응답방법(ARS)을 통해 음성으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The location information and emergency message is a healthcare service method using a ubiquitou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notification through the automatic response method (ARS) connected to the healthcare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05895A 2009-01-23 2009-01-23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KR101025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95A KR101025578B1 (en) 2009-01-23 2009-01-23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PCT/KR2009/006798 WO2010085033A2 (en) 2009-01-23 2009-11-1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using a ubiquitou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95A KR101025578B1 (en) 2009-01-23 2009-01-23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596A KR20100086596A (en) 2010-08-02
KR101025578B1 true KR101025578B1 (en) 2011-03-28

Family

ID=4235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895A KR101025578B1 (en) 2009-01-23 2009-01-23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5578B1 (en)
WO (1) WO2010085033A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10B1 (en) 2012-05-21 2014-06-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Health Care Smart System
KR20150100789A (en) * 2012-12-18 2015-09-02 릴리 브루스 코니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624958B1 (en) * 2014-10-23 2016-05-27 주식회사 케이에스에너지세이빙 Apparatus and Methods for relaying a social safety signal and System thereof
KR20180065608A (en) * 2016-12-08 2018-06-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ized premium health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wai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1409A1 (en) 2010-10-12 2012-04-18 Smith&Nephew, Inc. Medical device
IT1404531B1 (en) * 2011-02-24 2013-11-22 Sisvel Technology Srl PROCEDURE AND INDOOR LOCALIZ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S IN A MOBILE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RELATIVE MOBILE TERMINAL.
CN102932385B (en) * 2011-08-09 2017-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for processing business and device of ubiquitous terminal
AU2014236701B2 (en) 2013-03-14 2018-07-19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US9737649B2 (en) 2013-03-14 2017-08-22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KR101462639B1 (en) * 2013-05-10 2014-12-0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firefighter
CA2920850C (en) 2013-08-13 2022-08-30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KR102438643B1 (en) 2015-05-07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101633588B1 (en) * 2015-07-24 2016-06-29 전성훈 Wearable healthcare safety belt
AU2015411394B2 (en) 2015-10-07 2021-07-08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WO2017197357A1 (en) 2016-05-13 2017-11-16 Smith & Nephew Plc Automatic wound coupling detection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US11369730B2 (en) 2016-09-29 2022-06-28 Smith & Nephew, Inc. 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components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JP7063912B2 (en) 2017-03-07 2022-05-09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Decompression therapy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ntenna
US11712508B2 (en) 2017-07-10 2023-08-01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interacting with communications module of wound therapy apparatus
GB201820668D0 (en) 2018-12-19 2019-01-30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rescribed wound therapy
KR102560262B1 (en) * 2023-01-02 2023-07-27 주식회사 애스크밀리언스 Care Elderly Health Monitor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374A (en) * 1995-05-30 1996-12-13 Kyocera Corp Medical information radio transmission system
KR20060045404A (en) * 2004-09-01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linked with on/off line service based on ubiquitous network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321A (en) * 2004-04-21 2005-10-26 정창진 Method of managing health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209713B1 (en) * 2005-12-12 2012-12-07 (주)휴비딕 Home health care system
KR100883744B1 (en) * 2006-05-24 2009-02-13 주식회사 케이티 The Home Health Care System based WPAN
KR100813166B1 (en) * 2006-08-07 2008-03-17 남승리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KR100914633B1 (en) * 2007-07-03 2009-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oriented Healthca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374A (en) * 1995-05-30 1996-12-13 Kyocera Corp Medical information radio transmission system
KR20060045404A (en) * 2004-09-01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linked with on/off line service based on ubiquitous network technolog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10B1 (en) 2012-05-21 2014-06-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Health Care Smart System
KR20150100789A (en) * 2012-12-18 2015-09-02 릴리 브루스 코니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129417B1 (en) 2012-12-18 2020-07-02 릴리 브루스 코니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624958B1 (en) * 2014-10-23 2016-05-27 주식회사 케이에스에너지세이빙 Apparatus and Methods for relaying a social safety signal and System thereof
KR20180065608A (en) * 2016-12-08 2018-06-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ized premium health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waiting
KR101893022B1 (en) 2016-12-08 2018-08-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ized premium health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wai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5033A3 (en) 2010-09-16
WO2010085033A2 (en) 2010-07-29
KR20100086596A (en) 2010-08-02
WO2010085033A9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578B1 (en)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KR100813166B1 (en)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US9384651B2 (en) Cli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US10223894B2 (en) Monitor worn by user for providing hygiene habits indication
Huo et al. An elderly health care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t home
US9111435B2 (en) Reducing medical error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JP5877528B2 (en)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US20160260310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Scanaill et al. Long-term telemonitoring of mobility trends of elderly people using SMS messaging
KR101897236B1 (en)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using smart band and smart band therefor
KR102268429B1 (en) a real time temperature checking with smart band type thermometer and a location data management system and the body temperature data system capable of diseases using thereof
KR100723655B1 (en) A remote monitering system using a mobile phone
WO2016006536A1 (en) Remote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080109371A (en) Emergency rescue system
US20160117901A1 (en) Managing the delivery of alert messages by an intelligent event notification system
KR20170121617A (e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KR101894906B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with Help Trigger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US9349268B2 (en) TNT-medical alert system
Rohankumar et al. A smart health care ecosystem
US202401224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State of Health of a Person
JP3687842B2 (en) Telemeter thermometer and temperature measuring system with telemeter emergency call function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