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450B1 -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 Google Patents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450B1
KR100450450B1 KR10-2001-0057382A KR20010057382A KR100450450B1 KR 100450450 B1 KR100450450 B1 KR 100450450B1 KR 20010057382 A KR20010057382 A KR 20010057382A KR 100450450 B1 KR100450450 B1 KR 10045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enovirus
seq
cells
sequence
telomer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23841A (en
Inventor
김영태
송준석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to KR10-2001-005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450B1/en
Publication of KR2003002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8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4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C12N15/861Adenoviral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2Transferases (2.) transferring phosphorus containing groups, e.g. kinases (2.7)
    • C12N9/1241Nucleotidyltransferases (2.7.7)
    • C12N9/1276RNA-directed DNA polymerase (2.7.7.49), i.e. reverse transcriptase or telomer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033Use of viral protein as therapeutic agent other than vaccine, e.g. apoptosis inducing or anti-inflammatory

Abstract

본 발명은 종양 발생과 관련 있는 텔로머라제 효소 활성의 억제가 가능한 안티센스를 생산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항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90 % 이상 종양에서 그 활성이 보고되는 텔로머라제의 활성 억제가 가능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와 그의 응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는 폐암, 전립선암 등 다양한 종양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denoviruses which produce antisense capable of inhibiting telomerase enzyme activity associated with tumor development and the use thereof for anticancer therap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enovirus vector capable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telomerase whose activity is reported in 90% or more tumors and its application method, wherein the adenovirus clone Ad-O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ung cancer, prostate cancer, or the lik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treating various tumors.

Description

안티센스 텔로머라제 생산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항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본 발명은 종양 발생과 관련 있다고 보고되는 텔로머라제 활성의 억제가 가능한 안티센스를 생산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및 이를 항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90 % 이상 종양에서 그 활성이 보고되는 텔로머라제 활성의 억제가 가능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와 그의 응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는 폐암, 전립선암 등 다양한 종양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denoviruses which produce antisense capable of inhibiting telomerase activity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tumor development and the use thereof for anticancer therap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enovirus vector capable of inhibiting telomerase activity whose activity is reported in 90% or more tumors and its application method, wherein the adenovirus clone Ad-O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ung cancer, prostate cancer, or the lik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treating various tumors.

텔로미어 (telomere)는 진핵 생물의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특이 구조로 짧은 DNA조각 (척추 동물의 경우 TTAGGG)이 100 kb 이상 반복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들은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로 여러 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텔로머라제는 1) 염색체 끝 사이의 재결합, 융합 (interchromosomal fusion), 붕괴를 막아 염색체를 보호하고 2) 체세포 또는 생식 세포 분열 시 염색체 이동을 도우며 3) 직선을 이루는 진핵 세포 염색체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말단복제 문제 (end-replication problem)을 막는 역할을 한다. 즉, 복제의 끝 무렵 지체가닥 (lagging strand) DNA 합성 시 제거되는 RNA 시발체 (primer) 부분을 DNA 복제 효소가 합성 할 수 없어 그 부위는 영구히 사라지는데 텔로미어 가 있음으로 해서 손상되지 않고 보존된다는 설명이다. 생식 세포에서는 텔로머라제라는 효소가 존재해 TTAGGG 반복 부위를 염색체끝에 계속 합성하는데 비해 체세포에서는 이러한 텔로머라제 활성이 없어서 매 세포주기 마다 텔로미어가 짧아져 결국은 사멸하게 된다 (David et al., 1997). 4) 텔로머라제는 리보단백질(riboprotein)로 텔로머라제 자체의 RNA 부위를 주형으로 해서 기존의 텔로미어의 3' 끝에 텔로미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텔로머라제는 염색체의 복제 및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세포의 불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대략 80-95 %의 암세포에서 텔로머라제 활성이 관찰된다(Feng et al., 1997) 따라서 텔로머라제 활성의 억제를 항암 치료에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즉, Bisoffi (Bisoffi et al., 1998) 등에 의하면 악성신경교종 (malignant glioma; MG) 세포에 hTR (human telomoerase RNA component)에 대한 안티센스 벡터를 세포 감염 시키자 MG 세포의 많은 부분이 세포사멸하거나 분화를 일으켰으며, 시스플라틴 (cisplatin) 등의 항암제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 외에도 레트로바이러스의 역전사 효소 저해제를 암세포에 처리하자 텔로머라제 활성의 저해 및 세포 사멸 효과를 보았으며 hTR에 대한 여러 펩타이드 핵산 및 안티센스 소중합체 처리 시에도 같은 효과를 보았다 (Bhaswati et al., 1998,A.I.Glukhov et al., 1998). 텔로머라제 활성과 세포내의 다른 여러 종양 억제 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 이나 발암 유전자 (oncogenes) 사이의 관계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으나 최근 논문에 의하면 c-myc의 발현을 저해시키자 텔로머라제 활성도 감소하였고 정상 p53이 텔로미어 길이를 줄여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상태이다 (kohtaro et al., 1997).Telomere is a specific structure at the end of eukaryotic chromosomes that repeats short DNA fragments (TTAGGG in vertebrates) over 100 kb. These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a variety of functions in the form of protein binding. Telomerase 1) protects the chromosome by preventing recombination, interchromosomal fusion, and disruption between chromosomal ends, 2) assists in chromosomal migration during somatic or germ cell division, and 3) ends that occur naturally in straight eukaryotic chromosomes. It helps prevent end-replication problems. In other words, the DNA primer cannot be synthesized by the RNA primer, which is removed at the end of replication by lagging strand DNA synthesis, and the site disappears permanently. . In germ cells, there is an enzyme called telomerase, which continuously synthesizes the TTAGGG repeat at the end of the chromosome, whereas somatic cells lack this telomerase activity, resulting in shortening of telomeres in each cell cycle and eventually death (David et al., 1997). ). 4) Telomerase is a riboprotein, which is a template of the RNA region of telomerase itself, and serves to connect telomeres to the 3 'end of the existing telomeres. That is, telomerase is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plication and protection of chromosomes, in particular, it is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mortalization of cells and telomerase activity is observed in approximately 80-95% of cancer cells (Feng et al. al., 1997) Therefore, there is an active research worldwide to use the inhibition of telomerase activity in anti-cancer treatment. In other words, according to Bisoffi (Bisoffi et al., 1998), when malignant glioma (MG) cells are infected with an antisense vector against human telomoerase RNA component (hTR), a large part of MG cells dies or differentiates. And reacted more sensitively to anticancer drugs such as cisplatin. In addition, treatment of retrovirus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to cancer cells resulted in inhibition of telomerase activity and apoptosis, and the same effect in the treatment of various peptide nucleic acids and antisense oligomers against hTR (Bhaswati et al., 1998). , AIGlukhov et al.,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telomerase activity and other tumor suppressor genes or oncogenes in the cell has not been elucidated yet, but recent papers have suggested that telomerase activity is inhibited by inhibiting c-myc expression. It has been found that normal p53 reduces telomere length and induces cell death (kohtaro et al., 1997).

상보적 안티센스를 이용한 항암 요법의 이론은 매우 간단하다. 즉,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 유전자 mRNA를 상보적인 안티센스 이용해 작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티센스 분자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합성 안티센스 소중합체 (antisense oligomer)를 이용하는 방법과 발현 안티센스 시퀸스 (expressed antisense sequence)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합성 안티센스 소중합체의 경우 1) 제작상의 어려움, 2) 핵산가수분해효소 (nuclease)에 의한 분해, 3) 효율적인 세포 내 전달 방법의 부재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Scanlon et al., 1995). 따라서 발현 안티센스 시퀸스를 이용한 방법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Lee et al., 1996; Steiner et al., 1998). 이 방법의 원리는 목적 mRNA의 cDNA 일부를 진핵 세포 유전자 표현 벡터에 안티센스 방향으로 클로닝시켜 상보적 RNA 시퀸스를 발현케 함으로써 특정 유전자의 표현을 억제 시키는 방법이다.The theory of anticancer therapy with complementary antisense is very simple. In other words, the target gene mRNA to be removed is prevented from working with complementary antisense. Methods using such antisense molecules include methods using synthetic antisense oligomers and methods using expressed antisense sequences. However, synthetic antisense oligomers have many problems such as 1) manufacturing difficulties, 2) degradation by nucleases, and 3) the absence of efficient intracellular delivery methods (Scanlon et al., 1995). Therefore, much attention is paid to methods using expression antisense sequences (Lee et al., 1996; Steiner et al., 1998). The principle of this method is to suppress the expression of a specific gene by cloning a cDNA part of the target mRNA in the eukaryotic gene expression vector in the antisense direction to express complementary RNA sequences.

본 발명의 목적은 텔로머라제 활성을 발현 안티센스 시퀸스를 이용하여 억제시켜 종양특이적 항암효과를 얻는데 있다. 텔로머라제는 크게 RNA 주형 부위 (hTR)와 역전사 효소의 활성을 갖는 hTERT 부위로 이루어진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텔로머라제의 RNA 주형 부위 (hTR) 를 억제 시켰을 때 가장 큰 효과를 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Kondo등에 의하면 텔로머라제 mRNA를 MFOLD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한 결과 가장 개방된 부위 (94∼76 레지듀)를 합성 올리고머로 억제 시킬 경우 암세포의 사멸 유도 효과를 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Kondo et al., 1998).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텔로머라제 개방 hTR 부위에 대한 안티센스 DNA를 삽입하여, 여기서 전사된 mRNA에 의한 텔로머라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바이러스 벡터를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tumor specific anticancer effect by inhibiting telomerase activity using an expression antisense sequence. Telomerase consists largely of the hTERT site with the activity of the RNA template site (hTR) and reverse transcriptase. To date, research has been reporte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when inhibiting the RNA template region (hTR) of telomerase. Also, according to Kondo et al., The analysis of telomerase mRNA using the MFOLD program showed the effect of killing cancer cells when the most open sites (94-76 residues) were inhibited with synthetic oligomers (Kondo et al. , 199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al vector that inserts antisense DNA for a telomerase open hTR site into an adenovirus vector, thereby inhibiting telomerase activity by transcribed mRNA.

본 발명은 항암 유전자 요법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안티센스 DNA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안티센스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만들기 위해 두 시발체 (서열번호 1, 서열 번호 2)를 상보적으로 합성했으며 두 시발체 끝에는 제한 효소 자리를 넣어 클로닝을 용이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sense DNA synthesis method for producing the adenovirus clone that can be used for anticancer gene therap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synthesized two primers (SEQ ID NO: 1, SEQ ID NO: 2) to make the antisens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and the two primers at the end of the primers to facilitate cloning.

본 발명에 제공되는 아데노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증식에 관여하는 E1 유전자 부위를 포함하지 않고 세포 내에서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생산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Cytomegalovirus)의 최전 프로모터, 다클로닝 부위 및 시미언바이러스40 (Simian virtus 40, SV 40)의 후 아데닌 다중화 신호로 구성되는 발현 카세트를 이용하여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생산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 p△ACMV-OA를 제공한다 (도 1참조). 또한, 본 발명은 세포내에서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생산하여 항암 유전자 요법에 사용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패키징 세포 (293 세포)에서 증식시켜 증식성 재조합 변이바이러스(RCV)가 포함되지 않은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제공한다. 이 때, 아데노바이러스가 증식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모체 벡터로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pJM17 을 사용하였고, 패키징 세포로는 293 세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선별한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Ad-OA로 명명하고 이를 2001년 8월 29일에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 KCCM 10312).The adenoviruses provided herein provid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s capable of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in cells without including the E1 gene region involved in virus propagation.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n antisense telomerase using an expression cassette consisting of the latest promoter, polycloning site and post adenine multiplex signal of Simian virtus 40 (SV 40) of Cytomegalovirus.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pΔACMV-OA (see FIG. 1).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enovirus clone that can be used for anticancer gene therapy by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in cell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enovirus clone that does not contain proliferative recombinant mutant virus (RCV) by propagating 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in packaging cells (293 cells). At this time, adenovirus vector pJM17 was used as an adenovirus parent vector containing a gene necessary for propagation of adenovirus, and 293 cells were used as packaging cells. The adenovirus clones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named Ad-OA and deposited on August 29, 2001 at the Korea Microbial Conservation Center (Accession No .: KCCM 1031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암의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은 특히 폐암, 전립선암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인체내에 암이 생긴 부위에 감염시켜 암이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암세포를 사멸시켜 암을 치료하는 항암 유전자 요법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 of the adenovirus clo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The adenovirus cl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cularly useful for lung cancer, prostate cancer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nticancer gene therapy for treating cancer by inhibiting cancer progression or killing cancer cells by infecting the adenovirus clone to a site where cancer occurs in the huma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 p△ACMV-OA 의 유전자 지도1 is a genetic map of 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pΔACMV-O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얻은 아데노바이러스 Ad-OA를 감염시킨 293 세포주에서 안티센스의 발현양상을 돗 블럿 (dot-blot)으로 분석2 is a dot-blot analysis of antisense expression in 293 cell lines infected with adenovirus Ad-OA obtained using 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ck : 전처리 하지 않은 293 세포주의 DNAMock: DNA of 293 cell lines without pretreatment

Ad-CMV : 대조군인 Ad-CMV null 감염시킨 세포에서 얻은 바이럴 DNAAd-CMV: Viral DNA from Ad-CMV null infected cells

Ad-OA : Ad-OA 처리한 세포에서 얻은 바이럴 DNAAd-OA: Viral DNA from Ad-OA Treated Cells

도 3은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들에 증식성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 (RCV) 존재하는지 여부를 239 DNA와 아데노바이러스 DNA를 사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 으로 확인Figure 3 is confirm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239 DNA and adenovirus DNA whether the presence of proliferative recombinant mutant virus (RCV) in the adenovirus cl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레인 1-3 : 아데노바이러스 E1 유전자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시발체, E1A, E1B 시발체를 이용해 Ad-OA 바이럴 DNA 증폭Lane 1-3: Amplification of Ad-OA viral DNA using primers, E1A and E1B prim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adenovirus E1 gene region

M : 100 베이스 페어 마커M: 100 base pair marker

레인 4-6 : 아데노바이러스 E1 유전자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시발체, E1A,E1B 시발체를 이용해 293 DNA 증폭Lanes 4-6: 293 DNA amplification using primer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adenovirus E1 gene region, E1A, E1B primers

도 4는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이 해당 목적 부위인 hTR 부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지 여부를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으로 확인4 is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hether the adenovirus clone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removes the target hTR site

M : 100 베이스 페어 마커.M: 100 base pair markers.

레인 1, 4, 7 : 목 (mock) 감염Lanes 1, 4, 7: Mock Infection

레인 2, 5, 8 : Ad-CMV null 감염Lanes 2, 5 and 8: Ad-CMV null infection

레인 3, 6, 9 : Ad-OA 감염Lanes 3, 6 and 9: Ad-OA infection

도 5는 Ad-OA 의한 NCI-H358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사진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ytotoxicity of NCI-H358 by Ad-OA

A, B, C : Ad-CMV null infected NCl-H358. D, E, F : Ad-OA infected NCl-H358A, B, C: Ad-CMV null infected NCl-H358. D, E, F: Ad-OA infected NCl-H358

도 6은 Ad-OA에 의한 NCI-H358과 Du-145 세포의 성장 저해를 트립판 블루 염색법으로 측정한 결과6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growth inhibition of NCI-H358 and Du-145 cells by Ad-OA by trypan blue staining

A : IMR-90A: IMR-90

B : Du-145B: Du-145

C : NCI-H358C: NCI-H358

도 7은 Ad-OA에 의한 NCI-H358 세포에서의 텔로머라제 활성 억제 효과를 텔로미어 반복 중합 연쇄 반응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으로 측정한 결과7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telomerase activity in NCI-H358 cells by Ad-OA by the telomere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

도 8은 ApopTag 아폽토시스 탐지 키트를 사용한 터널 분석 (TUNEL assay) 결과로 Ad-OA 감염된 NCI-H358, Du-145 세포가 아폽포시스 되었음을 나타낸 결과FIG. 8 shows that Ad-OA infected NCI-H358, Du-145 cells were apoptotic as a result of the TUNEL assay using the ApopTag Apoptosis Detection Kit.

A: Ad-CMV null 감염A: Ad-CMV null infection

B: Ad-OA 감염B: Ad-OA Infection

도 9는 Ad-OA 감염 후 유동 세포 계수법 (Flow cytometry analysis) 분석으로 NCI-H358 세포의 아폽토시스 여부를 나타낸 결과Figure 9 shows the apoptosis of NCI-H358 cells by flow cytometry analysis after Ad-OA infection

A: Ad-CMV null 감염A: Ad-CMV null infection

B: Ad-OA 감염B: Ad-OA Infection

본 발명은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발현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데노바이러스의 게놈 DNA에서 E1 유전자 부위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안티센스 텔로머라제 DNA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를 대신 삽입함으로써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생산할 수 있는 발현 벡터를 제조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enovirus vectors expressing antisense telomerase. In order to prepare the adenovir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by removing the E1 gene region from the genomic DNA of the adenovirus and inserting an expression cassette containing antisense telomerase DNA in its place. Manufactur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데노바이러스 타입 5 에서 E1 유전자 부위를 제거한 나머지 유전자를 포함하고 인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ytomegalovirus)의 최전프로모터(immediate early promoter), 다클로닝 부위(multiple cloning site) 및 시미언바이러스 40(simian virus, SV40)의 후 아데닌다중화(late polyadenylation) 신호로 구성되는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 p△ACMVp(A)를 이용한다.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는 두 시발체(서열번호 1, 2)를 합성 후 상보 결합시켜 발현 벡터 p△ACMVp(A)의 다클로닝 부위의 Bam HI 및 Hind III 제한효소 부위에 삽입하고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발현할 수 있는 발현벡터 p△ACMV-OA를 제조한다 (도 1 참조).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maining genes from which the E1 gene region is removed in adenovirus type 5, and is an early early promoter, multiple cloning site, and simian virus 40 of human cytomegalovirus. An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pΔACMVp (A) containing an expression cassette composed of a late polyadenylation signal of (simian virus, SV40) is used. Antisense telomerase synthesizes two primers (SEQ ID NOs: 1, 2) and complements them, inserts them into the Bam HI and Hind III restriction sites of the polyclonal region of the expression vector pΔACMVp (A) and expresses antisense telomerase. An expression vector pΔACMV-OA can be prepared (see FIG. 1).

본 발명은 안티센스 텔로머라제 발현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분리하여 서열 번호 1을 이용하여 돗 블럿을 시행하여 293 세포에서 안티센스 텔로머라제가 발현함을 확인한다 (도 2 참조).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sense telomerase expression, the adenovirus clone was isolated and subjected to dot blot using SEQ ID NO: 1 to confirm that antisense telomerase is expressed in 293 cells (see FIG. 2).

또한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에 존재하는 증식성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 (RCV)를 분석하기 위하여, RCV가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에는 없는 E1 유전자 부위를 포함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타입 5 의 E1A 유전자 부위 및 E1B 유전자 부위가 존재하는가를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여 확인한다 (도 3 참조). 이 때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 서열을 갖는 한 쌍의 E1A 시발체 그리고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 서열을 갖는 한 쌍의 E1B 시발체를 이용한다(서열표 3, 서열표 4 및 서열표 5, 서열표 6 참조). 그 결과, 각각 752bp 및 1818bp 크기의 DNA 절편이 주형으로 사용한 바이러스 DNA에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그 결과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293 세포내에서 생산할 수 있고 RCV를 생산하지 않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선별하여이를 Ad-OA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2001년 년 8월 29일에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 KCCM 10312). 상기 바이러스는 안티센스 시퀸스를 생산하며 목적 부위인 hTR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을 역전사 효소-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확인한다 (도 4 참조).In addition, to analyze the proliferative recombinant mutant virus (RCV) present in the adenovirus clone, the E1A gene region of adenovirus type 5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act that RCV contains an E1 gene region which is not present in 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And the presence of the E1B gene region is confirmed by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ee FIG. 3). At this time, a pair of E1A primers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EQ ID NO: 3 and SEQ ID NO: 4 and a pair of E1B primers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EQ ID NO: 5 and SEQ ID NO: 6 are used (SEQ ID NO: 3, SEQ ID NO: 4 and SEQ ID NO: 5, see SEQ ID NO: 6).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752 bp and 1818 bp sized DNA fragments were not present in the viral DNA used as the template. As a result, adenovirus clones that can produce antisense telomerase in 293 cells and do not produce RCV were selected and named Ad-OA. The adenovirus cl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posited in Korea microbial conservation center on August 29, 2001 (Accession No .: KCCM 10312). The virus produces antisense sequences and confirms by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that selectively removes the desired site, hTR (see FIG. 4).

본 발명의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이 종양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를 폐암, 전립선암 세포주 및 정상 섬유 아세포에 감염시켜 종양세포의 특이적 사멸 및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다 (도 5 및 도 6 참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암 세포주로 폐암에서 유래한 NCI-H358 세포주 등을 사용하고, 전립선암에서 유래한 Du-145 등을 사용한다. 또 정상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정상 섬유 아세포 (fibroblast)인 IMR-90을 대조군으로 사용한다.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adenovirus clon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works on tumor cells, the adenovirus clone Ad-OA is infected with lung cancer, prostate cancer cell lines and normal fibroblasts to inhibit specific killing of tumor cells and cell growth. Confirm the effect (see FIGS. 5 and 6).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NCI-H358 cell line derived from lung cancer as a cancer cell line, Du-145, etc. derived from prostate cancer. In addition, IMR-90, a normal fibroblast, is used as a control to examine the effect on normal cell lines.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 가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트리판 블루 염색법 (cell exclusion assay)으로 측정한다.이 때 대조군으로 어떤 유전자도 발현하지 않는 아데노바이러스 Ad-CMV null로 세포를 감염시킨다. 그 결과, NCI-H358, Du-145 세포에서 세포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관찰했으나, 정상 피브로브라스트(fibroblast) 세포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한다 (도 6 참조). 또한 상기 아데노바이러스가 텔로머라제 활성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텔로미어 반복 중합 연쇄 반응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으로 측정하여 텔로머라제 활성억제 효과를 확인한다 (도 7 참조). Ad-OA로 감염한 세포에서 유발되는 아폽토시스 현상 중 뉴클레오좀 DNA가 파괴되는 현상을 ApopTag 아폽토시스 탐지 키트(Intergen사 제품)를 사용하여 세포 조직화학적으로 분석한다 (도 8 참조). 구체적으로 아데노바이러스 Ad-OA 또는 Ad-CMV null 을 세포에 처리하여 아폽토시스의 세포 마커인 뉴클레오좀 사이의 조각화 (internucleosomal fragmentation)에 의해 생성된 유리 3'-OH 기를 말단 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 전이효소(terminal deoxynucleotide transferase) 및 딕옥시제닌-표지 뉴클레오타이드 (digoxigenin-labelled nucleotide)를 이용하여 표지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NCI-H358, Du-145세포주에서 아폽토시스가 유발되는 현상을 갈색화된 핵 및 막이 수포화(membrane blebbing)된 세포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확인한다 (도 8 참조). 아넥신 V-FITC 킷 (클론텍 제품)을 이용한 유동 세포 계수법 (Flow cytometry analysis) 분석으로 Ad-OA 감염 NCI-H358 세포의 아폽토시스 여부를 확인한다 (도 9).The effect of the adenovirus clone Ad-O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cell growth is determined by trypan blue staining (cell exclusion assay), where cells are infected with adenovirus Ad-CMV null that does not express any genes as a control. . As a result, the cell number decrease was observed in NCI-H358 and Du-145 cells, but it was confirmed that normal fibroblast cells were hardly affected (see FIG. 6). In add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adenovirus inhibits telomerase activity, the telomerase activity inhibitory effect is confirmed by measuring by a telomere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 (see FIG. 7). The breakdown of nucleosome DNA among apoptosis induced in cells infected with Ad-OA is analyzed by cell histochemical analysis using ApopTag Apoptosis Detection Kit (Intergen) (see FIG. 8). Specifically, the free 3′-OH group generated by internucleosomal fragmentation between the nucleosomes, which are cellular markers of apoptosis, by treating adenovirus Ad-OA or Ad-CMV null in cells, the terminal deoxynucleotide transferase Labeling and analysis using deoxynucleotide transferase and dioxyxigenin-labeled nucleotides. As a result, the phenomenon in which apoptosis was induced in NCI-H358 and Du-145 cell lines was observed by optical microscopy of browned nucleus and membrane blebbing cells (see FIG. 8). Flow cytometry analysis using Annexin V-FITC kit (Clontech) confirms the apoptosis of Ad-OA infected NCI-H358 cells (FIG. 9).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실시예 1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Adenovirus Expression Vectors Containing Antisense Telomerase

본 발명은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데노바이러스 타입 5 에서 E1유전자 부위를 제거하고 이에 인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의 최전 프로모터(immediate early promoter), 다클로닝 부위 및시미언 바이러스 40의 후 아데닌다중화 (late polyadenylation) 신호로 구성되는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p△ACMVp(A) (Chinghai Cao 제조)를 이용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E1 gene site from adenovirus type 5 and thus produces an early early promoter, polycloning site and simeon of human cytomegalovirus to prepare an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antisense telomerase. An expression vector pΔACMVp (A) (manufactured by Chinghai Cao) containing an expression cassette consisting of a post-adenine polyadenylation signal of virus 40 was used.

본 발명의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세포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각 끝에 제한 효소인 BamHI과 HindIII 자리를 갖는 한 쌍의 시발체를 제조하였고 (서열번호1, 서열번호 2) 이를 10 mM Tris-HCl(pH8.0), 1mM EDTA 버퍼에서 90℃ 10 분, 55 ℃ 4시간 방치하여 상보 결합시키고 이를 상기 발현 벡터 p△ACMVp(A)의 다클로닝 부위에 존재하는 Bam HI/HindIII 제한효소부위에 삽입하였다. 그 결과,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 p△ACMV-OA를 제조하였다 (도1 참조).In order to prepare an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producing the antisense telomer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ells, a pair of primers having restriction enzymes BamHI and HindIII sites at each end were prepared (SEQ ID NO: 1, SEQ ID NO: 2) It was complementarily bound to 10 mM Tris-HCl (pH 8.0), 1 mM EDTA buffer at 90 ° C. for 10 minutes and 55 ° C. for 4 hours, and the Bam HI / was present at the polycloning site of the expression vector pΔACMVp (A). Inserted into the HindIII restriction enzyme site. As a result, an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pΔACMV-OA was prepared (see FIG. 1).

실시예 2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세포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Adenovirus Clones capable of Intracellular Production of Antisense Telomerase

세포에 감염되어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생산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발현벡터 p△ACMV-OA를 아데노바이러스 모체 벡터 pJM17 (Microbix 사 제품, 캐나다)와 함께 패키징 세포주인 293 세포에 리포좀 (FuGENE6: 로쉬 사 제품) 이용하여 형질전환시켰다. 이 때 형질전환(transfection)은 24-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 4개의 웰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플라크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In order to prepare adenovirus clones capable of infecting cells and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pΔACMV-OA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ackaged together with the adenovirus parent vector pJM17 (manufactured by Microbix, Canada). 293 cells were transformed using liposomes (FuGENE6, manufactured by Rosh). At this time, transfection was performed using 24-well plates,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virus plaques were generated in four wells.

실시예 3 증식성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의 분석Example 3 Analysis of Proliferative Recombinant Mutant Virus

실시예 2에서 얻은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에 존재할 수 있는 증식성 재조합 변이 바이러스(replication competent recombinant virus, RCV)를 분석하기 위하여, RCV는 293 세포내에 존재하는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와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의 유전자 중복 부위가 재조합(recombination)에 의해 E1A 유전자 서열이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에 삽입되어 발생한다는 사실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In order to analyze the replication competent recombinant virus (RCV) that may be present in the adenovirus clone obtained in Example 2, RCV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overlapping site of adenovirus genes and adenovirus expression vectors present in 293 cells. Based on the fact that the E1A gene sequence was inserted into 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by recombination, the following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구체적으로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에서 분리한 DNA에 아데노바이러스 타입 5 의 E1A 유전자 부위 및 E1B 유전자 부위가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염기 서열을 갖는 한 쌍의 E1A 시발체 (서열표 3 및 서열표 4참조) 그리고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 서열을 갖는 한 쌍의 E1B 시발체 (서열표 5 및 서열표 6 참조)를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였다. 이 때 아데노바이러스 DNA는 프로티나제 K(proteinase K, 2mg/ml)를 0.5% SDS 존재하에 처리한 다음 페놀 추출 및 에탄올 침전 등을 수행하여 분리하였다. 상기 E1A 시발체 및 E1B 시발체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주형으로 사용한 바이러스 DNA에 E1 유전자 부위(752bp 및 1818bp 크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아가로스 겔 상에서 확인하였다 (도 3 참조). 대조군으로 E1 유전자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염기 서열을 갖는 아데노바이러스 시발체 (서열표 7 및 서열표 8 참조)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면 E1 유전자의 유무에 상관없는 861bp 크기의 DNA 절편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a pair of E1A primers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EQ ID NO: 3 and SEQ ID NO: 4 to determine whether the E1A gene region and E1B gene region of adenovirus type 5 are present in the DNA isolated from the adenovirus clone (SEQ ID NO: 3 and SEQ ID NO: 4) and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a pair of E1B primers (see SEQ ID NO: 5 and SEQ ID NO: 6)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EQ ID NO: 5 and SEQ ID NO: 6 Was performed. At this time, adenovirus DNA was isolated by treating proteinase K (proteinase K, 2mg / ml) in the presence of 0.5% SDS, followed by phenol extraction and ethanol precipitatio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the E1A primers and the E1B primer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E1 gene region (752bp and 1818bp sizes) on the agarose gel in the viral DNA used as a template (see FIG. 3). 861bp irrelevant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1 gene whe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carried out with an adenovirus primer (see SEQ ID NO: 7 and SEQ ID NO: 8)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EQ ID NO: 7 and SEQ ID NO: 8,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E1 gene region as a control. DNA fragments of size can be identified.

실시예 4 각종 세포주의 배양Example 4 Culture of Various Cell Lines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이 암 세포에 작용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폐암 세포주 NCI-H358, 전립선암 세포주 Du-145와 대조군인 인간 정상피부 피브로브라스트 세포인 IMR90 등을 10% 소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배지 RPMI1640 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세포주들은 모두 ATCC 사에서 구입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adenovirus cl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cts on cancer cells and exhibits anticancer effects, 10% of the lung cancer cell line NCI-H358, the prostate cancer cell line Du-145 and the control human normal skin fibroblast cell IMR90, etc. It was cultured in a medium RPMI1640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Cell lines were all purchased from ATCC.

실시예 5 안티센스 발현 및 목적부위 hTR의 선택 특이적 제거Example 5 Antisense Expression and Selective Specific Removal of Target Site hTR

재조합 바이러스가 안티센스를 생산함을 Ad-OA 감염 293 세포에서 바이럴 DNA를 추출해서 서열 1을 DIG-DNA 표지 및 탐색 킷 (베링거 맨하임사)를 이용해 표지하고 바이럴 DNA를 동 회사의 나일론 맴브레인에 부착 후 상기 킷을 이용하여 돗블럿을 실시하였다(도 2). 또한 Ad-OA 감염 NCI-H358에서 전체 세포 RNA를 TRIZol 반응용액 (기브코사제품)으로 추출한 후 올리고 (dT)15 (프로메가 제품)과 수퍼스크립트 II 역전사 효소 (기브코사 제품)를 이용 cDNA 합성 후 발현 안티센스 특이 시발체 (서열표 9, 10 참조)를 이용하여 r-Taq (타카라 제품)으로 중합반응을 시행하여 안티센스가 발현됨을 확인했으며 (도 4 참조) hTR 특이 시발체 (서열표 9, 11 참조)을 사용한 중합반응을 시행하여 Ad-OA에 의한 목적 부위인 hTR의 선택 특이적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4 참조). 이때 서열 번호 12및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갖는 인간 글리세르 알데하이드-3인산 탈수소효소(glyceraldehydes-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시발체를 대조군으로 사용한다.Recombinant virus produces antisense, extracts viral DNA from Ad-OA infected 293 cells, labels SEQ ID NO: 1 using DIG-DNA labeling and detection kit (Boehringer Mannheim) and attaches viral DNA to the company's nylon membrane After that, a dot blot was performed using the kit (FIG. 2). In addition, after extracting whole cell RNA from Ad-OA-infected NCI-H358 with TRIZol reaction solution (Gibco Co., Ltd.), after cDNA synthesis using oligo (dT) 15 (Promega) and Superscript II reverse transcriptase (Gibco Co.). Expression of antisense was confirmed by polymerization with r-Taq (product of Takara) using an expression antisense specific primer (see SEQ ID NOS: 9, 10) (see Figure 4) and hTR specific primer (see SEQ ID NOs: 9, 11).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elective specific removal effect of hTR, the target site by Ad-OA (see FIG. 4). At this time, the human glyceraldehyde-3 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primer hav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SEQ ID NO: 12 and SEQ ID NO: 13 is used as a control.

실시예 6 텔로머라제 활성 억제 효과Example 6 Effect of Inhibiting Telomerase Activity

아데노바이러스 Ad-OA로 감염된 세포에서 텔로머라제 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웰에 세포를 배양하여 100 pfu/세포 농도의 아데노바이러스 Ad-OA 또는 Ad-CMV null 으로 처리한 다음 Kim (Kim et al., 1994) 등에 의한 텔로미어 반복 중합 연쇄 반응(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 으로 2000개의 세포에서 텔로머라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Ad-CMV null 감염 세포에비해 Ad-OA 감염 세포의 텔로머라제 활성이 약 40 % 감소하였다 (도7). 상대적 활성도는 밀도 분석 프로그램 (Total Lab. 사 제품)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hibiting telomerase activity in cells infected with adenovirus Ad-OA, cells were cultured in 6-well and treated with adenovirus Ad-OA or Ad-CMV null at 100 pfu / cell concentration, followed by Kim ( The telomerase activity was measured in 2000 cells by the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 by Kim et al., 1994). As a result, telomerase activity of Ad-OA infected cells was reduced by about 40% compared to Ad-CMV null infected cells (FIG. 7). Relative activity was analyzed using a density analysis program (Total Lab.).

실시예 7 아데노바이러스 Ad-OA 의 항암 효과Example 7 Anticancer Effect of Adenovirus Ad-OA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을 항암 유전자 요법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에 나열한 각 암 세포주에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 를 처리하여 이로부터 항암 효과를 조사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at the adenovirus cl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for anticancer gene therapy, the cancer cell lines listed in Example 4 were treated with adenovirus clone Ad-OA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 therefrom.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Ad-OA의 감염이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트리판 블루 염색법 (trypan blue dye exclusion assay)로 측정하였다. 대략 5 × 104개의 세포를 60-mm디시에 심어 하루 배양 후 아데노바이러스 Ad-OA 또는 Ad-CMV null 을 100 pfu/세포의 농도로 처리한 후 이틀 간격으로 6일간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NCI-H358, Du-145에서 세포수가 감소되는 현상을 관찰하였으나 정상 피브로브라스트 IMR-90 세포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5 및 도 6 참조).The effect of the adenovirus Ad-OA inf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cell growth was measured by trypan blue dye exclusion assay. Approximately 5 × 10 4 cells were planted in a 60-mm dish and treated with adenovirus Ad-OA or Ad-CMV null at a concentration of 100 pfu / cell after one day incubation, and then cell numbers were measured for 6 days at two-day intervals. As a result, the cell number was reduced in NCI-H358 and Du-145, but it was confirmed that normal fibroblast IMR-90 cells were hardly affected (see FIGS. 5 and 6).

실시예 8 세포 아폽토시스 분석Example 8 Cell Apoptosis Assay

아데노바이러스 Ad-OA로 감염된 세포에서 유발되는 아폽토시스를 조사하기 위하여, 4-체임버 슬라이드에서 세포를 배양하여 100 pfu/세포 농도의 아데노바이러스 Ad-OA 또는 Ad-CMV null 으로 처리한 다음 4%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아폽토시스에 의해 유발되는 뉴클레오좀 DNA 의 파괴를 세포 조직화학적으로 Apop Tag 아폽토시스 탐지 키트(인터젠사 제품)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데노바이러스 Ad-OA 또는 Ad-CMV null을 세포에 6일 동안 처리하여 아폽토시스의 세포 마커인 뉴클레오좀 사이의 조각화 (internucleosomal fragmentation)에 의해 성성된 유리 3'-OH기를 말단 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 전이효소(terminal deoxynucleotide transferase) 및 딕옥시제닌-표지 뉴클레오타이드 (digoxigenin-labelled nucleotide)를 이용하여 표지하였다. 그 결과, NCI-H358 세포주와 Du-145 세포주가 아데노바이러스 Ad-OA의 감염에 의해 DNA 가조각화되어 아폽토시스가 유발됨을 상기 염색에 양성으로 반응함을 확인하였다 (도 8). 또한 아넥신 V-FITC 킷 (클론텍 제품)을 이용한 유동 세포 계수법 (Flow cytometry analysis) 분석으로 Ad-OA 감염 NCI-H358 세포의 아폽토시스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6-웰에 세포를 배양하여 100 pfu/세포 농도의 아데노바이러스 Ad-OA 또는 Ad-CMV null 으로 6일간 처리 후 염색액으로는 아낵신 V (AnnexinV-FITC) 와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propidium iodide ; PI)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약 55.91 %의 NCI-H358 세포가 아폽토시스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9).To investigate apoptosis induced in cells infected with adenovirus Ad-OA, cells were cultured in 4-chamber slides and treated with adenovirus Ad-OA or Ad-CMV null at 100 pfu / cell concentration and then with 4% formalin. Fixed. The breakdown of nucleosome DNA caused by apoptosis was analyzed histochemically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method using an Apop Tag Apoptosis Detection Kit (available from Intergen). Specifically, free 3'-OH groups formed by internucleosomal fragmentation between nucleosomes, which are cellular markers of apoptosis, by treating cells with adenovirus Ad-OA or Ad-CMV null for 6 days, are terminal deoxynucleotide transfers. Labeling was done using an enzyme (terminal deoxynucleotide transferase) and dioxyxigenin-labeled nucleotid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CI-H358 cell line and Du-145 cell line responded positively to the staining that DNA fragmentation was caused by infection of adenovirus Ad-OA to induce apoptosis (FIG. 8). In addition, flow cytometry analysis using Annexin V-FITC kit (Clontech) confirmed the apoptosis of Ad-OA infected NCI-H358 cells. Specifically, the cells were cultured in 6-well and treated with adenovirus Ad-OA or Ad-CMV null at 100 pfu / cell for 6 days, and then stained with anacsin V (AnnexinV-FITC) and propidium iod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pidium iodide (PI).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bout 55.91% of NCI-H358 cells were apoptotic (FIG. 9).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 및 이로부터 얻은 바이러스 클론 Ad-OA 는 암세포를 사멸시키거나 성장을 억제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데노바이러스 클론은 다양한 중합효소 연쇄반응 등을 수행한 결과 증식성 변이 바이러스를 전혀 만들어내지 않으므로 인체에 직접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여 앞으로 암환자에게 직접 사용되는 항암 유전자 요법으로 기대가 매우 크다.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iral clone Ad-OA obtained therefrom can be confirmed to have an excellent effect on killing cancer cells or inhibiting growth. In addition, the adenovirus clone is not expected to produce a proliferative mutant virus at all as a result of performing various polymerase chain reactions, so it is easy to use directly in the human body is expected to be anti-cancer gene therapy directly used in the future cancer patients.

본 발명의 아데노바이러스 Ad-OA 는 기존의 안티센스 올리고머에 비해 독성이나 부작용이 적은 반면 기존의 안티센스 올리고머와 거의 같은 효과를 내는것으로 생각되어 항암 유전자 요법에 사용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내게 된다.While the adenovirus Ad-O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oxic or side effects than conventional antisense oligomers, the adenovirus Ad-OA is considered to have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existing antisense oligomers and thus exhibits very good safety when used in anticancer gene therapy.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1SEQ ID NO: 1

서열의 길이: 27Sequence length: 27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1][SEQ ID NO: 1]

5' -GATCCCGCGCGGGGAGCAAAAGCACGA-3 '5 '-GATCCCGCGCGGGGAGCAAAAGCACGA-3'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2SEQ ID NO: 2

서열의 길이: 27Sequence length: 27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2][SEQ ID NO: 2]

5'- AGCTTCGTGCTTTTGCTCCCCGCGCGG-3'5'- AGCTTCGTGCTTTTGCTCCCCGCGCG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3SEQ ID NO: 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3][SEQ ID NO: 3]

5'-AGCTGATCGAAGAGGTACTG-3'5'-AGCTGATCGAAGAGGTACT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4SEQ ID NO: 4

서열의 길이: 19Sequence length: 19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4][SEQ ID NO: 4]

5'-GAGTCACAGCTATCCGTAC-3'5'-GAGTCACAGCTATCCGTAC-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5SEQ ID NO: 5

서열의 길이: 22Sequence length: 22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 태: 직쇄상Type: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5][SEQ ID NO: 5]

5'-GGTTACATCTGACCTCATGGAG-3'5'-GGTTACATCTGACCTCATGGA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6SEQ ID NO: 6

서열의 길이: 22Sequence length: 22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6][SEQ ID NO: 6]

5'-CAGTACCTCAATCTGTATCTTC-3'5'-CAGTACCTCAATCTGTATCTTC-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7SEQ ID NO: 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7][SEQ ID NO: 7]

5'-TCGTTCTCAGCAGCTGTTG-3'5'-TCGTTCTCAGCAGCTGTT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8SEQ ID NO: 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8][SEQ ID NO: 8]

5'-CATCTGAACTCAAAGCGTGG-3'5'-CATCTGAACTCAAAGCGTG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9SEQ ID NO: 9

서열의 길이: 24Sequence length: 24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9][SEQ ID NO: 9]

5'-TTTGTCTAACCCTAACTGAGAAGG-3'5'-TTTGTCTAACCCTAACTGAGAAG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10SEQ ID NO: 10

서열의 길이: 24Sequence length: 24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s of Sequences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10][SEQ ID NO: 10]

5'-TGTGAGCCGAGTCCTGGGTGCACG-3'5'-TGTGAGCCGAGTCCTGGGTGCAC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11SEQ ID NO: 11

서열의 길이: 19Sequence length: 19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11][SEQ ID NO: 11]

5'-CCACAACTAGAATGCAGTG-3'5'-CCACAACTAGAATGCAGTG-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12SEQ ID NO: 1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12][SEQ ID NO 12]

5'-TTCGTCATGGGTGTGAACCA-3'5'-TTCGTCATGGGTGTGAACCA-3 '

[서열 목록][Sequence list]

서열번호: 13SEQ ID NO: 1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기타핵산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s (oligonucleotides)

[서열표 13][SEQ ID NO: 13]

5'-TGGCAGGTTTTTCTAGACGG -3'5'-TGGCAGGTTTTTCTAGACGG -3 '

Claims (6)

바이러스의 증식에 관여하는 E1 유전자가 제거되고 서열번호 1의 6 내지 26번째 염기서열을 갖는 안티센스 텔로머라제 DNA가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CMV)의 최전 프로모터 및 시미언바이러스 (SV) 40의 후 아데닌다중화 신호 사이의다클로닝 부위에 삽입되어 세포 내에서 안티센스 텔로머라제를 생산할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The antisense telomerase DNA having the 6-26th sequence of SEQ ID NO: 1, which is involved in the propagation of the virus, is removed and the post-adenylation of the last promoter of cytomegalovirus (CMV) and Simeon virus (SV) 40 An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being inserted at the polycloning site between signals to produce antisense telomerase in cells. 제1항에 있어서, 도 1의 p△ACMV-OA의 개열지도와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according to claim 1, which has a cleavage map and a nucleotide sequence of pΔACMV-OA of FIG. 1. 제1항의 아데노바이러스 발현 벡터를 패키징 세포에서 증식시켜 얻은 증식 변이 바이러스가 포함되지 않으며 항암유전자 요법에 사용될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An adenovirus clone Ad-OA which does not contain a proliferative mutant virus obtained by propagating the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of claim 1 in a packaging cell and can be used for anticancer gene therapy. 제3항에 있어서, 수탁번호 KCCM 10312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4. Adenovirus clone Ad-OA according to claim 3, deposited with accession number KCCM 10312. 제3항에 있어서,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The adenovirus clone Ad-OA of claim 3, which is used to treat cancer. 제5항에 있어서, 암은 전립선암 또는 폐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데노바이러스 클론 Ad-OA.The adenovirus clone Ad-OA of claim 5, wherein the cancer is prostate cancer or lung cancer.
KR10-2001-0057382A 2001-09-14 2001-09-14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KR100450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382A KR100450450B1 (en) 2001-09-14 2001-09-14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382A KR100450450B1 (en) 2001-09-14 2001-09-14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841A KR20030023841A (en) 2003-03-20
KR100450450B1 true KR100450450B1 (en) 2004-09-30

Family

ID=2772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382A KR100450450B1 (en) 2001-09-14 2001-09-14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45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8442A1 (en) * 1996-12-20 1998-07-02 Geron Corporation Methods for detecting and inhibiting the rna component of telomerase
US5958680A (en) * 1994-07-07 1999-09-28 Geron Corporation Mammalian telomer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8680A (en) * 1994-07-07 1999-09-28 Geron Corporation Mammalian telomerase
WO1998028442A1 (en) * 1996-12-20 1998-07-02 Geron Corporation Methods for detecting and inhibiting the rna component of telomeras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eng Wu Hua Xue Yu Sheng Wu Wu Li Xue Bao (Shanghai). 1999;31(5):527-530 *
Zhonghua Bing Li Xue Za Zhi 29(3) : 188-191 (2000. 6) *
Zhonghua Bing Li Xue Za Zhi. 2000 Jun;29(3):188-9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841A (en) 200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nes et al. Subtractive hybridization cloning of a tissue-specific extinguisher: TSE1 encodes a regulatory subunit of protein kinase A
JP2726754B2 (en) Inhibition of the ras gene by antisense oligonucleotides
Ludwig et al. Targeted mutations of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gene homologs in mice: lethal phenotypes of Brca1, Brca2, Brca1/Brca2, Brca1/p53, and Brca2/p53 nullizygous embryos.
US6444650B1 (en) Antisense compositions for detecting and inhibiting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Griep et al. Antisense Myc sequences induce differentiation of F9 cells.
McBurney et al. The mouse Pgk-1 gene promoter contains an upstream activator sequence
Sasaki et al. Parental imprinting: potentially active chromatin of the repressed maternal allele of the mouse insulin-like growth factor II (Igf2) gene.
RU2136751C1 (en) Recombinant dna as agent for inhibition of rna function in living organism
Choi et al. DNA hypomethylation and germ cell-specific expression of testis-specific H2B histone gene.
JP2019528718A (en) Increased DNA demethylation targeted
WO1991018625A1 (en) Ribozyme mediated reversal of transformation by cleavage of the hras oncogene rna
Simon et al. Functional evidence for a role of combined CDKN2A (p16-p14 ARF)/CDKN2B (p15) gene inactivation in malignant gliomas
Dupriez et al. Characterization of a hepatoma mRNA transcribed from a third promoter of a 6-phosphofructo-2-kinase/fructose-2, 6-bisphosphatase-encoding gene and controlled by ets oncogene-related products.
Plenz et al. The human vigilin gene: identification, chromosomal localization and expression pattern
CN107012158B (en) Telomerase promoter gene express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450450B1 (en)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Roberts et al. Smooth muscle alternative splicing induced in fibroblasts by heterologous expression of a regulatory gene.
ES2319238T3 (en) COMPOSITIONS TO MODULATE THE LENGTH OF THE TALOMERS.
Takahashi et al. Involvement of PIM-1 in DNA fragmentation in mouse NS-1-derived cells
Robinson-Benion et al. [23] Antisense techniques
KR100459979B1 (en) Adenovirus vector with telomerase promoter and the methods for anti-cancer treatments
KR100635454B1 (en) Adenovirus vector producing antisense telomerase and the methods fo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WO1998023730A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WO1998023730A9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KR100561985B1 (en) Cancer-specific apoptin-expression cassette and adenovirus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