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756B1 - Clock dividing circuit - Google Patents

Clock divid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756B1
KR100336756B1 KR1019990038137A KR19990038137A KR100336756B1 KR 100336756 B1 KR100336756 B1 KR 100336756B1 KR 1019990038137 A KR1019990038137 A KR 1019990038137A KR 19990038137 A KR19990038137 A KR 19990038137A KR 100336756 B1 KR100336756 B1 KR 10033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uty
signal
state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26710A (en
Inventor
이성권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3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756B1/en
Publication of KR2001002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75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64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 H03K23/66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with a variable counting base, e.g. by presetting or by adding or suppressing pulses
    • H03K23/662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with a variable counting base, e.g. by presetting or by adding or suppressing pulses by adding or suppressing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02Input circuits
    • H03K21/026Input circuits comprising 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64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 H03K23/66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with a variable counting base, e.g. by presetting or by adding or suppressing pulses
    • H03K23/667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with a base or radix other than a power of two with a variable counting base, e.g. by presetting or by adding or suppressing pulses by switching the base during a counting cycle

Abstract

본 발명은 클럭 분주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짝수 분주 회로를 이용하여 홀수 분주된 클럭을 출력하지 못하고, 또한, 홀수 분주 회로는 분주되는 클럭의 분주비에 따라 각각 다른 회로 구성을 가짐으로써, 홀수 분주 회로와 짝수 분주 회로간에 호환성 및 확장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입력클럭을 분주비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분주비로 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분주한 분주 클럭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분주 클럭의 듀티비를 50%로 제어하는 클럭 분주 및 듀티 제어기와; 상기 클럭 분주 및 듀티 제어기의 듀티비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분주 클럭의 듀티비를 50%로 만들어 출력하는 듀티 클럭 발생기로 구성한 클럭 분주 회로를 제공하여 상기 분주비 선택 신호에 의해 클럭 분주부내 스테이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짝수 분주 및 홀수 분주후 그 클럭의 듀티비를 50%로 만들어 출력함으로써, 분주 회로의 호환성 및 확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divider circuit, and in the prior art, an odd divided circuit cannot be output using an even divider circuit, and the odd divider circuit has a different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division ratio of the divided clock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compatibility and expandability between odd and even division circui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utputs the divided clock divided by the enable signal at the division ratio selected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nd the duty of the division clock. A clock division and dut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atio to 50%; Provides a clock division circuit composed of a duty clock generator for outputting a 50% duty ratio of the divided clock by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of the clock division and the duty controller to sequentially output the state in the clock division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fter the even and odd divisions, the duty ratio of the clock is increased to 50% and outputted,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division circuit.

Description

클럭 분주 회로{CLOCK DIVIDING CIRCUIT}Clock Division Circuits {CLOCK DIVIDING CIRCUIT}

본 발명은 클럭 분주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 클럭을 원하는 클럭으로 분주하는 클럭 분주 회로에 있어서 스테이트의 수를 증가시켜 짝수 혹은 홀수 분주에 상관없이 50% 듀티비를 갖는 클럭으로 분주하도록 한 클럭 분주 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divider circuit, in particular, in a clock divider circuit for dividing an input clock to a desired clock, a clock divider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states to divide into a clock having a 50% duty ratio regardless of even or odd division. It is about a circuit.

도 1은 종래 플립플롭을 이용한 짝수 분주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입력단(J)(K)으로 전원전압(VDD)이 공통인가되며 클럭단(CLK)의 입력클럭(CLK_In)에 의해 에지 트리거 플립플롭으로 동작하고, 반전인가되는 리셋신호(Reset)에 의해 리셋되는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10)과; 각각 두 입력단(J)(K)으로 전원전압(VDD)이 공통인가되며 순차적으로 이전단의 출력클럭(Q1)(Q2)(Q3)을 클럭단(CLK)으로 인가받아 동작하고, 반전인가되는 리셋 신호(Reset)에 의해 리셋되는 제2,제3,제4 제이케이 플립플롭(11)(12)(13)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1 is an even-dividing circuit diagram using a conventional flip-flop. As shown in FIG. 1, a power supply voltage VDD is commonly applied to two input terminals J and K, and an edge is inputted by a clock clock CLK_In of the clock terminal CLK. A first JK flip-flop 10 that operates as a trigger flip-flop and is reset by a reset signal Reset applied to the inverse;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commonly applied to the two input terminals J and K, respectively, and is sequentially operated by receiving the output clocks Q1, Q2 and Q3 of the previous stage as the clock terminal CLK, and inverting them. The second, third, and fourth JK flip-flops 11, 12, and 13 are reset by the reset signal Reset. Referring to FIG. Will be explained.

우선, 복수의 제이케이 플립플롭(10∼13)은 각각 두 입력단(J)(K)으로 전원전압(VDD)을 공급받아 클럭단(CLK)으로 인가되는 클럭의 상승 에지에서 출력클럭(Q)의 레벨을 반전하는 에지 트리거 플립플롭으로 동작하게 된다.First, the plurality of JK flip-flops 10 to 13 receive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from two input terminals J and K, respectively, and output the output clock Q at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applied to the clock terminal CLK. It operates as an edge trigger flip-flop that inverts the level of.

따라서, 도 2의 (a)와 같이 클럭단으로 인가되는 입력클럭(CLK_In)을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10)에서 2분주하여 도 2의 (b)와 같이 출력하게 되면, 상기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10)에서 2분주한 출력클럭(Q1)을 입력받은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11)은 이를 다시 2분주하여 출력클럭(Q2)으로 도 2의 (c)와 같이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11)에서 2분주한 출력클럭(Q2)을 입력받은 제3 제이케이 플립플롭(12)은 이를 다시 2분주하여 출력클럭(Q3)으로 도 2의 (d)와 같이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3 제이케이 플립플롭(12)에서 2분주한 출력클럭(Q3)을 입력받은 제4 제이케이 플립플롭(13)은 이를 다시 2분주하여 출력클럭(CLK_OUT)으로 도 2의 (e)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input clock CLK_In applied to the clock stage as shown in FIG. 2A is divided by the first J flip-flop 10 and outputted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J The second J-K flip-flop 11 receives the output clock Q1 divided by two from the K flip-flop 10 and divides it again and outputs it to the output clock Q2 as shown in FIG. The third JK flip-flop 12, which receives the output clock Q2 divided by the second JK flip-flop 11, divides it again into two output clocks Q3 as shown in FIG. The fourth JK flip-flop 13 receives the output clock Q3 divided by the third JK flip-flop 12 and divides it again into the output clock CLK_OUT. The output will be as shown in 2 (e).

또한, 도 3은 종래 3분주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클럭(CLK_In)과 궤환된 출력클럭(CLK_OUT)을 입력받아 이를 배타적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와; 두 입력단(J)(K)으로 전원전압(VDD)이 공통인가되며 클럭단(CLK)으로 인가되는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의 출력신호(Y1)에 의해 동작하고, 반전인가되는 리셋신호(Reset)에 의해 리셋되는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20)과; 두 입력단(J)(K)으로 전원전압(VDD)이 공통인가되며 클럭단(CLK)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10)의 반전 출력클럭(Y2)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1)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FIG. 3 is a conventional three-dividing circuit diagram, which includes an exclusive OR gate XOR for receiving an input clock CLK_In and a feedback output CLK_OUT and outputting an exclusive OR operation on the input clock CLK_OUT;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commonly applied to both input terminals J and K, and is operated by the output signal Y1 of the exclusive OR gate XOR applied to the clock terminal CLK and inverted. A first JK flip-flop 20 which is reset by a reset); The second J operated by the inverted output clock Y2 of the first JK flip-flop 10 applied to the two inputs J and K and commonly applied to the clock terminal CLK. K flip-flop 21, which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4 attached to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우선, 고전위 입력클럭(CLK_In)과 저전위 출력클럭(CLK_OUT)을 입력받은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20)에서 반전클럭(Y2)을 저전위로 출력하게 되므로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1)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된다.First, the exclusive OR gate XOR, which has received the high potential input clock CLK_In and the low potential output clock CLK_OUT, outputs a high potential, thereby inverting the clock Y2 in the first JK flip-flop 20. The second JK flip-flop 21 outputs a low potential because the output is at a low potential.

그리고, 상기 입력클럭(CLK_In)이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천이되면(B), 상기 배타적논리합 게이트(XOR)에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의 저전위 출력신호(Y1)을 클럭단(CLK)에 인가받은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20)에서 이전상태인 저전위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1)도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input clock CLK_In transitions from a high potential to a low potential (B), a low potential is output from the exclusive logic sum gate XOR, and the low potential output signal Y1 of the exclusive logic sum gate XOR is output. As the first JK flip-flop 20 applied to the clock terminal CLK maintains the low potential that is the previous state, the second JK flip-flop 21 also maintains the previous state.

그리고, 상기 입력클럭(CLK_In)이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천이되면(C),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상기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20)에서 반전클럭(Y2)으로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이를 입력받은 상기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1)은 출력클럭(CLK_OUT)을 고전위로 출력하게 된다.When the input clock CLK_In transitions from a low potential to a high potential (C), the exclusive OR gate XOR outputs a high potential, thereby inverting the clock Y2 in the first JK flip-flop 20. The second JK flip-flop 21 receives the high potential and outputs the output clock CLK_OUT at high potential.

이때, 상기 고전위의 출력클럭(CLK_OUT)을 입력받은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에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제1,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0)(21)은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low potential is output from the exclusive OR gate XOR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output clock CLK_OUT, the first and second JK flip-flops 20 and 21 maintain the previous state. do.

그리고, 상기 입력클럭(CLK_In)이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천이되면(D),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상기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20)은 반전클럭(Y2)으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1)은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input clock CLK_In transitions from a high potential to a low potential (D), the exclusive OR gate XOR outputs a high potential, whereby the first JK flip-flop 20 is an inverted clock Y2. ) And outputs a low potential, and the second JK flip-flop 21 maintains its previous state.

그리고, 상기 입력클럭(CLK_In)이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천이되면(E),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에서 저전위가 출력되므로, 이를 입력받은 상기 제1,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0)(21)은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clock CLK_In transitions from a low potential to a high potential (E), since the low potential is output from the exclusive OR gate XOR, the first and second JK flip-flops 20 received therefrom. 21) will remain the previous state.

그리고, 상기 입력클럭(CLK_In)이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천이되면(F),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1 제이케이 플립플롭(20)은반전클럭(Y2)으로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상기 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1)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된다.When the input clock CLK_In transitions from a high potential to a low potential (F), the exclusive OR gate XOR outputs a high potential, and the first JK flip-flop 20 is an inverted clock Y2. The high potential is output to the second JK flip-flop 21, thereby outputting a low potential.

이때, 상기 저전위 출력클럭(CLK_OUT)을 입력받은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XOR)에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제1,제2 제이케이 플립플롭(20)(21)은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low potential is output from the exclusive OR gate XOR receiving the low potential output clock CLK_OUT, the first and second JK flip-flops 20 and 21 maintain the previous state. do.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짝수 분주 회로를 이용하여 홀수 분주된 클럭을 출력하지 못하고, 또한, 홀수 분주 회로는 분주되는 클럭의 분주비에 따라 각각 다른 회로 구성을 가짐으로써, 홀수 분주 회로와 짝수 분주 회로간에 호환성 및 확장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even-numbered divided clocks cannot be outputted, and odd-numbered divided circuits have different circuit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division ratios of the divided clock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compatibility and extensibility between frequency division circui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스테이트의 수를 증가시켜 짝수 혹은 홀수 분주에 상관없이 50% 듀티비를 갖는 클럭으로 분주하도록 한 클럭 분주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ovides a clock divider circuit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states to divide the clock with 50% duty ratio regardless of even or odd division. There is a purpose.

도 1은 종래 플립플롭을 이용한 분주 회로도.1 is a distribution circuit diagram using a conventional flip-flop.

도 2는 도 1의 각 부 클럭 타이밍도.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sub clock timing of FIG. 1. FIG.

도 3은 종래 3분주 회로도.3 is a conventional three-division circuit diagram.

도 4는 도 3의 각 부 클럭 타이밍도.4 is a sub-clock timing diagram of FIG.

도 5는 본 발명 클럭 분주 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ivider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ivision and duty ratio controller in FIG. 5; FIG.

도 7은 도 5에서 듀티 클럭 발생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ty clock generator in FIG.

도 8은 도 6에서 클럭 분주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ivider in FIG.

도 9는 도 6에서 듀티비 제어기의 일실시예 구성을 보인 회로도.FIG.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duty ratio controller in FIG. 6. FIG.

도 10은 도 7에서 듀티 발생기의 일실시예 구성을 보인 회로도.FIG. 10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duty generator in FIG. 7; FIG.

도 11은 도 6에서 클럭 분주기의 동작을 보인 상태도.FIG. 1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lock divider in FIG. 6. FIG.

도 12는 도 5의 홀수 분주시의 각 부 클럭 파형도.FIG. 12 is a diagram of sub-clock waveforms during odd division of FIG. 5; FIG.

도 13은 도 5의 짝수 분주시의 각 부 클럭 파형도.FIG. 13 is a diagram of each sub-clock waveform at the time of even division of FIG. 5;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 110 : 클럭 분주기100: clock division and duty ratio controller 110: clock divider

111 : 상태 변환부 112 : 제어부111: state conversion unit 112: control unit

113 : 출력부 120 : 듀티비 제어기113: output unit 120: duty ratio controller

200 : 듀티 클럭 발생기 210 : 듀티 발생기200: duty clock generator 210: duty generator

211 : 디 플립플롭 220 : 멀티플렉서211: flip-flop 220: multiplexer

I1 : 인버터 AND1, AND2 : 논리곱 게이트I1: Inverter AND1, AND2: Logic g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입력클럭을 분주비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분주비로 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분주한 분주 클럭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분주 클럭의 듀티비를 50%로 제어하는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와; 상기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의 듀티비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분주 클럭의 듀티비를 50%로 만들어 출력하는 듀티 클럭 발생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utputs the divided clock divided by the enable signal at the division ratio selected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nd controls the duty ratio of the division clock to 50%. A clock division and duty ratio controller; And a duty clock generator configured to output 50% of the duty ratio of the divided clock by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of the clock division and the duty ratio controll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and eff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 클럭 분주 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에이블신호(EN)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입력클럭(CLK_In)을 분주비 선택 신호(EO)에 의해 선택된 분주비로 분주한 분주 클럭(CLK_Div)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분주 클럭(CLK_Div)의 듀티비를 50%로 제어하는 클럭 분주 및 듀티 제어기(100)와; 상기 클럭 분주 및 듀티 제어기(100)의 듀티비 제어 신호(DGE)에 의해 상기 분주 클럭(CLK_Div)의 듀티비를 50%로 만들어 출력하는 듀티 클럭 발생기(200)로 구성한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ivider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input clock CLK_In is enabled by the division ratio select signal EO. A clock division and duty controller 100 for outputting the divided division clock CLK_Div and controlling the duty ratio of the division clock CLK_Div to 50%; The duty cycle generator 200 outputs 50% of the duty ratio of the frequency division clock CLK_Div by the duty cycle control signal DGE of the clock division and the duty controller 100.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에이블신호(EN)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입력클럭(CLK_In)을 분주비 선택 신호(DO)에 의해 선택된 분주비로 분주한 분주 클럭(CLK_Div)을 출력하는 클럭 분주기(110)와; 상기 분주비 선택 신호(EO)와 인에이블 신호(EN)에 의해 상기 클럭 분주기(110)에서 분주된 클럭의 듀티비가 50%로 되도록 듀티비 제어 신호(DGE)를 출력하는 듀티비 제어기(120)로 구성한다.The clock division and duty ratio controller 100 is enabled by the enable signal EN to divide the input clock CLK_In at the division ratio selected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DO, as shown in FIG. 6. A clock divider 110 for outputting one divided clock CLK_Div; The duty ratio controller 120 outputs a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such that the duty ratio of the clock divided by the clock divider 110 is 50%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EO and the enable signal EN. ).

또한,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클럭(CLK_In)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I1)와; 상기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200)의 분주 클럭(CLK_Div) 및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아 이를 논리곱 연산하여 리셋듀티(Reset_Duty)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AND1)와; 상기 리셋듀티(Reset_Duty)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인버터(I1)에서 반전된 입력 클럭(CLK_InBar)을 입력받아 상기 분주 클럭(CLK_Div)의 듀티비를 50%로 만드는 듀티 발생기(210)와; 상기 분주 클럭(CLK_Div)과 듀티 발생기(210)의 출력신호(CLK_Duty)를 상기 듀티비 제어 신호(DGE)에 의해 선택하여 출력클럭(CLK_OUT)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220)로 구성한다.In addition,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includes an inverter I1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the input clock CLK_In as shown in FIG. 7; A logic AND gate AND1 for receiving the clock division CLK_Div and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f the clock division and duty ratio controller 200 and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clock division and outputting a reset duty Reset_Duty; A duty generator (210) which is enabled by the reset duty (Reset_Duty) and receives an input clock (CLK_InBar) inverted by the inverter (I1) to make the duty ratio of the divided clock (CLK_Div) 50%; The multiplexer 220 selec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nd the output signal CLK_Duty of the duty generator 210 by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CLK_OUT to the output clock CLK_OUT.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1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에이블 신호(EN)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최초 상태 변환 신호(FSC)에 의해 상태 신호(State)를 제1 스테이트(S1)로 초기화된 후, 상태 변환 신호(SC)에 의해 입력 클럭(CLK_In)의 상승에지에서 상기 상태 신호(State)의 스테이트를 1씩 증가시켜 출력하는 상태 변환부(111)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EN), 분주비 선택 신호(EO) 및 상태 신호(State)를 입력받아 상기 상태 변환부(1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2)와;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분주비 선택신호(EO)와 상태 신호(State)에 의해 분주 클럭(CLK_Div)을 출력하는 출력부(113)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8, the clock divider 110 is enabled by the enable signal EN to convert the state signal State to the first state S1 by the initial state transition signal FSC. A state conversion unit 111 for increasing and outputting the state of the state signal State by 1 at the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by the state conversion signal SC; A controller 112 for receiving the enable signal EN,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EO, and a state signal State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And an output unit 113 that is enabled by the enable signal EN and outputs a divided clock CLK_Div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EO and the state signal State.

그리고, 상기 듀티비 제어기(120) 및 듀티 발생기(210)는 각각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주비 선택 신호(EO)와 인에이블 신호(EN)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는 논리곱 게이트(AND2) 및 반전리셋단의 리셋듀티(Reset_Duty)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입력단(D)으로 전원전압(VDD)이 인가됨에 따라 클럭단(CLK)으로 인가되는 반전된 입력클럭(CLK_InBar)에 의해 동작하는 디 플립플롭(211)으로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duty ratio controller 120 and the duty generator 210 receive an AND and perform an AND operation on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EO and the enable signal EN, as shown in FIGS. 9 and 10, respectively. Enabled by the reset duty Reset_Duty of the gate AND2 and the inverted reset stage, and the inverted input clock CLK_InBar applied to the clock stage CLK a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attached to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the flip-flop 211 tha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우선, 홀수 분주를 하고자 하는 경우, 클럭 분주 및 듀티 제어기(100)로 인에이블신호(EN) 및 분주비 선택 신호(EO)를 도 12의 (b) 및 (c)와 같이 고전위로 인가하면,상기 고전위의 인에이블신호(EN) 및 분주비 선택 신호(EO)를 입력받은 듀티비 제어기(120)내 논리곱 게이트(AND2)는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도 12의 (e)와 같이 고전위로 출력한다.First, when the odd division is to be performed, when the enable signal EN and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EO are applied to the clock division and duty controller 100 at high potential as shown in FIGS. 12B and 12C, The AND gate of the duty ratio controller 120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enable signal EN and the division ratio select signal EO receives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from FIG. Output at high potential as well.

그리고, 상기 고전위의 인에이블신호(EN)를 입력받은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는 최초 상태 변환 신호(FSC)를 상태 변환부(111)로 출력하면, 이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입력클럭(CLK_In)의 최초 상승에지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0)에서 스테이트(S1)로 초기화시키며, 상기 상태 변환부(111)의 상태 신호(State)를 입력받은 출력부(113)는 분주 클럭(CLK_Div)을 고전위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that receives the high potential enable signal EN outputs an initial state conversion signal FSC to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The converting unit 111 initializes the state signal State from the state S0 to the state S1 at the initial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and shows the state of the state converting unit 111. The output unit 113 receiving the state signal State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a high potential.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110)의 고전위 분주 클럭(CLK_Div)와 고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논리곱 게이트(AND1)는 리셋듀티(Reset_Duty)를 고전위로 출력하며, 입력클럭(CLK_In)을 입력받은 인버터(I1)는 이를 반전하여 출력한다.The AND gate AND1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division clock CLK_Div and the high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f the clock divider 110 outputs a reset duty Dut with a high potential and an input clock. The inverter I1 that receives the input of CLK_In inverts it and outputs it.

그리고, 반전리셋단의 리셋듀티(Reset_Duty)에 의해 인에이블된 듀티 발생기(210)내 디 플립플롭(211)은 입력단(D)으로 전원전압(VDD)이 인가됨에 따라 클럭단(CLK)으로 인가되는 상기 반전된 입력클럭(CLK_InBar)의 상승에지에서 고전위를 출력하며, 상기 고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멀티플렉서(220)는 출력 클럭(CLK_OUT)으로 상기 듀티 발생기(210)의 고전위 출력신호(CLK_Duty)를 출력한다.The de-flop 211 in the duty generator 210 enabled by the reset duty Reset_Duty of the inverting reset stage is applied to the clock stage CLK a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D. The multiplexer 220 which outputs a high potential at the rising edge of the inverted input clock CLK_InBar, and receives the high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utputs the output clock CLK_OUT of the duty generator 210. Output the high potential output signal CLK_Duty.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는 상태 변환 신호(SC)를 상기 상태 변환부(111)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상기 입력클럭(CLK_In)의 다음 상승에지에서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2)로 증가시키며, 상기 출력부(113)는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고전위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outputs a state conversion signal SC to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and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that receives the state conversion signal SC receives the input clock CLK_In. At the next rising edge of, the state signal State is increased to state S2, and the output unit 113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high potential.

따라서, 상기 고전위 분주 클럭(CLK_Div) 및 듀티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출력신호(CLK_OUT)를 고전위로 출력한다.Accordingly,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divided clock CLK_Div and the duty control signal DGE outputs the output signal CLK_OUT at high potential.

따라서,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의 상태 변환 신호(SC)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상기 입력 클럭(CLK_In)의 상승에지에서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3)에서 스테이트(Sn+1)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이때, 상기 출력부(113)는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계속 고전위로 출력하므로,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출력신호(CLK_OUT)를 고전위로 유지한다.Accordingly, the state converting unit 111 that receives the state converting signal SC of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states the state signal State at the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In order to sequentially increase from S3 to state Sn + 1,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13 continuously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a high potential, so that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outputs the output signal CLK_OUT. Keep) at high potential.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의 상태 변환 신호(SC)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에서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n+2)로 증가시켜 출력하면, 이를 입력받은 상기 출력부(113)는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저전위로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receives the state conversion signal SC of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the state signal State is increased to state Sn + 2 and output. The output unit 113 receiving the input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a low potential.

따라서, 상기 저전위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내 논리곱 게이트(AND1)는 리셋듀티(Reset_Duty)를 저전위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듀티 발생기(210)내 디 플립플롭(211)은 리셋되어 저전위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AND gate in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receiving the low potential division clock CLK_Div outputs a reset duty Reset_Duty at a low potential, and the D in the duty generator 210 receives the low potential. Flip-flop 211 is reset to output a low potential.

따라서, 상기 고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멀티플렉서(220)는 출력 클럭(CLK_OUT)으로 상기 듀티 발생기(210)의 저전위 출력신호(CLK_Duty)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multiplexer 220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utputs the low potential output signal CLK_Duty of the duty generator 210 to the output clock CLK_OUT.

따라서,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의 상태 변환 신호(SC)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상기 입력 클럭(CLK_In)의 상승에지에서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3)에서 스테이트(S2n+1)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출력한다.Accordingly, the state converting unit 111 that receives the state converting signal SC of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states the state signal State at the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It sequentially increases from (S3) to state (S2n + 1) and outputs it.

그리고,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입력받은 상기 출력부(113)는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계속 저전위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출력신호(CLK_OUT)를 저전위로 유지한다.The output unit 113 receiving the state signal State continuously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a low potential, and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receiving the state signal outputs the output signal CLK_OUT at a low potential. Keep it.

그리고, 상기 인에이블신호(EN)로 계속 인가되면,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는 최초 상태 변환 신호(FSC)를 상태 변환부(111)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입력클럭(CLK_In)의 최초 상승에지에서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1)로 초기화시키며,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입력받은 출력부(113)는 분주 클럭(CLK_Div)을 다시 고전위로 출력한다.In addition, if the enable signal EN is continuously applied, the controller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outputs an initial state conversion signal FSC to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and receives the input state. The conversion unit 111 initializes the state signal State to the state S1 at the first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and the output unit 113 receiving the state signal State receives the divided clock CLK_Div. Prints back to high potential.

따라서, 상기 고전위 분주 클럭(CLK_Div) 및 듀티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내 논리곱 게이트(AND1)에서 고전위 리셋튜티(Reset_Duty)를 출력하고, 이를 반전리셋단으로 인가받은 듀티 발생기(210)내 디 플립플롭(211)은 클럭단(CLK)으로 인가되는 상기 반전된 입력클럭(CLK_InBar)의 상승에지에서 고전위를 출력하고, 상기 고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멀티플렉서(220)는 출력 클럭(CLK_OUT)으로 상기 듀티 발생기(210)의 고전위 출력신호(CLK_Duty)를 출력한다.Accordingly, a high potential reset duty (DRESET_Duty) is output from an AND gate of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divided clock CLK_Div and the duty control signal DGE, and the inverted reset stage is outputted. The de-flip flop 211 in the duty generator 210 is applied to output a high potential at the rising edge of the inverted input clock CLK_InBar applied to the clock stage CLK, and the high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 The multiplexer 220 receiving the DGE outputs the high potential output signal CLK_Duty of the duty generator 210 to the output clock CLK_OUT.

따라서, 도 12의 (e) 및 (f)와 같이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100)로부터 분주클럭(CLK_Div)과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도 12의 (i)와 같이 입력클럭(CLK_In)을 홀수분주한 출력 클력(CLK_OUT)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which receives the division clock CLK_Div and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from the clock division and duty ratio controller 100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i), the output clock CLK_OUT with an odd division of the input clock CLK_In is output.

그리고, 짝수 분주를 하고자 하는 경우, 클럭 분주 및 듀티 제어기(100)로 인에이블신호(EN) 및 분주비 선택 신호(EO)를 각각 도 13의 (b) 및 (c)와 같이 고전위와 저전위로 인가하면, 상기 고전위의 인에이블신호(EN) 및 저전위 분주비 선택 신호(EO)를 입력받은 듀티비 제어기(120)내 논리곱 게이트(AND2)는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도 13의 (e)와 같이 저전위로 출력한다.When the even division is to be performed, the enable signal EN and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EO are set to a high potential and a low potential as shown in FIGS. 13B and 13C by the clock division and the duty controller 100, respectively. When applied, the AND gate AND2 in the duty ratio controller 120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enable signal EN and the low potential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EO receives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as shown in FIG. 13. Output at low potential as in (e).

그리고, 상기 고전위의 인에이블신호(EN)를 입력받은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는 최초 상태 변환 신호(FSC)를 상태 변환부(111)로 출력하면, 이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입력클럭(CLK_In)의 최초 상승에지에서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1)로 초기화시켜 출력하며, 상기 상태 변환부(111)의 상태 신호(State)를 입력받은 출력부(113)는 분주 클럭(CLK_Div)을 고전위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that receives the high potential enable signal EN outputs an initial state conversion signal FSC to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The converter 111 initializes and outputs the state signal State to the state S1 at the first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and outputs the state signal State of the state converter 111. 113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high potential.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110)의 고전위 분주 클럭(CLK_Div)와 저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논리곱 게이트(AND1)는 리셋듀티(Reset_Duty)를 저전위로 출력하며, 입력클럭(CLK_In)을 입력받은 인버터(I1)는 이를 반전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the AND gate AND1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division clock CLK_Div and the low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f the clock divider 110 outputs a reset duty Reset_Duty at a low potential and an input clock. The inverter I1 that receives the input of CLK_In inverts it and outputs it.

그리고, 반전리셋단으로 상기 저전위 리셋듀티(Reset_Duty)를 입력받은 듀티 발생기(210)내 디 플립플롭(211)은 디스에이블되므로 저전위를 출력하며, 상기 저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멀티플렉서(220)는 출력 클럭(CLK_OUT)으로 상기 클럭 분주기(110)의 고전위 출력신호(CLK_Div)를 출력한다.The de-flip flop 211 in the duty generator 210 receiving the low potential reset duty Reset_Duty as an inverting reset stage is disabled, thereby outputting a low potential, and outputting the low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The input multiplexer 220 outputs the high potential output signal CLK_Div of the clock divider 110 to the output clock CLK_OUT.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의 상태 변환 신호(SC)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상기 입력 클럭(CLK_In)의 상승에지에서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1)에서 스테이트(Sn)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출력하며, 이를 입력받은 상기 출력부(113)는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계속 고전위로 출력한다.The state converting unit 111, which receives the state converting signal SC of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states the state signal State at the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The output unit 113 sequentially increases and outputs the signal from the state S1 to the state Sn, and the output unit 113 continuously receive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a high potential.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부(110)의 고전위 분주 클럭(CLK_Div)와 저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출력신호(CLK_OUT)로 고전위의 분주 클럭(CLK_Div)를 계속 출력한다.In addition,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divided clock CLK_Div and the low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f the clock divider 110 is an output signal CLK_OUT. Continue to print CLK_Div).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의 상태 변환 신호(SC)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에서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n+1)로 증가시켜 출력하면, 이를 입력받은 상기 출력부(113)는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저전위로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receives the state conversion signal SC of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the state signal State is increased to state Sn + 1 and output. The output unit 113 receiving the input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a low potential.

따라서, 상기 클럭 분주기(110)의 저전위 분주 클럭(CLK_Div)와 저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논리곱 게이트(AND1)는 리셋듀티(Reset_Duty)를 저전위로 출력하고, 이를 반전리셋단으로 입력받은 상기 디 플립플롭(211)은 디스에이블되어 저전위를 출력하며, 상기 저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선택단(SEL)로 입력받은 상기 멀티플렉서(220)는 출력 클럭(CLK_OUT)으로 상기 클럭 분주부(110)의 저전위 출력신호(CLK_Div)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AND gate AND1 receiving the low potential division clock CLK_Div and the low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f the clock divider 110 outputs the reset duty Reset_Duty at a low potential, and inverts it. The flip-flop 211 input to the reset terminal is disabled to output a low potential, and the multiplexer 220 receiving the low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to the selection terminal SEL is an output clock ( The low potential output signal CLK_Div of the clock divider 110 is output to CLK_OUT.

또한,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의 상태 변환 신호(SC)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상기 입력 클럭(CLK_In)의 상승에지에서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n+1)에서 스테이트(S2n)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출력하며, 이를 입력받은 상기 출력부(113)는 상기 분주 클럭(CLK_Div)를 계속 저전위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state converting unit 111 that receives the state converting signal SC of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states the state signal State at the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It sequentially increases from (Sn + 1) to state (S2n) and outputs it. The output unit 113 receiving the input continuously outputs the divided clock CLK_Div at a low potential.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부(110)의 저전위 분주 클럭(CLK_Div)와 저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출력신호(CLK_OUT)로 저전위의 분주 클럭(CLK_Div)를 계속 출력한다.In addition,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receiving the low potential division clock CLK_Div and the low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of the clock division unit 110 may output the low division frequency clock as the output signal CLK_OUT. Continue to print CLK_Div).

그리고, 상기 인에이블신호(EN)로 계속 인가되면, 상기 클럭 분주기(110)내 제어부(112)는 최초 상태 변환 신호(FSC)를 상태 변환부(111)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상태 변환부(111)는 입력클럭(CLK_In)의 최초 상승에지에서 상태 신호(State)를 스테이트(S1)로 초기화시키며, 상기 상태 신호(State)를 입력받은 출력부(113)는 분주 클럭(CLK_Div)을 다시 고전위로 출력한다.In addition, if the enable signal EN is continuously applied, the controller 112 in the clock divider 110 outputs an initial state conversion signal FSC to the state conversion unit 111 and receives the input state. The conversion unit 111 initializes the state signal State to the state S1 at the first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CLK_In, and the output unit 113 receiving the state signal State receives the divided clock CLK_Div. Prints back to high potential.

따라서, 상기 고전위 분주 클럭(CLK_Div) 및 저전위 듀티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내 논리곱 게이트(AND1)에서 저전위를 출력하므로, 이를 반전리셋단으로 인가받은 상기 디 플립플롭(211)은 리셋되어 저전위를 출력하고, 상기 저전위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멀티플렉서(220)에서 출력 클럭(CLK_OUT)으로 상기 듀티 발생기(210)의 고전위 출력신호(CLK_Duty)를 선택하여 출력한다.Accordingly, since the low potential is output from the AND gate of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receiving the high potential divided clock CLK_Div and the low potential duty control signal DGE, the low potential is applied to the inverting reset stage. The de-flip flop 211 is reset to output a low potential, and the high potential of the duty generator 210 is output from the multiplexer 220 that receives the low potential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to an output clock CLK_OUT. The output signal CLK_Duty is selected and output.

즉, 도 13의 (e) 및 (f)와 같이 상기 클럭 분주 및 듀티비 제어기(100)로부터 분주 클럭(CLK_Div)과 듀티비 제어신호(DGE)를 입력받은 상기 듀티 클럭 발생기(200)는 도 13의 (i)와 같이 입력클럭(CLK_In)을 짝수분주한 출력 클력(CLK_OUT)를 출력한다.That is, the duty clock generator 200 which receives the divided clock CLK_Div and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DGE from the clock division and duty ratio controller 100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i) of FIG. 13, the output clock CLK_OUT with an even division of the input clock CLK_In is output.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주비 선택 신호에 의해 클럭 분주기내 상태 신호의 스테이트 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짝수 분주 및 홀수 분주후 그 분주된 클럭의 듀티비를 50%로 만들어 출력함으로써, 분주 회로의 호환성 및 확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increases the number of states of the state signal in the clock divider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nd outputs the duty ratio of the divided clock to 50% after even and odd division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mpatibi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frequency divider circuit.

Claims (7)

입력클럭을 분주비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분주비로 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분주하여 출력하는 클럭 분주기와; 상기 분주비 선택 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클럭 분주기에서 분주된 클럭의 듀티비가 50%로 되도록 듀티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듀티비 제어기와; 입력클럭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클럭 분주기의 분주 클럭 및 듀티비 제어기의 듀티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여 리셋듀티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와; 상기 논리곱 게이트의 리셋듀티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인버터에서 반전된 입력 클럭을 입력받아 상기 분주 클럭의 듀티비를 50%로 만드는 듀티 발생기와; 상기 분주된 클럭과 듀티 발생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듀티비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하여 출력클럭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분주 회로.A clock divider for dividing the input clock by the enable signal at the division ratio selected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 duty ratio controller for outputting a duty ratio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duty ratio of the clock divided in the clock divider is 50%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nd the enable signal; An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n input clock; An AND gate receiving the divided clock of the clock divider and a duty ratio control signal of a duty ratio controller and performing an AND operation to output a reset duty; A duty generator enabled by the reset duty of the AND gate and receiving an input clock inverted by the inverter to make the duty ratio of the divided clock to be 50%; And a multiplexer which selects the divided clock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uty generator by the duty ratio control signal and outputs them to an output clo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분주기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최초 상태 변환 신호에 의해 상태 신호를 제1 스테이트로 초기화시킨 후, 상태 변환 신호에 의해 입력 클럭의 상승에지에서 상태 신호의 스테이트를 1씩 증가시켜 출력하는 상태 변환부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 분주비 선택 신호 및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상태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 분주비 선택신호와 상태 신호에 의해 분주 클럭을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분주 회로.The clock divider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divider is enabled by an enable signal to initialize the state signal to the first state by the initial state change signal, and then, at the rising edge of the input clock by the state change signal. A state conversion unit for increasing the state by one and outputting the state;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enable signal,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nd the state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ate conversion unit; And an output unit that is enabled by the enable signal and outputs a divided clock by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nd a status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주비 선택 신호가 고전위이면 상태 변환부내 상태신호의 스테이트를 S2n+1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홀수 분주하고, 저전위이면 상기 상태 신호의 스테이트를 S2n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짝수 분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분주 회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divides the state of the state signal in the state conversion unit to S 2n + 1 when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is high potential, and divides the odd number . And a clock divider circuit configured to incrementally increase even-numbered divi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 제어기는 분주비 선택 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는 논리곱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분주 회로.2. The clock divider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duty ratio controller comprises an AND gate for receiving a division ratio selection signal and an enable sig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발생기는 반전리셋단의 리셋듀티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입력단으로 전원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클럭단으로 인가되는 반전된 입력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디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분주 회로.2. The duty cycle gen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duty generator is configured by a de-flop that is enabled by a reset duty of an inverting reset stage and operated by an inverted input clock applied to a clock stage as a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stage. Clock division circuit.
KR1019990038137A 1999-09-08 1999-09-08 Clock dividing circuit KR1003367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137A KR100336756B1 (en) 1999-09-08 1999-09-08 Clock divid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137A KR100336756B1 (en) 1999-09-08 1999-09-08 Clock divid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710A KR20010026710A (en) 2001-04-06
KR100336756B1 true KR100336756B1 (en) 2002-05-16

Family

ID=1961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137A KR100336756B1 (en) 1999-09-08 1999-09-08 Clock dividing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7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464B1 (en) 2005-12-28 2006-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utput enable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KR100976323B1 (en) * 2008-04-10 2010-08-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Frequency Modulation 0 signa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2919A (en) * 1987-09-02 198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Duty controlled pulse generating circuit
KR920005448Y1 (en) * 1989-12-31 1992-08-08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oil for electrolytic capacitor
JPH0613892A (en) * 1992-06-26 1994-01-21 Sony Corp Frequency divider circuit
KR970031351A (en) * 1995-11-28 1997-06-26 정장호 Division Circuit with 50 Percent Duty Output
KR980006918A (en) * 1996-06-26 1998-03-30 김광호 50% Duty Cycle Data Generator (50% Duty Cycle Data Generator)
JPH10276083A (en) * 1997-03-28 1998-10-13 Rohm Co Ltd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frequency division circuit
KR19990055781A (en)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Duty Error Compensa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2919A (en) * 1987-09-02 198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Duty controlled pulse generating circuit
KR920005448Y1 (en) * 1989-12-31 1992-08-08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oil for electrolytic capacitor
JPH0613892A (en) * 1992-06-26 1994-01-21 Sony Corp Frequency divider circuit
KR970031351A (en) * 1995-11-28 1997-06-26 정장호 Division Circuit with 50 Percent Duty Output
KR980006918A (en) * 1996-06-26 1998-03-30 김광호 50% Duty Cycle Data Generator (50% Duty Cycle Data Generator)
JPH10276083A (en) * 1997-03-28 1998-10-13 Rohm Co Ltd Even-numbered and odd-numbered frequency division circuit
KR19990055781A (en)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Duty Error Compens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710A (en)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262B1 (en) Latch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serial-parallel conversion circuit
KR20040096779A (en) Data form converter between serial and parallel
JP2013128264A (en) Relaxation oscillator with low power consumption
KR100679261B1 (en) Phase interpolation circuits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polation signal therefore
KR100344082B1 (en) A pulse-duration modulation wave generating circuit
US6031401A (en) Clock waveform synthesizer
CN110912549A (en) Serial-parallel conversion circuit,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US7680238B2 (en) Frequency divider circuit
US4882505A (en) Fully synchronous half-frequency clock generator
KR900004188B1 (en) Noise pulse suppressing circuit
JP2577896B2 (en) m-sequence code generator
US20110128061A1 (en) Phas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336756B1 (en) Clock dividing circuit
KR20100020953A (en) Timing generation circuit and phase shift circuit
US6577202B1 (en) Multiple duty cycle tap points for a precise and programmable duty cycle generator
US11646741B2 (en) Pulse width modulator with reduced pulse width
JP2841901B2 (en) PWM signal operation circuit
JP2966491B2 (en) Broadband pulse pattern generator
KR930008943B1 (en) Selected pulse occuranced circuit
JPH01202025A (en) Mode switching circuit
KR200248929Y1 (en)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
JP2932813B2 (en) Output latch circuit
JP3567256B2 (en) Stepping motor drive circuit
CN113539156A (en) Serial-parallel conversion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mode latch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8841939B2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and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