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828B1 -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828B1
KR100618828B1 KR1020040037685A KR20040037685A KR100618828B1 KR 100618828 B1 KR100618828 B1 KR 100618828B1 KR 1020040037685 A KR1020040037685 A KR 1020040037685A KR 20040037685 A KR20040037685 A KR 20040037685A KR 100618828 B1 KR100618828 B1 KR 100618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signal
test mode
internal clock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6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4903A (en
Inventor
이재웅
김치욱
강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3003590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0105060A/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10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clock generation or timing circuit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5/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both moving axially and turning about their axis to secure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4Implementation of control logic, e.g. test mod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Abstract

반도체장치들은 제1데이터 율(data rate)로 병렬로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메모리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출력회로는,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한다. 따라서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동작하는 반면에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상기 제2데이터 율로 데이터를 상기 외부 터미널로 출력할 수 있다.Semiconductor devices include a memory cell array that outputs data bits in parallel at a first data rate. An output circuit outputs the data bits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in the normal mode and serially outputs the data bit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the test mode. Accordingly, in the test mode, the memory cell array may operate at the first data rate while the output circuit may output data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Description

테스트 모드에서 더 낮은 율로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동작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종래의 DDR 및 SDR 메모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의 타이밍도이다.1 is a timing diagram of operations performed by conventional DDR and SDR memory devic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 및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 및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멀티플렉서의 회로도이다.4 is a circuit diagram of a multiplex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4의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의 타이밍도들이다.5 and 6 are timing diagrams of operations perform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 및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멀티플렉서의 회로도이다.8 is a circuit diagram of a multiplex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출력버퍼의 회로도이다.9 is a circuit diagram of an output buff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의 타이밍도이다.10 is a timing diagram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embodiments of FIGS. 7 to 9.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 및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출력버퍼의 회로도이다.12 is a circuit diagram of an output buff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들에 의해 수행되는 타이밍도이다.FIG. 13 is a timing diagram performed by the embodiments of FIGS. 11 and 12.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 및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분할기(divider) 회로들의 블록도들이다.15A and 15B are block diagrams of divider circuits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 16은 도 14, 15A, 및 15B의 실시예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의 타이밍도이다.16 is a timing diagram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embodiments of FIGS. 14, 15A, and 15B.

도 1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들의 플로우차트이다.17 is a flowchart of operation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and a method for tes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여러 응용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장치가 DRAM이다.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은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고 독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특히 이중 데이터율(Dual Data Rate, DDR) SDRAM은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와 하강에지 모두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고 독출함으로써 종래의 SDRAM(Single Data Rate(SDR) SDRAM이라 불린다.)보다 고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여기에서 용어 "데이터 율(data rate)"은 한 클럭 싸이클 내에서 메모리장치에 의해 외부 입출력단으로 또는 외부 입출력단으로부터 메모리장치 내부로 전달되는 비트 수를 의미한다.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re used in many applications and the most widely used memory device is DRAM. Synchronous DRAM (SDRAM) is designed to write and read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r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particular, dual data rate (DDR) SDRAMs operate at higher frequencies than conventional SDRAMs (called Single Data Rate (SDR) SDRAMs) by writing and reading data in response to both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clock signal. It is designed to be. The term "data rate" herein refers to the number of bits transferred by the memory device to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or from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to the inside of the memory device in one clock cycle.

도 1은 종래의 SDR SDRAM과 종래의 DDR SDRAM의 동작을 비교하는 타이밍도이다. 이 SDRAM들은 모두 4의 버스트 길이(Burst Length, BL)와 2의 칼럼어드레스 스트로브(CAS) 레이턴시를 갖는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이 4이고 CL이 2인 SDRAM에 대해서, 독출명령(R)에 응답하여 4비트 데이터(Q1-Q3)가 독출되고 데이터(Q1-Q3)의 각 비트는 클럭(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출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기입명령(W)에 응답하여 4비트 데이터가 클럭(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된다.1 is a timing diagram compar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DR SDRAM and a conventional DDR SDRAM. These SDRAMs all have a burst length of 4 and a column address strobe (CAS) latency of 2. Therefore, as shown in FIG. 1, for an SDRAM having a BL of 4 and a CL of 2, 4-bit data Q1-Q3 are read in response to the read command R, and each bit of the data Q1-Q3 is clocked. Output is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CLK. Similarly, 4-bit data is sequentially input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CLK in response to the write command (W).

대조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DR SDRAM에 대해서는, 저장된 데이터(Q0-Q3)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메모리장치로부터 출력된다.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는 클럭신호(CLK)로부터 발생된다. 또한 기입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D0-D3)가 DQS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메모리장치 내에 기입되고 그래서 이중 데이터 율이 얻어진다. SDR SDRAM 및 DDR SDRAM을 포함하는 SDRAM의 설계 및 동작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In contrast, for the DDR SDRAM as shown in Fig. 1, the stored data Q0-Q3 is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in response to the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data strobe signal DQS. The data strobe signal DQS is generated from the clock signal CLK.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write command, data D0-D3 are written into the memory device in response to the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DQS, so a double data rate is obtained. Design and operation of SDRAM, including SDR SDRAM and DDR SDRAM,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herein.

높은 데이터 율에 기인하여, DDR SDRAM과 같은 고주파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SDR SDRAM을 테스트하기 위해 설계된 저주파 테스트 장비를 사용하여 DDR SDRAM과 같은 고주파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는 것은 특히 어려울 수 있다. 예컨데, 미국 특허 5,933,379가 "Method and Circui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ing at High Frequency"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미국 특허 5,933,37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회로는 외부 클럭신호의 레이턴시를 제어하는 레이턴시 제어기, 칼럼어드레스 신호를 발생하는 내부 칼럼어드레스 발생기, 및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회로는, 상기 내부 칼럼어드레스 발생기의 출력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는 칼럼어드레스 디코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셀, 상기 레이턴시 제어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셀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 그리고 데이터 입력버퍼 및 데이터 출력버퍼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부 클럭신호의 주파수의 n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내부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멀티플라이어가 더 제공된다. 위에 언급된 개선에 의해, 종래의 테스트 장비가 고주파 메모리장치들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Due to the high data rate, it can be difficult to test high frequency memory devices such as DDR SDRAM. In addition, testing high frequency memory devices such as DDR SDRAM using low frequency test equipment designed to test SDR SDRAM can be particularly challenging. For example, US Pat. No. 5,933,379 discloses "Method and Circui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ing at High Frequency." As disclosed in US Pat. No. 5,933,379, a circui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es a latenc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atency of an external clock signal, an internal column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lumn address signal, and a mode register for generating a mode signal. do. The circuit for test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lumn address decoder for decoding an output address signal of the internal column address generator, a memory cell for storing data, and data input / output of the memory cell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latency controller.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a data input buffer and a data output buffer. In addition, a frequency multiplier for generating an internal clock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n times the frequency of the external clock signal is further provided. By the above mentioned improvements, conventional test equipment can be used to test high frequency memory devices.

미국특허 6,163,491는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can be inspected even with low speed tester"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6,163,49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싱크로너스 반도체 메모리장치가 짝수 및 홀수 어드레스들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메모리셀들로부터 각각 독출된 제1 및 제2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리페치(prefetch) 선택기를 구비한다. 상기 프리페치 선택기는 정상동작시 클럭주기의 한 주기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페치 선택기는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클럭 주기의 한 주기내에서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 단으로 출력한다.U.S. Patent 6,163,491 discloses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can be inspected even with low speed tester." As disclosed in US Pat. No. 6,163,491, a prefetch selector in which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ceives first and second data read from first and second memory cells corresponding to even and odd addresses, respectively; Equipped. The prefetch selector sequentially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data to the data input / output terminal within one cycle of a clock cycle during normal operation. The prefetch selecto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match in the test mode, and outpu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data input / output terminal within one period of the clock period.

마지막으로 미국특허 6,212,113은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put circuit"을 개시한다. 상기 미국특허 6,212,113에는, 일반적인 메모리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DDR 메모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DDR 메모리장치는 DDR 입력회로, SDR 입력회로, 워드라인 제어회로, 비트라인 제어회로, 및 메모리셀 어레이를 구비한다. DDR 입력회로를 선택함으로써 정상 기입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으며 SDR 입력회로를 선택함으로써 테스트 기입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DDR 메모리장치가 일반적인 SDR 메모리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될 수 있도록 한다.Finally, US Pat. No. 6,212,113 disclose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put circuit." US Patent 6,212,113 discloses a DDR memory device configured to be tested by a general memory test device. The DDR memory device includes a DDR input circuit, an SDR input circuit, a word line control circuit, a bit line control circuit, and a memory cell array. Normal writ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a DDR input circuit and test writ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an SDR input circuit.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DDR memory device to be tested with a typical SDR memory test device.

또한 고주파 메모리장치는 제조공정 변화들에 의해 야기되는 비교적 작은 유효 데이터 윈도우 마진(valid data window margin)을 갖기 때문에, DDR SDRAM과 같은 고주파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DDR SDRAM과 같은 고주파 메모리장치가 DDR SDRAM용 고주파 테스트 장비로 테스트될 수 있을 지라도, 다수개 의 DDR SDRAM 장치들을 병렬로 테스트하는 것은 어렵다.In addition, high frequency memory devices have a relatively small valid data window margin caused by manufacturing process changes, making it difficult to test high frequency memory devices such as DDR SDRAM. Therefore, although high frequency memory devices such as DDR SDRAM can be tested with high frequency test equipment for DDR SDRAM, it is difficult to test a plurality of DDR SDRAM devices in parallel.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테스트 모드에서 유효 출력 데이터 윈도우를 확장하기 위해 테스트 모드에서 더 낮은 율로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for outputting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in order to extend an effective output data window in a test mo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한다. 출력회로는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SUMM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memory cell array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a first data rate. An output circuit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in normal mode and serially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test mode. Is configured to output.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1데이터 율은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 양쪽에 응답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데이터 율은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하여 생성된다. 다른 일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테스 트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cell array is responsive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and the first data rat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both the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clock signal and the second data rat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only one of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another embodiment, the memory cell array is configured to output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the output circuit corresponding in the normal mode.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using a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and in the test mode, at the second data rate using the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And serially output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the external terminal.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1부분을 복제하여 이 복제된 제1부분을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2부분을 복제하여 이 복제된 제2부분을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들 실시예들의 일부에서는,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회로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라인들 상의 독출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데이터 라인들 상의 데이터를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output circuit duplicates the fir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the test mode to output the duplicated first portion in serie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and to provide the plurality of data. Duplicate a second portion of bits to output the duplicated second portion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In particular, in some of these embodiments, the memory cell array is configured to output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wherein the output circuit And 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read data on the first data lines onto second data lines, and an output buffer for serially outputting data on the second data lines to the external terminal.

이들 실시예들의 일부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이웃하는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등화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개의 명령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를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 놓기 위하여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 신호들을 발생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some of these embodiments the multiplexer connects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normal mode and each even first data line in each even mode in the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And connect each odd first data line to each odd second data line in a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In some embodiments, the multiplexer may include a first switch connecting each even-numbered first data line to each even-numbered second data line in the first test mode, and each odd-numbered first in the second test mode. A second switch connecting one data line to each odd second data line, and connecting each odd second data line to each neighboring even second data line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An equalization circuit is provided. A mode register set may also be further provided for generating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and for placing the multiplexer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of the test mode.

다른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크로스 연결(cross-couple)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버퍼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ultiplexer connects each first data line to a respective second data line in the normal mode and connects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first in the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Connect with two data lines and in the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cross-couple each odd and even first data lines to respective even and odd second data lines, respectively. . In these embodiments, the output buffer responds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respond to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of the test mode.

이들 일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크로스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한다. 또한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버퍼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 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 각각 이웃한 한쌍의 레지스터들과 관련되고, 제1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첫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제2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두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는 복수개의 래치들, 및 상기 래치들에 응답하며,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동안에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하나에만 응답하는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to serial converter)를 구비한다.In these embodiments, the multiplexer may include: a first switch connecting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first test mode, and each odd and even number in the second test mode; And a second switch for cross connecting the first data line to each of the even and odd second data lines. In one embodiment, the output buff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registers storing read data on each first data line, each associated with a pair of neighboring registers, and a first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a first clock signal. A plurality of latches for latching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tch and latching data output from a second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a second clock signal, and responding to the latch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s are in the normal mode. And a parallel-to serial converter that responds to signals an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only responds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에 교대로 응답한다. 특히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회로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구비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circuit is configured to respond to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in the test mode, respond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alternately. In particular embodiments, the memory cell array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and the output circuit serializes data to the external terminal. It has an output buffer to output to.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버퍼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다른 하나에만 응답한다.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버퍼는, 각각 의 제1데이터 라인 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 및 각각 이웃한 한쌍의 레지스터들과 관련되고, 제1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첫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제2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두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는 복수개의 래치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래치들에 응답하며,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제1테스트 모드동안에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하나에만 응답하고 상기 제2테스트 모드동안에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다른 하나에만 응답하는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to serial convert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put buffer in response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In the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s responsive, and in the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the other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s different. Answer only one. In one embodiment the output buffer is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registers storing read data on each first data line, and a pair of neighboring registers each, the first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a first clock signal. And a plurality of latches for latching the data output from the second latch and latching the data output from the second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the second clock signal. And in response to the latches, in the normal mode,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and during the first test mode, respond only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and to the second test. During the mode, a parallel-to serial converter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responds to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또 다른 일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한다. 상기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의 주파수는 각각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의 주파수의 절반이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output circuit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n the test mode. The frequency of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s half the frequency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respectively.

또한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테스트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할회로,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할회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분할회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는 제1분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할회로는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는 제2분할기 및 상기 제2분할기에 응답하는 제2지연소자를 구비한다.In addition, a first division circuit for generating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election signal, and the divided edge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election signal. A second division circuit for generating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vision circuit includes a first divider responsiv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ignal, and the second division circuit includes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ignal. And a second divider responsive to and a second delay element responsive to the second divid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메모리셀 어레이를 갖는 반도체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이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된다.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provide a method for opera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emory cell array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a first data 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ata bits are output in series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an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in a normal mode. In the test mode, the plurality of data bits are serially output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 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 및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장치(200)는 제1데이터 율(data rate)(DR1)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셀 어레이(211)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211)의 설계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As shown in FIG. 2, the memory device 200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211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a first data rate DR1. Since the design of the memory cell array 211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출력회로(213)는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외부 터미널(217)로 직렬로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DR1)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DR2)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상기 외부 터미널(217)로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복수의 메모리셀 어레이(211), 복수의 출력회로들(213), 및/또는 복수의 외부 터미널들(217)이 하나의 메모리장치(200) 내에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Referring to FIG. 2, the output circuit 213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t the first data rate in the normal mode and is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DR1 in the test mode.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t a data rate DR2. Meanwhi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lurality of memory cell arrays 211,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213, and / or the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217 may be provided in one memory device 200.

메모리셀 어레이(211)는 대응되는 복수의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으로 제1데이터 율(DR1)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병렬로 출력되는 각 비트에 대해 하나의 제1데이터 라인(212)이 할당된다. 또한 출력회로(213)는, 대응되는 복수의 제2데이터 라인들(214)을 이용하여,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외부 터미널(217)로 직렬로 출력하고 그리고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상기 외부 터미널(217)로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4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212)과 4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214)이 사용될 수 있다.The memory cell array 211 is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DR1 onto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212. Therefore, one first data line 212 is allocated to each bit output in parallel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The output circuit 213 also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t the first data rate in the normal mode using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214. In mode, the plurality of data bits are serially output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For example, four first data lines 212 and four second data lines 214 may be us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 및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회로(313)는 병렬로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1부분을 복제(replicate)하고 그럼으로써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외부 터미널(217)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상기 제1부분을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출력회로(313)는 병렬로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2부분을 복제하고 그럼으로써 테스트 모드에서 제2데이터 율로 외부 터미널(217)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2부분을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output circuit 313 replicates a first portion of a plurality of data bits output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in parallel, thereby exerting an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in the test mode. 217, serially output the fir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The output circuit 313 also duplicates the seco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output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in parallel and thereby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t a second data rate in test mode. Configured to output a second portion of the serial.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셀 어레이(211)는 대응되는 복수의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으로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제1데이터 라인들(212)은 RDIO_0 내지 RDIO_3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제1데이터 라인들(212)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회로(313)는 대응되는 복수의 제2데이터 라인들(DO_0 내지 DO_3) 상으로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의 독출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서(313a)를 구비한다. 출력회로(313)는 또한 외부 터미널(217)로 제2데이터 라인들(DO_0 내지 DO_3) 상의 데이터를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버퍼(313b)를 구비한다. 도 3에는 4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214)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제2데이터 라인들이 사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memory cell array 211 is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a first data rate onto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212. In FIG. 3, the first data lines 212 are represented as RDIO_0 to RDIO_3. However, fewer or more first data lines 212 may be us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output circuit 313 is a multiplexer configured to multiplex read data on the first data lines 212 onto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DO_0 to DO_3. 313a). The output circuit 313 also has an output buffer 313b configured to serially output data on the second data lines DO_0 to DO_3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lthough only four second data lines 214 are shown in FIG. 3, fewer or more second data lines may be used.

멀티플렉서(313a)는 정상 모드(@NORMAL)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RDIO_0 내지 RDIO_3)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DO_0 내지 DO_3)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멀티플렉서(313a)는 제1테스트 모드(@TEST MODE1)에서는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들(RDIO_0,RDIO_2)을 각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0,DO_2) 및 각각의 이웃한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1,DO_3)에 연결한다. 멀티플렉서(313a) 는 제2테스트 모드(@TEST MODE2)에서는 각각의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들(RDIO_1,RDIO_3)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1,DO_3) 및 각각의 이웃한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0,DO_2)에 연결한다. 여기에서는 두가지 테스트 모드들만이 설명되었지만 그 이상의 테스트 모드들이 지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multiplexer 313a is configured to connect each first data line RDIO_0 to RDIO_3 to each second data line DO_0 to DO_3 in the normal mode (@NORMAL). In the first test mode (@TEST MODE1), the multiplexer 313a selects each even-numbered first data lines RDIO_0 and RDIO_2 to each even-numbered second data lines DO_0 and DO_2 and each neighboring odd number. The second data lines DO_1 and DO_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test mode (@TEST MODE2), the multiplexer 313a selects each of the odd first data lines RDIO_1 and RDIO_3 and each of the odd second data lines DO_1 and DO_3 and each of the neighboring even numbers. The second data lines DO_0 and DO_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though only two test modes have been described here, it is obvious that more test modes can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따라서 정상 모드에서는, DDR SDRAM의 데이터 율에 해당하는 제1데이터 율로 출력버퍼(313)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 제1데이터 라인들(RDIO_0 내지 RDIO_3)이 대응되는 제2데이터 라인들(DO_0 내지 DO_3)에 연결된다. 제1테스트 모드 동안에는,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들(RDIO_0 및 RDIO_2)의 데이터가 짝수번째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0 - DO_3) 상으로 복제된다. 그래서 이 데이터가 복제된 형태로 출력버퍼(313b)에 제공되고 그럼으로써 SDR SDRAM 데이터 율에 해당하는 제2데이터 율로 외부 터미널(217)로 출력된다. 제2데이터 율은 제1데이터 율보다 낮다. 마지막으로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들(RDIO_1 및 RDIO_3)의 데이터가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0 - DO_3) 상으로 복제되고 그럼으로써 이 데이터가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출력버퍼(313b)에 제공된다. 따라서 테스트 모드에서는, 출력버퍼(313b)의 출력 데이터(DOUT)의 데이터 윈도우가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데이터 윈도우와 비교하여 확장된다. 그러므로 데이터 윈도우가 확장되었기 때문에 DDR SDRAM이 DDR SDRAM 테스트 장비 및/또는 다수의 SDR SDRAM 테스트 장비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normal mode, the second data lines DO_0 to DO_3 to which the first data lines RDIO_0 to RDIO_3 correspond to output data from the output buffer 313 at the first data rate corresponding to the data rate of the DDR SDRAM. ) During the first test mode, data of even-numbered first data lines RDIO_0 and RDIO_2 are copied onto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second data lines DO_0-DO_3. Thus, this data is provided to the output buffer 313b in a duplicated form, thereby outputting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t a second data rate corresponding to the SDR SDRAM data rate. The second data rate is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Finally, in the second test mode, the data of the odd first data lines RDIO_1 and RDIO_3 are copied onto the odd and even second data lines DO_0-DO_3 so that the data is first data. The second data rate is lower than the rate provided to the output buffer 313b. Therefore, in the test mode, the data window of the output data DOUT of the output buffer 313b is expanded in comparison with the data window of the data read out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Therefore, because the data window has been extended, DDR SDRAM can be tested by DDR SDRAM test equipment and / or multiple SDR SDRAM test equipment.

모드 레지스터 셋트(MRS)(315)는 복수의 명령신호들에 응답하고 멀티플렉서(313a)를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로 놓이게 하는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 신호들(TM1,TM2)을 발생한다. 명령신호들은 로우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 칼럼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ASB), 기입 인에이블 신호(WEB), 및 어드레스 신호들을 포함한다. MRS(3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300) 내부에 포함되기 때문에 테스팅이 페키징 후 수행될 수도 있다.The mode register set (MRS) 315 generates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M1 and TM2 in response to the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and causing the multiplexer 313a to be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 The command signals include a low address strobe signal RASB, a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CASB, a write enable signal WEB, and address signals. Since the MRS 315 is included in the memory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sting may be performed after packaging.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멀티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313a)는 제1테스트 모드(TM1)에서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RDIO_0,RDIO_2)을 각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DO_0, DO_2)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스위치(420)를 구비한다. 제2스위치(430)는 제2테스트 모드(TM2)에서 각각의 홀번째 제1데이터 라인(RDIO_1, RDIO_3)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DO_1, DO_3)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등화회로(440)는 제1 및 제 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DO_1, DO_3)을 각각의 이웃한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DO_0, DO_2)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에 독출된 제1독출 데이터(RDIO_0,RDIO_2)는 제1테스트 모드 신호(TM1)에 응답하여 제2데이터 라인들(214) 상의 제2독출 데이터(DO_0, DO_2)로 각각 전달된다. 동시에, 등화회로(440)는 짝수/홀수번째 제2독출 데이터(DO_0/1, DO_2/3)의 각 쌍이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도록 활성화되고, 반면에 제2테스트 모드 신호(TM2)를 수신하는 제2스위치(430)는 비활성화된다. 홀수번째 독출 데이터(RDIO_1, RDIO_3)도 위와 유사 하게 처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출력 데이터(DOUT)의 유효 데이터 윈도우가 정상 모드에 비해 두배로 확장될 수 있다. 정상 모드시에 등화회로(440)는 비활성화된다.4 is a circuit diagram of a multiplex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As shown in FIG. 4, the multiplexer 313a connects each of the even-numbered first data lines RDIO_0 and RDIO_2 to each of the even-numbered second data lines DO_0 and DO_2 in the first test mode TM1. The first switch 420 is configured to be. The second switch 430 is configured to connect each of the odd first data lines RDIO_1 and RDIO_3 to each of the odd second data lines DO_1 and DO_3 in the second test mode TM2. The equalization circuit 440 is configured to connect each odd second data line DO_1, DO_3 to each neighboring even second data line DO_0, DO_2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Therefore, the first read data RDIO_0 and RDIO_2 read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on the first data lines 212 are disposed on the second data lines 214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TM1. The data is transmitted as the second read data DO_0 and DO_2,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equalization circuit 440 is activated such that each pair of even / odd second read data DO_0 / 1, DO_2 / 3 i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while receiving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M2. 2 switch 430 is deactivated. The odd-numbered read data RDIO_1 and RDIO_3 may also be processed similarly to the above, and thus the valid data window of the output data DOUT may be twice as large as in the normal mode. In the normal mode, the equalization circuit 440 is deactivated.

도 5는 도 3 및 4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정상 모드 및 테스트 모드의 타이밍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모드에서 독출 데이터(D0-D3)는 유효 데이터 윈도우(W1)를 갖고 클럭신호(CLK)의 상승 및 하강에지들에 응답하여 외부 터미널(DOUT)로 전달된다. 또한 짝수 및 홀수번째 데이터(DO_0/2, DO_1/3)는 테스트 모드에서 확장된 데이터 윈도우(W2)를 갖고 각각 외부 클럭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외부 터미널(DOUT)로 전달된다.5 is a timing diagram of a normal mode and a test mode for reading data from a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As shown in FIG. 5, in the normal mode, the read data D0-D3 have a valid data window W1 and ar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DOUT in response to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clock signal CLK. In addition, the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data DO_0 / 2 and DO_1 / 3 have an extended data window W2 in the test mode and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DOUT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도 6은 도 3-5의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회로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타이밍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 클럭신호(CDQ_F)는 클럭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제2내부 클럭신호(CDQ_S)는 클럭신호(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정상 모드에서, 출력 데이터(D0-D3)는 클럭신호(CLK)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대응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하여 외부 터미널(DOUT)로 전달된다.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짝수 및 홀수번째 데이터가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기 때문에 출력 데이터(D0,D2)는 확장된 데이터 윈도우를 갖고 외부 터미널(DOUT)로 전달된다. 제2테스트 모드에서도 출력 데이터(D1,D3)에 대해 유사한 동작들이 제공된다.6 is a detailed timing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output circui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3-5. As illustrated in FIG. 6,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In the normal mode, the output data D0-D3 may receive the external terminal DOUT in response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correspon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edges of the clock signal CLK. Is delivered. In the first test mode, the output data D0 and D2 are passed to the external terminal DOUT with an extended data window because the even and odd data are kept at the same level. Similar operations are provided for the output data D1 and D3 in the second test mode.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장치들 및 동작방법들을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들에서는, 메모리셀 어레이(211)는 상승에지 및 하강 에지를 갖는 클럭신호(CLK)에 응답한다. 출력회로(733)는 정상 모드시 클럭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한다. 그러나 테스트 모드에서는, 출력회로는 제1내부 클럭신호 또는 제2내부 클럭신호중 하나에만 응답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비트들은 테스트 모드에서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출력될 수 있다.7 to 10 illustrate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embodiments, the memory cell array 211 responds to a clock signal CLK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The output circuit 733 i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swer. However, in the test mode, the output circuit only responds to either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or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Therefore, the data bits may be output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the test mode.

특히 이들 실시예들에서는, 출력회로(733)는 정상 모드(@NORMAL)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212)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214)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렉서(733a)를 구비한다. 제1테스트 모드(@TEST MODE1)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212)이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214)에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제2테스트 모드(@TEST MODE2)에서는 각각의 홀수 및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들(212)이 각각의 짝수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214)로 크로스(cross) 연결된다.In particular in these embodiments, the output circuit 733 has a multiplexer 733a configured to connect each first data line 212 to each second data line 214 in a normal mode (@NORMAL). do. In the first test mode (@TEST MODE1), each first data line 212 is connected to each second data line 214. Finally, in the second test mode (@TEST MODE2), each of the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first data lines 212 is cross-connected to each of the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second data lines 214.

또한 출력회로(733)에는 출력버퍼(733b)가 포함된다. 출력버퍼(733b)는 정상 모드에서 클럭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클럭신호(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한다. 테스트 모드에서는 즉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출력버퍼(733b)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중 하나에만 응답한다. 어느 실시예들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버퍼(733b)가 테스트 모드에서 제1내부 클럭신호(CDQ_F)에만 응답하고 제2내부 클럭신호(CDQ_S)는 디스에이블된다.The output circuit 733 also includes an output buffer 733b. The output buffer 733b receives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in the normal mode. CDQ_S). In the test mode, that is,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the output buffer 733b only responds to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7, the output buffer 733b responds only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n the test mode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s disabled.

따라서 도 7은 출력버퍼(733b)의 출력 데이터(DOUT)의 유효 데이터 윈도우가 어떻게 소정의 값 만큼 확장되는 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출력 데이터(DOUT)의 유효 데이터 윈도우는, 테스트 모드에서 제2내부 클럭신호(CDQ_S)를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출력된 독출 데이터(RDIO_0 - RDIO_3)의 유효 데이터 윈도우에 비해 2배가 된다. 그러므로, 출력버퍼(733b)는 독출 데이터(DO_0 -DO_3)가 확장된 유효 데이터 윈도우를 갖고 외부 터미널(217)로 출력되도록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의해서는 동작되지 않는다.7 shows how the valid data window of the output data DOUT of the output buffer 733b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value. The valid data window of the output data DOUT is set to the valid data window of the read data RDIO_0-RDIO_3 output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by disabling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n the test mode. Twice as much. Therefore, the output buffer 733b is not operated by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such that the read data DO_0-DO_3 have an extended valid data window and are output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멀티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733a)는 정상 모드 및 제1테스트 모드(TM1)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RDIO_0 - RDIO_3)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DO_0 - DO_3)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스위치(820)를 구비한다. 제2스위치(830)는 제2테스트 모드(TM2)에서 각각의 홀수 및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들을 각각의 짝수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로 크로스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독출된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의 제1독출 데이터(RDIO_0 - RDIO_3)가 제1테스트 모드 신호(TM1)에 응답하여 제2데이터 라인들(214, DO_0 - DO_3)로 각각 전달된다. 또한, 메모리셀 어레이(211)로부터 독출된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의 제1독출 데이터(RDIO_0 - RDIO_3)의 각각은 제2테스트 모드 신호(TM2)에 응답하여 이웃하는 제2데이터 라인들(214, DO_1/DO_0, DO_3/DO_2)로 각각 전달된다. 8 is a circuit diagram of a multiplex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As shown in FIG. 8, the multiplexer 733a connects respective first data lines RDIO_0-RDIO_3 to respective second data lines DO_0-DO_3 in the normal mode and the first test mode TM1. The first switch 820 is configured to be. The second switch 830 is configured to cross connect respective odd and even first data lines to respective even and odd second data lines in the second test mode TM2. Therefore, the first read data RDIO_0-RDIO_3 on the first data lines 212 read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responds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TM1 to the second data lines 214 and DO_0-. Each to DO_3).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read data RDIO_0-RDIO_3 on the first data lines 212 read from the memory cell array 211 may be adjacent to the second data lines TM2 in response to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M2. Are passed to (214, DO_1 / DO_0, DO_3 / DO_2), respectively.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출력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버퍼(733b)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910a -910d)을 포함하고 이 레지스터들 각각은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212) 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래치(920a)는 이웃한 2개의 레지스터들(910a/910b)과 관련되고 래치(920b)는 이웃한 2개의 레지스터들(910c/910d)와 관련된다. 각각의 래치(920a,920b)는 제1내부 클럭신호(1st FCLK, 2nd FCLK)에 응답하여 첫번째 이웃한 레지스터(910a,910c)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그리고 제2내부 클럭신호(1st SCLK, 2nd SCLK)에 응답하여 두번째 이웃하는 레지스터(910b,910d)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멀티플렉서(930)로 구성되는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to serial converter)는 래치들(920a,920b)에 응답하고 정상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에 응답한다. 멀티플렉서(930)는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동안에는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하나에만 응답한다.9 is a circuit diagram of an output buffe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As shown in FIG. 9, the output buffer 733b includes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registers 910a-910d, each of which is configured to store read data on each first data line 212. . Latch 920a is associated with two neighboring registers 910a / 910b and latch 920b is associated with two neighboring registers 910c / 910d. Each latch 920a and 920b latches data output from the first neighboring registers 910a and 910c in response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s 1st FCLK and 2nd FCLK,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1st SCLK, 2nd SCLK) to latch data output from the second neighboring registers 910b and 910d. A parallel-to serial converter, which consists of a multiplexer 930, responds to latches 920a and 920b and, in the normal mode, to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The multiplexer 930 only responds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좀더 상세하게는, 제2데이터 라인들(214) 상의 제2독출 데이터(DO_0 -DO_3)는 내부 클럭신호(INTCLK)에 응답하여 병렬로 레지스터들(910a - 910d)로 전달된다. 레지스터들(910a,910b)에 저장된 데이터(DO_0,DO_1)는 제1상승 및 제1하강 클럭(1st FCLK 및 1st SCLK)의 발생에 응답하여 제1래치(920a)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반면에 레지스터들(910c,910d)에 저장된 데이터(DO_2,DO_3)는 정상 모드에서 제2상승 및 제2하강 클럭(2nd FCLK 및 2nd SCLK)의 발생에 응답하여 제2래치(920b)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데이터(DO_0 -DO_3)는 정상 모드에서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F, CDQ_S)에 응답하여 외부 터미널(217)로 출력된다. 그러나 테스트 모드에서는, 두 레지스터들(910a,910b)에 저장된 데이터(DO_0,DO_1)가 제1상승 및 제1하강 클럭(1st FCLK 및 1st SCLK)의 발생에 응답하여 제1래치(920a)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단지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만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데이터(DO_0)만이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을 갖고 외부 터미널(217)로 전달된다. 또한 두 레지스터들(910c,910d)에 저장된 데이터(DO_2,DO_3)가 제2상승 및 제2하강 클럭(2nd FCLK 및 2nd SCLK)의 발생에 응답하여 제2래치(920b)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데이터(DO_2)만이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을 갖고 외부 터미널(217)로 전달된다. 즉 데이터(DO_2)를 위한 다음 상승 클럭(CDQ_F)이 입력될 때까지 데이터(DO_0)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유효 데이터 윈도우가 확장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read data DO_0-DO_3 on the second data lines 214 are transferred to the registers 910a-910d in parallel in response to the internal clock signal INTCLK. The data DO_0 and DO_1 stored in the registers 910a and 910b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first latch 920a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first rising and first falling clocks 1st FCLK and 1st SCLK. On the other hand, the data DO_2 and DO_3 stored in the registers 910c and 910d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second latch 920b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rising and falling clocks 2nd FCLK and 2nd SCLK in the normal mode. Delivered. Therefore, the data DO_0-DO_3 are output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sequentially activated in the normal mode. However, in the test mode, the data DO_0 and DO_1 stored in the two registers 910a and 910b sequentially move to the first latch 920a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first rising and falling clocks 1st FCLK and 1st SCLK. Although only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s activated, only the data DO_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with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addition, even though the data DO_2 and DO_3 stored in the two registers 910c and 910d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second latch 920b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rising and second falling clocks 2nd FCLK and 2nd SCLK, Only data DO_2 is transferred to external terminal 217 with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That is, the data DO_0 is output until the next rising clock CDQ_F for the data DO_2 is input. Therefore, the valid data window is expanded.

제1독출 데이터(RDIO_1,3) 각각은 제2테스트 모드(TM2)에서 제2독출 데이터(DO_0,2)로 전달된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DO_0,2)는 확장된 데이터 윈도우를 갖고 외부 터미널(217)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데이터(RDIO_1 - RDIO_3) 모두가 두 테스트 모드(TM1,TM2)에서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또한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TM1,TM2) 동안에 하강 클럭(CDQ_S)을 디스에이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논리회로(940)를 도시하고 있다.Each of the first read data RDIO_1 and 3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read data DO_0 and 2 in the second test mode TM2. Data DO_0,2 is then passed to external terminal 217 with an extended data window. Therefore, both data RDIO_1-RDIO_3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in both test modes TM1 and TM2. 9 also shows a logic circuit 940 that can be used to disable the falling clock CDQ_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TM1 and TM2.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들에서 정상 모드 및 테스트 모드 동안에 출력 데이터의 발생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모드 동안에 출력회로(733)는 클럭 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클럭 신호(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하여 제1데이터 율로 외부 터미널(217)에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D0-D3)를 직렬로 출력한다. 테스트 모드 동안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회로(733)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한다. 여기에서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에 응답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제1테스트 모드 동안에는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0 및 DO_2) 상의 데이터가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출력된다.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들(DO_1 및 DO_3) 상의 데이터가 짝수번째 테스트 라인들로 전달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동작들이 제2테스트 모드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데이터(D1,D3)가 출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테스트 모드의 동작은 제1테스트 모드의 동작과 동일하다.FIG. 10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on of output data during the normal mode and the test mode in the embodiments of FIGS. 7 to 9. As shown in FIG. 10, during the normal mode, the output circuit 733 responds to the falling edg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clock signal CLK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a plurality of data bits D0 through D3 are serially output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at the first data rate. During the test mode, as shown in FIG. 10, the output circuit 733 responds to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Here, a case in which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s responded to is illustrated. During the first test mode, data on even-numbered second data lines DO_0 and DO_2 are output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the same operations are performed in the second test mode except that data on odd-numbered second data lines DO_1 and DO_3 are transferred to even-numbered test lines. Therefore, except that data D1 and D3 are outpu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est mode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est mode.

도 11-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장치들 및 동작방법들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들에서는 출력회로는 정상 동작모드에서 클럭 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클럭 신호(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한다. 출력회로는 테스트 모드에서는 제1내부클럭 신호 및 제2내부 클럭신호에 교대로 응답한다.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메모리셀 어레이(211)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으로 제1데이터 율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병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출력회로는 외부 터미널(217)로 데이터를 직렬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버퍼(1143)를 구비한다.11-13 illustrate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embodiments, the output circuit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a second internal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Respond to the clock signal CDQ_S. The output circuit alternately responds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n the test mode.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11, the memory cell array 211 is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on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212 at a first data rate. The output circuit has an output buffer 1143 configured to output data in series to the external terminal 217.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메모리셀 어레이(211)는 상승에지들과 하강에지들을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한다. 출력버퍼(1143)는 정상 모드 동안에는 클럭 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클럭 신호(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한다. 제1테스트 모 드(TM1)에서는, 출력버퍼(1143)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한다. 여기에서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에 응답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제2테스트 모드(TM2)에서는, 출력버퍼(1143)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중 다른 하나에만 응답한다. 여기에서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11, the memory cell array 211 responds to a clock signal having rising edges and falling edges. The output buffer 1143 may include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LK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during the normal mode. CDQ_S). In the first test mode TM1, the output buffer 1143 responds to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Here, a case in which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s responded to is illustrated. In the second test mode TM2, the output buffer 1143 only responds to the other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Here, a case in which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s responded to is illustrated.

그러므로 도 11에서 출력버퍼(1143)의 출력 데이터(DOUT)의 유효 데이터 윈도우는 테스트 모드에서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S)를 교대로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들에서는 제2테스트 모드에서 제1내부 클럭신호(CDQ_F)가 디스에이블되고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가 디스에이블된다. 그러므로, 독출 데이터가 확장된 윈도우를 갖고 출력될 수 있다.Therefore, in FIG. 11, the valid data window of the output data DOUT of the output buffer 1143 may be extended by alternately disabling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n the test mode. .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s disabled in the second test mode,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s disabled in the first test mode. Therefore, the read data can be output with an extended window.

도 12는 도 11의 출력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버퍼(1143)는 제1데이터 라인들 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1210a-1210d)를 구비한다. 래치(1220a)는 이웃한 2개의 레지스터들(1210a/1210b)과 관련되고 래치(1220b)는 이웃한 2개의 레지스터들(1210c/1210d)와 관련된다. 래치(1220a)는 제1상승 및 제1하강 클럭신호(1st FCLK, 1st SCLK)에 응답하여 첫번째 이웃한 레지스터(1210a,1210b)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래치(1220b)는 제2상승 및 제2하강 클럭신호(2nd FCLK, 2nd SCLK)에 응답하여 두번째 이웃한 레지스터(1210c,1210d)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도록 구성된다.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to-serial converter)(1230)는 정상 모드에서는 래치들(1220a,1220b)에 응답하고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CDQ_F,CDQ_S)에 응답한다. 병렬-직렬 변환기(1230)는 제1테스트 모드(TM1)동안에는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하나에만 응답하고 제2테스트 모드(TM2)동안에는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다른 하나에만 응답한다. 도 12에는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되는 논리회로들(1230,1250)이 도시되어 있다.1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output buffer of FIG. As shown in FIG. 12, the output buffer 1143 has a plurality of registers 1210a-1210d configured to store read data on the first data lines. The latch 1220a is associated with two neighboring registers 1210a / 1210b and the latch 1220b is associated with two neighboring registers 1210c / 1210d. The latch 1220a is configured to latch data output from the first neighboring registers 1210a and 1210b in response to the first rising and first falling clock signals 1st FCLK and 1st SCLK. The latch 1220b is configured to latch data output from the second neighboring registers 1210c and 1210d in response to the second rising and second falling clock signals 2nd FCLK and 2nd SCLK. Parallel-to-serial converter 1230 responds to latches 1220a and 1220b in normal mode and to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The parallel-to-serial converter 1230 responds to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during the first test mode TM1 and 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during the second test mode TM2. Only responds. FIG. 12 shows logic circuits 1230 and 1250 configured to disable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n the second test mode and to disable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n the first test mode. It is.

도 13은 도 11 및 12의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타이밍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모드에서 출력회로는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F',CDQ_S')에 응답한다.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또는 CDQ_F')는 클럭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고 제2내부 클럭신호(CDQ_S 또는 CDQ_S')는 클럭신호(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한다.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가 디스에이블되고 출력회로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에만 응답한다.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출력회로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만 응답한다. 그러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터(1210a,1210b)에 저장된 데이터(DQ_0, DQ_2)는 제1 및 제2상승 클럭신호(1st FCLK, 2nd FCLK)에 응답하여 래치들(1220a,1220b)로 전달된다. 그후, 데이터(DQ_0)는 데이터(DO_2)가 출력되는 시점인 제1내부 클럭신호(CDQ_F')의 다음 상승까지 출력된다.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레지스터들(1210b,1210d)에 저장된 홀수 데이터(DO_1,DO_3)가 제1 및 제2하강 클럭신호들(1st SCLK, 2nd SCLK)에 응답하여 래치들(1220a,1220b)로 전달된다. 그래서 데이터(DO_1)은 데이터(DO_3)가 출력 되는 시점인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의 다음 상승까지 출력된다. 그러므로 홀수 데이터 및 짝수 데이터에 대한 유효 데이터 윈도우가 확장된다.FIG. 13 is a timing diagram perform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1 and 12. As shown in FIG. 13, in the normal mode, the output circuit responds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or CDQ_F 'responds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or CDQ_S' responds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In the first test mode,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is disabled and the output circuit responds only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In the second test mode, the output circuit only responds to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the data DQ_0 and DQ_2 stored in the registers 1210a and 1210b are transferred to the latches 1220a and 1220b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rising clock signals 1st FCLK and 2nd FCLK. Delivered. Thereafter, the data DQ_0 is output until the next ris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 which is the point at which the data DO_2 is output. In the second test mode, the odd data DO_1 and DO_3 stored in the registers 1210b and 1210d are transferred to the latches 1220a and 1220b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falling clock signals 1st SCLK and 2nd SCLK. Delivered. Therefore, the data DO_1 is output until the next rise of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 which is the point at which the data DO_3 is output. Therefore, the valid data window for odd data and even data is expanded.

도 14-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장치들 및 동작 방법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들에서는, 출력회로는 정상 모드에서 클럭 신호(CLK)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클럭 신호(CLK)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한다. 출력회로는 테스트 모드에서는 제1내부클럭 신호(CDQ_F)로부터 발생된 분할된(divided)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S)로부터 발생된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 및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의 주파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제2내부 클럭신호의 주파수의 절반이다.14-16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In these embodiments, the output circuit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a second internal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CLK in the normal mode. Respond to the clock signal CDQ_S. In the test mode, the output circuit divides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 generated from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Answer (CDQ_S '). In some embodiments, the frequency of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s half the frequency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특히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FIFO(First In First Out) 레지스터(1460)가 제1데이터 라인들(212) 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출력버퍼(1463)는 정상 모드동안에는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CDQ_F,CDQ_S)에 응답한다. 그러나 테스트 모드(TM) 동안에는 출력버퍼(1463)는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에 응답한다. 그러므로 클럭의 주파수는 테스트 모드에서 예컨대 절반으로 분할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4, in some embodiments a First In First Out (FIFO) register 1460 is used to store data on the first data lines 212. The output buffer 1463 responds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during the normal mode. However, during the test mode TM, the output buffer 1463 responds to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Therefore, the frequency of the clock can be divided, for example, in half in test mode.

그러므로 출력버퍼(1463)의 출력 데이터(DOUT)의 유효 데이터 윈도우는 테스트 모드에서 내부 클럭신호들(CDQ_F 및 CDQ_S)의 주파수를 분할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즉, 내부 클럭신호들(CDQ_F 및 CDQ_S)의 주파수는 테스트 모드 신호(TM)에 응답하여 낮은 주파수로 분할될 수 있다. 테스트 모드 신호(TM)는 복수개의 명령신호들(RASB,CASB,WEB) 및 어드레스 신호들을 수신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MRS)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스트 모드 동안에 출력 데이터의 데이터 윈도우가 확장될 수 있다.Therefore, the valid data window of the output data DOUT of the output buffer 1463 can be extended by dividing the frequencies of the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in the test mode. That is, the frequencies of the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may be divided into low frequencies in response to the test mode signal TM. The test mode signal TM may be generated from the mode register set MRS that receives the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RASB, CASB, and WEB and address signals. Therefore, the data window of the output data can be expanded during the test mode.

도 15A 및 15B는 테스트 모드 동안에 내부 클럭신호들로부터 분할된 내부 클럭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할 회로들의 블록도들이다. 특히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할 회로(1500a)는 제1내부 클럭신호(CDQ_F) 및 테스트 모드 선택신호(TM)에 응답하여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CDQ_F')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할 회로(1500b)는 제2내부 클럭신호(CDQ_S) 및 테스트 모드 선택신호(TM)에 응답하여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CDQ_S')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15A and 15B are block diagrams of division circuits used to generate internal clock signals divided from internal clock signals during a test mod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5A, the first division circuit 1500a generates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 in response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test mode selection signal TM. It is composed. As shown in FIG. 15B, the second division circuit 1500b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 in response to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and the test mode selection signal TM. do.

특히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제1분할 회로(1500a)는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는 제1분할기(1510)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제2분할 회로(1500b)는 클럭신호의 하강에지 및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는 제2분할기(1520) 및 제2분할기(1520)에 응답하는 지연기(1530)를 포함한다. 지연기(1530)는, 외부 터미널(217)에서 출력 데이터가 확장된 유효 데이터 윈도우를 갖고 출력되도록,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CDQ_F')와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CDQ_S') 사이의 상승에지의 타임간격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5A, in some embodiments, first divider circuit 1500a includes a first divider 1510 responsiv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ignal.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divider 1500b includes a second divider 1520 responsiv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delay 1530 responsive to the second divider 1520. . The delay unit 1530 is provided between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CDQ_F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CDQ_S' such that the output data is output from the external terminal 217 with an extended valid data window. It is used to increase the time interval of rising edge of.

도 16은 도 14, 15A, 및 15B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14, 15A, 및 15B를 참조하면, 데이터(RDIO_0 -RDIO_3)가 FIFO 레지스터(1460)에 저장되고 다음에 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버퍼(1463)로 전달된다. 그후, 출력버퍼(1463) 내의 모든 데이터가 정상 모드에서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F 및 CDQ_S)에 응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테스트 모드에서는, 출력버퍼(1463)는 분할된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CDQ_F' 및 CDQ_S')에 응답하여 독출 데이터(D0-D3)를 외부로 출력한다. 그 결과 유효 데이터 윈도우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모드에서는, 메모리셀 어레이는 정상 모드에서와 같이 완전(full) 속도로 동작하는 반면에 출력버퍼는 메모리셀 어레이의 동작속도의 반에 해당하는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16 is a timing diagram of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s of FIGS. 14, 15A, and 15B. 14, 15A, and 15B, data RDIO_0-RDIO_3 are stored in FIFO register 1460 and then transferred to output buffer 1463 in response to an internal clock signal. Thereafter, all data in the output buffer 1463 are output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in the normal mode. In the test mode, the output buffer 1463 outputs the read data D0-D3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divided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CDQ_F 'and CDQ_S'. As a result, the valid data window can be expanded. Therefore, in the test mode, the memory cell array may operate at full speed as in the normal mode, while the output buffer may operate at half the operating speed of the memory cell array.

도 1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들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동작들은 상술된 도 2 내지 도 16의 실시예들중 어느 것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710)에서 정상 모드가 선택되면 블록(1720)에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이 제1데이터 율로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된다. 블록(1730)에서 테스트 모드가 선택되면, 블록(1740)에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이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외부 터미널로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들은 상술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도 2, 3-6, 7-10, 11-13, 및/또는 14-16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17 is a flowchart of operation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operations may be performed using any of the embodiments of FIGS. 2-16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7, when a normal mode is selected in block 1710, a plurality of data bits are output in series from a memory cell array to an external terminal at a first data rate in block 1720. When the test mode is selected in block 1730, a plurality of data bits are output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block 1740. Such operations may be performed using the embodiments of FIGS. 2, 3-6, 7-10, 11-13, and / or 14-16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동작방법은 테스트 모드에서 정상 모드에 비해 더 낮은 율로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함으로써 테스트 모드에서 유효 출력 데이터 윈도우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할 때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해 지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effective output data window in the test mode by outputting data bits at a lower rate than the normal mode in the test mod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ccurate testing is possible when tes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laims (32)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메모리셀 어레이; 및A memory cell array outputting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a first data rate; And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출력회로를 구비하고,An output for serially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an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in a normal mode and an output for serially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a test mode With a circuit,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1부분을 복제(replicate)하여 이 복제된 제1부분을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2부분을 복제하여 이 복제된 제2부분을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circuit, in the test mode, replicates the fir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output the replicated first portion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and to output the plurality of data bits. And duplicating the second portion and outputting the duplicated second portion in serie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responds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제1데이터 율은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 양쪽에 응답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데이터 율은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Wherein the first data rat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both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second data rat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only one of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circuit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us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second data lines in the normal mode, and in the test mode, the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And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responds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circuit is configured to respond to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in the test mode. And responding to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responds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에 교대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circuit is configured to respond to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in the test mode. And an internal clock signal and an internal clock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responds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circuit is configured to respond to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in the test mode. And a first divide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a second divide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상기 출력회로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라인들 상의 독출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데이터 라인들 상의 데이터를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circuit may include a multiplexer multiplexing read data on the first data lines onto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and an output buffer serially outputting data on the second data lines to the external terminal. And a semiconductor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ultiplexer connects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normal mode, and each even first data line to each even number in the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And connecting each odd first data line to each odd second data line in a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메모리셀 어레이;A memory cell array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on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at a first data rate;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고 그리고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고,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라인들 상의 독출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데이터 라인들 상의 데이터를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포함하는 출력회로; 및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in the normal mode, and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the external terminal serially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the test mode. And 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read data on the first data lines onto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and an output buffer for serially outputting data on the second data lines to the external terminal. Circuit; And 복수개의 명령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를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 놓기 위하여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 신호들을 발생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를 구비하고,A mode register set responsive to a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and generating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o place the multiplexer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of the test mode,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이웃하는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등화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multiplexer connects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normal mode and each even first data line to each even second data line in the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Connect each odd first data line to each odd second data line in the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and the multiplexer each even first data in the first test mode. A first switch connecting a line to each even second data line, a second switch connecting each odd first data line to each odd second data line in the second test mode, and the first switch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connect each odd second data line to each neighboring even second data line.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equalization circui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복수개의 명령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를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 놓기 위해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 신호들을 발생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And a mode register set responsive to a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and generating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for placing said multiplexer in said first and second test modes of said test mode. Device.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메모리셀 어레이;A memory cell array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on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at a first data rate;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고 그리고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고,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라인들 상의 독출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데이터 라인들 상의 데이터를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포함하는 출력회로; 및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in the normal mode, and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to the external terminal serially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the test mode. And 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read data on the first data lines onto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and an output buffer for serially outputting data on the second data lines to the external terminal. Circuit; And 복수개의 명령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를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 놓기 위해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 신호들을 발생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를 구비하고,A mode register set for generating a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and for placing the multiplexer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of the test mode,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의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크로스 연결(cross-coupl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multiplexer connects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normal mode, and connects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And in the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cross-couple each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first data line to each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second data lin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2,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is responsive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출력버퍼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buffer in response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the first mode of the test mode. And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respond to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ultiplexer, 상기 제1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및A first switch connecting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first test mode; And 상기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크로스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And a second switch for cross-connecting each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first data line to each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second data line in the second test mo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버퍼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utput buffer,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 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A plurality of registers for storing read data on each first data line; 각각 이웃한 한쌍의 레지스터들과 관련되고, 제1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첫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제2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두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는 복수개의 래치들; 및A plurality of latches each associated with a pair of neighboring registers, latching data output from the first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signal and latching data output from the second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the second clock signal field; And 상기 래치들에 응답하며,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동안에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하나에만 응답하는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to serial convert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In response to the latches, 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in the normal mode and responding to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arallel-to serial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고,The memory cell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a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상기 출력회로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And the output circuit comprises an output buffer for serially outputting data to the external termin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17. The memory cell of claim 16,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is responsive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출력회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2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다른 하나에만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circuit is configured to respond to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to generate a first test signal in the test mode. In a test mode,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may be responded to, and in the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may be responded to. A semiconductor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버퍼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output buffer,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 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레지스터들;A plurality of registers for storing read data on each first data line; 각각 이웃한 한쌍의 레지스터들과 관련되고, 제1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첫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고 제2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두번째 이웃한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는 복수개의 래치들; 및A plurality of latches each associated with a pair of neighboring registers, latching data output from the first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signal and latching data output from the second neighboring register in response to the second clock signal field; And 상기 래치들에 응답하며,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제1테스트 모드동안에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하나에만 응답하고 상기 제2테스트 모드동안에는 상기 제1 및 제2내부 클럭신호들중 다른 하나에만 응답하는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to serial convert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In response to the latches, in the normal mode,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and in response to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during the first test mode; And a parallel-to serial converter which responds only to the other one of said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s.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복수개의 명령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출력버퍼를 상기 테스트 모드의 상기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에 놓기 위해 제1 및 제2테스트 모드 신호들을 발생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And a mode register set for generating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and for placing the output buffer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s of the test mode. Semiconductor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17. The memory cell of claim 16,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is responsive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출력버퍼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 및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output buffer is divided in the test mode in response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the normal mode. And responding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의 주파수는 각각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의 주파수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The semiconductor of claim 20, wherein a frequency of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s half of a frequency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respectively. Device.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복수개의 명령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출력버퍼를 상기 테스트 모드에 놓기 위해 테스트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And a mode register set responsive to a plurality of command signals and generating a test mode signal for placing said output buffer in said test mode.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테스트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1분할회로; 및A first division circu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s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test mode selection signal; And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제2분할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And a second division circu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election signal.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회로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는 제1분할기를 포함하고,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first division circuit includes a first divider responsive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ignal, 상기 제2분할회로는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 및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는 제2분할기 및 상기 제2분할기에 응답하는 제2지연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And the second division circuit includes a second divider responsive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test mode signal, and a second delay element responsive to the second divider.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는 메모리셀 어레이를 갖는 반도체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opera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emory cell array that outputs a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a first data rate, the method comprising: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 및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an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in a normal mode; And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In the test mod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a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In the test mod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may include: 병렬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1부분을 복제하여 이 복제된 제1부분을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 및Replicating a fir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output from the memory cell array in parallel and outputting the duplicated first portion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And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의 제2부분을 복제하여 이 복제된 제2부분을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외부 터미널로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Duplicating a seco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and outputting the duplicated second portion seriall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in the normal mode comprises: responsive to rising and falling edges of a clock signal from the memory cell array at the first data rate in the normal mod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to an external terminal,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의 하나에만 응답하여,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outputting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in the test mode may include: in response to only one of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the memory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in the test mode. And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a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삭제delet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27. The memory cell of claim 25,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is responsive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outputting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in the normal mode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respons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중 어느 하나에만 응답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outputting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in the test mode may include: responsive to only one of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a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27. The memory cell of claim 25,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is responsive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outputting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in the normal mode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respons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에 교대로 응답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outputting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in the test mode may include alternately responding to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and the memory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a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갖는 클럭신호에 응답하고,27. The memory cell of claim 25,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is responsive to a clock signal having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outputting of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in the normal mode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In respons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first data rate;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내부 클럭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분할된 제1내부 클럭신호 및 상기 제2내부 클럭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분할된 제2내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데이터 율보다 낮은 상기 제2데이터 율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로부터 상기 외부 터미널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test mod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may include: a divided first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internal clock signal and a divided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internal clock signal. In respons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external terminal at the second data rate lower than the first data rat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의 데이터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전달되고,27. The memory device of claim 25,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and the data on the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correspond to each other. Transferred onto a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in the normal mode comprises connecting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normal mode,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 각의 짝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test mod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series may include connecting each even-numbered first data line to each even-numbered second data line in the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and Connecting each odd first data line to each odd second data line in a second test mode of the test mod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상기 제1데이터 율로 병렬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데이터 라인들 상의 데이터는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데이터 라인들 상으로 전달되고,27. The memory device of claim 25, wherein the memory cell array outputs the plurality of data bits in parallel at the first data rate onto corresponding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and the data on the plurality of first data lines correspond to each other. Transferred onto a plurality of second data lines,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in the normal mode comprises connecting each first data line to each second data line in the normal mode,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비트들을 직렬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1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제2데이터 라인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모드의 제2테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제1데이터 라인을 각각의 짝수번째 및 홀수번째 제2데이터 라인으로 크로스(cross)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Outputting the plurality of data bits serially in the test mode comprises connecting each first data line to a respective second data line in a first test mode of the test mode, and Connecting each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first data line to each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second data line in a two-test mode.
KR1020040037685A 2003-06-04 2004-05-27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KR1006188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906 2003-06-04
KR1020030035906A KR20040105060A (en) 2003-06-04 2003-06-04 Synchronous memory device including output circuit capable of enlarging valid output data window and method for enlarging valid output data window
KR10-2003-0035906 2003-06-04
US10/773,024 2004-02-05
US10/773,024 US6898139B2 (en) 2003-06-04 2004-02-05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903A KR20040104903A (en) 2004-12-13
KR100618828B1 true KR100618828B1 (en) 2006-08-31

Family

ID=3406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685A KR100618828B1 (en) 2003-06-04 2004-05-27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4362762A (en)
KR (1) KR100618828B1 (en)
CN (1) CN100474434C (en)
DE (1) DE102004027883A1 (en)
TW (1) TWI250531B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59B1 (en) 2008-04-28 2011-01-05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Semiconductor device
WO2020219651A1 (en) * 2019-04-25 2020-10-29 Teradyne, Inc. Parallel path delay line
US10942220B2 (en) 2019-04-25 2021-03-09 Teradyne, Inc. Voltage driver with supply current stabilization
US11119155B2 (en) 2019-04-25 2021-09-14 Teradyne, Inc. Voltage driver circu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7867A (en) * 2005-03-30 2006-10-12 Toshiba Corp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663362B1 (en) * 2005-05-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write and read method thereof
KR100914329B1 (en) * 2007-02-22 200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est method thereof
KR100942947B1 (en) * 2007-06-29 2010-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742349B2 (en) 2007-06-29 2010-06-2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911186B1 (en) * 2008-02-14 2009-08-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device and data output method thereof
JP2009301612A (en) * 2008-06-10 2009-12-24 Elpida Memory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03295646B (en) * 2012-02-27 2015-10-14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Apply to speedy carding process enter end on built-in self-test circuit
CN114564421B (en) * 2022-01-20 2023-09-05 珠海亿智电子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high-speed memory
CN117198374A (en) * 2022-05-30 2023-12-08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Test method, test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0451B2 (en) * 1989-11-30 1999-06-02 ソニー株式会社 Memory device
JPH04206864A (en) * 1990-11-30 1992-07-28 Matsushita Electron Corp Semiconductor inspecting device
JP3788867B2 (en) * 1997-10-28 2006-06-21 株式会社東芝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948141B2 (en) * 1998-09-24 2007-07-25 富士通株式会社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75203B2 (en) * 2000-01-20 2012-07-11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KR100499626B1 (en) * 2000-12-18 2005-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4115676B2 (en) * 2001-03-16 2008-07-09 株式会社東芝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3059300A (en) * 2001-08-16 2003-02-28 Nec Corp Test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microcomputer,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59B1 (en) 2008-04-28 2011-01-05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Semiconductor device
WO2020219651A1 (en) * 2019-04-25 2020-10-29 Teradyne, Inc. Parallel path delay line
US10942220B2 (en) 2019-04-25 2021-03-09 Teradyne, Inc. Voltage driver with supply current stabilization
US11119155B2 (en) 2019-04-25 2021-09-14 Teradyne, Inc. Voltage driver circuit
US11283436B2 (en) 2019-04-25 2022-03-22 Teradyne, Inc. Parallel path delay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50531B (en) 2006-03-01
JP2004362762A (en) 2004-12-24
CN1606091A (en) 2005-04-13
CN100474434C (en) 2009-04-01
DE102004027883A1 (en) 2005-02-10
KR20040104903A (en) 2004-12-13
TW200518108A (en)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253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6898139B2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JP4623788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wave pipeline skim and data path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0331B1 (en) Pseudo static random access memory capable of operating in continuous burst mode
KR10061882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that are configured to output data bits at a lower rat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JP4370507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787294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US791186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054202B2 (en) High burst rate write data paths for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5928373A (en) High speed test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80014005A (en) Memory device and method having a data bypass path to allow rapid testing and calibration
US20070147148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926420A (en) Merged Memory and Logic (MML) integrated circuits including data path width reducing circuits and methods
KR2002001456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82236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est method using direct access mode test
US5848016A (en) Merged Memory and Logic (MML)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s including serial data path comparing
US10204665B2 (en) Memory device with interleaved bank access
KR100319897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test time reduction within pipeline
US804074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output buffer control circuit for sequentially selecting latched data
KR100265760B1 (en)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irect access mode test control circuit and test method thereof
JPH04212776A (en) Tes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986953A (en) Input/output circuits and method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US20030086328A1 (en) Predecode column architecture and method
US6704229B2 (en) Semiconductor test circui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write mask function
EP1467379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accessing all memory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