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193B1 -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 Google Patents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193B1
KR100917193B1 KR1020030032328A KR20030032328A KR100917193B1 KR 100917193 B1 KR100917193 B1 KR 100917193B1 KR 1020030032328 A KR1020030032328 A KR 1020030032328A KR 20030032328 A KR20030032328 A KR 20030032328A KR 100917193 B1 KR100917193 B1 KR 10091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0112A (en
Inventor
정현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193B1/en
Publication of KR2004010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서로 인식하므로써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상호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ognizing a keyboard of a computer and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서 송수신된 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호 공유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 및 공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ial data input by a computer keyboard and parallel data input by a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s; And a data conversion and sharing step of convert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ep by software so as to be shared by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이 각각의 다른 입력수단을 상호 인식하여 동시에 사용하므로써, 휴대폰의 키패드 및 컴퓨터의 키보드가 가지고 있는 입력키의 제한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different input means can be mutually recognized and used simultaneously, thereby eliminating inconvenience in us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input keys of the keypad of the cellular phone and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컴퓨터, 단말기, 키보드, 키패드, 공유, USB, 인터페이스, 디바이스Computer, terminal, keyboard, keypad, sharing, USB, interface, device

Description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put means of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US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SB마스터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B master controller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을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개념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 master and a slave.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wirelessly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전용 키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bile phone dedicated keyboa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USB 마스터 연결케이블 20 : USB 마스터 제어부10: USB master connection cable 20: USB master control

30 : 플래쉬메모리 60 : 이동통신 단말기 30: flash memory 6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0 : 컴퓨터 80 : 마스터70: computer 80: master

90 : 슬레이브90: slave

본 발명은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서로 인식하므로써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상호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put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ognizing a keyboard of a computer and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시대에는 무선으로 음성뿐만 아니라 영상, 그래픽과 같은 많은 양의 영상데이터를 고속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In the recent multi-media (Multi-media) er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arge amount of video data such as video, graphics, as well as voice at high speed is used.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지만, 이러한 소형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써 키 버튼의 숫자를 한정적으로 사용하게되며, 이로인해 한글과 영문 및 숫자를 중복 표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ing miniaturiz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carried. However, the size of the input means such as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duced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o that the number of key buttons is limitedly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d numbers must be duplica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가적인 케이블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컴퓨터로 업로드 하기도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dditional cable device may be used to download information necessary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computer or upload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즉, 컴퓨터에서 편집된 각종 인명부, 메모 또는 일정등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 로드 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상기 각종 정보를 백업용으로 컴퓨터로 전송한다.That is, various names, memos or schedules edited on the computer are downloa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various information edited by the us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transferred to the computer for backup.

하지만, 상기와 같은 데이터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는 완성된 자료를 화일상태로 상호 주고 받는 방식이며, 키보드 자체를 상호 인식하는 방식은 아니므로 각종 정보를 입력시에 신속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ata download or uploa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mpleted data in a file stat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mptness is poor at the time of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because the keyboard itself is not mutually recogniz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2년 1월 4일자로 공개된 공개공보(공개번호 : 10-2002-0000021)에는 휴대폰 전용 키보드가 제시되어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illustrated in FIG. 7, a public phone (published number: 10-2002-0000021) published on January 4, 2002 is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dedicated keyboard.

도 7에 도시된 휴대폰 전용 키보드에 관하여 설명하면, 상기 휴대폰 전용 키보드는 휴대폰에 대응하는 소형의 케이스(400)와, 상기 케이스에 배열된 통상의컴퓨터용 자판(410)과, 휴대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자와 연결 가능한 키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단자(420)와, 휴대폰에 접속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연결 케이블(430)과, 상기 자판이 형성된 케이스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mobile phone dedicated keyboard shown in FIG. 7, the mobile phone dedicated keyboard includes a small case 400 corresponding to a mobile phone, a normal computer keyboard 410 arranged in the case, and a data interface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A connector terminal 420 for outputting a key signal connectable thereto, a connection cable 430 connected to a mobile pho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a support 440 for supporting the case where the keyboar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ude.

하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폰 전용 키보드는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키보드를 구비하고 있으나, 그 크기가 여전히 상당하며, 이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폰 전용 키보드를 추가로 휴대폰과 함께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obile phone-specific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boards for easy input, but the size is still considerable, and in order to connect and use the mobile phone-specific keyboard, the mobile phone-only keyboard must be additionally carried along with the mobile phone. There is this.

한편,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역시 영상, 그래픽 등의 대용량 또는 고속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그 기능이나 성능이 더욱 향상되고 있으며, 최근에 멀티 모드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주변장치의 증가에 따라 이를 제어하는 수 단이 추가로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입력수단을 동시에 사용해야 하므로 추가의 입력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computer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tasks is also improving its function or performance in order to process large-capacity or high-speed data such as video, graphics, etc. Recently, according to the multi-mode function or increase of peripheral devices If the means for controlling this is additionally nee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input means are required because the input means must be used at the same time.

특히, 노트북 컴퓨터는 소형화 및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입력수단인 키보드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데에 불편하며, 멀티모드에서는 추가의 입력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notebook comput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perform a task due to the small size and the size of the keyboard, which is an input means, and requires additional input means in a multi mod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상호 공유하도록 이를 인식시키므로써 서로의 입력수단을 동시에 사용가능하게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상호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recognizing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and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utually recogniz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able the mutual input means at the same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utually sharing.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상기 컴퓨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기능을 갖는 USB 마스터 제어부와; 상기 USB 마스터 제어부의 양단에 슬레이브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의 USB 포트와 연결되는 USB 포트로 구성된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pparatus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input by the mobile terminal keypad to the computer or input by the computer keyboard. A USB master control unit having a master control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th ends of the USB master control unit comprises a USB master connection cable consisting of a USB port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of the slave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는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병렬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인식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각 내장된 시스템소프트웨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컴퓨터와 단말기에서 공유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디바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wirelessly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ial data input by the computer keyboard and parallel data input by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nterface unit for recognizing serial data input by a keyboard of a computer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and parallel data input by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vice unit for controlling a system software unit embedded in each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terfacing data recognized by the interface unit to be shared by the computer and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서 송수신된 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호 공유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 및 공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serial data input by the computer keyboard and parallel data input by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from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data conversion and sharing step of convert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ep by software so as to be shared by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SB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SB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SB마스터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개념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3 illustrate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sharing an input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mputer using a US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llustrates a US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B master control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master and the invention The figure shows the concept of a slav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1)는 USB 마스터 연결케이블(10) 및 USB 마스터 제어부(20)로 이루어지며, 상기 USB 마스터 연결케이블(10)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60)에 USB 마스터 제어부(20)를 연결하고, USB마스터 제어부(20)에 컴퓨터(70)를 연결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60)의 키패드와 컴퓨터(70)의 단말기의 키보드를 상호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vice 1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computer shown in Figures 1 to 3 is composed of a USB master connection cable 10 and a USB master control unit 20, 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10) By connecting the USB master control unit 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the computer 70 to the USB master control unit 20 through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the keyboard of the terminal of the computer 70 To allow mutual awareness.

상기 USB 마스터 연결케이블(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포트(62)와 컴퓨터의 USB포트(72)에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부(12, 14)를 포함하며, 상기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10)의 일단에 구비된 플러그부(1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포트(62)에 접속되는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10)의 USB 포트(12)이고,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10)의 타단에 구비된 플러그부(14)는 컴퓨터의 USB 포트(72)에 접속되는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10)의 USB 포트(14)이다.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10 includes plug parts 12 and 14 connected to the USB port 6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B port 72 of the computer, respectively. The plug part 12 provided at one end is a USB port 12 of a USB master connection cable 10 connected to a USB port 62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u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10. The unit 14 is a USB port 14 of 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10 connected to the USB port 72 of the computer.

상기 USB 마스터 제어부(20)는 I/O입출력단(22, 24)에 USB 코어(26)를 연결하고, 상기 USB 코어(26)에 MCU(Micro Controller Unit)(28)를 연결하며, 상기 MCU(28)에 플래쉬메모리(30)를 연결한다.The USB master controller 20 connects the USB core 26 to the I / O input / output terminals 22 and 24, and connects the microcontroller unit (MCU) 28 to the USB core 26, and the MCU The flash memory 30 is connected to the 28.

도 2에 도시된 I/O입출력단(22, 24)은 도 1에 도시된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10)의 USB 포트(12, 14)에 각각 해당된다.The I / O input and output terminals 22 and 24 shown in FIG. 2 correspond to the USB ports 12 and 14 of 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10 shown in FIG. 1, respectively.

상기 USB 코어(26)는 상기 I/O입출력단(22, 24)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60)의 키패드 또는 컴퓨터(70)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시리얼(Serial)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MCU(28)로 전송하거나, MCU(28)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상 기 I/O입출력단(22, 24)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60) 또는 컴퓨터(70)에 전송한다.The USB core 26 receives serial data input by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or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70 through the I / O input / output terminals 22 and 24. ) Or the data received from the MCU 28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or the computer 70 through the I / O input and output terminals (22, 24).

또한, 상기 USB 코어(26)는 전송받거나 전송하는 데이터의 에러검출 및 디텍션 기능을 수행하여 최적의 검증된 데이터를 처리한다.In addition, the USB core 26 performs an error detection and detection function of the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to process the optimal verified data.

상기 MCU(28)는 상기 USB 코어(26)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입력된 데이터가 모듈정보요청 명령어인 경우에는, 모듈(Module) 정보를 플래쉬메모리(30)로 부터 읽어들여 상기 USB 코어(26)에 전달하며, 내부의 마스터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플래쉬메모리(30)는 상기 MCU(28)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다.When the MCU 28 receives data from the USB core 26 and the input data is a module information request instruction, the MCU 28 reads module information from the flash memory 30 to read the USB core 26. ), And performs internal master control operation. The flash memory 30 receives and stores data from the MCU 28.

또한, 도 3에 도시된 마스터(80)는 USB 마스터 제어부(50)를 의미하고 시스템 소프트웨어부(82) 및 인터페이스부(84)로 이루어지며, 슬레이브(90)는 이동통신 단말기(60) 또는 컴퓨터(70)를 의미하고 USB 디바이스부(92) 및 인터페이스부(94)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ster 80 shown in FIG. 3 means a USB master control unit 50 and is composed of a system software unit 82 and an interface unit 84, and the slave 9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or a computer. 70 means the USB device section 92 and the interface section 94.

상기 마스터(80)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부(82)는 이동통신 시스템(60) 및 컴퓨터(7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프로그램이 내장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84, 94)는 USB를 통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The system software unit 82 of the master 80 is embedded with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60 and the computer 70, and the interface units 84 and 94 represent an interface through USB. .

상기 슬레이브(90)의 USB 디바이스부(92)는 이동통신 단말기(60) 및 컴퓨터(70)에 설치된 장치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USB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처리한다.The USB device unit 92 of the slave 90 controls the device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the computer 70 to process an interface related to USB.

상기 장치소프트웨어는 이동통신 단말기(60) 및 컴퓨터(70)에 설치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60)의 키패드 및 컴퓨터(70)의 키보드에 따른 인터 페이스를 상호 인식하도록 한다.The device software is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the computer 70 to mutually recognize the interface according to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70.

즉, 상기 USB 마스터 제어부(20)는 USB 마스터(Master)의 기능을 실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60)와 컴퓨터(70)는 슬레이브(Slave)기능을 실행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60)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 데이터를 컴퓨터(70)에 전달하고, 컴퓨터(70)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60)에 직접 전달한다.That is, the USB master control unit 20 executes the function of the USB mas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the computer 70 execute the slave function to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The signal data input by the computer 70 is transmitted to the computer 70, and the signal data input by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7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본 고안의 USB 마스터 연결케이블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의 USB 포트에 각각 연결한(110) 후, 장치소프트웨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에 각각 설치한다(120).First, after connecting 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SB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110), and then install the device softwar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120).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컴퓨터의 키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의 키보드에 따른 환경을 설정하며,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따른 환경을 설정한다(130).If you want to use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and if you want to use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mputer, set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상기 환경설정(130)에 의하여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키보드에서 작성되는 메시지나 문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시에 동일하게 타나나게 되거나(전용 에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음)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가 컴퓨터에 나타나게 된다(140).When the keyboard 130 of the computer and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used at the same time by the environment setting 130, a message or a text written on the keyboard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edicated emulator can be used). A letter or number input by the keypa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computer (140).

상기와 같이 입력수단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145),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행중이던 데이 터는 플래쉬메모리에 저장되며,(150) 상기 수신된 전화를 받거나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무시하고 업무를 계속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창이 나타난다(160).If the phone or text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input means are shared and used as described above (145), the data in progress at the computer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in the flash memory (150). A window for selecting whether to receive or check a text message or to continue the work by ignoring the call or text message appears (160).

만약, 상기 전화를 받거나 문자메시지를 즉시 확인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상태로 세팅되며(170), 상기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정보를 처리한 후 다시 플래쉬메모리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중지되었던 업무를 재개하게된다(180).If the call or text message is immediately confirm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an initial state (170). After 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the phone or text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ds the stored data from the flash memory and stops again. Work resumes (180).

만약, 상기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무시하고 업무 계속을 선택하면, 플래쉬메모리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중지되었던 업무를 재개한다(180).If the phone or text message is ignored and the work continues, the stored data is read from the flash memory and resumed.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를 설명하는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FIG. 5 is a mobile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wireless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evice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도 5에 도시된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는 송수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디바이스부(230), 시스템소프트웨어부 (240), 메모리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각 구비된다.The apparatus for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computer shown in FIG. 5 wirelessly includes a transceiver 210, an interface 220, a device 230, a system software 240, and a memory 250. And a control unit 260 and are provided in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송수신부(210)는 적외선통신포트나 블루투스포트와 같은 무선 송수신 장치로서, 컴퓨터(270)와 이동통신 단말기(280)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어 컴퓨터(270)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280)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 되는 병렬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transceiver 210 is a wireless transceiver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port or a Bluetooth port. The transceiver 21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mputer 27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80 and moved with serial data input by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270. Transmits and receives parallel data input by the keypa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80.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컴퓨터의 키보드를 공유하는 경우에, 컴퓨터의 키보드에서 입력된 직렬데이터를 컴퓨터의 송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부에서는 컴퓨터의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직렬데이터를 수신한다.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res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the serial data input from the computer keyboar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computer, and the serial uni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computer is transmitted from the recep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 data.

또한,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서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하고, 컴퓨터의 수신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된 병렬데이터를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computer shares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allel data input from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er of the computer is transmitted in parallel through the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 data.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어플리케이션층(Application layer)이 아니라 물리계층(Physical layer)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헤드(head) 부분에 식별부호가 부여된다.Preferably,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physical layer, not an application layer, and a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a head portion.

인터페이스부(220)는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컴퓨터(270)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280)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상호 인식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220 may mutually recognize serial data input by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270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210 and parallel data input by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80.

디바이스부(230)는 컴퓨터(270)와 이동통신 단말기(280)에 각각 설치된 시스템소프트웨어부(240)를 제어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며, 상기 시스템소프트웨어부(240)는 컴퓨터(270)와 이동통신 단말기(280)의 인터페이스 및 제어에 관련된 제반 프로그램이 내장된다.The device unit 230 controls the system software unit 240 installed in the computer 27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80, respectively, and processes the interface in software, and the system software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270.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interface and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80 are embedded.

메모리부(250)는 컴퓨터(270)와 이동통신 단말기(280)의 입력수단을 공유하 여 사용하는 도중에 다른 호(call)신호나 프로그램의 구동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송수신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When the memory unit 250 shares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27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80 and requests the driving of another call signal or program, the memory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10. Temporarily store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제어부(260)는 상기 구성요소들간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제어하며, 특히 송수시된 된 데이터를 메모리부(250)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명령신호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260 control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between the components, and in particular, the command signal for storing the data transmitted or received in the memory unit 250 or read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250. do.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컴퓨터(270)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280)에 직접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80)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 데이터를 컴퓨터(270)에 직접 전달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ignal data input by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27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80, and the signal data input by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80 is transmitted to the computer 270. ) Directly.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도 6은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도 6에 도시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은 데이터 입력단계(310), 데이터 송수신 단계(320), 데이터 변환 및 공유단계(330), 호(call)신호 처리단계(340) 및 데이터 저장단계(350)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sharing input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mputer shown in FIG. 6 includes a data input step 310,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ep 320, a data conversion and sharing step 330, and a call signal processing step 340. And a data storage step 350.

데이터 입력단계(310)에서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이 각각 이루어진다.In the data input step 310, data is input by a keyboard of a computer and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데이터 송수신 단계(320)에서는 상기 데이터 입력단계(310)에서 입력된 컴퓨터의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병렬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부에서 각각 송수신한다.I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ep 320, the serial data of the computer and the parallel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in the data input step 310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데이터 변환 및 공유단계(330)에서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계(320)에서 송 수신된 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호 공유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변환시킨다.In the data conversion and sharing step 330,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ep 320 is converted in software to be shared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컴퓨터의 키보드를 공유하는 경우에, 컴퓨터에서는 키보드에서 입력된 직렬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직렬데이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병렬데이터로 변환한 후 공유하여 사용한다.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res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the computer transmits serial data input from the keyboar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the serial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into parallel data by software. Share and use

또한,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공유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키패드에서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병렬데이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직렬데이터로 변환한 후 공유하여 사용한다.In addition, when a computer shares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parallel data input from the keypad to the computer, and the computer converts the parallel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serial data by software. Use after sharing.

호(call)신호 처리단계(340)에서는 데이터 변환 및 공유단계(330)에서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호(call)신호 또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행중이던 데이터는 메모리부에 저장되고(342), 상기 호(call)신호 또는 다른 프로그램의 신호에 따른 응답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창이 나타난다(344).In the call signal processing step 340, data input by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and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ared and used in the data conversion and sharing step 330 to the call signal or other application program. When a signal is received, data in progress in the computer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342, and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whether to respond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or the signal of another program appears (344).

만약, 상기 호(call)신호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신호에 응답하게되면,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모드로 세팅되며(346), 상기 호(call)신호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마친후 메모리부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중지되었던 작업을 재개하게된다(348). If, in response to the call signal or the signal of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mputer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standby mode (346),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after the call signal or the application is finished The operation is resumed by reading (348).                     

만약, 상기 호(call)신호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처리신호에 응답하지 않으면, 메모리부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중지되었던 업무를 재개하게된다(348).If it does not respond to the call signal or the processing signal of the application program, the stored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unit and resumed the operation which was suspended (348).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인 컴퓨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노트북 컴퓨터에도 적용 가능하며 또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수단으로 적외선통신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송수신부와, USB케이블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IEEE1394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s, a typical comput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laptop computer. Also,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or Bluetooth, and a USB cable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ans between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ata can be transmitted in various ways such as IEEE1394.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은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이나 블루투스,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상호 인식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컴퓨터의 키보드를 동시에 사용가능하거나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동시에 사용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and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wire such as a USB cable or wireless, such as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By mutual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use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o simultaneously use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mputer.

상기와 같이 각각의 다른 입력수단을 상호 인식하여 동시에 사용하므로써, 휴대폰의 키패드 및 컴퓨터의 키보드가 가지고 있는 입력키의 제한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By recognizing and simultaneously using each other input mean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in us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input keys of the keypad of the mobile phone and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같이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증 가함에 따라 휴대폰 전용 키보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수단을 추가로 휴대할 필요없이 노트북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상호 공유하도록 하므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인다.In particular, as portable computer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rease, the keyboard of the laptop computer and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utually shared without the need to carry additional input means such as a mobile phone keyboard. Improve work efficiency

Claims (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와 컴퓨터의 키보드에 대한 장치소프트웨어가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각 설치되며, USB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software for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is installed in the computer and the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in the device for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terminal using a US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상기 컴퓨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기능을 갖는 USB 마스터 제어부와;A USB master controller having a master control function for transmitting data input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eypad to the computer or transmitting data input by the computer keyboar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USB 마스터 제어부의 양단에 슬레이브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의 USB 포트와 연결되는 USB 포트로 구성된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USB,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comprising a USB port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slav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mputer at both ends of the USB master control uni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SB 마스터 제어부는 마스터 제어기능을 갖고 내부의 마스터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와;The USB master control unit has a master control function and performs a master control operation therein; 상기 USB 마스터 연결 케이블의 USB 포트로부터 시리얼 데이터를 전송 받아 버퍼링한 후 MCU로 출력하거나 MCU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시리얼로 출력하는 USB 코어와;A USB core for receiving and buffering serial data from a USB port of the USB master connection cable and outputting the buffer to the MCU or buffer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MCU and then outputting the serial signal; 상기 MCU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플래쉬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A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USB,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flash memory for receiving and storing data from the MCU.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USB 코어는 전송받거나 전송하는 데이터의 에러검출 및 디텍션 기능을 수행하여 최적의 검증된 데이터를 처리하고,The USB core performs an error detection and detection function of the data received or transmitted to process optimally verified data, 상기 MCU는 상기 USB 코어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입력된 데이터가 모듈정보요청 명령어인 경우에는, 모듈(Module) 정보를 플래쉬메모리로 부터 읽어들여 상기 USB 코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The MCU receives data from the USB core and, if the input data is a module information request command, reads module information from a flash memory and transfers the module information to the USB core. And an apparatus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USB 마스터 제어부에 대응하는 마스터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부와 USB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고,The master corresponding to the USB master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system software unit and a USB interface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에 대응하는 슬레이브는 USB 디바이스부 및 USB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And a slav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comprises a USB device unit and a USB interface un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시스템 소프트웨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의 제어에 관련 된 제반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The system software unit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USB,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is embedd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슬레이브의 USB 디바이스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에 설치된 장치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USB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The USB device unit of the slave device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mputer using a USB,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cessing the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USB by controlling the device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키보드가 구비된 컴퓨터와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mputer keyboard and a keypad, 상기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병렬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ial data input by a keyboard of the computer and parallel data input by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인식하는 인터페이스부와;An interface unit for recognizing serial data input by a keyboard of a computer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and parallel data input by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각 내장된 시스템소프트웨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컴퓨터와 단말기에서 공유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디바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And a device unit for controlling a system software unit embedded in each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terfacing data recognized by the interface unit to be shared by the computer and the terminal. Device for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시스템소프트웨어부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및 제어에 관련된 제반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The system software unit wirelessly share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interface and control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mbedded.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컴퓨터의 키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상호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sharing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and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컴퓨터의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직렬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단계와;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ial data input by a computer keyboard and parallel data input by a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at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서 송수신된 데이터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호 공유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 및 공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And a data conversion and sharing step of converting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ep by software so as to be shared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컴퓨터의 키보드를 공유하는 경우에, 컴퓨터에서는 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직렬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전송된 직렬데이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In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res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the computer transmits serial data input by the keyboar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the transmitted serial data into parallel data by software and shares the same. Method for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공유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키패드에 의해 입력된 병렬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상기 전송된 병렬데어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When the computer shares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parallel data input by the keypad to the computer, and the computer converts the transmitted parallel data into serial data by software and shares it. A method of sharing input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mputer.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상기 데이터 변환 및 공유단계에서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호신호 또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신호 또는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호신호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In the data conversion and sharing step, when a call signal or a signal for another application is received while sharing data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signal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data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or application program is performed. Method for sharing th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호신호 처리단계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행중인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메모리 저장단계와;The call signal processing step may include a memory storage step of storing data in progress in a compu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호신호 또는 다른 프로그램의 신호에 따른 응답여부를 선택하는 응답선택단계와;A respons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whether to answer the call signal or the signal of another program; 상기 응답선택단계의 선택에 따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처리하는 응답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And a response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the state of the compu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response selection step.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응답선택단계에서 호신호에 응답하면,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모드로 세팅되고, 상기 호신호를 마친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중지되었던 작업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In response to the call signal in the response selection step, the computer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standby mode, and after the call signal is finished by reading the stored data from the memory unit and resumes the job that has been suspended; A method for sharing input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응답선택단계에서 호신호에 응답하지 않으면, 메모리부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중지되었던 작업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방법.And in response to the call signal in the response selection step, reading the stored data from the memory unit to resume the suspended work.
KR1020030032328A 2003-05-21 2003-05-21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KR100917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328A KR100917193B1 (en) 2003-05-21 2003-05-21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328A KR100917193B1 (en) 2003-05-21 2003-05-21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112A KR20040100112A (en) 2004-12-02
KR100917193B1 true KR100917193B1 (en) 2009-09-16

Family

ID=3737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328A KR100917193B1 (en) 2003-05-21 2003-05-21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1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308A (en)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put sharing apparatus and input device sharing method in unbiquitous environment
KR100664186B1 (en) * 2004-12-22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6134A (en) 1997-10-23 1999-05-11 Hitachi Ltd Sharing method of input device
JP2002163226A (en) 2000-11-29 2002-06-07 Toshiba Corp Input device sharing system, input device used in the system, and input device sharing method
KR20040032241A (en) * 2002-10-08 2004-04-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Computer and method for inputting word by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6134A (en) 1997-10-23 1999-05-11 Hitachi Ltd Sharing method of input device
JP2002163226A (en) 2000-11-29 2002-06-07 Toshiba Corp Input device sharing system, input device used in the system, and input device sharing method
KR20040032241A (en) * 2002-10-08 2004-04-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Computer and method for inputting word by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112A (en)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06109B (en)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for running two kinds of plateform systems or application program thereon
KR100481506B1 (en) Personal hand held terminal capable of interfacing information with host and method thereof
EP2466480B1 (en)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JP2002268774A (en) Notebook computer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put and output device to notebook computer
US20060160569A1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02943A (en) Usb device and method to recognize usb mode of the same
US20050060490A1 (en) Apparatus for multiple host access to storage medium
KR20020016430A (en) Multimedia modular card, modular card operating device and incorporated multimedia system
CN102236613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docking
KR100917193B1 (en) Device for sharing input means of mobile phone and computer and thereof method
CN101882110A (en) Method for downloading data and terminal equipment
CN101430671B (en) Mobile terminal peripherals coexisting apparatus
JP5082599B2 (en) Data transfer device
KR20030057250A (en) USB Camera System with Host Function
KR20040013356A (en) Portable terminal using a mobile phone as a peripheral device
CN108572749A (en) A kind of terminal control method and system, setting adaptive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090074320A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exchange using usb
KR20050006484A (en) Compatible usb connecto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it
CN103312900A (en)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through smart mobile phone
KR20050040549A (en) Mobile station for cognizing the external apparatus using the universal serial bus port
KR100586373B1 (en) Usb type data storage device
KR100508120B1 (en) Device for printer output by using universial serial bus of mobile phone
KR100871323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external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10065211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high speed data transfer module and high speed data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KR20050102824A (en) Apparatus for usb connection control using usb connetion control button and method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