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139B1 -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 Google Patents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139B1
KR100609139B1 KR1020040111445A KR20040111445A KR100609139B1 KR 100609139 B1 KR100609139 B1 KR 100609139B1 KR 1020040111445 A KR1020040111445 A KR 1020040111445A KR 20040111445 A KR20040111445 A KR 20040111445A KR 100609139 B1 KR100609139 B1 KR 10060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es
series
switching
resonan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2730A (en
Inventor
한무호
이왕하
박태준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139B1/en
Publication of KR2006007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7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1Resonant DC/D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직류 전원; 역병렬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된 풀 브릿지의 제1 내지 제4스위치를 포함하며, 서로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스위치와, 제3 및 제4스위치는 각각 상기 직류 전원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되어,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접속 노드와, 상기 제3 및 제4스위치의 접속 노드 사이에 연결된 직렬 공진부; 상기 직렬 공진부와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 상기 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출력하는 평활 커패시터; 및 상기 직렬 공진부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파워링 모드와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트랜스를 통해 2차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자유공진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 및 역병렬 다이오드의 스위칭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워링 모드 수행시간 및 상기 자유공진 모드 수행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the configuration of which includes a DC power supply; A first bridge and a fourth switch of a full bridge to which anti-parallel diodes are connected,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switch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DC power supply, respectively. A switch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A series resonator connected between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A transformer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ries resonator;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A smoothing capacitor that smoothes and outputs the voltage rectified by the rectifier; And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and the anti-parallel diodes to periodically repeat a powering mode for storing energy in the series resonator unit and a free resonant mode for transferring the stored energy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witching time of the powering mode and the free resonance mode execution time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풀 브릿지, 공진전류, 직렬 공진, DC/DC 컨버터, 정류부 Full Bridge, Resonant Current, Series Resonance, DC / DC Converter, Rectifier

Description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도 1은 종래의 강압 기능을 갖는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DC / DC converter having a conventional step-down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to 3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의 스위칭 주기 및 직렬 공진부의 공진 주기를 설명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witching period of a switch unit and a resonance period of a series resona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직류 전원 120 : 스위치부110: DC power supply 120: switch unit

130 : 직류 공진부 140 : 트랜스130: DC resonator 140: transformer

150 : 정류부 160 : 평활 커패시터150: rectifier 160: smoothing capacitor

170 : 제어부 S1~S4 : 풀 브릿지 스위치170: control unit S1 to S4: full bridge switch

본 발명은 직류-직류(이하, DC/DC라 함)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랜스의 1차측의 풀 브릿지(full bridge)의 스위치를 온(TON)/오프(TOFF) 하여, 직렬 공진부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트랜스를 통해 2차측의 출력단에 전달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C-DC (hereinafter referred to as DC / DC) converter, and in particular, a series resonance is achieved by turning on (T ON ) / OFF (T OFF ) a switch of a full bridge on the primary side of a transformer.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of storing energy in a part and transferring the stored energy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직류 전압을 다른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컨버터는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일례로, 컴퓨터의 제어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는 DC/DC 컨버터를 내장하고 있다. 특히 제어기 설계에 있어서, 기본 입력 직류 전압보다 작은 직류 전압을 요구하는 경우, 강압 기능을 갖는 DC/DC 컨버터가 이용된다. DC / DC converters that convert DC voltages into DC voltages of different siz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to a computer control board has a built-in DC / DC converter. Particularly in the controller design, when a DC voltage smaller than the basic input DC voltage is required, a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is used.

도 1은 종래의 강압 기능을 갖는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직류 전원(Vs)의 (+)측에 스위치(S)와 인덕터(L)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S)와 인덕터(L)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직류 전원(Vs)과 병렬로 다이오드(D)가 접속된다. 상기 스위치(S)는 미도시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상기 직류 전원(Vs)의 전압을 출력단으로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치(S)가 온되면, 상기 직류 전원(Vs)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인덕터(L)를 통해 출력단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L)에는 에너지가 축적된다. 이어, 상기 스위치(S)가 오프되면, 상기 인덕터(L)에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상기 출력단에 전압(Vo)이 출력된다. 상기 출력 전압(Vo)은 항상 입력 전압보다 같거나 작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DC / DC converter having a conventional step-down function. Referring to FIG. 1, a switch S and an inductor L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 side of the DC power supply Vs, and the DC power supply (A) is connected at the connection node of the switch S and the inductor L. FIG. The diode D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Vs). The switch S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of a controller (not shown) to switch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Vs to an output terminal. When the switch S is turned on, the current supplied by the DC power supply Vs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terminal through the inductor L. At this time,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inductor (L). Subsequently, when the switch S is turned off, the voltage Vo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by the energy accumulated in the inductor L. The output voltage Vo is always equal to or less than the input voltag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강압형 DC/DC 컨버터는 스위칭시에 발생하는 손실로 인하여 효율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step-down DC / DC conver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iciency is poor due to the loss generated during switch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서, 트랜스의 1차측의 풀 브릿지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직렬 공진부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1차측의 에너지를 상기 트랜스를 통해 2차측으로 보냄으로써, 스위칭 손실을 줄이면서 입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tores energy in a series resonator unit according to an on / off operation of a full bridge switch of a primary side of a transformer, and stores the energy of the stored primary side through a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that delivers a voltage lower than an input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while reducing switching lo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는, 직류 전원; 역병렬 다이오드(D1~D4)가 각각 연결된 풀 브릿지의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를 포함하며, 서로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스위치(S1,S2)와, 제3 및 제4스위치(S3,S4)는 각각 상기 직류 전원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되어,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S1,S2)의 접속 노드와, 상기 제3 및 제4스위치(S3,S4)의 접속 노드 사이에 연결된 직렬 공진부; 상기 직렬 공진부와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 상기 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출력하는 평활 커패시터; 및 상기 직렬 공진부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파워링 모드와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트랜스를 통해 2차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자유공진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 및 역병렬 다이오드(D1~D4)의 스위칭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워링 모드 수행시간 및 상기 자유공진 모드 수행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to S4 of the full bridges having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connected thereto, respectively; Four switches (S3, S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C power supply in parallel, the switch unit for switching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control signal; A series resonator connected between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3 and S4; A transformer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ries resonator;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A smoothing capacitor that smoothes and outputs the voltage rectified by the rectifier; And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to periodically repeat a powering mode for storing energy in the series resonator unit and a free resonance mode for transferring the stored energy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time of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to control the powering mode execution time and the free resonance mode execution time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한 조의 상기 제1 및 제4스위치와, 다른 한 조의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를 각 조별로 사전에 설정된 스위칭 주기로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렬 공진부의 공진 전류가 제로인 시점에 상기 각 조별로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set of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and the other set of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in a preset switching cycle for each group,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on / off switching for each group when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series resonance unit is zer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한 조의 상기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와, 다른 한 조의 상기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를 각 조별로 사전에 설정된 스위칭 주기로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렬 공진부의 공진 전류가 0(zero)가 되는 시점에 상기 각 조별로 교대로 온/오프 시킨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each group of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nd the other group of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for each group The on / off switching is controlled by a preset switching cycle, and the control unit turns on / off each of the groups alternately when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becomes zer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의 온/오프 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직렬 공진부에 공진 에너지가 저장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출력단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ime to turn on / off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o that the resonance energy is stored in the series resonator, and also the on / off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Off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at the output st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는, 직류 전원(110), 역병렬 다이오드(D1~D4)가 각각 연결된 풀 브릿지의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를 포함하며, 서로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스위치(S1,S2)와, 제3 및 제4스위치(S3,S4)가 각각 상기 직류 전원(110)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되어, 스위칭 제어신호(SS1~SS4)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120),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S1,S2)의 접속 노드와 상기 제3 및 제4스위치(S3,S4)의 접속 노드 사이에 연결된 직렬 공진부(130), 상기 직렬 공진부(130)와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140), 상기 트랜스(1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150), 상기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출력하는 평활 커패시터(160) 및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파워링 모드(powering mode)와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2차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자유공진 모드(free resonant mode)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의 스위칭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워링 모드 수행시간 및 상기 자유공진 모드 수행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of full bridges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110 and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3 and S4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DC power supply 110, respectively. A series connected between the switch unit 120 switching according to SS1 to SS4,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3 and S4. A resonator 130, a transformer 140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ries resonator 130, a rectifier 150 rectify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40, A smoothing capacitor 160 for smoothing and outputting the voltage rectified by the rectifier 150 and a powering mode for storing energy in the series resonator 130.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time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to periodically repeat the free resonant mode for transferring the stored energy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And a controller 170 for controlling the powering mode execution time and the free resonance mode execution tim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직류 전원 (110)은 풀 브릿지(full bridge) DC/DC 컨버터에 직류 전압(Vs)(전류)을 공급한다. 2,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C power supply 110 supplies a DC voltage Vs (current) to a full bridge DC / DC converter.

상기 스위치부(120)는 역병렬 다이오드(D1~D4)가 각각 연결된 풀 브릿지 구조의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는 상기 제어부(170)의 스위칭 신호(SS1~SS4)에 따라 온/오프 되어, 상기 스위치(S1~S4)에 연결된 트랜스(140)의 1차측에 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S1~S4)의 에미터와 컬렉터 사이에는 역병렬 다이오드(D1~D4)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위치(S1)와 제2스위치(S2)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3스위치(S3)와 제4스위치(S4)가 서로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서로 직렬 접속된 제1,2스위치(S1,S2)와 제3,4스위치(S3,S4)는 각각 상기 직류 전원(110)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부(1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온/오프 스위칭 제어에 의해 상기 직류 전원(110)으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류를 직렬 공진부(130) 및 트랜스(140)에 전달한다. 이로써,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는 에너지가 축적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스(140)를 통하여 2차측으로 에너지(또는 전압)가 전달된다. The switch unit 120 includes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having a full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are connected.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ar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s SS1 to SS4 of the controller 170, and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140 connected to the switches S1 to S4. Provide current.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are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s and the collectors of the switches S1 to S4, respectively.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switch S3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3 and S4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DC power supply 110, respectively. The switch unit 110 transfers the DC current provided from the DC power supply 110 to the series resonator 130 and the transformer 140 by the on / off switching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s a result,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series resonator 130 and energy (or voltag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상기 직렬 공진부(130)는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S1,S2)의 접속노드와 상기 제3 및 제4스위치(S3,S4)의 접속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스위치부(120)를 통해 전달받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설정된 공진주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렬 공진부(130)는 상기 스위치부(12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할 수도 있다.The series resonator 130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3 and S4. The energy received through the 120 is stored and configured to have a set resonance period. In addition, the series resonator 130 may emit the stored energy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120.

상기 트랜스(140)는 상기 직렬 공진부(130)와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140)는 상기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1차측 에너지를 2차측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권선비를 1:1로 설정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ransformer 140 includ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ries resonator 130. The transformer 140 transmits the primary side energy to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turns ratio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ratio is set to 1: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정류부(150)는 상기 트랜스(1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도록 브릿지 다이오드(D5~D8)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tifier 150 may be formed of bridge diodes D5 to D8 to rectif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40.

상기 평활 커패시터(160)는 상기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출력한다. The smoothing capacitor 160 smoothes and outputs the voltage rectified by the rectifying unit 15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파워링 모드와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2차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자유공진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의 스위칭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워링 모드 수행시간 및 상기 자유공진 모드 수행시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파워링 모드시, 한 조의 제1 및 제4스위치(S1,S4)와, 다른 한조의 제2 및 제3스위치(S2,S3)를 각 조별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대로 온/오프 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영전류 스위칭(ZCS:Zero Current Switching)을 위하여, 상기 직렬 공진부(130)의 공진 전류가 0(zero)되는 시점에서 상기 각 조별로 스위칭 온/오프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자유공진 모드시, 한 조의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와, 다른 한 조의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를 각 조별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교대로 온/오프 시킨다. 이때도 영전류 스위칭(ZCS)을 위하여, 상기 공진 전류가 0가 되는 시점에서 온/오프를 반복한다. The controller 170 periodically repeats a powering mode for storing energy in the series resonator 130 and a free resonant mode for transferring the stored energy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The switching time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powering mode execution time and the free resonance mode execution time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In detail, in the powering mode, the controller 170 may set one set of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nd another set of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in a period set for each group. Turn on / off alternatel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repeats the switching on / off for each group at the time when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130 is zero for zero current switching (ZCS). . In the free resonant mode,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one set of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nd the other set of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for each group. Turn on / off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set cycle. In this case, for zero current switching (ZCS), the on / off is repeated when the resonance current becomes zer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에서는, 상기 제어부(17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각 역병렬 다이오드(D1~D4)를 포함)를 스위칭 함으로써, 상기 파워링 모드에서는 상기 직류 공진부(130)에 에너지가 축적되면서,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2차측으로 권선비에 따라 전압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자유공진 모드에서는 상기 직류 공진부(130)에 더 이상의 에너지가 저장되지 않으며, 상기 직류 공진부(130)에 이미 축적된 에너지가 상기 트랜스(140)을 통해 2차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자유공진 모드에서는 직류 공진부(130)의 에너지가 점차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2차측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작아지며, 따라서, 상기 출력되는 전압(Vo)은 입력 전압(Vs)보다 작다. 이로써 강압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출력 전압(Vo)의 크기는, 상기 제어부(170)에서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7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S1~S4)(각 역병렬 다이오드(D1~D4)를 포함)의 스위칭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출력 전압(Vo)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the step-dow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each antiparallel diode D1 to D4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70). In the powering mode,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DC resonator 130 so that a voltag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and in the free resonance mode, No more energy is stored in the DC resonator 130, and the energy already stored in the DC resonator 13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At this time, since the energy of the DC resonator 130 is gradually reduced in the free resonant mod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ary side is reduced, and therefore, the output voltage Vo is smaller than the input voltage Vs. This is the step-down function is performe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Vo may be controlled by switching control in the controller 170. That is,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time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including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in the controller 170, a desired output voltage Vo may be obtained. .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파워링 모드에서의 전류 흐름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자유공진 모드에서의 전류 흐름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1차측의 역병렬 다이오드(D1~D4)가 각각 연결된 4개의 풀 브릿지 스위치(S1~S4) 중 제1 및 제4스위치(S1,S4)가 온 된 상태(이때, 제2 및 제3 스위치(S2,S3)는 오프됨)에서의 전류 흐름도이고, 도 3b는 상기 1차측의 풀 브릿지 스위치(S1~S4) 중 제2 및 제3스위치(S2,S3)가 온 된 상태(이때, 상기 제1 및 제4스 위치(S1,S4)는 오프됨)에서의 전류 흐름도이다. 3A to 3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current flow charts in a powering mode, and FIGS. 3C and 3D are current flow charts in a free resonance mode. More specifically, FIG. 3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re turned on among the four full bridge switches S1 to S4 to which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on the primary side are connected. 2B is a flow chart of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and FIG. 3B shows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of the primary full bridge switches S1 to S4 turned on. In this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re turned off).

또한, 도 3c는 1차측의 한 조의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가 온 된 상태(이때, 다른 한 조의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는 오프됨)에서의 전류 흐름도이고, 도 3d는 1차측의 상기 다른 한조의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가 온 된 상태(이때, 상기 한 조의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는 오프됨)에서의 전류 흐름도이다. In addition, in FIG. 3C, a set of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on the primary side are turned on (at this time, the other set of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are turned off). 3d shows a state in which the other set of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on the primary side are turned on (at this time, the set of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 S4) is the current flow diagram in the OFF).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파워링 모드에서, 1차측의 제1 및 제4스위치(S1,S4)가 온되고,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S2,S3)가 오프된 경우, 직류 전원(110)에서 공급된 전류는 제1스위치(S1), 직렬 공진부(130), 트랜스(140)의 1차 코일(Tr1) 및 제4스위치(S4)를 통해 흐른다. 이때, 상기 전류에 의해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는 에너지가 축적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스(140)의 1차 코일(Tr1)의 전압에 의해 2차 코일(Tr2)에 전압이 유기된다. 이어, 상기 트랜스(140)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되고, 상기 정류된 전압은 평활 커패시터(160)에 의해 평활된 후 출력 전압(Vo)으로 출력된다.First, referring to FIG. 3A, in the powering mode, when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on the primary side are turned on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are turned off, a DC power source The current supplied from 110 flows through the first switch S1, the series resonator 130, the primary coil Tr1 of the transformer 140, and the fourth switch S4. At this time,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series resonator 130 by the current, and voltage is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Tr2 by the voltage of the primary coil Tr1 of the transformer 140. Subsequently, the voltage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140 is rectified by the rectifier 150, and the rectified voltage is smooth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160 and then output as an output voltage Vo.

이어, 도 3b에서와 같이, 1차측의 제1 및 제4스위치(S1,S2)는 오프되고,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S2,S3)가 온 된 경우, 상기 직류 전원(110)에서 공급된 전류는 제3스위치(S3), 트랜스(140)의 1차 코일(Tr1), 직렬 공진부(130), 제2스위치(S2)를 통해 흐른다. 이 경우에도, 도 3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류에 의해 직렬 공진부(130)에는 에너지가 축적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2차측으로 에 너지가 전달된다. 단, 전류의 위상이 도 3a와 반대가 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140)의 2차측에 전달된 에너지에 의한 전압은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되고, 상기 정류된 전압은 평활 커패시터(160)에 의해 평활된 후, 출력 전압(Vo)으로 출력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B, when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2 on the primary side are turned off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are turned on, the DC power supply 110 turns on. The supplied current flows through the third switch S3, the primary coil Tr1 of the transformer 140, the series resonator 130, and the second switch S2. Also in this case, as in FIG. 3A,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series resonator 130 by the current, and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However, the phase of the current is reversed from that of Fig. 3A. In addition, the voltage due to the energy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140 is rectified by the rectifier 150, the rectified voltage is smooth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160, and then output to the output voltage Vo do.

이와 같이, 파워링 모드에서는 한 조의 제1 및 제4스위치(S1,S4)와, 다른 한 조의 제2 및 제3스위치(S2,S3)가 각 조별로 스위칭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 에너지를 축적함과 동시에,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2차측으로 에너지를 전달하고, 상기 2차측의 출력단으로 일정 전압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를 각 조별로 스위칭 제어할 때, 상기 직렬 공진부(130)의 공진 전류가 0(zero)인 시점에서 교대로 반복하여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wering mode, one set of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nd another set of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repeatedly perform switching for each group, thereby performing the series resonance. While accumulating energy in the unit 130,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and a predetermined voltage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ary side.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unit 170 switches and controls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for each group, the controller 170 alternately repeats when the resonant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130 is zero. It is preferable to switch.

다음으로,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여 자유공진 모드에서의 전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유공진 모드에서는 1차측의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가 한 조를 이루고,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가 다른 한 조를 이루어 교대로 스위칭된다. 먼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가 온 되면, 직류 전원(110)의 전류는 상기 직렬 공진부(130) 및 트랜스(140)로 공급되지 않으며,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는 더 이상 에너지가 축적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파워링 모드에서 이미 에너지를 축적한 직렬 공진부(13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트랜스(140), 제4스위치(S4), 제2다이오 드(D2)를 통해 흐르며,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1차측의 전압이 권선비에 따라 2차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압은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되고, 이어 평활 커패시터(160)에 의해 평활된 후, 출력 전압(Vo)으로 출력된다. Next, the current flow in the free resonance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C and 3D. As described above, in the free resonant mode,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on the primary side form one pair, and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form another pair. Alternately switched. First, as shown in FIG. 3C, when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turned on,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110 is supplied to the series resonator 130 and the transformer 140. No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series resonator 130. In this case, a current supplied from the series resonator 130 that has already accumulated energy in the powering mode flows through the transformer 140, the fourth switch S4, and the second diode D2. Through 140, the voltage of the primary sid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turns ratio. The voltage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is rectified by the rectifier 150, and then smooth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160, and then output as an output voltage Vo.

이어, 상기 제어부(170)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상기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는 오프 되고,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가 온 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워링 모드에서 이미 에너지를 축적한 직렬 공진부(13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2스위치(S2), 제4다이오드(D4) 및 트랜스(140)를 통해 흐르며,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1차측의 전압이 권선비에 따라 2차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2차측으로 전달된 전압은 정류부(150)에 의해 정류되고, 이어 평활 커패시터(160)에 의해 평활된 후, 출력 전압(Vo)으로 출력된다. Subsequently, when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FIG. 3D. As shown in FIG. 2, current supplied from the series resonator 130 that has already accumulated energy in the powering mode flows through the second switch S2, the fourth diode D4, and the transformer 140. The voltage of the primary sid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turns ratio through the transformer 140. The voltage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is rectified by the rectifier 150, and then smooth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160, and then output as an output voltage Vo.

이와 같이,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자유공진 모드에서는,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 이미 저장된 에너지가 점점 줄어들며, 이로써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출력단에 전달되는 전압의 크기도 작아진다. 따라서, 자유 공진 모드에서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같거나 작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free resonant mode illustrated in FIGS. 3C and 3D, the energy already stored in the series resonator 130 is gradually reduced, thereby de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transmitted to the output terminal through the transformer 140. Therefore, in the free resonance mode, the output voltag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put voltage.

여기서, 상기 자유공진 모드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상기 제어부(170)가 제2,4스위치(S2,S4) 및 제2,4다이오드(D2,D4)의 스위칭을 제어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도 3c에서와 같이, 제1~3스위치(S1~S3)는 오프시킨 상태에서, 제4스위치(S4)만 온시키면,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에 의한 전류가 상기 트랜스(140), 제4스위치(S4)를 통해 흐르게 되며, 상기 전류는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도통으로 인해 상기 직렬 공진부(130)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상 기 제어부(170)는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를 한 조로 하여 온/오프 스위칭 제어를 수행한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제2다이오드(D2)의 도통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역병렬 다이오드(D1~D4)의 도통은 제1~4스위치(S1~S4)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Here, in the free resonance mod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at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witching of the second and fourth switches S2 and S4 and the second and fourth diodes D2 and D4. As shown in FIG. 3C, when only the fourth switch S4 is turned 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switches S1 to S3 are turned off, the current caused by the energy stored in the series resonator 130 is transmitted. 140, the fourth switch S4 flows, and the current flows to the series resonator 130 due to the conduction of the second diode D2.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70 describes that the on / off switching control is performed by using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s a pair, but this means that the second diode D2 is turned on. The conduction of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나아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파워링 모드 및 자유공진 모드의 동작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워링 모드 및 자유공진 모드의 동작 시간의 비에 따라 원하는 출력 전압이 결정되는데, 여기서, 듀티비(duty ratio)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switching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to obtain a desired output voltag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powering mode and the free resonant mode. In this way, the desired output voltag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operating time of the powering mode and the free resonance mode, where the duty ratio is defined as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듀티비(duty ratio) = Pt / (Pt + Rt)Duty ratio = Pt / (Pt + Rt)

여기서, Pt는 파워링 모드 실행시간이고, Rt는 자유공진 모드 실행시간이다.Where Pt is the powering mode execution time and Rt is the free resonance mode execution time.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큰 전압의 출력을 위해서는 파워링 모드의 실행시간을 높여 상기 듀티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작은 전압의 출력을 위해서는 자유공진 모드의 실행시간을 높여 상기 듀티비를 상대적으로 작게 한다. 여기서, 상기한 큰 전압 및 작은 전압은 각가 입력전압보다 작거나 같다.For example, as shown in Equation 1, the output time of the powering mode is increased for the output of the large voltage to increase the duty ratio relatively, 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free resonance mode is increased for the output of the small voltage. Make the duty ratio relatively small. Here, the large voltage and the small voltage are each less than or equal to the input voltage.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에서 상기 풀 브릿지의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역병렬 다이오드(D1~D4)를 포함)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출력단의 전압 이 항상 입력 전압보다 같거나 작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 및 제4스위치(S1,S4)를 한 조로하여 온/오프 하고,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S2,S3)를 다른 한조로 하여, 각 조별로 교대로 온/오프 함으로써, 파워링 모드에서 직렬 공진부(130)에 에너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한 조의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와, 다른 한 조의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를 교대로 온/오프 스위칭 함으로써, 자유공진 모드에서 상기 직렬 공진부(130)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2차측으로 전압을 전달함다. 이러한 파워링 모드를 위한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의 스위칭 주기 및 자유공진 모드를 위한 제2,4스위치(S2,S4) 및 다이오드(D2,D4)의 스위칭 주기를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such,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switching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including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of the full bridge, so that the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always exceeds the input voltage. Equal or smaller. Herein, the control unit 170 turns on / off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s a pair, and sets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as a different pair, for each group. By alternately turning on / off, energy is output to the series resonator 130 in the powering mod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alternately turns on / off the second set of diodes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nd the second set of switches S2 and the fourth diode D4. In the free resonant mode, the voltag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using energy accumulated in the series resonator 130. The switching periods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for the powering mode and the switching periods of the second and fourth switches S2 and S4 and the diodes D2 and D4 for the free resonance mode are shown in FIG. 4.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a) and (b).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직렬 공진부의 공진주기 및 스위치부의 스위칭 주기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직렬 공진부(130)의 공진 전류는 구형파 전류이다. 상기 공진 전류가 0인 시점에서 상기 제1,4스위치(S1,S4)를 온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3스위치(S2,S3)를 오프시킨다. 이때의 회로 동작은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공진 전류가 다시 0이 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3스위치(S2,S3)를 온 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4스위치(S1,S4)를 오프시킨다. 이때의 회로 동작은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sonance period of the series resonance unit and the switching period of the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A,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130 is a square wave current. When the resonance current is zero,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re turned on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are turned off. The circuit operation at this time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In addition, when the resonance current becomes zero again,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are turned on and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re turned off. The circuit operation at this time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B.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직렬 공진부(130)의 공진 전류가 0인 시점에서, 한 조의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를 온시킴과 동시에, 다른 한 조 의 상기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를 오프시킨다. 이때의 회로 동작은 도 3c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공진 전류가 다시 0이 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를 온시킨다. 이때의 회로 동작은 도 3d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130 is zero, the set of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is turned on and the other one is turned on.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of the pair are turned off. The circuit operation at this time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C. In addition, when the resonance current becomes zero again,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are turned on. The circuit operation at this time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D.

이와 같이, 최적의 스위칭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S1~S4)(역병렬 다이오드(D1~D4)를 포함)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조별로 구분되어, 상기 직렬 공진부(130)의 공진 주기의 반에서 교대로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witches S1 to S4 (including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are divided into respective groups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resonance period of the series resonator 130 may be adjusted. It is preferable to switch alternately in half.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스위치(S1~S4)와, 상기 제2스위치(S2) 및 제4스위치(S4)에 역병렬로 각각 연결된 다이오드(D2,D4)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상기 트랜스(140)을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전압이 전달되며, 또한 파워링 모드와 자유공진 모드의 실행시간에 따라 상기 트랜스(140)의 2차측으로는 전압의 크기가 결정된다. 즉, 파워링 모드의 실행시간을 길게 하면 출력전압(입력전압보다는 작음)이 상승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es (S1 ~ S4) and the diodes (D2, D4) connected in anti-parallel to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switch (S4), respectively, The voltage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terminal through 140, and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s determin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140 according to the execution time of the powering mode and the free resonance mode. In other words, when the execution time of the powering mode is extended, the output voltage (less than the input voltage) increases.

나아가, 상기 트랜스(140)를 통해 2차측으로 전달된 전압은 정류부(160)에서 전파 정류되고, 상기 정류된 전압은 평활 커패시터(170)에 의해 평활된 후 출력된다.Furthermore, the voltage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140 is full-wave rectified by the rectifier 160, and the rectified voltage is smooth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170 and then output.

본 발명의 기본 회로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회로 스위칭 모드는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가지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풀 브 릿지의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는 직류 공진부의 공진 전류가 0인 시점에서 온/오프를 반복하여 동작되며, 최적의 스위칭을 위해서 공진 주기의 반에서 항상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Although the basic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2, the circuit switching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four modes as shown in FIGS. 3A to 3D.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of the full bridge are repeatedly operated on and off when the resonant current of the DC resonator is 0, and switching is always performed at half of the resonant period for optimal switching.

상술한 바와 같이, 역병렬 다이오드가 각각 연결된 풀 브릿지의 제1 내지 제4스위치를 스위칭하고, 제2,4다이오드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출력단에 입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스위칭 주기와 공진 주기를 동기시켜, 보다 확실한 영전류 스위칭(ZCS)을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witching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of the full bridge to which the anti-parallel diodes are connected,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second and fourth diodes, a voltage lower than the input voltage can be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switching By synchronizing the period with the resonant period, more reliable zero current switching (ZCS) can be guaranteed.

여기서,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는 자유공진 모드시,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를 한 조로 하고,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를 다른 한 조로 하여 교대로 스위칭하여, 자유공진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한 일례를 참고하여 다른 스위치들을 각 조별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다이오드(D1) 및 제3스위치(S3)를 한 조로 하고, 제1스위치(S1) 및 제3다이오드(D3)를 다른 한 조로 구성하여, 각 조별로 교대로 스위칭함으로써, 자유공진 모드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ee resonant mode, 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grouped together, and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are used. Is alternately switched to another group to perform the free resonant mod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erefore,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fer to the above example and configure other switches for each group. For example, by combining the first diode D1 and the third switch S3 into one pair, the first switch S1 and the third diode D3 into another pair, and alternately switching each group, Free resonant mode could be implemented.

이상에서 설명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결 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ontents of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are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possible to substitute, change or delete the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를 이용하면,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출력단에서 입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Using the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the step-dow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a voltage lower than the input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while minimizing switching losses.

또한, 본 발명의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에 의하면, 직렬 공진회로를 이용하여 보다 확실한 영전류 스위칭(ZCS)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reliable zero current switching (ZCS) can be performed by using a series resonant circuit.

Claims (11)

직류 전원;DC power supply; 역병렬 다이오드(D1~D4)가 각각 연결된 풀 브릿지의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를 포함하며, 서로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스위치(S1,S2)와, 제3 및 제4스위치(S3,S4)는 각각 상기 직류 전원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되어,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First and second switches S1 to S4 of the full bridges having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connected thereto, respectively; Four switches (S3, S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C power supply in parallel, the switch unit for switching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control signal;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S1,S2)의 접속 노드와, 상기 제3 및 제4스위치(S3,S4)의 접속 노드 사이에 연결된 직렬 공진부;A series resonator connected between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and fourth switches S3 and S4; 상기 직렬 공진부와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A transformer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ries resonator; 상기 트랜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출력하는 평활 커패시터; 및A smoothing capacitor that smoothes and outputs the voltage rectified by the rectifier; And 상기 직렬 공진부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파워링 모드와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트랜스를 통해 2차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자유공진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 및 역병렬 다이오드(D1~D4)의 스위칭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워링 모드 수행시간 및 상기 자유공진 모드 수행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to periodically repeat a powering mode for storing energy in the series resonator unit and a free resonant mode for transferring the stored energy to the secondary side through the transform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witching time of the anti-parallel diodes D1 to D4 to control the powering mode execution time and the free resonance mode execution time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한 조의 상기 제1 및 제4스위치(S1,S4)와, 다른 한 조의 상기 제2 및 제3스위치(S2,S3)를 각 조별로 교대로 사전에 설정된 스위칭 주기로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Controlling the on / off switching of one set of the first and fourth switches S1 and S4 and the other set of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S2 and S3 at a predetermined switching period alternately for each group.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직렬 공진부의 공진 전류가 0(zero)가 되는 시점에 상기 제1~제4스위치를 각 조별로 교대로 온/오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And a step-down function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are alternately turned on and off at each time point when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becomes zer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한 조의 상기 제2다이오드(D2) 및 제4스위치(S4)와, 다른 한 조의 상기 제2스위치(S2) 및 제4다이오드(D4)를 각 조별로 사전에 설정된 스위칭 주기로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The second diode D2 and the fourth switch S4 of one group and the second switch S2 and the fourth diode D4 of the other group are controlled on / off switching in a preset switching cycle for each group.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공진부의 공진 전류가 0(zero)가 되는 시점에 상기 각 조별로 교대로 온/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5. The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groups are alternately turned on / off when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becomes zer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가 온/오프 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직렬 공진부에 저장되는 공진 에너지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resonant energy stored in the series resonator by controlling the time that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 S4) on / off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가 온/오프 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단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The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im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by controlling the time that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 S4) on /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자유공진 모드 동작시, 한 조의 상기 제1다이오드(D1) 및 제3스위치(S3)와, 다른 한 조의 상기 제1스위치(S1) 및 제3다이오드(D3)를 각 조별로 하여, 사전에 설정된 스위칭 주기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In the free resonant mode operation, the first diode D1 and the third switch S3 of the pair and the first switch S1 and the third diode D3 of the other group are set in advance and set in advance. A series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which controls on / off switching according to a switching cy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직렬 공진부의 공진 전류가 0(zero)되는 시점에 상기 각 조별로 교대로 온/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And a step-down resonant DC / DC converter having a step-down function, which is alternately turned on / off at each time when the resonant current of the series resonator becomes zero.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 및 상기 역병렬 다이오드(D1~D4)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여, 출력단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Series resonance having a step-dow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rolling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 S4) and the anti-parallel diodes (D1 ~ D4), the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Type DC / DC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내지 제4스위치(S1~S4) 및 상기 역병렬 다이오드(D1~D4)가 온/오프 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출력단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압 기능을 갖는 직렬 공진형 DC/DC 컨버터.Series resonance having a step-dow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by controlling the time that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 S4) and the anti-parallel diodes (D1 ~ D4) on / off Type DC / DC converter.
KR1020040111445A 2004-12-23 2004-12-23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KR100609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445A KR100609139B1 (en) 2004-12-23 2004-12-23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445A KR100609139B1 (en) 2004-12-23 2004-12-23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730A KR20060072730A (en) 2006-06-28
KR100609139B1 true KR100609139B1 (en) 2006-08-08

Family

ID=3716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445A KR100609139B1 (en) 2004-12-23 2004-12-23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1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408A (en)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Isolated converter and its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506B1 (en) * 2007-08-23 2011-09-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Cross-coupled type DC-DC conver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46A (en) * 1996-10-29 1998-07-25 윤문수 Circuit for Zero-Voltage / Zero-Current Switching of Full-Bridge DC / DC Converters with Ripple Reduction of Output Current
KR19990065926A (en) * 1998-01-19 1999-08-16 윤문수 Lossless snubber circuit for soft switching of booster AC / DC converters and full bridge DC / DC converters
KR20030025427A (en) * 2001-09-20 2003-03-29 학교법인 두원학원 Zero Voltage Switching Fullbridge Converter
JP2003324956A (en) 2002-05-09 2003-11-14 Origin Electric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series resonant bridge inverter circuit and the circuit
JP2004215469A (en) 2003-01-09 2004-07-29 Renesas Technology Corp Switching power supply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46A (en) * 1996-10-29 1998-07-25 윤문수 Circuit for Zero-Voltage / Zero-Current Switching of Full-Bridge DC / DC Converters with Ripple Reduction of Output Current
KR19990065926A (en) * 1998-01-19 1999-08-16 윤문수 Lossless snubber circuit for soft switching of booster AC / DC converters and full bridge DC / DC converters
KR20030025427A (en) * 2001-09-20 2003-03-29 학교법인 두원학원 Zero Voltage Switching Fullbridge Converter
JP2003324956A (en) 2002-05-09 2003-11-14 Origin Electric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series resonant bridge inverter circuit and the circuit
JP2004215469A (en) 2003-01-09 2004-07-29 Renesas Technology Corp Switching power supply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408A (en)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Isolated converter and its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730A (en)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334B2 (en)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US9590518B2 (en) Power conver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2417771C (en) Alexander topology resonance energy conversion and inversion circuit utilizing a series capacitance multi-voltage resonance section
JP484467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S7573731B2 (en) Active-clamp current-source push-pull DC-DC converter
JP4910525B2 (en) Resonant switching power supply
JP364461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JP4671020B2 (en) Multi-output resonance type DC-DC converter
JP2007020391A (en) Highly efficient half-bridge dc/dc converter and its control method
JP2001197740A (en) Switching power supply
KR20040068132A (en) Multiple-output flyback converter
JP2008289295A (en) Dc converter
US9831786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JP4877459B2 (en) Current resonance type multi-phase DC / 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65799B1 (en) Variable mode converter control circuit and half-bridge converter having the same
KR20130020397A (en) Dc/dc converter with wide input voltage range
JP2008131793A (en) Dc conversion device
JP2009060747A (en) Dc-dc converter
KR100966966B1 (en) Dc/dc converter with multi-output
KR100609139B1 (en)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KR100609140B1 (en) Boost and Buck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and Boost and Buck Control Method in the same Converter
KR100577472B1 (en) Boost type series resonant converter
JP2005168266A (en) Dc power converting device
JP4093116B2 (en) Power factor converter
JP2002345240A (en) Switching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