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066B1 - 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 Google Patents

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066B1
KR100375066B1 KR10-2001-0021162A KR20010021162A KR100375066B1 KR 100375066 B1 KR100375066 B1 KR 100375066B1 KR 20010021162 A KR20010021162 A KR 20010021162A KR 100375066 B1 KR100375066 B1 KR 10037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lay
contact
transmiss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81783A (en
Inventor
백승국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066B1/en
Publication of KR2002008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0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02H3/044Checking correct functioning of protective arrangements, e.g. by simulating a fau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6Arrangements for supplying operative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지 장치의 회로 이상, 신호선의 상태 및 입력 회로의 이상을 감지하여 계전기의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게 한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와; 상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킨 전송신호와 반전시킨 반전전송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이 두 신호를 반전시켜 구동신호의 입력 여부와 회로의 상태를 점검하는 전송읽기 신호와 반전전송읽기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기와; 상기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코일의 여자에 따라 수신기측으로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계전기와; 상기 계전기의 수신신호와 상기 전송기의 반전전송신호인 반전수신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을 반전시키는 수신기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tal contact detecting device of a 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tal contact detecting device of a relay that detects a circuit abnormality of a detection device, a state of a signal line, and an abnormality of an input circuit to accurately detect the state of the relay. .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r for receiving a pulse signal to generate a drive signal; The driving signal is inputted and amplified and the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is output, and the two signals are inverted again to output a transmission read signal and a reverse transmission read signal for checking whether the driving signal is input and the state of the circuit. A transmitter; A relay which receive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outputs the reception signal to a receiver according to the excitation of the coil;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relayed signal and the inverted reception signal which is an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and inverting each of them.

Description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본 발명은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지 장치의 회로 이상, 신호선의 상태 및 입력 회로의 이상을 감지하여 계전기의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게 한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tal contact detecting device of a 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tal contact detecting device of a relay that detects a circuit abnormality of a detection device, a state of a signal line, and an abnormality of an input circuit to accurately detect the state of the relay. .

도 1은 일반적인 계전기의 단접점 감지 장치를 보인 구성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전기(Relay: 여러 입력 신호에 따라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구실을 하는 기기, 이하 계전기로 표기함)(11)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10)과, 상기 전원입력(10)을 입력받아 코일(13)의 동작에 따라 출력하는 상기 계전기(11)와, 상기 계전기(11)의 출력을 입력받아 그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검지회로(12)로 구성된다.1 is a configuration example showing a single contact detection device of a general relay, as shown in the relay (relay: a device that serves to open or close the electrical circuit according to various input sig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lay) ( 11) receives the power input 10 for inputting power to the power source, the relay 11 for receiving the power input 10, and outputs the coil 1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il 13, and the output of the relay 11; It consists of an input detection circuit 12 that detects the signal.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접점 감지 방법(SCM: Single Contact Monitoring)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single contact monitoring method (SC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계전기(11)의 한 접점에 전원입력(10)을 인가하고 그 반대쪽 접점에 입력검지 회로(12)를 구성한 후, 상기 계전기(11)가 코일(13)이 작동하여 온 되었을 시, 상기 계전기(11)의 접점을 통해 상기 전원입력(10)이 상기 입력검지 회로(12)에 인가된다.After applying the power input 10 to one contact of the relay 11 and configuring the input detection circuit 12 to the opposite contact, when the relay 11 is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coil 13, the relay ( The power input 10 is applied to the input detection circuit 12 through the contact of 11).

반대로 상기 계전기(11)가 상기 코일(13)이 작동하지 않아 오프 되었을 시, 상기 전원입력(10)이 차단되어 상기 입력검지 회로(12)에 상기 전원입력(10)이 인가되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접점상태를 검지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relay 11 is turned off because the coil 13 does not work, the power input 10 is cut off so that the power input 10 is not applied to the input detection circuit 12. Detect contact status.

또 다른 실시예로 이중접점 감지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전기(21)의 입력접점에 전원입력(20)을 인가하고 브레이크 접점에는 1번 입력검지 회로(22)를 메이크 접점에는 2번 입력검지 회로(23)를 구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dual contact sensing device applies the power input 20 to the input contact of the relay 21, the first input detection circuit 22 to the brake contact, and the second to the make contact. The input detection circuit 23 is construct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중접점 감지 방법(DCM: Duplicate Contact Monitoring)은 다음과 같다.A conventional dual contact detection method (DC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계전기(21)의 상태는 반드시 메이크 접점이나 브레이크 접점 중 한 접점에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계전기(21)의 메이크 접점(Make Contact: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닫혀 있고 흐르고 있지 않을 때는 열려 있는 접점)과 브레이크 접점(Break Contact: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열려 있고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는 닫혀 있는 접점)의 신호값이 비교되고 상기 계전기(21)의 상태가 결정된다. 즉 상기 계전기(21)가 메이크 와 브레이크 접점, 두 위치 중에 한 위치에 있다면 1번 입력검지 회로(22)와 2번 입력검지 회로(23)의 출력값은 서로 반대가 된다.It is assumed that the state of the relay 21 is necessarily at one of the make contact and the brake contact. Make contact of the relay 21 is closed while the current is flowing in the coil and is open when it is not flowing, and break contact is open while the current is flowing in the coil. If not, the signal value of the closed contact) is compared and the state of the relay 21 is determined. That is, if the relay 21 is in one of two positions, a make and a brake contact, the output values of the first input detection circuit 22 and the second input detection circuit 23 are opposite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계전기(21)의 전원입력(20)을 입력받는 입력접점이 상기 브레이크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전원입력(20)은 상기 1번 입력검지 회로(22)에 인가되고, 상기 2번 입력검지 회로(23)에는 상기 전원입력(20)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만약 상기 계전기(21)의 입력접점이 상기 브레이크 접점과 상기 메이크 접점의 중간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두 입력검지 회로(22, 23) 모두 상기 전원입력(20)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For example, if the input contact receiving the power input 20 of the relay 21 is connected to the brake contact, the power input 20 is applied to the first input detection circuit 22, the second The power input 20 is not applied to the input detection circuit 23. If the input contact of the relay 21 is plac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brake contact and the make contact, the power input 20 is not applied to both of the two input detection circuits 22 and 23.

또 다른 실시예로 더블 이중접점 감지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원입력(30, 31)과, 상기 두 전원입력(30, 31)을 입력받고 두 쌍의 브레이크와 메이크 접점(32a, 32b)을 구비한 계전기(32)와, 상기 계전기(32)의 4개의 접점에 각각 연결된 4개의 입력검지 회로(34~37)로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double double contact detecting apparatus receives two power inputs 30 and 31 and two power inputs 30 and 31 and receives two pairs of brake and make contacts ( And a relay 32 having 32a and 32b and four input detection circuits 34 to 37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our contacts of the relay 32.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더블 이중접점 감지 방법(DDCM: Double Duplicate Contact Monitoring)은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double double contact detection method (DDC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4개의 계전기 접점의 상태를 입력받아 접점의 위치를 검지한다. 상기 이중접점 감지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계전기(32)의 접점은 반드시 두 접점 중 어느 한 접점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The state of the four relay contacts is input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cts is detected. Like the dual contact detection method, it is assumed that the contact of the relay 32 is necessarily located at any one of two contacts.

접점에 아크 발생으로 인해 상기 두 쌍의 접점(32a, 32b)에서 한 쌍의 접점(32a)중 브레이크 접점에 웰딩(Welding: 뜨거울때 압력이나 융해로 두 접점이 붙는 것, 이하 웰딩이라 표기함)이 발생하면 한 쌍의 접점(32b)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다른 한 쌍의 접점(32a)은 비정상적 혹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각각의 입력검지 회로(34~37)에 정상적인 상태의 입력값이 아닌 다른 값이 입력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1번 입력검지 회로(34)에 연결된 브레이크 접점이 웰딩이 되었다고 가정하면 계전기를 오프 하여도 상기 1, 2번 입력검지 회로(34, 35)의 값과 상기 3, 4번 입력검지 회로(36, 37)의 값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를 분석하면 상기 계전기(32)의 고장여부를 알 수 있다.Welding of the brake contacts of the pair of contacts 32a in the two pairs of contacts 32a and 32b due to arc generation at the contact (Welding: bonding two contacts by pressure or fusion when h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lding) When this occurs, the pair of contacts 32b operates normally, but the other pair of contacts 32a is abnormal or does not move. In other words, a value other than a normal input value is input to each of the input detection circuits 34 to 37.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brake contact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detection circuit 34 is welded, th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tection circuits 34 and 35 and the input detections 3 and 4 are detected even when the relay is turned off. The values of the circuits 36 and 37 are different. By analyzing this, it can be known whether the relay 32 is broke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입력검지 회로의 고장으로 입력검지 회로의 검지값이 일정한 한 가지의 상태만을 나타낼 때는 실제 계전기의 상태값이 아닌 다른 값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input detection circuit represents only one state due to a failure of the input detection circuit, there is a problem of representing a value other than the actual value of the relay.

또한, 신호선의 단선이나 단락으로 인해 전원입력이 입력검지 회로로 전달되지 않아도 이를 알아낼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입력검지 회로는 신호선이 단선 또는 단락되어 전원입력이 입력검지 회로에 인가되지 않을 때도 계전기를 오프로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way to find out if the power input is not delivered to the input detection circuit due to the disconnection or short circuit of the signal line. For example, the input detection circuit has a problem of recognizing the relay as off even when the signal line is disconnected or short-circuited so that the power input is not applied to the input detection circuit.

또한, 입력회로의 이상이나, 전원의 생성 실패로 인한 입력의 정당성을 검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계전기의 상태와 관계없이 전원입력이 생성이 되지 않으면 입력검지 회로는 이러한 상태를 계전기가 오프 된 것으로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input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input circuit or failure to generate power cannot be detected. For example, if the power input is not generat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relay, the input detection circuit has a problem in recognizing the state that the relay is off.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신호선의 단선이나 단락을 검출하고 회로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을 해소한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evice for detecting a vital contact of a relay that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disconnection or short circuit of a signal line and determining whether a circuit is abnormal, which is a problem of the prior art. Has its purpose.

도 1은 종래 계전기의 단접점 감지 장치의 구성 예시도.1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single-point detection device of a relay.

도 2는 종래 계전기의 이중접점 감지 장치의 구성 예시도.Figure 2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dual contact detec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relay.

도 3은 종래 계전기의 더블 이중접점 감지 장치의 구성 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double double contact detec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relay.

도 4는 본 발명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의 단접점 감지 장치를 보인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ngle contact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vital contact detection device.

도 5는 본 발명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의 이중접점 감지 장치를 보인 예시도.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ouble contact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vital contact detection device.

도 6은 본 발명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의 더블 이중접점 감지 장치를 보인 예시도.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ouble double contact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vital contact detection device.

도 7은 도 4 내지 도 6의 드라이버 회로 구성도.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er circuit of FIGS. 4 to 6.

도 8은 도 4 내지 도 6의 전송기 회로 구성도.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ransmitter circuit of FIGS. 4 to 6.

도 9는 도 4 내지 도 6의 수신기 회로 구성도.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ceiver circuit of FIGS. 4 to 6.

도 10은 도 4의 단접점 감지 장치의 입출력 신호값을 보인 진리표.FIG. 10 is a truth table showing input / output signal values of the single-contact detecting device of FIG. 4. FIG.

도 11은 도 5의 이중접점 감지 장치의 입출력 신호값을 보인 진리표.FIG. 11 is a truth table showing input / output signal values of the dual contact sensing device of FIG. 5. FIG.

도 12은 도 6의 더블 이중접점 감지 장치의 입출력 신호값을 보인 진리표.FIG. 12 is a truth table showing input / output signal values of the double double contact detecting device of FIG. 6.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70 : 드라이버 80 : 전송기70: driver 80: transmitter

100, 110, 120 : 계전기 90 : 수신기100, 110, 120: relay 90: receiv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와; 상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킨 전송신호와 반전시킨 반전전송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이 두 신호를 반전시켜 구동신호의 입력 여부와 회로의 상태를 점검하는 전송읽기 신호와 반전전송읽기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기와; 상기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코일의 여자에 따라 수신기측으로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계전기와; 상기 계전기의 수신신호와 상기 전송기의 반전전송신호인 반전수신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을 반전시키는 수신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river for receiving a pulse signal to generate a drive signal; The driving signal is inputted and amplified and the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is output, and the two signals are inverted again to output a transmission read signal and a reverse transmission read signal for checking whether the driving signal is input and the state of the circuit. A transmitter; A relay which receive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outputs the reception signal to a receiver according to the excitation of the coil; And a receiver for inverting the received signal of the relay and the inverted reception signal which is an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를 첨부한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2 to which a vital contact detecting device of a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도 4는 본 발명 단접점 감지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신호(P)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70)와, 상기 구동신호(P)를 입력받아 증폭시킨 전송신호(T_OUT)와 반전시킨 반전전송신호(/T_OUT)를 출력하고, 다시 이 두 신호를 반전시켜 구동신호(P)의 입력 여부와 회로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송읽기신호(T_READ)와 반전전송읽기신호(/T_READ)를 출력하는 전송기(80)와; 상기 전송신호(T_OUT)를 입력받아 코일(101)의 여자에 따라 수신신호( R_IN)를 출력하는 계전기(100)와; 상기 계전기(100)의 수신신호( R_IN)와 상기 전송기(80)의 반전전송신호(/T_OUT)인 반전수신신호(/R_IN)를 입력받아 반전시키는 수신기(90)로 구성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contact detection device, a driver 70 for receiving a pulse signal to generate a drive signal (P) and the drive signal (P) as shown in FIG. Receives and amplifies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and the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 T_OUT which are inverted, and inverts these two signals to detect the input of the driving signal P and the transmission read signal T_READ. And a transmitter 80 for outputting an inverted transmission read signal / T_READ; A relay 100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and outputting a reception signal R_IN according to the excitation of the coil 101; And a receiver 90 that receives and inverts the reception signal R_IN of the relay 100 and the inversion reception signal / R_IN of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of the transmitter 80.

상기 드라이버(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시키는 트랜지스터(TR41)와, 그 반전된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구동신호(P)를 발생시키는 포토 커플러(PC41)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driver 70 is a transistor TR41 that receives and inverts a pulse signal and a photo coupler PC41 that generates the driving signal P by operating according to the inverted signal. It is composed.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전압(VCC)을 저항(R43)을 통하여 콜렉터에 인가받고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R42)를 통해 자기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펄스 입력을 저항(R41)을 통하여 베이스에 입력받아 반전 신호를 콜렉터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TR41)와; 캐소드에 연결된 저항(R44)를 통해 전류량을 제한받고 저항(R45)을 통해 전원전압(VEXT)을 콜렉터에 인가받아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상기 반전 신호를 다시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PC41)로 구성된다.In detail below, the pulse input is applied to the base through the resistor R41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is applied to the collector through the resistor R43 and self-biased through the resistor R42 connected between the base and the emitter. A transistor TR41 that receives an input and outputs an inverted signal to a collector; The photocoupler PC41 is configured to limit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44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to invert the inverted signal again in a biased state by a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EXT to the collector through the resistor R45.

상기 전송기(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신호(P_IN)를 입력받아 반전시켜 상기 전송신호(T_OUT)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TR51)와, 상기 전송신호(T_OUT)에 따라 동작하여 전송읽기신호(T_READ)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PC51)로 구성된 제1전송부(81)와; 상기 구동신호(P_IN)를 입력받아 증폭시켜 반전전송신호(/T_OUT)를 출력하는 피엔피 트랜지스터(TR52)와, 그 반전전송신호(/T_OUT)에 따라 동작하여 반전전송읽기신호(/T_READ)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PC52)로 구성된 제2전송부(8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transmitter 80 receives the driving signal P_IN and inverts the transistor 80 to output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A first transmission unit 81 composed of a photo coupler PC51 for outputting a transmission read signal T_READ; The PNP transistor TR52 receives and amplifies the driving signal P_IN to output the inversion transfer signal / T_OUT,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inversion transfer signal / T_OUT to generate the inversion transfer read signal / T_READ. It consists of a second transmission unit 82 composed of a photo coupler (PC52) for outputting.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제1전송부(81)는 전원전압(VEXT)을 저항(R55)을 통하여 콜렉터에 인가받고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R52)을 통해 자기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신호(P_IN)를 저항(R51)을 통하여 베이스에 입력받아 전송신호(T_OUT)를 콜렉터로 출력하는 트랜지스터(TR51)와; 상기 전송신호(T_OUT)를 전원전압(VEXT)과 접지(GEXT)로 클램핑하는 두 개의 다이오드(D51, D52)와; 캐소드에 연결된 저항(R57)을 통해 전류량을 제한받고 저항(R58)을 통해 전원전압(VCC)을 콜렉터에 인가받아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상기 반전 신호를 다시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PC51)로 구성되고, 제2전송부(82)는 전원전압을 저항(R56)을 통하여 에미터에 인가받고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R54)를 통해 자기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신호(P_IN)를 저항(R53)을 통하여 베이스에 입력받아 반전전송신호(/T_OUT)를 출력하는 피엔피 트랜지스터(TR52)와; 상기 반전전송신호(/T_OUT)를 전원전압(VEXT)과 접지(GEXT)로 클램핑하는 두 개의 다이오드(D53, D54)와; 캐소드에 연결된 저항(R59)을 통해 전류량을 제한받고 저항(R60)을 통해 전원전압(VCC)을 콜렉터에 인가받아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상기 반전전송신호(/T_OUT)를 다시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PC52)로 구성된다.In detail below, the first transmission unit 81 receives the power supply voltage VEXT to the collector through the resistor R55 and self-biass the driving signal through the resistor R52 connected between the base and the emitter. A transistor TR51 that receives (P_IN) the base through the resistor R51 and outputs a transmission signal T_OUT to the collector; Two diodes D51 and D52 clamping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to a power supply voltage VEXT and a ground GEXT; And a photo coupler PC51 for limiting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57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inverting the inverted signal again in a biased state by a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the collector through the resistor R58. 2 The transmitting unit 82 receives the driving signal P_IN in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the emitter through the resistor R56 and self-biased through the resistor R54 connected between the base and the emitter. A PNP transistor TR52 that is input to the base and outputs an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 T_OUT; Two diodes D53 and D54 for clamping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to a power supply voltage VEXT and a ground GEXT; The photo coupler PC52 which limits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59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inverts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again while being biased by a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the collector through the resistor R60. It consists of.

상기 수신기(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신호(R_IN)를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PC61)와, 상기 반전전송신호(/R_IN)를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PC6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receiver 90 includes a photo coupler PC61 for inverting the transmission signal R_IN and a photo coupler PC62 for inverting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R_IN.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회로(91)는 상기 전송신호(R_IN)를 전원전압(VEXT)과 접지(GEXT)로 클램핑하는 두 개의 다이오드(D61, D62)와; 캐소드에 연결된 저항(R61)을 통해 전류량을 제한받고 저항(R62)을 통해 전원전압(VCC)을 콜렉터에 인가받아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상기 전송신호(R_IN)를 다시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PC61)로 구성되고, 하측회로(92)는 상기 반전전송신호(/R_IN)를 전원전압(VEXT)과 접지(GEXT)로 클램핑하는 두 개의 다이오드(D63, D64)와; 캐소드에 연결된 저항(R63)을 통해 전류량을 제한받고 저항(R64)을 통해 전원전압(VCC)을 콜렉터에 인가받아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상기 반전전송신호(/R_IN)를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PC62)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계전기의 단접점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In detail below, the upper circuit 91 includes two diodes D61 and D62 for clamping the transmission signal R_IN to a power supply voltage VEXT and a ground GEXT; The photo coupler PC61 is configured to limit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61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to invert the transmission signal R_IN again while being biased by a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the collector through the resistor R62. The lower circuit 92 includes two diodes D63 and D64 for clamping the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 R_IN to a power supply voltage VEXT and a ground GEXT; The photocoupler PC62 is configured to limit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63 connected to the cathode and to invert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R_IN in the biased state by apply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o the collector through the resistor R64.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le contact detection method of the rela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이하 단접점 감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ingle contact detec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드라이버(70)에 입력된 펄스 신호는 트랜지스터(TR41)에서 반전되고 포토 커플러(PC41)에서 레벨이 변화되어 구동신호(P)가 되어 출력된다.The pulse signal input to the driver 70 is inverted in the transistor TR41 and the level is changed in the photo coupler PC41 to be the driving signal P and output.

전송기(80)에 입력된 상기 구동신호(P)는 트랜지스터(TR51)에서 반전되어 전송신호(T_OUT)가 되어 출력되고, 피엔피 트랜지스터(TR52)에서 증폭되어 반전전송신호(/T_OUT)가 되어 출력된다. 상기 전송신호(T_OUT)와 반전전송신호(/T_OUT)는 다시 각각의 포토커플러(PC51)와 포토커플러(PC52)에서 반전되어 전송읽기신호(T_READ)와 반전전송읽기신호(/T_READ)가 된다.The driving signal P input to the transmitter 80 is inverted by the transistor TR51 to be output as a transmission signal T_OUT, and amplified by the PNP transistor TR52 to be an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do.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and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are inverted in each of the photocoupler PC51 and the photocoupler PC52 to become a transmission read signal T_READ and an inversion transmission read signal / T_READ.

상기 전송신호(T_OUT)는 계전기(100)에 입력되어 코일(101)의 동작에 따라 수신신호(R_IN)가 되어 수신기(9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반전전송신호(/T_OUT)는 직접 상기 수신기(90)에 입력된다.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is input to the relay 100 to become a reception signal R_I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il 101 and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90. In addition,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is directly input to the receiver 90.

상기 수신신호(R_IN)와 반전전송신호(/T_OUT)는 상기 수신기(90)에 입력되어 각각의 포토 커플러(PC61)와 포토 커플러(PC62)에서 반전되고 레벨이 변화되어 수신읽기신호(R_READ)와 반전수신읽기신호(/R_READ)가 된다.The reception signal R_IN and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are input to the receiver 90 and are inverted at each photo coupler PC61 and the photo coupler PC62, and the level is changed so that the reception read signal R_READ and Inverted receive read signal (/ R_READ).

또 다른 실시예로 이중접점 감지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접점 감지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110)는 상기 전송신호(T_OUT)를 코일(111)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접점 또는 메이크 접점으로 출력시켜 상기 수신기(90)에 수신신호(R_IN) 또는 반전수신신호(/R_IN)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dual contact sensing apparatus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ingle contact sensing apparatus, and the relay 110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il 111. Output to the brake contact or make contact to provide a reception signal (R_IN) or inverted reception signal (/ R_IN) to the receiver (90).

또 다른 실시예로 더블 이중접점 감지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접점 감지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120)는 상측부(121)에 입력된 상기 전송신호(T_OUT)를 코일(123)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접점 또는 메이크 접점으로 출력하고, 하측부(122)에 입력된 상기 반전전송신호(/T_OUT)를 상기 코일(123)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접점 또는 메이크 접점으로 출력하고, 상기 상측부(121)의 브레이크 접점은 상기 하측부(122)의 메이크 접점과 연결되어 상기 수신기(90)에 수신신호(R_IN)를 제공하고, 상기 상측부(121)의 메이크 접점은 상기 하측부(122)의 브레이크 접점과 연결되어 상기 수신기(90)에 반전수신신호(/R_IN)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double double contact detecting devic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ingle contact detecting device, and the relay 120 receives the transmission signal T_OUT input to the upper part 121. Is output to the brake contact or make conta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il 123, and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 T_OUT) input to the lower portion 122 to the brake contact or make conta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il 123. The brake contact of the upper part 121 is connected to the make contact of the lower part 122 to provide the reception signal R_IN to the receiver 90, and the make contact of the upper part 121 is The inverted receiving signal / R_IN is provided to the receiver 90 by being connected to the brake contact of the lower part 122.

이하 본 발명의 계전기 접점 감지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relay contact dete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은 도 4의 단접점 감지 장치의 계전기 동작 상태 및 신호선의 상태에 따른 진리표이다.FIG. 10 is a truth table according to a relay operation state and a signal line state of the single-contact sensing device of FIG. 4.

P=1 혹은 P=0일 때 계전기의 동작 상태는 오프(OFF)이거나 온(ON)이며 신호선의 상태는 단락(SHORT)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상태를 조합하여 보면 2*3은 6가지의 다른 조건이 되나, 이 중 라인의 상태가 단락이고 P가 0 일 때나 1 일 때 모두 같은 결과값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 구성을 사용할 때는 5가지의 서로 다른 조건이 있을 수 있다.When P = 1 or P = 0,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ay may be OFF or ON, and the state of the signal line may have a short circuit. Combining these states shows that 2 * 3 is six different conditions, of which the state of the line is short-circuited and the same result occurs when P is zero or one. Thus, there can be five different conditions when using this connection configuration.

상기 진리표를 살펴보면 P=1이고 계전기의 동작 상태가 온이나 오프일 때 결과값이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접점 감지 방법을 사용할 때는 P=0 일 때의 세 가지 결과값을 취하여 접점의 위치를 분석한다. 또한 P=1일 때 결과값을 P=0일 때 결과값과 비교하여 진리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나오는 지를 검사하면 회로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P=1, P=0) 경우를 교대로 시험하여 P=0일 때는 접점의 위치를 알아내고, P=1일 때는 회로의 상태를 알아 낸다.Looking at the truth table,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is the same when P = 1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ay is on or off. Therefore, when using this single-contact detection method, we take three results when P = 0 and analyz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circuit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sult value when P = 1 with the result value when P = 0 and checking whether the result is different as shown in the truth table. Therefore, test these two cases (P = 1, P = 0) alternately and find out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int when P = 0, and find the state of the circuit when P = 1.

도 11은 도 5의 이중접점 감지 장치의 계전기 동작 상태 및 신호선의 상태에 따른 진리표로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총 8가지의 조건이 나오는 데, 그 중 P=1일 때 단락을 제외한 조건의 결과값이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세가지 조건은 사용하지 않는다. 즉 P=0 일 때의 조건만을 사용하게 된다. 다만 신호선의 상태가 단락인 조건을 제외한 P=1일 때결과값과 P=0일 때 결과값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단접점 감지 방법과 같이 P=1인 조건은 회로검사용으로 사용된다.FIG. 11 is a truth table according to the relay operation state and signal line state of the dual contact detecting apparatus of FIG. 5. In this configuration, a total of eight conditions are shown. It can be seen that all are the same. Therefore, these three conditions are not used. That is, only the condition when P = 0 is used. However,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result value is different when P = 1 and P = 0 except for the condition that the signal line is short-circuited. do.

이러한 두 가지 조건(P=1, P=0)을 교대로 사용하여 P=0일 때의 결과값으로 계전기 접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P=1일 때의 결과값은 P=0일 때의 결과값과 비교하여 회로의 이상유무를 감지한다.By using these two conditions (P = 1, P = 0) alternately, the position of relay contact is determined by the result value when P = 0, and the result value when P = 1 is Detects abnormality of circuit by comparing with result value.

도 12는 도 6의 더블 이중접점 감지 장치의 계전기 동작 상태 및 신호선의 상태에 따른 진리표로서, 이러한 구성은 단락일 때를 포함하여 총 7가지 조건을 가지고 계전기의 접점위치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회로검사도 수행할 수 있다.FIG. 12 is a truth table according to the relay operation state and signal line state of the double double contact detecting device of FIG. 6. This configuration has a total of seven conditions including a short circuit to determine a contact point of a relay as well as a circuit test. Can also be performed.

예를 들어 계전기의 접점위치가 브레이크 접점에 있을 때 P=1로 하면 결과값이 "1010"으로 브레이크 접점임을 알 수 있다. 그 후 P=0으로 하면 "0101"로 되므로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접점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회로들이 정확히 동작을 하여야만 상기와 같은 값을 항상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검사도 동시 수행된다. 즉 P=0일 때 진리표에 의거하여 판별한 계전기의 위치와 P=1일 때 판별한 계전기의 위치가 항상 같아야 한다.For example, if the relay's contact position is at the brake contact, P = 1, and the result is "1010". After that, if P = 0, it becomes " 0101 " In addition, circuit check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because the above values can always be obtained only if the circuits are operated correctly. In other words, when P = 0, the position of the rela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uth table and the position of the relay determined when P = 1 should always be the same.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신호의 이상유무, 회로의 상태, 신호선의 상태 및 계전기의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계전기의 동작 상태를 보다 더 정확하게 감지함에 따라 철도 신호 시스템에 적용시, 궤도 회로의 이상 유무와 선로전환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열차의 충돌 및 탈선을 방지하여 안전한 열차의 운행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bnormal state of an input signal, a state of a circuit, a state of a signal line, and a state of a relay to more accurately detect an operating state of a relay, and thus when applied to a railway signal system,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status of the abnormality and the state of the track changer to prevent the collision and derailment of the trai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safe operation of the train.

Claims (6)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버와; 상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킨 전송신호와 반전시킨 반전전송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이 두 신호를 반전시켜 구동신호의 입력 여부와 회로의 상태를 점검하는 전송읽기 신호와 반전전송읽기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기와; 상기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코일의 여자에 따라 수신기측으로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계전기와; 상기 계전기의 수신신호와 상기 전송기의 반전전송신호인 반전수신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을 반전시키는 수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A driver for receiving a pulse signal and generating a driving signal; The driving signal is inputted and amplified and the inverted transmission signal is output, and the two signals are inverted again to output a transmission read signal and a reverse transmission read signal for checking whether the driving signal is input and the state of the circuit. A transmitter; A relay which receive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outputs the reception signal to a receiver according to the excitation of the coil; And a receiver for inverting each of the relays by receiving the reception signal of the relay and the inversion reception signal of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of the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는 상기 전송신호를 코일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접점 또는 메이크 접점으로 출력시켜 상기 수신기에 수신신호 또는 반전수신신호를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lay outputs the transmission signal to a brake contact or a make conta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coil to provide a reception signal or an inversion reception signal to the receiv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는 상측부에 입력된 상기 전송신호를 코일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접점 또는 메이크 접점으로 출력하고, 하측부에 입력된 상기 반전전송신호를 상기 코일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접점 또는 메이크 접점으로 출력하고, 상기 상측부의 브레이크 접점은 상기 하측부의 메이크 접점과 연결되어 상기 수신기에 수신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상측부의 메이크 접점은 상기 하측부의 브레이크 접점과 연결되어 상기 수신기에 반전수신신호를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outputs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upper portion to the brake contact or make contac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il, and the revers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low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il brake contact Or output to a make contact, the upper brake contact is connected to the lower make contact to provide a reception signal to the receiver, and the upper contact make contact is connected to the lower brake contact to the inverted receive signal to the receiver. Vital contact detection device of the rela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시키는 트랜지스터와, 그 반전된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The rel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river comprises a transistor for receiving a pulse signal and inverting the pulse signal, and a photo coupler for generating the driving signal b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inverted signal. Vital contact detec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는 상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시켜 상기 전송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송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전송읽기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된 제1전송부와; 상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켜 반전전송신호를 출력하는 피엔피 트랜지스터와, 그 반전전송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반전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된 제2전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The transmitter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ransmitter is a transistor for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inverting the output signal, and outpu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A first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A vital contact of a relay comprising a PNP transistor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the driving signal and outputting an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and a second coupler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and output an inversion signal. Sensing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와, 상기 반전전송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시키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기의 바이털 접점 감지 장치.The relay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ceiver comprises a photo coupler for receiving and invert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a photo coupler for receiving and inverting the inversion transmission signal. Contact sensing device.
KR10-2001-0021162A 2001-04-19 2001-04-19 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KR100375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162A KR100375066B1 (en) 2001-04-19 2001-04-19 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162A KR100375066B1 (en) 2001-04-19 2001-04-19 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783A KR20020081783A (en) 2002-10-30
KR100375066B1 true KR100375066B1 (en) 2003-03-07

Family

ID=2770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162A KR100375066B1 (en) 2001-04-19 2001-04-19 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0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6005A (en) * 2016-08-05 2016-10-12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Pulse protection circuit of electromagnetic lo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950A (en) * 1977-07-22 1979-02-22 Nissan Motor Co Ltd Supervisory unit for contact circuit
US5568025A (en) * 1993-11-02 1996-10-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bnormally detecting device for relay
JPH0923565A (en) * 1995-07-07 1997-01-21 Toshiba Corp Monitoring circuit of protective relay device
JPH09252524A (en) * 1996-03-15 1997-09-22 Toshiba Corp Protection relay device and ac contact detection
JP2000354322A (en) * 1999-06-10 2000-12-19 Meidensha Corp Protection rel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950A (en) * 1977-07-22 1979-02-22 Nissan Motor Co Ltd Supervisory unit for contact circuit
US5568025A (en) * 1993-11-02 1996-10-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bnormally detecting device for relay
JPH0923565A (en) * 1995-07-07 1997-01-21 Toshiba Corp Monitoring circuit of protective relay device
JPH09252524A (en) * 1996-03-15 1997-09-22 Toshiba Corp Protection relay device and ac contact detection
JP2000354322A (en) * 1999-06-10 2000-12-19 Meidensha Corp Protection re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6005A (en) * 2016-08-05 2016-10-12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Pulse protection circuit of electromagnetic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783A (en)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971A (en) Real-time monitering and diagnostic system for turn-out branching-off point and crossing
EA037787B1 (en) Track circuit transmitter, and method of realizing fail-safe capability
KR100375066B1 (en) Vital contact monitoring apparatus of relay
EP0681310B1 (en) Load driving circuit
US4117463A (en) Circuit fault detection apparatus for railroad track circuit redundant connections
JP2010277313A (en) System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modules
KR100741522B1 (en) Fail-safe Switching Apparatus on the Railroad Signal
CN1984806B (en) Device for safe data transmission to railway beacons
AU2009249806B2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the occupied or free state of a track section
JP4974180B2 (en) Switching machine control device
JP2618206B2 (en) Fail safe input circuit
JP2008149787A (en) Electronic railway terminal device
CN113442847B (en) Fail-safe output circuit and vehicle-mounted controller
CN108657224B (en) Signal generator, signal generating method, signal generating equipmen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5671348A (en) Non-vital turn off of vital output circuit
JP2001286001A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railcar
JP2697497B2 (en) Train operation control command transmitter and receiver
KR0128198Y1 (en) Trouble detecting circuit of distribution control system
JP3096301B2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ed equipment driven by AC power supply
JPH05199570A (en) Duplex analog output device
JP2840065B2 (en) Train detection device
WO2023007030A1 (en) Emulated voltage-free safety contact
JPH07245629A (en) Fault detector for transmission line
SU1185620A2 (en) Device for telemetry and supervisory indication of conditions of final station of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JPS62235833A (en) Standby system self-diagnosis system in duplicated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